KR101169160B1 -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160B1
KR101169160B1 KR1020107018996A KR20107018996A KR101169160B1 KR 101169160 B1 KR101169160 B1 KR 101169160B1 KR 1020107018996 A KR1020107018996 A KR 1020107018996A KR 20107018996 A KR20107018996 A KR 20107018996A KR 101169160 B1 KR101169160 B1 KR 101169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unit
handover
jitt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183A (ko
Inventor
치즈코 나가사와
구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1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에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로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까지의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획득하고,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동일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들 간의 지연 시간차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 및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하는 시간에 지터 버퍼(47) 내의 데이터의 량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재생 품질 및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패킷 손실을 유발시키 않고,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본 출원은 2008년 2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45836호의 우선권 및 이권을 청구하고, 이의 전체 내용은 여기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ubiquitous environment)을 달성하기 위해, 셀룰러폰 네트워크, 무선 LAN 등과 같은 다수의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고, 심리스 이동(seamless movement)을 위한 IP 이동성 기법을 고려하고 있다. IP 이동성 기법의 특정 프로토콜로서, 각각의 개별 통신 단말기의 이동을 지원하는 Mobile IPv4 및 Mobile IPv6 (이하, Mobile IP로 약칭된다), 및 유닛으로서 네트워크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NEMO (Network Mobility)가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실시간 특성을 가진 VoIP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이하, 독단으로 APP로서 약칭된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행될 시에, 무선 통신 경로의 허용 가능한 대역폭은, 페이딩과 같은 전파 환경에 의존하여 변화하고, 이 허용 가능한 대역폭의 변화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도착 간격은 변화된다.
이런 이유로, 일반적으로, 먼저 수신된 패킷을 지터 버퍼 내에 저장하여, 지터 버퍼로부터 패킷을 판독하고, 애플리케이션에 기반으로 하는 간격에서 패킷을 재생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에 지터 버퍼를 제공하는 것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패킷의 편차(deviation), 즉, 패킷의 도착 간격의 변위(지터)에 의해 유발된 패킷의 재생 간격의 변위를 흡수하여, 재생된 사운드 품질 등과 같은 재생 품질의 저하를 방지한다. 더욱이, 지터가 크므로 지터 버퍼 내에 패킷이 존재하지 않아 무음(silence)이 발생할 시에나, 너무 많은 패킷이 짧은 기간 내에 수신되어 지터 버퍼 내에 저장될 시에, 통신 단말기는 재생 속도를 변화시키고, 수신된 패킷을 폐기하거나, 지터 버퍼의 사이즈를 변화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즉, 상대방(counterpart)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데 요구되는 시간 (지연 시간)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가 이동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고,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실행할 경우와, 예컨대, 핸드오버 목적지(handover destination)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이 핸드오버 소스 보다 길 시에는,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간의 차에 따라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블랭크 기간(blank period)이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예컨대, 패킷이 APP에 기초로 한 어떤 간격에서 지터 버퍼로부터 판독되어 어떤 재생 속도로 재생될 시에 지터 버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블랭크 기간이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최후 패킷을 판독하는데 필요로 되는 시간 (즉, 지터 버퍼 표준 지연 시간)보다 길 경우에는, 예컨대, 이와 같은 초과하는 시간의 기간 동안에 지터 버퍼 내에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로서, 패킷의 재생이 적어도 이 기간 동안에 실행되지 않으므로, 무음이 생겨 재생 품질이 저하된다.
도 10는 이 경우의 지터 버퍼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는 단위 기간 동안에 지터 버퍼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수를 도시하고, 도 10(b)는 지터 버퍼로부터의 패킷의 재생 속도 (판독 간격)를 도시하며, 도 10(c)는 지터 버퍼 내의 패킷의 수를 도시한다. 도 13은 이 경우의 패킷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에서, "송신", "수신" 및 "재생"은, 제각기, 상대방 통신 단말기에 의한 패킷의 송신 타이밍, 무선 통신 장치의 지터 버퍼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수신 타이밍,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패킷의 재생 타이밍 (지터 버퍼로부터 패킷을 판독할 타이밍)을 나타낸다. 여기서,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A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B의 어느 하나에서 수신된 패킷의 편차 (도착 간격의 변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명백하듯이,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B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이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A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A 보다 길고, 차 (TddnB-TddnA)가 지터 버퍼 내에 표준 패킷의 수가 존재할 시에 수신된 패킷에 적용되는 지터 버퍼 표준 지연 시간 Ta 보다 길 경우에는, 시간 Tab={(TddnB-TddnA)-Ta} 동안에 패킷이 재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와 같은 경우에,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B로부터 수신되는 직후에 패킷이 재생되므로, 지터를 흡수할 수 없다.
