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518A - Whole body training device - Google Patents

Whole body trai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518A
KR20100101518A KR1020100005032A KR20100005032A KR20100101518A KR 20100101518 A KR20100101518 A KR 20100101518A KR 1020100005032 A KR1020100005032 A KR 1020100005032A KR 20100005032 A KR20100005032 A KR 20100005032A KR 20100101518 A KR20100101518 A KR 2010010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elt
chair
handl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3558B1 (en
Inventor
김산
Original Assignee
김산
김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산, 김재철 filed Critical 김산
Priority to KR102010000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558B1/en
Publication of KR2010010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exercising the whole body is provided, which enables a user to do twist motion of the waist by the power of a pedal and maximizes whole body exercise effect. CONSTITUTION: A device for exercising the whole body comprises: a pair of pedals(1) which are installed in a main frame; a chair(2) which is fixed to the main frame and is installed at the constant height; a handle(4) which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chair; a belt(5) rotating the handle by pedal drive; a rotating cylinder(6) which is perpendicularly installed in the lower central part of the chair; a belt fixture(7)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belt rolled on the rotating cylinder is fixed to the rotating cylinder; and a revolution post(8) fixed to the rotating cylinder.

Description

전신 운동 기구{Whole body training device}Whole body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페달을 밟아 운동자의 상체를 비틀어 주는 전신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페달의 작동이 전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몸통의 비틀림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벨트가 가이드롤러에 의해 안내되고, 벨트의 움직임이 몸통을 비틀리게 하는 손잡이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게 하는 전신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ole-body exercise device that presses the pedal to twist the upper body of the athlete, the belt is guided by the guide rolle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pedal can act as a torsion of the body to enable the whole body movement, the movement of the belt is torso It relates to a whole-body exercise device to be converted in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to twist.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제0027418호, 1989.02.18[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027418, 1989.02.18

[문헌 2] 한국 특허등록 제0555140호, 2006.02.18[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555140, 2006.02.18

[문헌 3] 미국 특허등록 US005908373A, 1999.07.01[Document 3] US Patent Registration US005908373A, 1999.07.01

페달을 이용하지 않고 상체의 허리 회전력으로 중량을 들어올리는 웨이트 운동 머쉰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머쉰들은 로타리 토르소 운동장치(ROTARY TORSO EXERCISE APPARATUS, 미국 특허등록 UP04456245호와, 이와 유사한 기구들로서 스포츠 센터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Weight exercise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that do not use pedals to lift weight at the waist rotation of the upper body. These machines are widely used in sports centers as ROTARY TORSO EXERCISE APPARATUS (US patent registration UP04456245) and similar devices.

로타리 토르소 운동기구는 하체를 고정하여 상체를 비트는 방법과, 상체를 고정하여 하체를 비트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운동을 실시하기 전에 선택된 중량의 힘을 회전체의 회전력으로 들어올리는 근력 운동을 실시하는 목적의 운동기구이다.Rotary torso exercise equipment has a method of fixing the lower body to twist the upper body, and a method of fixing the upper body to twist the lower body. And it is an exercise device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the muscle exercise which lifts the force of the selected weight to the rotational force of a rotating body before performing exercise.

이러한 토르소 운동기구에서 중량물을 제거하고, 운동자 자신의 하체 힘을 이용하여 페달을 밟아 허리 비틀림을 유도하는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있다.There has been developed an exercise device that removes heavy weight from such torso exercise equipment, and induces waist twist by pedaling using the lower body force of the exerciser.

이와 같은 운동기구는 상기 종래 기술에 언급된 문헌 1 내지 문헌 3의 발명들이다.Such exercise apparatuses are the inventions of Documents 1 to 3 mentioned in the prior art.

문헌 1 발명은 운동자의 발을 사용하여 페달을 교차하여 밟고, 그 힘으로 허리를 돌리는 구조이다. 즉 양측 페달의 전후 원호 운동에 의해 좌석부가 설치된 축부 원륜체가 원호 운동할 수 있도록, 페달에 의해 회전되는 페달 원륜체와, 좌석부가 설치된 축부 원륜체가 강철선벨트에 의해 체결된 구조이다. 그리고 좌석부와 일체로 회동되는 등받이체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는 운동자의 신체의 허리 비틀림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Document 1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oot of an athlete is used to step on a pedal and crosses the waist with the force. In other words, the pedal circular wheel body rotated by the pedal and the shaft circular wheel body provided with the seat portion are fastened by a steel sun belt so that the shaft circular wheel body provided with the seat portion can be circularly move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circular motions of both pedals. And the backrest body which is rotated integrally with a seat part is installed. The handle portion induces a waist twist of the exerciser's body.

이러한 운동기구는 하체 힘을 이용하여 허리의 비틀림 운동을 무동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의 운동기구이지만, 로타리 토르소 운동머신의 기능인 중량운동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트위스트 운동 중에 회전체의 회전력에 관계된 부하적 요소가 없어서 스트레칭은 작용하지만 운동의 강약 조절 기능이 없다.Such an exercise device is an exercise device that rotates the torsional motion of the lower back by using the lower body force, but weight exercise, which is a function of the rotary torso exercise machine, is difficult to expect. In addition, there is no load factor related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during the twisting motion, so the stretching works, but there is no strength control function of the motion.

