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452A -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452A
KR20100102452A KR1020090020843A KR20090020843A KR20100102452A KR 20100102452 A KR20100102452 A KR 20100102452A KR 1020090020843 A KR1020090020843 A KR 1020090020843A KR 20090020843 A KR20090020843 A KR 20090020843A KR 20100102452 A KR20100102452 A KR 2010010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cover member
rotator
elastic
lin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338B1 (ko
Inventor
남도현
조승희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09002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3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은, ⅰ)커버부재와, ⅱ)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이 일체로 구비된 이동판과, ⅲ)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와, ⅳ)상기 각 로테이터와 상기 이동판을 링크 연결하고,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ⅴ)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을 포함한다.
휴대폰, 휴대 단말기, 이동통신, 슬라이드, 덮개, 개폐, 탄성, 링크, 모듈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ELASTICITY LINK MODULE FOR MOBILE PHONE AND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탄성 링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무선으로 방송 및 통신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과 PDA, 노트북, DMB폰 등의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정보화 산업의 발달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 중의 한가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휴대폰의 경우에는 초, 중, 고등학생과 노인 등에 이르기까지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덮개를 개폐시키는데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를 크게 나누면 힌지 방식, 슬라이드 방식 및 스윙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이 적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갖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
상기 슬라이드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본 구조는, 키패드 등이 설치된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덮개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덮개의 상하 슬라이딩은 덮개 개폐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데, 이러한 덮개 개폐장치는 각 제조 업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구조로서 제작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덮개에 고정되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에 양쪽 끝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유닛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유닛은 일 예로서, 서로 마주하며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과, 이들 회전판 사이에서 그 회전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과, 각 회전판과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덮개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될 때까지 사용자가 덮개에 힘을 가하면, 각각의 회전판이 회전함과 동시에 지지판을 통해 슬라이딩되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각각의 회전판을 통해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나머지 구간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덮개의 개폐에 따른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탄성유닛은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회전판이 그 지지판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압축 또는 인장시키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는 바, 각 회전판의 회전 중심 간 거리(작동 길이, 스토로크 길이) 변화량이 지지판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거나 폭이 좁은 휴대 단말기의 개발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회전판이 지지판에 지지되면서 회전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바, 그 회전판에 의해 지지판이 상하로 유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덮개의 정확하고 부드러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회전판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덮개의 개폐시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긁힘 등의 손상을 입히게 되며, 소음 및 마찰 저항을 유발하는 등 덮개의 개폐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다른 예에 따른 탄성유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6944호(특허권자: 주식회사 제이엠씨)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탄성유닛은 태엽 형태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감긴 제1 및 제2 코일부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일체형 스프링과, 그 일체형 스프링의 연결부를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제1 및 제2 코일부를 내장시키며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개폐시 이동부재를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각각의 케이스가 회전하게 되고, 일정 구간에서 이들 케이스의 회전 중심점이 좁혀지면서 일체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코일부가 감겨 이동부재 및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가 일정 구간을 지나게 되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제1 및 제2 코일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각의 케이스가 회전하면서 덮개의 개폐에 따른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일체형 스프링의 제1 및 제2 코일부가 각각의 케이스에 내장되고 연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일체형 스프링이 파단된 경우에는 탄성유닛의 고유한 작동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각각의 케이스가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덮개의 개폐시 각각의 케이스가 상하로 유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전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덮개의 정확하고 부드러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각 