핸드오버에서 이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무선 통신 장치가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하는 각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절대 지연 시간을 무선 통신 장치, 홈 에이전트(Home Agent) 등에 사전에 설정하고; 핸드오버 소스 및 핸드오버 목적지에 설정된 절대 지연 시간을 획득하여; 이와 같은 지연 시간차에 기초하여 무음 기간이 생성하지 않도록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고려된다.
선택적으로, 예컨대, 패킷의 수신 조건을 모니터하고, 패킷이 통상의 수신 간격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지터 버퍼로부터 패킷의 판독을 제어하며, 즉, 패킷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지터 버퍼 제어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도 12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지터 버퍼의 제어 방법을 채용할 시에 재생 속도의 제어 방법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c)는, 도 10(a) 내지 (c)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각기, 단위 시간에 지터 버퍼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수, 재생 속도, 및 지터 버퍼 내의 패킷의 수를 도시한다. 도 13은 이와 같은 경우에 패킷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A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A로부터, TddnA 보다 긴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B로 핸드오버가 실행될 시와 같이 이전의 수신 간격에서 패킷이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는, 지터 버퍼 내의 패킷의 재생 속도는 수신 간격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그 후, 수신 간격이 정상 간격으로 복귀할 시에, 재생 속도는 지터 버퍼 내의 패킷의 수에 따라 정상 재생 속도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38445호 공보
그러나, 각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전에 설정된 절대 지연 시간을 이용하는 전자의 재생 속도 제어 방법은, 각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절대 지연 시간이 무선 상태 등에 따라 상당히 변화하는 경우에, 핸드오버 소스 및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제 절대 지연 시간과 설정된 절대 지연 시간 간의 상당한 차를 핸드오버 시에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계산된 지연 시간차가 실제 지연 시간차보다 긴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재생 속도를 감소시킨다. 결과로서, VoIP에 대해서는, 재생 속도가 원래의 음성 속도에서 크게 변화하므로, 재생된 음성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어, 재생 품질을 저하시켜, 사용자가 듣기를 어렵게 한다. 대조적으로, 계산된 지연 시간차가 실제 지연 시간차보다 짧은 경우에는, 지터 버퍼 내에 축적된 패킷의 소멸 때문에 무음이 생성되어 초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게다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지터 버퍼 제어 방법은, 패킷이 이전의 수신 간격에서 수신될 수 없을 시에 지터 버퍼 내에 현재 저장된 패킷의 재생 속도만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이 비교적 길 시에, 재생 속도는 너무 많이 감소되어, 재생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염려된다.