이러한 운동은 실제적 운동에 있어서 단시간에 많은 운동량을 제공할 수 없다. 그리고 교차되는 페달 운동 기구를 회전되는 싸이클링 페달 운동과 비교할 때 언덕이나 평지를 달리는 힘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페달 힘의 강약 변화를 줄 수 없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기구로써 대중적으로 상품화가 어렵다.Such exercise cannot provide a large amount of exercise in a short time in the actual exercise.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ross-pedal pedal exercise mechanism and the rotating cycling pedal movemen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change in force running on hills and flats, and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it as an aerobic exercise machine because it cannot give a strong change in pedal force.

동력 전달구조를 살펴보면, 축부 원륜체와 페달 원륜체는 보조륜으로 텐션을 조정하고 순환연결 하였기 때문에 상부의 강철선 벨트와 베이스 간 이격된 거리가 높은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기구의 접근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Looking at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because the shaft wheel and the pedal wheel body is tensioned and circulated connection by the auxiliary wheel, the structure of the upper steel wire belt and the base has a high distance away from the base significantly reduces the accessibility of the mechanism to the user.

강철선 벨트의 순환 연결은 생산성과 에프터 서비스 시 작업시간을 많이 필요로 한다. 그리고 강철선 벨트의 순환 연결구조는 페달을 밟지 아니하고 손잡이부를 좌우 회전시켜 상체 운동만을 행할 때 페달은 교차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페달의 교차적으로 반복 움직임은 운동자가 상체 손잡이를 잡고 허리 운동만을 오로지 하고자 할 때 필연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페달의 움직임은 허리 운동만을 요구하는 운동자가 운동을 행할 때 바닥을 지지하는 발부위에서 페달이 반복적으로 움직이면서 눈으로 보는 시각적 방해요소와 바닥을 지지하는 운동자의 고정된 발 주위에서 공간적 방해요소로 작용한다.Circular connections of steel wire belts require a lot of work time in productivity and after service. In addition, the circula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teel wire belt does not step on the pedal, and the pedal moves left and right when only the upper body movement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handle part. The alternating repetitive movement of these pedals is inevitable when the athlete tries to hold the upper body handle and only the waist movement. And the pedal movement acts as a spatial obstacle around the fixed foot of the athlete supporting the floor and visual disturbance as the pedal repeatedly moves at the foot supporting the floor when the athlete who requires only the waist movement performs the exercise. do.

페달 원륜체의 반지름만큼 이격된 페달부 고정축은 의자형 좌석부의 위치 또한 높은 위치로 설계되어야만 다리의 굽힘과 뻗음이 원만하게 이뤄지는 관계로 기구의 높이가 커질 수밖에 없다.The pedal shaft fixed shaft spaced apart by the radius of the pedal wheel has to be designed with a high position of the chair-type seat, so that the height of the mechanism is inevitably increased due to smooth bending and extension of the legs.

의자형 좌석부의 높이를 낮게 한 상태에서 페달의 운동을 원만하게 행하려면 축부 원륜체와 페달 원륜체가 평면상에서 먼 거리로 설계되어야 다리의 운동이 원만해지는 구조이고, 이것은 곧 기구의 길이가 길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In order to perform the pedal movement smoothly with the height of the chair-type seat lowered, the shaft wheel and the pedal wheel should be designed to be far from the plan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foot is smooth. Bring it.

한 개의 좌석 축체부에는 의자형 좌석부, 하측 틀체부, 등받이부, 손잡이부, 축부 원륜체의 합산 무게와 운동자의 운동힘이 함께 부가되므로, 그 힘을 견디려면 축체부 외경이 커지고 기구의 무게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In one seat shaft part, the combined weight of chair type seat, lower frame part, back part, handle part, and shaft wheel are added together with the movement force of the exerciser. Will act as an increasing factor.

사용자가 페달을 교차하여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할 시 강철선 벨트의 당기는 장력이 베이스와 직립하여 설치된 좌석 축체부에 전달되고 이러한 작용이 누적되면 좌석 축체부는 직립각의 변형이 오거나 하부가 파손을 쉽게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When the user repeatedly performs the movement by crossing the pedals, the pulling tension of the steel wire belt is transmitted to the seat shaft installed upright with the base, and when this action is accumulated, the seat shaft portion may be deformed in the upright angle or the lower portion may easily break. It becomes a factor.

의자형 좌석부 후방의 등받이부는 페달을 밟을 시 회전하는 요동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운동자의 엉덩이를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가 운동 시에 페달을 밟으면 신체의 엉덩이가 밀리는 현상을 억제하지 못하며, 이것은 운동자 중심이 페달과 멀어져 페달의 교차운동이 부자연스럽고 운동효과가 감소하며 힘껏 페달을 밟지 못하여 트위스트 운동 효과의 저하 요인이 된다.Since the back part of the chair-type seat back acts as a swinging body that rotates when the pedal is pressed, it cannot support the hips of the athlete. When the user presses the pedal during exercise, the hips of the body cannot be suppressed. Far away from the pedal, the cross-movement of the pedal is unnatural, the movement effect decreases, and the pedal cannot be pressed hard, which causes the twist movement effect to decrease.