케이스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에 긁힘 등의 손상을 입히게 되며, 소음 및 마찰 저항을 유발하는 등 덮개의 개폐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덮개의 개폐에 따른 작동(스토로크) 길이 변화량을 극대화함으로써 길이가 길거나 폭이 좁은 휴대 단말기의 개발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구조가 단순하면서 조립 강도가 향상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은, ⅰ)커버부재와, ⅱ)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이 일체로 구비된 이동판과, ⅲ)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와, ⅳ)상기 각 로테이터와 상기 이동판을 링크 연결하고,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ⅴ)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 성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지지핀들이 위치하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핀들이 삽입 및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관통홀들을 지닌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를 로킹시키기 위한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은 상기 이동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는 상기 각 로테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섹션과,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장착 섹션에 형성되는 스토핑 섹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섹션은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1 힌지홀을 지닌 베이스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섹션은 상기 장착 섹션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단차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단차는 직선 구간과 라운드 구간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이동 판의 양측 사이드부가 삽입 가능한 제1 홀과, 상기 제1 홀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지니며 상기 제1 홀과 상호 연결되는 제2 홀과, 상기 제1 홀과 제2 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지지핀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지지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로킹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로킹핀은 두 갈래로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킹 포크와, 상기 로킹 포크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후크 돌기는 상기 걸림턱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대는 양측 단부에 제2 힌지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탄성을 지닌 금속 박판으로서 이루어지며, 그 금속 박판의 에칭(etching) 가공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와,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판의 사이드부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는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3 힌지홀을 지니며, 상기 스토핑 섹션에 대응하는 직선 구간 및 라운드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는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4 힌지홀을 지니며 라운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5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재는 일측 단부가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각 로테이터에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에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6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재는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 돌기를 다른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재는 상기 각 로테이터를 기준할 때,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부재는 상기 각 지지핀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원통 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 듈은, ⅰ)커버부재와, ⅱ)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을 지닌 이동판과, ⅲ)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와, ⅳ)상기 각 로테이터에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과 슬립 접촉하며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캠유닛과, ⅴ)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이동판의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지렛대 방식으로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 힌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유닛을 상기 힌지 결합부와 일체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각 캠유닛은 상기 이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 홈을 캠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Ⅰ)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재와, Ⅱ)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와, Ⅲ)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링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링크 모듈은 ⅰ)커버부재와, ⅱ)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이 일체로 구비된 이동판과, ⅲ)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와, ⅳ)상기 각 로테이터와 상기 이동판을 링크 연결하고,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ⅴ)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와,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판의 사이드부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 연결부를 일체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Ⅰ)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재와, Ⅱ)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와, Ⅲ)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링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링크 모듈은 ⅰ)커버부재와, ⅱ)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을 지닌 이동판과, ⅲ)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와, ⅳ)상기 각 로테이터에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과 슬립 