도 12 및 도 13은 지터 버퍼 내에 패킷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유발된 무음 등이 발생하지 않을 시의 예시적 제어 방법을 도시하지만, 실제로는 패킷의 수신 간격이 얼마나 길 것인가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지터 버퍼 표준 지연 시간 Ta 또는 핸드오버 목적지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B에 따라, 지터 버퍼는 텅비어 무음 등을 유발시키게 될 수 있는 것이 염려된다. 지터 버퍼 표준 지연 시간 Ta이 무음을 방지하기 위해 더욱 길게 설정될 수 있지만, 이것은, 예컨대, VoIP에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의 패킷의 재생에 지연을 유발시켜, 실시간 특성을 상실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품질 및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통해 실시간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유닛;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획득하는 통신 품질 획득 유닛;
상기 통신 품질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할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할 시에, 상기 통신 품질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개시할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추정하는 추정 유닛;
상기 결정 유닛이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할 시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동일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차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추정 유닛에 의해 추정되는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상기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지연 시간차, 및 상기 결정 유닛이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할 시간에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로서,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수신 시간이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수신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으로 늦은 경우에,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제2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어 유닛이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한 후에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제 3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이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는 시간에 0으로 되도록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로서, 상기 제2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실행 유닛은, 수신된 데이터의 지터를 흡수하는 지터 버퍼, 및 상기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을 모니터링하는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모니터되는 상기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이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의 완료 후에 미리 정해진 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의 속도로 복귀시킨다는 것이다.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으로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사전에,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동일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의 지연 시간차 및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는,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 및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되는 시간에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는 핸드오버 시에 실제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최적으로 제어되어, 재생 품질 및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의 전화 기능 유닛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핸드오버 제어 유닛에 의한 핸드오버 준비 시간의 계산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MN)와 HA 간의 핸드오버 시의 시퀀스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지연 시간차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화 기능 유닛의 주요 부분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지터 버퍼 제어 유닛에 의해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의 예시적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전화 기능 유닛에 의한 지터 버퍼의 예시적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지터 버퍼의 예시적인 통상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의한 패킷의 흐름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지터 버퍼의 다른 예시적인 통상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의한 패킷의 흐름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일례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이동 노드인 무선 통신 장치(11)가 실시간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VoIP의 사용에 의해 대응 노드인 상대방 통신 단말기(12)와 통화하는 케이스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장치(11)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에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는 인터넷(18)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는 예컨대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이고,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는 예컨대 cdma2000 1×EV-D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 Evolution Data Only)의 이동 전화 네트워크이다. 또한,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의 지연 시간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이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지연 시간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추정된다. 도 1에서, 참조 부호(15a)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의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내는 반면에, 참조 부호(16a)는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기지국을 나타낸다.
상대방 통신 단말기(12)는 예컨대 핸드셋(12a)이 접속되고,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인터넷(18)에 접속된다.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는 제각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21 및 22)에 접속된다. 게다가, 무선 통신 장치(11)로 어드레스되는 수신된 패킷을, 무선 통신 장치(11)가 접속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홈 에이전트(HA), 및 통신을 제어하는 SIP 서버(24)는 인터넷(18)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장치(11)가 원래 속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이용되는 홈 어드레스는 HA(23)에 등록되고,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CoA(care of address)는 또한 핸드오버 시에 HA(23)에 등록된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11)는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에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P 이동성 기술이 상기 Mobile IP 및 NEMO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11)가 원래 속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이고, 핸드오버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에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로 실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기능적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장치(11)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에 대응하는 제1 무선 IF (인터페이스)(31),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 대응하는 제2 무선 IF(32), VoIP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화 기능 유닛(33),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 처리 유닛(34),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무선 정보를 획득하는 무선 정보 획득 유닛(35), 및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을 포함한다.
통신 처리 유닛(34)은, 제1 무선 IF(31) 및 제2 무선 IF(32)와 함께,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구성한다. 통신 처리 유닛(34)은 제1 무선 IF(31) 및 제2 무선 IF(32)의 접속을 제어하여, 전화 기능 유닛(33) 및 상대방 통신 단말기(12)가 서로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또는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통신하고,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의 제어 하에 HA(23)와 통신하도록 한다.
무선 정보 획득 유닛(35)은, 무선 정보로서, 제1 무선 IF(31) 및 제2 무선 IF(32)으로부터 제각기 대응하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통신 품질을 획득하여, 획득된 통신 품질을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에 제공한다. 여기서,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통신 품질로서 획득된다. 따라서, 무선 정보 획득 유닛(35)은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획득하는 통신 품질 획득 유닛을 구성한다.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무선 정보 획득 유닛(35)으로부터의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스케줄할지, 즉,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할지의 결정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정보를 생성하여, 핸드오버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11)의 전화 기능 유닛(33)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기능적 블록도이다. 전화 기능 유닛(33)은, 예컨대 소프트폰일 수 있고, 공지된 소프트폰의 구성과 유사하게, 버튼 입력 유닛(41), 스크린 디스플레이 유닛(42), 마이크로폰(43), 인코더(44), 패킷 송신 유닛(45), 패킷 수신 유닛(46), 지터 버퍼(47), 디코더(48), 스피커(49),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50),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 SIP 제어 유닛(52), 및 전체적으로 동작을 제어하는 전체 제어 유닛(53)을 포함한다.