등받이부 또한 사용자의 등을 안착하도록 고안되었기에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데, 이러한 운동자 등의 지지는 요추로부터 어깨 부위까지 운동시켜야하는 트위스트 운동범위에 있어서 운동범위를 축소시킨다.The backrest also supports the user's back because it is designed to rest on the user's back. Such an athlete's support reduces the range of motion in the twist range of motion that must be exercised from the lumbar spine to the shoulder area.

의자형 좌석부는 그 상부 안장에 있어서 좌석 축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있다. 고정된 의자형 좌석부 구조는 운동자가 페달을 밟으면서 허리를 비트는 과정에 고관절과 골반의 유동성을 주지 못하므로 부드러운 감각으로 트위스트가 신체에 작용하지 않는다. 골반부위를 고정된 의자로 전신운동을 행하면 경직된 다리가 페달을 젖는 운동에 유연성을 떨어뜨리며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도 리드미컬한 감각이 현저히 줄어든다. 따라서 운동이 부드럽지 아니하고 유연성이 떨어진다.The chair seat is fixed to the seat shaft portion in its upper saddle. The fixed chair-type seat structure does not give the hip joint and pelvis fluidity while the athlete twists the pedal, so the twist does not act on the body with a soft sensation. Performing a full-body exercise with the pelvic part in a fixed chair reduces rigidity of the rigid legs in the pedaling motion, and also reduces the rhythmic sensation in the twisting movement of the waist. Therefore, the movement is not smooth and the flexibility is low.

의자형 좌석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손잡이부는 등받이부와 더불어 일측 베벨 기어가 장착된 하측 틀체부에 지지되는 손잡이부가 상체를 효과적으로 감싸 잡아주는 구조가 되지 못하므로, 허리의 회전이 일어나는데 있어 부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어깨부위에서 요추부위까지 골고루 트위스트 운동이 되지 않고, 무엇보다 허리의 뒤틀림 운동이 강하게 작용하지 못한다. 또한, 손잡이부는 길이 조절형으로 손잡이체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 하지만 손잡이부 전체가 수직으로 오르내림이 없어서 상체 운동방법과 범위가 축소된다. The handle part that rotates around the chair-type seating part is not structured to effectively wrap the upper body together with the back part and the handle part supported on the lower frame part equipped with one side bevel gear, so it is not unnatural for the rotation of the waist to occur. Twist movement evenly from the shoulder to the lumbar region, and above all the twisting movement of the waist does not work strongly.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serves to move the handle to the length adjustable type, but the entire handle portion does not rise and fall vertically, the upper body movement method and range is reduced.

그리고 문헌 2의 발명은 다리의 힘으로 허리를 비트는 페달이 원호궤적을 따라 싸이클 식으로 회전되고, 페달에 연결된 암으로 링크된 동력이 허리를 비트는 작동을 하며, 회전각도가 허리의 좌우 회전보다 크지 아니하여 효과적인 허리운동을 하지 못하는 구조이다.And the invention of the document 2 is a pedal that twists the waist by the force of the leg is rotated in the cycle type along the circular trajectory, the power linked to the arm connected to the pedal acts to twist the waist,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waist It is not bigger than the effective structure of the waist movement.

싸이클의 페달처럼 회전식으로 돌아가는 페달부는 안장에 앉아서 안장 뒤에 위치된 손잡이를 잡고 운동하는 자세이고, 백포스트 중심에서 회전하는 등받이부는 안장을 중심으로 허리의 중심을 회전시키는 구조가 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 허리의 트위스트를 원만하게 이루지 못하고 강력한 비틀림은 기대하기 어렵다.The pedal, which rotates like a pedal of the cycle, is in a position to sit on the saddle and grab the handle located behind the saddle. The twist is not smooth and strong torsion is difficult to expect.

안장 또한 높낮이가 조절되나 회전이 이뤄지지 않는 관계로 페달운동이 일어날 때 허리의 비틀림과 발의 운동과의 사이에서 안장의 마모가 심해지고 무엇보다 운동의 유연성은 크게 저하된다.The saddle is also adjustable in height, but the rotation is not made, so when the pedal movement occurs, the saddle wear between the torsion of the waist and the movement of the foot is severe, and above all, the flexibility of the movement is greatly reduced.

특히 링크구조로 회전하는 페달의 힘이 손잡이로 전해지는 좌우 회전각도는 100도를 넘지 않고, 이것은 곧 상체를 흔들어주는 가벼운 효과만을 기대하는 구조이다.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gles transmitted from the pedal force to the handle to the link structure does not exceed 100 degrees, which is a structure that expects only the light effect of shaking the upper body soon.

문헌 3은 발의 힘을 이용하여 허리의 트위스트를 유도하는 기구로서, 허리의 회전축이 안장의 앞에서 이뤄지고 손잡이부의 회전반경이 넓으며 교차식으로 페달을 밟는 운동이다. 그러나 운동하는 도중에 사용자 손바닥으로 잡은 손잡이가 이탈할 때 사용자가 다칠 염려가 높고, 기구 또한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Document 3 is a mechanism for inducing a twist of the waist by using the force of the foot, the rotation axis of the waist is made in front of the saddle,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is wide, and pedaling movement crosswise. However, when the handle is held off by the user's palm during exerci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ser may be injured, and the apparatus also has to grow.