접촉하며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캠유닛과, ⅴ)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이동판의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 힌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유닛을 상기 힌지 결합부와 일체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캠유닛은 상기 이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 홈을 캠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각 로테이터가 커버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바, 덮개의 개폐 시 각 로테이터의 회전 중심 간 거리를 극대화하여 덮개의 개폐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동(스트로크) 길이가 긴 휴대 단말기의 개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로테이터를 통한 탄성부재들의 압축시 그 로테이터의 회전 중심 간 거리를 최소화하여 비교적 좁은 폭의 휴대 단말기 개발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판이 얇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두 께가 얇고 심플한 구조를 취하면서 강도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에 대한 이동판과 각 로테이터의 결합 구조가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 모듈의 조립 강도가 향상되고, 각 로테이터의 정확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탄성 링크 모듈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박판을 에칭 가공하여 이동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 및 제작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들을 이동판의 지지핀들을 통해 한데 묶어서 지지하므로, 탄성이 우수하고 정확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탄성부재의 압축 및 인장 시 소음이 저감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로테이터가 단일의 커버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이동판에 링크 결합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덮개 개폐 동작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및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재들을 구비함에 따라, 그 탄성부재의 개수를 조정하여 탄성력을 가변할 수 있으며, 일부 탄성부재가 파단되더라도 나머지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서 탄성 링크 모듈의 고유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더욱 연장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링크 모듈(100)은 상하 슬라이드 개폐 방식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 링크 모듈(100)은 휴대 단말기의 본체 및 덮개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그 덮개를 본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탄성 링크 모듈(100)을 도 1에서와 같이 높이 방향(상하 방향, 세로 방향)으로 세워 놓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기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각 구성 요소의 양 사이드는 가로 방향에 따른 좌우 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상기 탄성 링크 모듈(100)을 뉘여 놓고 보았을 때에는 전후, 상하면이 위와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실시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100)은 커버부재(10)와, 이동판(30)과, 제1,2 로테이터(50, 70)와, 링크부재(80)와, 탄성부재들(9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0)는 하기에서의 이동판(30) 및 제1,2 로테이터(50, 7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10)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몸체부(11)와, 그 몸체부(11)의 양측 사이드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날개부(21)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는 도면을 기준할 때,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을 지닌 역유(∩)자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부(11)는 상하 방향 즉, 이동판(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들(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관통홀들(12)은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이동판(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부(11)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날개부(21)는 상하 방향 즉, 이동판(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2 관통홀(22)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제2 관통홀(22)은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이동판(30)의 양측 사이드부를 로킹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제2 관통홀(22)은 이동판(30)의 양측 사이드부가 삽입 가능한 제1 홀(22a)과, 제1 홀(22a)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지니며 제1 홀(22a)과 상호 연결되는 제2 홀(22b)과, 제1 홀(22a)과 제2 홀(22b)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22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날개부(21)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각각의 로테이터(50, 7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섹션(23)과, 그 로테이터(50, 7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핑 섹션(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착 섹션(23)은 제1 힌지핀(HP1)이 체결 가능한 제1 힌지홀(HG1)을 지닌 장착면으로서의 베이스 면(2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토핑 섹션(24)은 장착 섹션(23)에 형성되는 바, 그 장착 섹션(23)의 베이스 면(25)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단차(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 단차(26)는 직선 구간(27a)과 라운드 구간(27b)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판(30)은 커버부재(10)에 직선 방향 즉, 도면을 기준할 때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이동판(30)은 도 8에서와 같이, 메인 지지대(31)와, 로킹핀(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지지대(31)는 이동판(30)의 하단부로서 이루어지며, 복수의 지지핀들(32)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그 지지핀들(32)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서 형성되며, 메인 지지대(31)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핀들(32)은 커버부재(10)의 개방 공간을 통해 그 커버부재(10)의 제1 관통홀들(12)에 삽입되고 그 홀들(12)을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지지대(31)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링크부재(80)를 링크 결합하기 위한 제2 힌지홀(HG2)을 양측 단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로킹핀(35)은 이동판(30)의 양측 사이드부로서 이루어지며, 지지핀들(32)을 사이에 두고 메인 지지대(3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서 형성된다.