전체 제어 유닛(53)은 버튼 입력 유닛(41) 또는 스크린 디스플레이 유닛(42)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SIP 제어 유닛(52)은 통화를 개시하거나 종료할 SIP 절차를 제어한다. 통화 중에, 마이크로폰(43)으로부터 획득된 오디오 데이터는 인코더(44)에 의해 인코드되고, 인코드된 데이터는 패킷 송신 유닛(45)에 의해 패킷 내에 삽입되어, 통신 처리 유닛(34)을 통해 상대방 통신 단말기(12)로 송신된다.
통신 처리 유닛(34)을 통해 패킷 수신 유닛(46)에 의해 수신되는 상대방 통신 단말기(12)로부터의 패킷은 일단 지터 버퍼(47) 내에 저장되고 나서 판독된다. 판독된 패킷의 페이로드는 디코더(48)에 의해 디코드되어, 스피커(49)로부터 재생된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지터 버퍼(47)의 패킷 수신 상태 및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 (데이터량)는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50)에 의해 모니터되고, 모니터링의 결과에 기초하여,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은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판독 속도, 및 수신된 패킷 등을 폐기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1)에서, 전화 기능 유닛(33)에는,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 및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이 더 제공된다.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은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미리 정해진 간격에서 모니터하여, 핸드오버 스케줄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핸드오버 스케줄이 있으면,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은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으로부터의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를 더 획득하여, 획득된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를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에 제공한다.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으로부터 획득된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에 기초하여,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판독 속도, 즉,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 (본 실시예에서의 VoIP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할지를 결정한다. 결과로서 제어하는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는, 획득된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 및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50)에 의해 지터 버퍼(47)를 모니터하는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를 계산하여, 계산 결과를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에 제공한다. 이에 의해,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은,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가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에 의해 계산되는 재생 속도로 되도록, 지터 버퍼(47)로부터의 수신된 패킷의 판독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1)의 전화 기능 유닛(33)은 실시간 통신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유닛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도 구성한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1)의 동작이 설명된다. 먼저,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의 동작이 주로 기술된다.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제1 무선 IF(31) 및 제2 무선 IF(32)로부터 획득된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스케줄을 결정한다. 예컨대, 제1 무선 IF(31)로부터 획득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스케줄 결정 임계치보다 낮게 되고, 제2 무선 IF(32)로부터 획득된 통신 품질이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통화 중에 핸드오버 스케줄 결정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높게 되는 경우에,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결정하며, 즉,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한다. 통화에 이용되지 않는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통신 품질은 예컨대 기지국(16a)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된다(측정된다).
핸드오버 스케줄을 결정하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 개시까지의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을 획득한다. 게다가,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동일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의 지연 시간차 T2를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로서, 핸드오버 스케줄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전화 기능 유닛(33)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1)의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할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추정하는 추정 유닛, 및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의 지연 시간차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을 구성한다.
그 다음,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에 의해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 지연 시간차 T2를 획득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을 획득하는 방법)
예컨대, 도 4(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은 통신 품질을 결정하는 단위 시간의 무선 상태 (Rs)의 변화율 △Rs (기울기)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여기서, 변화율 △Rs은, 무선 상태가 핸드오버 스케줄 결정 임계치보다 낮게 되는 것으로 핸드오버 스케줄이 결정되는 시점에서 측정됨으로써 획득될 수 있지만, 평균 변화율 △Rsrms은, 핸드오버 스케줄이 결정되기 전의 미리 정해진 시간에서 핸드오버 스케줄이 본 실시예에서 통화 중에 결정될 시의 시간까지의 기간에 걸쳐 획득된다.