손잡이는 신체 앞쪽에서 회전되는 관계로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이 몸의 중심에서 일어나지 않고 운동효과는 감소 된다. 또한 기립하여 운동을 할 때 벨트가 떨어지면 사용자의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한다.Since the handle is rotated in front of the body, the twisting motion of the waist does not occur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e movement effect is reduced. In addition, if the belt falls while standing up, the user's safety problems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운동자가 위험요소 없이 운동기구 위에서 안전하게 페달의 힘으로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을 행할 수 있고, 트위스트 회전 각도가 크게 작용하여 전신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운동 시 운동부하를 선택하여 강약 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thlete can safely perform a twisting movement of the waist with the force of the pedal safely on the exercise equipment without risk factors, the twist rotation angle acts to maximize the whole body movement effec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to facilitate the adjustment of strength and strength by selecting the exercise load during exercise.

그리고 운동자가 페달을 밟지 않고서도 상체 운동인 로타리 토르소 운동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ole body exercise apparatus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a rotary torso exercise, which is an upper body exercise, without pedal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크식으로 좌우측이 번갈아 회동하는 페달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페달의 링크 운동이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구조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엉덩이 부분이 의자에 착석된 상태에서 페달 운동이 몸통의 트위스트 운동으로 변환되어 전신 운동의 효율이 증대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structure of a pedal to rotate the left and right alternately in a link-type,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link movement of the pedal to rotate the handle, whereby the hip portion is seated on the chair The pedal movement in the state is converted into a twisting movement of the torso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efficiency of the whole body movement is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자가 위험요소 없이 운동기구 위에서 안전하게 페달의 힘으로 허리의 트위스트 운동을 행할 수 있고, 트위스트 회전 각도가 커서 전신운동 효과가 극대화되며, 운동 시 운동부하를 선택할 수 있어 자신의 조건에 맞게 운동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행할 수 있고, 운동자가 페달을 밟지 않고서도 상체 운동인 로타리 토르소 운동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r can safely perform the twisting movement of the waist by the force of the pedal safely on the exercise equipment without the risk factor, and the twist rotation angle is large, maximizing the whole body movement effect, and the exercise load can be selected during the exercise. Anyone can do it easily, and there is a convenience that the athlete can independently perform the upper body rotary torso exercise without pedaling.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운동자가 착석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페달에 의해 손잡이가 회전된 상태의 평면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exerciser s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handle is rotated by the pedal

본 발명에 의한 전신 운동 기구는 페달(1)의 운동이 몸통을 비틀리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은 의자(2)에 착석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팔과 몸통이 비틀어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The whole-body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vement of the pedal 1 to twist the torso. The hip part of the user is seated and fixed to the chair 2, and the arm and the torso are twisted.

이와 같은 운동을 효과적이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데, 기본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 structure i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such an exercise to be effective, convenient and safe, the basic embodiment of which is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은 공지 기술과 같이, 메인프레임(3)에 축지된 좌우 한 쌍의 페달(1); 메인프레임(3)에 고정되고, 일정 높이로 설치된 의자(2); 의자(2)보다 높게 설치된 손잡이(4); 상기 페달(1)의 구동에 의해 손잡이(4)를 회전시키는 벨트(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as known in the art, a pair of left and right pedals 1 supported on the main frame (3); A chair 2 fixed to the main frame 3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handle 4 installed higher than the chair 2; It comprises a; belt (5) for rotating the handle (4) by the drive of the pedal (1).

상기 메인프레임(3)은 운동자의 하부에 위치되는 각 구성의 베이스이고, 각 구성들은 상기 메인프레임(3)에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The main frame 3 is a base of each component located under the exerciser, and each component i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3 by welding or bolt.

본 발명은 상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발전시킨 것으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2)의 중심부 하측에 회전기둥(6)이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4)는 회전기둥(6)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5)는 회전기둥(6)에 귄회되고, 양 단부가 각각 양측 페달(1)에 고정되며, 회전기둥(6)에 권회된 벨트(5)의 가운데 부분은 벨트고정구(7)에 의해 회전기둥(6)에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양측 페달(1)의 반복 작동으로 회전기둥(6)과 손잡이(4)가 일체로 일정 각도 회전운동이 반복되는 구조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the above basic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rotary column 6 is installed vertically to be rotated in place below the center of the chair (2); The handle 4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ting column 6; The belt 5 is pivoted to the rotating column 6,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both side pedals 1,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elt 5 wound around the rotating column 6 is attached to the belt fastener 7. It is a structure fixed to the rotating column (6). Therefore, the rotating pillar 6 and the handle 4 are integrally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epeated operation of both pedals 1.

상기의 회전기둥(6)은 재활 장치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구조로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메인프레임(3)의 특정 위치에 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기둥(6)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기둥(6)의 외주에 풀리가 설치되고, 모터와 풀리가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전기 동력으로 재활을 위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물론 벨트 이외의 다양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해 회전기둥(6)이 회전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하다.The rotary column 6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driven by a motor so as to function as a rehabilitation device. That is, the motor is mount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in frame 3, and the pulley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column 6 so that the rotating column 6 can b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the motor and the pulley are belts. Connected to the back and can be carried out to enable the exercise for rehabilitation by electric power. Of cours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other than the belt, and any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column 6 can be rotated by a motor is possible.