상기 각 로킹핀(35)은 두 갈래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 포크(36)와, 그 로킹 포크(36)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 돌기(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킹 포크(36)는 커버부재(10)의 제2 관통홀(22)에 있어, 제1 홀(22a)에 탄성 변형되며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크 돌기(37)는 로킹 포크(36)의 상단부에 일체로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 관통홀(22)의 제2 홀(22b)에서 걸림턱(22c)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30)은 탄성을 지닌 금속 박판으로서 이루어지며, 그 금속 박판의 에칭(etching) 가공으로서 언급한 바 있는 메인 지지대(31), 지지핀들(32) 및 로킹핀들(35)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로테이터(50, 70)는 커버부재(10)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커버부재(10)의 날개부(21)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51, 71)와,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링크부재(80)를 통해 이동판(30)의 메 인 지지대(31)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 연결부(55, 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 결합부(51, 71)는 각 날개부(21)의 장착 섹션(23)에 힌지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 장착 섹션(23)의 제1 힌지홀(HG1)에 대응하여 제1 힌지핀(HP1)이 체결 가능한 제3 힌지홀(HG3)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 결합부(51, 71)는 각 날개부(21)에 있어 스토핑 섹션(24)의 스토퍼 단차(26)에 대응하는 직선 구간(53a, 73a) 및 라운드 구간(53b, 73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부(55, 75)는 힌지 결합부(51, 71)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2 힌지핀(HP2)이 체결 가능한 제4 힌지홀(HG4)을 형성하고 있으며, 라운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각 로테이터(50, 70)는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커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로테이터(50, 70)의 일측에는 힌지핀(도시하지 않음)이 체결 가능한 제5 힌지홀(HG5)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일측에는 언급한 바 있는 힌지 결합부(51, 71) 및 링크 연결부(55, 75)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제1 힌지핀(HP1)이 커버부재(10)의 제1 힌지홀(HG1)을 관통하여 제3 힌지홀(HG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그 커버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각 로테이터(50, 70)는 힌지 결합부(51, 71)가 제1 힌지핀(HP1)을 통해 날개부(21)의 장착 섹션(23)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힌지핀(도시하지 않음)이 제5 힌지홀(HG5)을 관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덮개 및 본체 측에 각각 고정됨으로, 그 덮개 및 본체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부재(80)는 각 로테이터(50, 70)와 이동판(30)을 링크 연결하고, 각 로테이터(50, 70)의 회전 운동을 이동판(3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링크부재(80)는 일측 단부가 제2 힌지핀(HP2)을 통하여 각 로테이터(50, 70)의 링크 연결부(55, 75)에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에는 제4 힌지홀(HG4)에 대응하여 제2 힌지핀(HP2)이 체결 가능한 제6 힌지홀(HG6)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링크부재(80)는 이동판(30)에 있어, 메인 지지대(31)의 제2 힌지홀(HG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 돌기(81)를 다른 일측 단부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링크부재(80)는 제2 힌지핀(HP2)을 통해 각 로테이터(50, 70)의 링크 연결부(55, 75)에 링크 연결되고, 힌지 돌기(81)를 통하여 이동판(30)의 제2 힌지홀(HG2)에 링크 연결된다.
즉,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제2 힌지핀(HP2)이 링크부재(80)의 제6 힌지홀(HG6)을 관통하여 제4 힌지홀(HG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링크부재(80)의 힌지 돌기(81)가 이동판(30)의 제2 힌지홀(HG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이동판(30)에 상호 링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들(90)은 휴대 단말기의 덮개 개폐 시, 그 덮개의 이동에 따른 각 로테이터(50, 70)의 링크 회전, 및 링크부재(80)를 통한 이동판(30)의 직선 이동으로서 탄성력을 휴대 단말기의 덮개 및 본체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들(90)은 커버부재(10)와 이동판(30) 사이에서 그 이동판(30)의 지지핀들(32)에 끼워지며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각 탄성부재(90)는 일측 단부가 커버부재(10)의 몸체부(11)에 지지되며, 다른 일측 단부는 이동판(30)의 메인 지지대(31)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들(90)은 각 지지핀(32)에 나선형으로 감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로테이터(50, 70)의 회전에 따른 이동판(30)의 직선 이동으로서 지지핀(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 및 인장 가능한 압축 코일 스프링(91)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 있는 각 링크부재(80)는 도면에서의 로테이터(50, 70)를 기준으로 할 때, 이동판(30)의 메인 지지대(3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각 링크부재(80)를 로테이터(50, 70)를 기준으로 이동판(30)의 메인 지지대(3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장착하는 이유는, 각 로테이터(50, 70)의 링크 회전으로서 이동판(3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판(30)을 통해 탄성부재들(90)을 압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판(30)의 상측 이동을 통해 탄성부재들(90)을 압축함으로써 그 탄성부재들(90)의 탄성 복원력(인장력)을 이동판(30)에 발휘하게 된 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91)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90) 대신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미도시)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각 링크부재(80)를 로테이터(50, 70)를 기준으로 이동판(30)의 메인 지지대(3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장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경우는 각 로테이터(50, 70)의 링크 회전으로서 이동판(30)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판(30)을 통해 인장 스프링을 인장시킴으로써 그 인장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압축력)을 