결과적으로,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아래에 도시된 식 1에 의해, 현재 이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상태의 단위 시간 (△t)의 변화율 △Rs(t)을 계산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전 (예컨대, 2 초 전)까지의 다수의 변화율 △Rs(t)을 메모리 내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핸드오버 스케줄이 결정될 시에,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그 시점에 저장된 변화율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전까지의 기간에 걸쳐 평균 변화율 △Rsrms을 계산한다. 여기서, 무선 상태는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식 1]
△Rs(t) = |{Rs(t)-Rs(t-△t)}/△t| ... (1)
결과적으로,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계산된 평균 변화율 △Rsrms이 사전에 설정된 변화율 임계치 Rsref보다 작은지를 결정한다. 결과로서, △Rsrms≤Rsref가 충족되면, 즉, 무선 상태가 서서히 변화하면,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표준 시간 Tref (예컨대, 5초)으로 설정된다.
대조적으로, 결과로서, △Rsrms>Rsref가 충족되면, 즉, 무선 상태가 급속히 변화하면, 예컨대, T1=Tref(Rsref/△Rsrms)가 계산되고,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은, 평균 변화율 △Rsrms이 더욱 클 시에 기준 시간 Tref보다 짧도록 설정된다. 도 4(b)는 △Rsrms>Rsref가 충족되는 경우를 도시하며,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은 대략 기준 시간 Tref의 절반 (예컨대, 2.5초)으로 설정된다.
(지연 시간차 T2를 획득하는 방법)
지연 시간차 T2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상대방 통신 단말기(12)로부터의 패킷을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동일한 패킷의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도 5는 무선 통신 장치(MN)(11)와 HA(23) 간의 핸드오버의 시퀀스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 스케줄을 결정하면, 통신 처리 유닛(34)을 제어하여, 제2 무선 I/F(32)을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 접속한다. 그 다음,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Registration Request (NEMO 내의 Binding Update)를 HA(23)로 송신하여, 핸드오버 목적지의 Care-of Address (제2 무선 CoA)를 HA(23)에 등록한다.
그 후, HA(23)로부터 송신되는 등록 완료 정보인 Registration Reply (NEMO 내의 Binding Acknowledge)를 수신하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양방을 이용하여 상대방 통신 단말기(12)와 통신하기 위해 제어한다. 이에 의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개별적으로 수신되는 동일한 패킷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지연 시간차 (수신 시간차) T2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패킷의 수신 시간의 차는,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 의한 수신 시간에서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에 의한 수신 시간을 감산하여 계산되는 값으로서 정의된다. 게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개별적으로 수신되는 동일한 패킷의 미리 정해진 수의 수신 시간차의 평균값은 지연 시간차 T2로서 획득된다.
통신 처리 유닛(34)은,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을 모니터하여, 동일한 패킷을 수신하면, 먼저 수신된 패킷을 전화 기능 유닛(33)에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 및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의 지연 시간차 T2를 획득하여,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전화 기능 유닛(33)에 제공한다.
더욱이, 핸드오버 스케줄을 결정하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이 경과하였을 시에 핸드오버 소스의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해 핸드오버의 개시를 나타내는 Unregistration, 즉, Lifetime이 0인 Registration Request (NEMO에서는 Lifetime이 0인 Binding Update)를 HA(23)로 송신하여, HA(23)에 핸드오버 소스의 Care-of Address (제1 CoA)의 등록 해제를 요구한다.
그리고 나서,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해 HA(23)로부터 송신되는 핸드오버 완료 정보로서 Registration Reply (NEMO 내의 Binding Acknowledge)를 수신하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 소스의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를 분리한다. 그 후,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통해 VoIP 애플리케이션을 유지하도록 통신 처리 유닛(34)을 제어하여, 수신된 핸드오버 완료 정보를 전화 기능 유닛(33)에 제공한다.
그 다음, 전화 기능 유닛(33)의 동작이 기술된다. 도 7은 전화 기능 유닛(33)의 주요 부분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은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어떤 간격에서 모니터한다. 결과로서 핸드오버 스케줄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획득되면,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은,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으로부터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인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 및 지연 시간차 T2를 더 획득하여,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를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에 제공한다.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으로부터 획득되는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먼저, 지연 시간차 T2가 미리 정해진 값 (>0)을 초과하는지, 즉,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이 핸드오버 소스의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의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보다도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만큼 긴지를 결정한다.