뿐만 아니라, 밧데리 등에 의해 전기로 작동되는 전자회로와 센서를 가미하여, 회전기둥(6)의 회전 정보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소리나 램프로 나타낼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운동 시간과 운동 회수를 입력하여 주어진 운동을 달성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In addition, by adding an electronic circuit and a sensor electrically operated by a battery or the like, th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rotation information of the rotating column (6) and to display the sound or lamp accordingly. In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 convenience in which a given exercise can be achieved by inputting a user's exercise time and the number of exercise.

그리고 손잡이(4)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동의 양상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손잡이(4)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회전기둥(6)에 회전포스트(8)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4)는 회전포스트(8)에 높이가 조절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And the handle (4) can be safe and effective exercise by varying the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physical conditions or aspects of the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the handle (4) is adjusted. That is, the rotation post 8 is fixed to the rotary post 6, the handle 4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so that the height is adjusted to the rotation post (8).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과 도 3과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포스트(8)는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된 관체이고, 상부에는 관체를 관통하는 체결핀(9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4)는 손잡이지지대(10)에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지지대(10)는 회전포스트(8)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굵기이며, 다수 개의 핀홀(11)이 일정 간격으로 뚫려 있다. 따라서 손잡이지지대(10)가 회전포스트(8)에 삽입되고, 체결핀(9a)이 핀홀(11)에 꼽혀 고정되는 구조이다.1 and 3, the rotation post 8 installed vertically is a tubular body having a hole in the center thereof, and a fastening pin 9a penetrating the tubular body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handle 4 is installed in the handle support 10, the handle support 10 is a thickness that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rotation post 8, a plurality of pin holes 11 are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the handle support 1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post 8, the fastening pin (9a) is pinned to the pinhole (11)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은 페달(1)을 밟는 힘의 강도를 스프링력으로 조절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둥(6)의 상부에 걸림홈(12)이 회전기둥(6)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다수 개 배열되게 형성된 스프링장력조절판(13)이 부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에는 인장스프링(14)의 일측 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인장스프링(14)의 타측 단부는 스프링장력조절판(13)의 걸림홈(12)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pedal step 1 to the spring force.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is attached to the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13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2 are arrang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ng column 6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column (6);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14) is fastened to the main frame (3);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14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engaging groove 12 of the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13).

따라서 인장스프링(14)의 타측 단부를 회전기둥(6)에서 멀어지는 쪽의 걸림홈(12)에 체결할수록 페달(1)의 답력이 높아져 운동 강도가 커지게 된다.Therefore, as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14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12 on the side away from the rotating column 6, the pedaling force of the pedal 1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exercise intensity.

그리고 운동시 벨트(5)에 의한 걸림이나, 벨트(5)가 너무 높게 위치되어 운동에 방해되거나 위험 요소로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5)가 낮은 위치로 작동하도록 하고, 페달(1)과의 상호 작용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3)의 상면 중 페달(1)과 회전기둥(6)의 사이에 가이드롤러(15)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5)는 가이드롤러(15)의 하측 부분에 접촉되어 안내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가이드롤러(15)는 원통형 롤러일 수도 있고, 원주면에 벨트(5)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구조일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belt 5 from being caught during exercise or the belt 5 is placed too high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r act as a risk factor, the belt 5 is operated at a low position, and the pedal 1 A structure is provided that facilitates interaction with the device.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guide roller 15 is installed between the pedal 1 and the rotating pillar 6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3, and the belt 5 is the guide roller 15. The structure is guided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he guide roller 15 may be a cylindrical roller,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in which the belt 5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페달(1)의 작동으로 회전기둥(6)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회전기둥(6)은 메인프레임(3)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중심축(16)에 설치되고, 중심축(16)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회전기둥(6)은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중심축(16)에 체결되어 회전이 매우 유연하게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And the operation of the pedal (1) has a structure to smoothly rotate the rotating column 6,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otating column 6 is installed on the central axis 16 fixed to the main frame 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es in place with the central axis 16 as the rotation center. The rotary column 6 may be fastened to the central axis 16 via a bearing, so that rotation may occur very flexibly.

물론 상기의 회전기둥(6)은 메인프레임(3)에 수직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고정된 결합 또는 회전되는 결합 모두 가능하다.Of course, the rotating column 6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frame 3 in a vertical direction, or both of the fixed coupling or the rotating coupling may be installed detachably.

그리고 본 발명은 페달(1)이 몸통을 잘 비틀어 주는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은 페달암(17)과 벨트암(18)이 일정 각도 꺽인 링크의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페달암(17)과 벨트암(18)의 연결 부분이 메인프레임(3)에 페달축(19)으로 회동되게 축지되며, 페달암(17)의 단부에는 발을 얹어 밟을 수 있는 받침구(20)가 설치되고, 벨트암(18)의 단부에는 벨트(5)의 단부가 체결되는 구조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pedal (1) to work well to twist the body. 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pedal 1 is connected in the shape of a link in which the pedal arm 17 and the belt arm 18 are bent at an angle, the pedal arm 17 and the belt arm ( 18 is pivotally pivoted to the main frame 3 to the pedal shaft 19, the end of the pedal arm 17 is provided with a support 20 for stepping on the foot, the belt arm 18 The end of the belt) is a structure that the end of the belt (5) is fastened.