이동판(30)에 발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100)이 적용되는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상하 슬라이드 개폐 방식의 휴대 단말기(1)에 적용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는 키패드 모듈 등이 구성되는 본체(3)와, 액정 화면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 등이 구성되는 덮개(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작동 모드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1 모드(M1), 제2 모드(M2), 및 제3 모드(M3)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M1)는 본체(3)와 덮개(5)가 상호 대면되도록 그 덮개(5)를 완전히 닫은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제2 모드(M2)는 제1 모드(M1)에서 덮개(5)가 본체(3)에 대하여 일정 구간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 덮개(5)가 대략 절반 정도 개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모드(M3)는 제2 모드(M2)에서 덮개(5)가 본체(3)에 대하여 나머지 구간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 덮개(5)가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1)로서 이동 통신, 문자 입력 및 DMB, 동영상, 게임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의 사용이 가능한 일반적인 휴대폰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로서 휴대폰에만 적용되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 헬드(hand held) PC, MP3/MP4 플레이어, 게임기,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는 게임 아이템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1)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200)의 구성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200)는 기본적으로, 제1 슬라이딩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부재(120)와, 전술한 바 있는 탄성 링크 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1 슬라이딩부재(110)와 제2 슬라이딩부재(120)의 용어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상호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1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폭 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쪽 가장자리에는 레일부(1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1 슬라이딩부재(110)는 덮개(5: 이하 도 9 참조)의 일부에 속하거나 볼트 또는 리벳을 통하여 그 덮개(5)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120)는 제1 슬라이딩부재(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120)는 금속 소재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 체(121)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몸체(121)의 양측 모서리부에 일체로 고정되면서 가이드홈(123)을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홈부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120)는 홈부재(125)의 가이드홈(123)을 통해 제1 슬라이딩부재(110)의 레일부(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120)는 본체(3: 이하 도 9 참조)의 일부에 속하거나 볼트 또는 리벳을 통하여 그 본체(3)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슬라이딩부재(110) 및 제2 슬라이딩부재(120)는 당 업계에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의 각 슬라이딩부재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 링크 모듈(100)은 휴대 단말기(1: 이하 도 9 참조)의 덮개(5)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 제1 슬라이딩부재(110)가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될 때까지 사용자가 덮개(5)에 힘을 가하게 되면 나머지 이동 구간에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덮개(5)의 슬라이딩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 링크 모듈(100)은 한쪽 끝 부분이 제1 슬라이딩부재(110)에 제3 힌지핀(HP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 부분이 상기 제3 힌지핀(HP3)을 통하여 제2 슬라이딩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 힌지핀(HP3)은 제1 슬라이딩부재(110)의 제1 조립 구멍(119)에 결합되고, 제1 로테이터(50)의 제5 힌지홀(HG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3 힌지핀(HP3)은 제2 슬라이딩부재(120)의 제2 조립 구 멍(129)에 결합되고, 제2 로테이터(70)의 제5 힌지홀(HG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 링크 모듈(10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200)의 작동 과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은 휴대 단말기(1)의 배면 즉, 본체(3)의 배면을 정면을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본체(3)와 덮개(5)가 상호 대면하고 있는 제1 모드(M1)를 초기 시작점으로 설정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본체와 덮개가 상호 대면한 상태의 제1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의 본체(3)에 대하여 덮개(5)를 완전히 닫은 상기 제1 모드(M1)에서, 제2 슬라이딩부재(120)는 제1 슬라이딩부재(110)의 한 쪽(상부) 끝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탄성 링크 모듈(100)의 커버부재(10)는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대하 여 한 쪽 방향으로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각 로테이터(50, 70)는 커버부재(10)를 사이에 두고 그 외측을 향하며 대략 일직선을 이루고,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한 쪽 방향으로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힌지 결합부(51, 71)가 날개부(21)의 스토퍼 단차(26)에 스토핑되면서 기설정된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링크 모듈(100)에 있어, 이동판(30)의 지지핀들(32)은 커버부재(10)의 제1 관통홀들(1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 있으며, 그 이동판(30)의 양측 로킹핀(35)은 커버부재(10)의 제2 관통홀(22) 내부에서 걸림턱(22c)에 로킹된 상태에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링크 모듈(100)의 탄성부재들(90)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며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제1 및 제2 로테이터(50, 7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은 크기의 압축 탄성력이 작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대략 절반 정도 개방한 상태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모드(M1)에서 덮개(5)가 본체(3)로부터 대략 반정도 열릴 때가지 그 덮개(5)를 상측 방향으로 일정 구간 밀어 올린다.