결과로서, 지연 시간차 T2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획득된 필요한 핸드오버 정보, 및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50)에 의한 지터 버퍼(47)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아래에 나타낸 식 2를 이용하여 지터 버퍼(47) 내의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 V를 계산하여,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로부터 패킷의 수신을 개시할 시간에 0으로 되도록 한다. 식 2에서, V1은 표준 재생 속도를 나타낸다. Tb는 핸드오버가 스케줄되는 정보를 수신할 시간에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 (데이터의 량)에 상당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게다가, 재생 속도 V 및 V1은, 예컨대, 시간비(시간/시간)으로 표현된다.
[식 2]
V=(Tb+T1×V1)/(T1+T2) ... (2)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에 의해 계산되는 재생 속도 V는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은 수신된 패킷을 표준 재생 속도보다 느린 재생 속도 V에서 재생하기 위해 지터 버퍼(47)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판독을 제어한다.
여기서,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에 의해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의 제어는, 예컨대, 아래에 기술되는 제1 재생 속도 제어 방법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실행된다.
(a) 제1 재생 속도 제어 방법
TR=TR1/k이며, 여기서, TR1은 표준 재생 속도 V1에 대응하는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판독 간격이고, k는 상기에 나타낸 식 2에서의 (Tb+T1×V1)/(T1+T2)이며, TR은 계산된 재생 속도 V에 대응하는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판독 간격이다. 예컨대,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을 표준 재생 속도 V1에서의 20msec의 간격에서 판독하여 재생하는 VoIP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재생 속도 V를 표준 재생 속도 V1의 80%(k=0.8)로 되게 하기 위해,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판독 간격 TR은 TR=20/0.8(msec)을 충족하도록 결정된다.
(b) 제2 재생 속도 제어 방법
핸드오버를 위한 재생 속도의 제어가 개시되면, 그 직후에 재생된 패킷 (제1 패킷)의 시간 스탬프와 그의 재생 시간의 조합이 기록된다. 그 후, 패킷은 아래에 나타낸 식 3에서 시간 Tv에 지터 버퍼(47)로부터 판독되어 재생된다. 식 3에서, TD는 지연 시간을 나타내고, 그의 초기값은 0이다.
[식 3]
Tv=(패킷의 시간 스탬프-제1 패킷의 시간 스탬프)+(제1 패킷의 재생 시간+TD) ... (3)
여기서, 패킷이 지터 버퍼(47)에서 판독되면, [{V1/(V1-V)}-1]에서 판독된 패킷은 복사되어 디코더(48)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원래의 패킷의 재생 후에, 복사된 패킷은 다음 재생 시에 판독되어 재생된다. 예컨대, 재생 속도 V가 표준 재생 속도 V1의 80%이도록 설정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터 버퍼(47) 내의 4개의 순차적 패킷 P1 내지 P4는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재생되고, 제 4 패킷 P4은 복사되며, 복사된 패킷 P4'은 원래의 패킷 P4의 재생 후에 다음 재생 시에 재생된다. 그리고 나서, 패킷 P5이 지터 버퍼(47)에서 판독되면, 상기 식 3에서의 TD는 복사에 의한 재생 간격의 시간만큼 증가된다. [{V1/(V1-V)}-1]에서 판독될 패킷이, 아직 수신되지 않거나 폐기되기 때문에 지터 버퍼(47)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동일한 처리가 다음 재생 시의 패킷에서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은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나서,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55)이 핸드오버 제어 유닛(36)으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정보를 획득하면,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미리 정해진 간격에서 패킷의 수신 간격을 획득한다. 그 후,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획득된 패킷 수신 간격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계산된 패킷 수신 간격의 평균값과 VoIP 애플리케이션의 표준 수신 간격 간의 차가 임계치 내에 들어가는지를 모니터한다.