상기의 페달축(19)은 메인프레임(3)에서의 설치 위치를 가변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운동자의 신체적 크기에 대응하고자 함으로써, 페달축(19)의 위치변화 가변성을 메인프레임(3)의 수평면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의자(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pedal shaft 19 may var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ain frame (3). This is to correspond to the physical size of the exercis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osition change variability of the pedal shaft 19 is made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main frame 3 can function to adjust the distance to the chair (2). .

상기 받침구(20)는 착탈식으로 원기둥 형태나 사각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다. 상기 벨트암(18)과 페달암(17)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90도 정도가 이상적이다. 그러나 사이 각도는 90도 이하로 줄이고 가이드롤러(15)를 제거한 후 회전기둥(6)을 회전시켜도 본 발명의 운동효과를 창출하는데는 무리가 없다.The support 20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a square shape in a removable manner. The angle between the belt arm 18 and the pedal arm 17 can be varied, but about 90 degrees is ideal. However, even if the angle between 90 degrees or less and the guide roller 15 is removed and the rotary column 6 is rotated, there is no problem in generating the kinetic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의자(2)는 메인프레임(3)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체(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운동자의 엉덩이 부분 즉 하체 부분은 의자(2)에 착석되어 고정된 자세로 있고, 상체만 비틀림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And the chair 2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body 21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main frame 3, the hip part of the athlete, that is, the lower body part is seated on the chair 2 and is in a fixed position, only the upper body is torsion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exercise.

상기 의자(2)는 고정체(21)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나, 베어링 등을 매개로 하여 유연하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함이 바람직하다. 회전되게 설치된 의자(2)의 경우에는 회전이 일어나지만, 실제적 운동에 있어서는 의자(2)의 회전각은 10도 미만으로 일어나게 된다.The chair 2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fixed body 21, but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lexibly rotated through a bearing or the like. In the case of the chair 2 installed to rotate, rotation occurs, but in the actual move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chair 2 occurs to less than 10 degrees.

회전형 실시예의 의자(2)에서 일어나는 미량의 회전은 페달(1)의 반복적 움직임과 허리의 반복적 비틀림 운동이 일어날 때 골반부위에서 유연성이 가해져 전신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A small amount of rotation occurring in the chair 2 of the rotational embodiment may apply flexibility at the pelvis when the repetitive movement of the pedal 1 and the repetitive torsional movement of the waist occur to smooth the whole body movement.

상기 의자(2) 회전과 더불어 보다 부드러운 동작을 얻기 위한 구조를 가지도록 의자(2)의 하단 회전이 일어나는 부위에 미량의 각도로 유동성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rotation of the chair (2) it is possible to give a fluid at a slight angle to the site of the lower rotation of the chair (2) to have a structure for obtaining a smoother motion.

상기의 고정체(21)와 메인프레임(3)의 사이에 중심축(16)의 양측 단부가 볼트 등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중심축(16)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판(22)이 고정체(21)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판(22)은 힙받침대(23)와 연결되어 회전기둥(6)이나 의자(2)의 유동과는 무관하게 움직이지 않는다.Both ends of the central shaft 16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bolt or the like between the fixture 21 and the main frame 3. In order to facilitate fastening of the central shaft 16, the support plate 22 horizontally installed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ody 21. The support plate 22 is connected to the hip support 23 and does not move irrespective of the flow of the rotating column 6 or the chair 2.

물론 의자(2)는 상기 지지판(22) 또는 지지판(22)이 없는 구조에서는 고정체(21)에 회전되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의자(2)의 회전 여부는 운동의 효과를 감안하여 결정하면 된다.Of course, the chair 2 may be installed to rotate on the fixed body 21 in the structure without the support plate 22 or the support plate 22, the rotation of the chair 2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the movement. .

그리고 상기 고정체(21)에는 의자(2)의 후측 상부로 돌출되게 힙받침대(23)가 설치되어, 발로 페달(1)을 밟아 큰 힘으로 운동할 때 엉덩이 부분, 즉 하체가 뒤로 밀려 운동의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hips 23 are installed on the fixing body 21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chair 2, and when the foot 1 is exercised by stepping on the pedal 1 with a large force, the hip part, that is, the lower body is pushed backwards, thereby It has a structure which prevents an effect from falling.

힙받침대(23)는 고정체(21) 또는 지지판(22)에 설치되어 의자(2)의 상부로 돌출된 힙지지대(24)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다. 힙받침대(23)는 힙지지대(24)에 체결핀(9b)에 의해 체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위치를 조정하거나 신체적 크기에 따라 힙받침대(23)의 위치를 결정한 후 체결핀(9b)을 이용하여 힙지지대(24)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힙받침대(23)는 체결핀(9b)에 의해 엉덩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hip support 23 is installed on the fixed body 21 or the support plate 22 so as to be changeable in the position of the hip support 24 protruding upward of the chair 2. Hip stand 23 is fastened to the hip support 24 by a fastening pin (9b), after adjusting the hip position of the user or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hip stand 23 according to the physical size using the fastening pin (9b). It is fixed to the hip support (24). In this way, the hip rest 23 can be adjusted to the hip position by the fastening pin (9b).

힙받침대(23)는 회전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신체가 크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엉덩이 위치를 변경하여 비틀림이 일어나는 손잡이(4)의 위치와 더불어 신체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고 운동범위를 확대한다.The hip rest 23 prevents the body of the user sitting on the swivel chair from being greatly rotated, and changes the hip position to cope with changes in the body along with the position of the handle 4 where the torsion occurs and expands the movement range.