그러면, 제1 슬라이딩부재(110)는 제2 슬라이딩부재(120)에 가이드되면서 상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120)는 제1 슬라이딩부재(110)의 대략 중간부 정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10)가 상측 방향으로 일정 구간 이동함에 따라 각 로테이터(50, 70)는 제1 힌지핀(HP1)을 중심 축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커버부재(10)의 날개부(21)에 지지되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서로 마주하게 되고,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0)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대략 직각 방향(수평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각 로테이터(50, 70)의 회전은 그 로테이터(50, 70)가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110, 120)에 각각 힌지 결합됨으로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각 로테이터(50, 70)가 링크부재(80)를 통해 이동판(30)에 링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판(30)은 로테이터(50, 70)가 회전함에 따라 링크부재(8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판(30)의 지지핀들(32)은 제1 관통홀(1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며, 로킹핀(35)은 제2 관통홀(22)의 걸림턱(22c)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그 관통홀(2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다.
따라서, 탄성 링크 모듈(100)의 탄성부재들(90)은 커버부재(10)와 이동 판(30) 사이에서 최대로 압축되며, 그의 탄성 복원력을 이동판(30)을 통해 각 로테이터(50, 70)로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들(90)의 탄성 복원력은 제2 슬라이딩부재(120)에 대하여 제1 슬라이딩부재(1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의 제3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모드(M2)에서 사용자가 덮개(5)에 상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약간 가하게 되면, 제1 슬라이딩부재(110)는 탄성부재들(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나머지 구간에서 상측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10)는 사용자가 더 이상 덮개(5)에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탄성부재들(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슬라이딩부재(1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제1 슬라이딩부재(110)가 제2 슬라이딩부재(120)의 다른 쪽(하부)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서 휴대 단말기(1)의 덮개(5)는 완전히 열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탄성부재들(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그 탄성부재들(90)은 원래 상태로 복원(인장)된다.
여기서,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커버부재(10)를 사이에 두고 그 외측을 향하며 대략 일직선을 이루고,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다른 한 쪽 방향으로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로테이터(50, 70)는 힌지 결합부(51, 71)가 날개부(21)의 스토퍼 단차(26)에 스토핑되면서 기설정된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30)은 각 로테이터(50, 70)가 탄성부재들(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로킹핀(35)이 제2 관통홀(22) 내부의 걸림턱(22c)에 후크 결합됨으로써 커버부재(10)에 로킹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10)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덮개(5)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다른 한 쪽으로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1)의 본체(3)로부터 덮개(5)가 열린 상태에서 닫을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작동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이동판(30)이 커버부재(10)에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각 로테이터(50, 70)의 회전 시 탄성부재들(90)의 탄성력에 의해 그 이동판(30)이 뒤틀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로테이터(50, 70)가 커버부재(10)에 힌지 결합되고, 링크부재(80)를 통하여 이동판(30)에 링크 연결되므로, 각 로테이터(50, 70)의 회전 시, 그 로테이터(50, 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로테이터(50, 70)가 커버부재(10)를 사이에 두고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바, 덮개(5)의 개폐 시 각 로테이터(50, 70)의 회전 중심 간 거리를 극대화하여 덮개의 개폐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동(스트로크) 길이가 긴 휴대 단말기의 개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로테이터(50, 70)를 통한 탄성부재들(90)의 압축시 그 로테이터(50, 70)의 회전 중심 간 거리를 최소화하여 비교적 좁은 폭의 휴대 단말기 개발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판(30)이 얇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두께가 얇고 심플한 구조를 취하면서 강도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10)에 대한 이동판(30)과 각 로테이터(50, 70)의 결합 구조가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 모듈의 조립 강도가 향상되고, 각 로테이터(50, 70)의 정확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탄성 링크 모듈(100)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박판을 에칭 가공하여 이동판(30)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 및 제작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들(90)을 이동판(30)의 지지핀들(32)을 통해 한데 묶어서 지지하므로, 탄성이 우수하고 정확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탄성부 재(90)의 압축 및 인장 시 소음이 저감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각 로테이터(50, 70)가 단일의 커버부재(10)에 힌지 결합되고, 이동판(30)에 링크 결합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덮개 개폐 동작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및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재들(90)을 구비함에 따라, 그 탄성부재(90)의 개수를 조정하여 탄성력을 가변할 수 있으며, 일부 탄성부재(90)가 파단되더라도 나머지 탄성부재(90)의 탄성력으로서 탄성 링크 모듈(100)의 고유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연장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300)은 전기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각 로테이터(250, 270)가 커버부재(210)에 힌지 결합되며, 그 로테이터(250, 270)의 지렛대 방식으로서 이동판(230)의 직선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각 로테이터(250, 270)는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캠유닛(2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캠유닛(260)은 이동판(230)과 슬립 접촉하며 각 로테이터(250, 270)의 회전 운동을 이동판(23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캠유닛(260)은 각 로테이터(250, 270)의 힌지 결합부(251, 271)와 일 체로 형성되며, 직선 구간(261a)과 라운드 구간(261b)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캠면(26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캠유닛(260)은 그 캠면(262)이 도면을 기준할 때, 이동판(230)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데, 이러한 캠면(262)의 직선 구간(261a) 및 라운드 구간(261b)에는 이동판(230)의 하단 가장자리부가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홈(26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300)의 나머지 구성은 전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400)는 제1 슬라이딩부재(310), 제2 슬라이딩부재(320), 및 상기한 탄성 링크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310, 320)는 전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링크 모듈(30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400)의 작동 과정을 앞서 개시한 도면 및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9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본체(3)에 대하여 덮개(5)를 완전히 닫은 제1 모드(M1)의 경우, 도 18에서와 같이 탄성 링크 모듈(300)에 있어 이동판(230)의 하단 가장자리부는 캠유닛(260)의 직선 구간(261a)에 지지된 상태에 있다.