결과로서, 그 차가 임계치 내에 들어가면,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의 패킷이 수신되었음을 판정하고, 그 시점에서의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 (데이터량)를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50)으로부터 획득하여, 획득된 패킷의 수가 미리 정해진 량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결과로서,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가 미리 정해진 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패킷의 수가 미리 정해진 량을 초과하는, t=(Ta-Tb)/(V1-V) 후에, 통상의 재생 속도 제어로 복귀하도록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에 명령한다. 여기서, Ta는 지터 버퍼(47) 내의 표준 패킷의 수에 상당하는 지터 버퍼 표준 지연 시간이다. 대조적으로,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가 미리 정해진 량을 초과하면,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즉시 통상의 재생 속도 제어로 복귀하도록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에 명령한다. 즉,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은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의 패킷이 수신되었음을 결정하면, 지터 버퍼 제어 유닛(51)은,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가 미리 정해진 량을 초과할 시에 표준 재생 속도 V1로 복귀하도록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판독을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터 버퍼(47)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서, (a), (b) 및 (c)는, 제각기, 단위 시간에서 지터 버퍼(4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의 수,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재생 속도 (판독 간격), 및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를 나타낸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무선 통신 장치(11)에 따르면, 보다 짧은 절대 지연 시간을 가진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에서 보다 긴 절대 지연 시간을 가진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로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하여, 핸드오버까지의 핸드오버 준비 시간 T1 및 지연 시간차 T2가 사전에 획득된다. 그래서, 핸드오버 준비의 개시를 결정한 후에 얼마나 오랫 동안, 패킷이 도착하지 않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할 결정으로부터 시간이 오래 걸리면, 패킷이 도착하지 않은 동안에도 핸드오버 소스의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의 지연 시간차 T2를 흡수하도록 재생 속도 V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표준 재생 속도 V1와의 차는 감소된다.
더욱이, 핸드오버 스케줄의 결정 후와 핸드오버의 개시 전의 기간 동안에, 무선 통신 장치(11)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 및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양방을 이용하여 상대방 통신 단말기(12)와 통신하며, 이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의 지연 시간차 T2를, 2개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패킷의 수신 시간으로부터 획득한다. 따라서, 각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지연 시간차를 이용하여 지연 시간차를 획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제 무선 상태에 기초하여 정확히 지연 시간차 T2를 획득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게다가, 핸드오버 스케줄의 결정 후의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는,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가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패킷의 수신을 개시할 시간에 0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핸드오버 소스의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와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 간의 지연 시간차를 흡수할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준 재생 속도에 더 근접한 안정 재생 속도로 애플리케이션을 재생할 수 있게 하므로, 재생 품질 및 실시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에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로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수의 방식으로 수정되거나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재생 속도 계산 유닛(56)이 재생 속도 Vs를 계산할 시에,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가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패킷의 수신을 개시할 시간에 0으로 되도록 제어될지라도, 지터 버퍼(47) 내의 패킷의 수가 핸드오버 목적지로부터 패킷의 수신을 개시할 지점에서의 미리 정해진 수이도록 재생 속도 Vs를 계산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VoIP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 뿐만 아니라, 실시간 통신, 예컨대, 이미지 및 음악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및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유닛은, 전화 기능 유닛 대신에, 지터 버퍼를 제어하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 멀티미디어 기능 유닛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무선 LAN과 cdma2000 1×EV-DO 간의 핸드오버 뿐만 아니라, 예컨대,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W-CDMA (Wideband CDMA),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Bluetooth,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UMB (Ultra Mobile Broadband), IMT-Advanced 등과 같은 임의의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에도 적용 가능하다.
11 : 무선 통신 장치(MN) 12 : 상대방 통신 단말기
12a : 핸드셋 15 :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15a : 액세스 포인트 16 :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
16a : 기지국 17 : 패킷 네트워크
18 : 인터넷 21, 22 : SIP 서버
23 : 홈 에이전트(HA) 31 : 제1 무선 I/F
32 : 제2 무선 I/F 33 : 전화 기능 유닛
34 : 통신 처리 유닛 35 : 무선 정보 획득 유닛
36 : 핸드오버 제어 유닛 47 : 지터 버퍼
50 :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 51 : 지터 버퍼 제어 유닛
55 : 핸드오버 정보 획득 유닛 56 : 재생 속도 계산 유닛.