그리고 상체의 비틀림 운동을 안내하는 손잡이(4)의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손잡이(4)가 몸통의 전방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운동자가 의자(2)에 앉아 자연스럽게 팔과 손을 얹어 몸통의 비틀림 운동을 따라 안내하는 구조이다. 즉, 손잡이(4)는 사용자의 몸통보다 앞쪽으로 나오도록 둥근 원호의 형상으로 되어 양측 부분이 의자(2)의 전방으로 뻗은 형상이고, 양측 단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가 용이하도록 상부로 휘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손잡이(4)는 손잡이지지대(10)와 직각된 일체감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관절을 추가한 링크구조도 가능하다.And it has a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handle (4) for guiding the torsional movement of the upper body, which causes the handle (4) to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the athlete sitting on the chair (2) naturally put the arms and hands It is a structure to guide the torsional movement. That is, the handle 4 is in the shape of a circular arc so as to come out ahead of the user's torso, both sides of the shape is extended to the front of the chair 2, both ends are bent upward to the user easy to grasp by hand to be. And the handle 4 may be connected in a sense of unity perpendicular to the handle support 10,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link structur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3)이 운동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에 놓여져 사용되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운동자의 자세로 전신 운동이 행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 3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exercise, and the whole body exercise is performed in the position of the exerciser as shown in FIG.

벨트(5)의 정렬은 도 1과 같이 양측 페달(1)을 동일한 각도로 위치시킨 후, 벨트(5)의 가운데를 회전기둥(6)의 뒷부분에 벨트고정구(7)로써 고정시켜야 한다. 물론 벨트(5)는 가이드롤러(15)의 하부로 위치되도록 한다.Alignment of the belt (5) is to position both pedals 1 at the same angle as shown in Fig. 1, the center of the belt (5) to be fixed to the rear of the rotating column (6) with a belt fastener (7). Of course, the belt 5 is positioned below the guide roller 15.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과 운동량에 따라 손잡이(4)의 높이를 조절하고, 힙받침대(23)의 위치를 조절하며, 인장스프링(14)의 체결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즉, 손잡이(4)는 손잡이지지대(10)를 회전포스트(8)에 꼽아 적정 높이로 한 후에, 체결핀(9a)을 회전포스트(8)와 손잡이지지대(10)의 핀홀(11)에 꼽아 고정한다. 그리고 힙받침대(23)의 위치를 결정한 후 체결핀(9b)을 이용하여 힙지지대(24)에 고정시킨다. 또한 인장스프링(14)은 도 3과 같이, 상측 단부를 스프링장력조절판(13)에 형성된 다수 개의 걸림홈(12) 중에서 선택하여 체결한다. 중심축(16)에서 멀어진 곳에 위치된 걸림홈(12)에 체결할수록 회전기둥(6)이 회전할 때 더 큰 스프링의 변위를 가지게 되므로 큰 힘이 소요된다. 따라서 큰 운동력을 원할 때에는 바깥쪽의 걸림홈(12)에 체결시키고, 약한 힘으로 운동하고자 할 때에는 안쪽에 형성된 걸림홈(12)에 체결시키면 된다.The user should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4, the position of the hip rest 23, and determine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tension spring 14 in accordance with his physical condition and the amount of exercise. That is, the handle 4 is inserted into the rotary post (8) by the handle support 10 to the appropriate height, then the fastening pin (9a) to the pin hole 11 of the rotary post (8) and the handle support (10). Fix it. And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hip support 23 is fixed to the hip support 24 using the fastening pin (9b). In addition, the tension spring 14 is fastened by selecting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2 formed in the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13, as shown in FIG. As the fastening to the locking groove 12 is located away from the central axis 16, the larger the force is required because the rotation column 6 has a larger displacement of the spring. Therefore, when you want a large exercise force is fastened to the outer locking groove 12, when you want to exercise with a weak force is to fasten to the locking groove 12 formed inside.

상기와 같이 준비가 된 상태의 전신 운동 기구의 평면도(상부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손잡이(4)가 전방을 향해 가지런히 위치되고, 두 개의 페달(1) 또한 동일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A plan view (looking down from the top) of the whole body exercise device in the ready state as shown above is shown in FIG. 4, with the handle 4 aligned forward and the two pedals 1 also I am taking the same postur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동자가 의자(2)에 착석하여, 두 발을 가지런히 페달(1)의 받침구(20)에 올려 놓으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 후 도 5와 같이 오른쪽 다리와 발을 이용하여 페달(1)을 밟으면, 몸통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비틀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 때 페달(1)을 밟는 발의 반대 방향으로 몸통이 비틀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exerciser is seated on the chair 2 and the feet are placed on the support 20 of the pedal 1 evenly, the state becomes as shown in FIG. 2. Subsequently, when the pedal 1 is pressed using the right leg and the foot as shown in FIG. 5, the torso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wisted. At this time, the body is twis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oot on the pedal (1).

즉, 오른 쪽 페달(1)을 밟으면, 벨트(5)가 움직이고, 벨트(5)의 가운데 부분이 회전기둥(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기둥(6)이 도 5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의자(2)는 페달(1)의 작동과는 상관없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거나, 그 자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더라도 페달(1)의 작동과는 무관하게 몸통의 비틀림에 의해 조금 회전되는 구조일 뿐이다.That is, when the right pedal 1 is pressed, the belt 5 is moved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elt 5 is fixed to the rotational column 6, so that the rotational column 6 is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Is rotated. However, the chair 2 is rotated a little by the torsion of the body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pedal 1, even if the structure is capable of maintaining a fixed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pedal (1), or can be rotated by itself It's just a structure.