즉, 상기 이동판(230)의 하단 가장자리부는 그 직선 구간(261a)의 가이드홈(265)에 지지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도 9의 제2 모드(M2)에서와 같이 덮개(5)가 본체(3)로부터 대략 반정도 열릴 때가지 그 덮개(5)를 상측 방향으로 일정 구간 밀어 올린다.
그러면, 도 19에서와 같이 탄성 링크 모듈(300)의 각 로테이터(250, 27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판(230)의 하단 가장자리부는 캠유닛(260)의 가이드홈(265)에 지지된 상태로 캠유닛(260)의 직선 구간(261a)에서 라운드 구간(261b)으로 슬립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판(230)은 캠유닛(260)에 의한 각 로테이터(250, 270)의 지렛대 방식으로서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며, 이로 인해 탄성부재들(290)은 커버부재(210)와 이동판(230) 사이에서 최대로 압축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모드(M2)에서 사용자가 덮개(5)에 상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약간 가하게 되면, 도 9의 제3 모드(M3)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덮개(5)는 자동으로 완전히 열리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도 20에서와 같이 탄성 링크 모듈(300)의 이동판(230)과 각 로테이터(250, 270)는 탄성부재들(2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탄성부재들(290)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판(230)의 하단 가장자리부는 캠유닛(260)의 라운드 구간(261b)에서 직선 구간(261a)으로 슬립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400)의 각 모드별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적용되는 커버부재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에 적용되는 이동판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작동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본체와 덮개가 상호 대면한 상태의 제1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대략 절반 정도 개방한 상태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의 제3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본체와 덮개가 상호 대면한 상태의 제1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대략 절반 정도 개방한 상태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의 제3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커버부재 11... 몸체부
12... 제1 관통홀 21... 날개부
22... 제2 관통홀 22c... 걸림턱
23... 장착 섹션 24... 스토핑 섹션
26... 스토퍼 단차 30... 이동판
31... 메인 지지대 32... 지지핀
35... 로킹핀 36... 로킹 포크
37... 후크 돌기 50, 70... 로테이터
51, 71... 힌지 결합부 55, 75... 링크 연결부
80... 링크부재 81... 힌지 돌기
90... 탄성부재 110... 제1 슬라이딩부재
120... 제2 슬라이딩부재 260... 캠유닛
262... 캠면 265... 가이드홈

Claims (27)

  1.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이 일체로 구비된 이동판;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
    상기 각 로테이터와 상기 이동판을 링크 연결하고,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지지핀들이 위치하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핀들이 삽입 및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관통홀들을 지닌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를 로킹시키기 위한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날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은 상기 이동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는,
    상기 각 로테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섹션과,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장착 섹션에 형성되는 스토핑 섹션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섹션은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1 힌지홀을 지닌 베이스 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 섹션은 상기 장착 섹션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단차로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단차는 직선 구간과 라운드 구간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가 삽입 가능한 제1 홀과,
    상기 제1 홀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지니며 상기 제1 홀과 상호 연결되는 제2 홀과,
    상기 제1 홀과 제2 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지지핀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지지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로킹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킹핀은,
    두 갈래로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킹 포크와, 상기 로킹 포크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지지핀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핀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지지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일체로서 형성되는 로킹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로킹핀은 두 갈래로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킹 포크와, 상기 로킹 포크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후크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대는 양측 단부에 제2 힌지홀이 각각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탄성을 지닌 금속 박판으로서 이루어지며, 그 금속 박판의 에칭(etching) 가공으로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와,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판의 사이드부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는 상기 각 로테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섹션과,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상기 장착 섹션에 형성되는 스토핑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는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3 힌지홀을 지니며, 상기 스토핑 섹션에 대응하는 직선 구간 및 라운드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 연결부는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4 힌지홀을 지니며 라운드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5 힌지홀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재는 일측 단부가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각 로테이터에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에 힌지핀이 체결 가능한 제6 힌지홀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재는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 돌기를 다른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부재는,