Claims (5)

  1.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
    수신된 데이터의 지터를 흡수하는 지터 버퍼, 및 상기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을 모니터링하는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을 갖고,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을 통해 실시간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유닛;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획득하는 통신 품질 획득 유닛;
    상기 통신 품질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할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할 시에, 상기 통신 품질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통신 품질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까지의 핸드오버 준비 시간을 추정하는 추정 유닛;
    상기 결정 유닛이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할 시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동일한 데이터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지연 시간차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추정 유닛에 의해 추정되는 상기 핸드오버 준비 시간, 상기 측정 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지연 시간차, 및 상기 결정 유닛이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할 시간에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수신 시간이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수신 시간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만큼 더 늦은 경우에,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핸드오버 준비를 개시한 후에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이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는 시간에 0으로 되도록 상기 실행 유닛에 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감소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지터 버퍼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 모니터되는 상기 지터 버퍼 내의 데이터의 량이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의 완료 후에 미리 정해진 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통상의 속도로 복귀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07018996A 2008-02-27 2009-02-23 무선 통신 장치 KR101169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5833 2008-02-27
JP2008045833 2008-02-27
PCT/JP2009/053223 WO2009107587A1 (ja) 2008-02-27 2009-02-23 無線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183A KR20100112183A (ko) 2010-10-18
KR101169160B1 true KR101169160B1 (ko) 2012-07-30

Family

ID=4101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996A KR101169160B1 (ko) 2008-02-27 2009-02-23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94044B2 (ko)
JP (1) JP5074575B2 (ko)
KR (1) KR101169160B1 (ko)
WO (1) WO2009107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2433B2 (en) 2006-06-09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system using signaling or block creation
US9917874B2 (en) 2009-09-22 2018-03-1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block partitioning or request controls for improved client-side handling
KR101640847B1 (ko) * 2009-11-12 201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드오버 시 미디어 데이터 손실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1217896B1 (ko) * 2010-09-09 2013-01-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JP6501589B2 (ja) * 2015-03-31 2019-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90303B2 (en) * 2016-08-25 2019-05-14 Google Llc Audio compensation techniques for network outages
US11996932B2 (en) * 2021-12-16 2024-05-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ctive-active TDM PW with asymmetry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0430B1 (en) * 2004-03-30 2008-10-21 Cisco Technology, Inc. Jitter buffer mana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handoffs
US7590064B1 (en) * 2004-07-20 2009-09-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flow control in multi-hop wireless access networks
JP4076981B2 (ja) * 2004-08-09 2008-04-16 Kddi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バッファ制御方法
US8085678B2 (en) 2004-10-13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Media (voice) playback (de-jitter) buffer adjustments based on air interface
US20060187970A1 (en) 2005-02-22 2006-08-24 Minkyu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network jitter in a Voice-over IP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 virtual jitter buffer and time scale modification
KR100672482B1 (ko) 2005-06-0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계층적 핸드오프에 따른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
JP4771369B2 (ja) 2006-02-10 2011-09-14 Kddi株式会社 シームレスハンドオーバにおけるメディアストリーム切替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74575B2 (ja) 2012-11-14
US20110044288A1 (en) 2011-02-24
KR20100112183A (ko) 2010-10-18
WO2009107587A1 (ja) 2009-09-03
US8594044B2 (en) 2013-11-26
JPWO2009107587A1 (ja)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72B1 (ko) 무선 통신 장치
KR101162868B1 (ko) 무선 통신 장치
JP5002707B2 (ja) 無線通信装置、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通信方法
KR101152854B1 (ko) 무선통신장치
KR101169160B1 (ko) 무선 통신 장치
US887950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6149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5048539B2 (ja) 無線通信装置
JP5224996B2 (ja) 無線通信装置
JP5128974B2 (ja) 無線通信装置
JP5053071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9182653A (ja) 無線通信装置
JP2010130226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