    상기 각 로테이터를 기준할 때,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부재는,
    상기 각 지지핀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원통 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20.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을 지닌 이동판;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
    상기 각 로테이터에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과 슬립 접촉하며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캠유닛;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이동판의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지렛대 방식으로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 힌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유닛을 상기 힌지 결합부와 일체로서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캠유닛은,
    상기 이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 홈을 캠면에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24.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링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링크 모듈은,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이 일체로 구비된 이동판;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
    상기 각 로테이터와 상기 이동판의 양측 사이드부를 링크 연결하고,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와,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이동판의 사이드부에 링크 결합되는 링크 연결부를 일체로서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26.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링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링크 모듈은,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로킹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지지핀들을 지닌 이동판;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사이드부에 기설정된 각도로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 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힌지핀을 통하여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로테이터;
    상기 각 로테이터에 라운드 형태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판과 슬립 접촉하며 상기 각 로테이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동판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캠유닛;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상기 이동판의 지지핀들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테이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사이드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는 힌지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유닛을 상기 힌지 결합부와 일체로서 형성하며,
    상기 각 캠유닛은 상기 이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 홈을 캠면에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20090020843A 2009-03-11 2009-03-11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4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43A KR101045338B1 (ko) 2009-03-11 2009-03-11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43A KR101045338B1 (ko) 2009-03-11 2009-03-11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452A true KR20100102452A (ko) 2010-09-24
KR101045338B1 KR101045338B1 (ko) 2011-06-30

Family

ID=4300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43A KR101045338B1 (ko) 2009-03-11 2009-03-11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791B1 (ko) * 2006-10-26 201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0827740B1 (ko) 2008-01-25 2008-05-07 (주)제이엠씨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100848114B1 (ko) 2008-03-20 2008-07-24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48858B1 (ko) 2008-04-21 2008-07-31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338B1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866B1 (ko)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80055611A (ko) 슬라이드기구 및 그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한 휴대용전자장치
KR100865967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JP4796651B2 (ja) 携帯用端末の2軸スライド装置
US8002484B2 (en) Portable terminal with keypad lifting mechanism
KR100812626B1 (ko) 슬라이더 스윙 힌지 장치
KR101045338B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90733B1 (ko) 휴대 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2349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100765179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200451338Y1 (ko) 슬라이드 겸용 스윙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0663653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76552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
KR200450178Y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KR100929915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13185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861074B1 (ko)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6115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050083235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455346Y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KR101011233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 장치
KR100905318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KR100886947B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103021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