벨트(5)의 움직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15)에 의해 안내되는데, 메인프레임(3)에 가까운 위치에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운동자의 발에 방해받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movement of the belt 5 is guided by the guide roller 15, which is mov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main frame 3. Therefore, the foot of the athlete is not disturbed.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가 체결된 벨트암(18)이 메인프레임(3)에 가까이 위치된 상태에서부터 회전기둥(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큰 비틀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롤러(15)가 없다면, 벨트암(18)이 상측으로 회동할 때 벨트(5)가 벨트고정구(7)를 중심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벨트(5)의 수평방향 변위는 적어지게 된다. 그러나 가이드롤러(15)가 설치됨으로써 벨트(5)가 회전기둥(6)을 회전시키는 수평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belt arm 18 to which the belt 5 is fastened can be rotat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belt arm 18 is located close to the main frame 3, thereby making a large twist. . That is, without the guide roller 15,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belt 5 becomes less because the belt 5 moves about the belt fastener 7 when the belt arm 18 rotates upward. However, since the guide roller 15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mount by which the belt 5 rotates the rotary column 6.

상기와 같이 페달(1)의 작동으로 큰 변위량이 발생하여, 도 5와 같이 손잡이(4)가 반시계 방향으로 큰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displacement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edal 1, and as shown in FIG. 5, the handle 4 is rotated at a large angle counterclockwise.

손잡이(4)는 운동자의 팔과 손을 안정되게 위치시키고, 몸통의 비틀림 운동시 안정된 자세를 유지시키며,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안내 역할을 한다.The handle 4 positions the arm and hand of the athlete stably, maintains a stable posture during the torsional exercise of the torso, and serves as a guide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이와 같이 페달(1)의 운동으로 회전기둥(6)이 회전하고, 회전기둥(6)에 고정되게 설치된 손잡이(4)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왼쪽 발을 이용하여 페달(1)을 밟으면, 도 5의 상태에서 손잡이(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와 같은 상태를 지나 도 5의 이점쇄선의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실선과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손잡이(4)의 상태를 반복하여 운동하게 된다.In this manner, the rotating column 6 rotates by the movement of the pedal 1, and the handle 4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rotating column 6 rotates together. When the pedal 1 is pressed again using the left foot, the handle 4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5 to rotate through the state shown in FIG. Therefore, the state of the handle 4 shown by the solid line and the double-dot chain line in FIG. 5 is repeatedly moved.

다리와 발을 이용하여 페달(1)을 밟아 몸통을 비틀기 하는 운동시에 인장스프링(14)의 스프링력에 의해 중량 운동의 효과도 있다.There is also an effect of weight movement by the sp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4 at the time of the step of twisting the torso by stepping on the pedal 1 using the legs and feet.

그리고 페달(1)을 메인프레임(3)에서 탈거하여 제거하거나, 도 1과 같이 가지런히 정렬시켜 둔 상태에서는, 페달(1)을 이용한 운동이 아니라 직접 상체를 비틀어 운동할 수 있다. 즉, 페달(1)의 운동만으로 비틀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페달(1)의 답력과 스프링력으로 비틀기를 하거나, 운동자 자신이 스스로 몸통을 비틀어 운동할 수도 있는 편리함과 범용성이 있게 된다.And when the pedal 1 is removed from the main frame 3 and removed or aligned, as shown in FIG. 1, the upper body can be twisted directly rather than using the pedal 1. That is, not only twisting by the movement of the pedal 1, but selectively twisting by the pedaling force and the spring force of the pedal 1, or the exerciser himself, there is a convenience and versatility may also be able to twist the body by themselves.

또한 답력과 스프링력으로 효과적인 운동이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상체가 뒤로 밀리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엉덩이를 지지해주는 힙받침대(23)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should not be pushed back in order for the effective exercise with the effort and spring for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hip support 23 to support the hip.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받침대(23)는 운동자의 엉덩이 부분에 접촉되어 신체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답력이 모두 비틀림을 위한 회전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hip rest 23 is in contact with the buttocks of the exerciser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pushed back, so that both the stepping force can act as a rotational force for twisting.

1 : 페달 2 : 의자
3 : 메인프레임 4 : 손잡이
5 : 벨트 6 : 회전기둥
7 : 벨트고정구 8 : 회전포스트
9a, 9b : 체결핀 10 : 손잡이지지대
11 : 핀홀 12 : 걸림홈
13 : 스프링장력조절판 14 : 인장스프링
15 : 가이드롤러 16 : 중심축
17 : 페달암 18 : 벨트암
19 : 페달축 20 : 받침구
21 : 고정체 22 : 지지판
23 : 힙받침대 24 : 힙지지대
1: pedal 2: chair
3: mainframe 4: handle
5: belt 6: rotating column
7: belt fastener 8: rotation post
9a, 9b: fastening pin 10: handle support
11: pinhole 12: locking groove
13: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14: tension spring
15: guide roller 16: the central axis
17: pedal arm 18: belt arm
19: pedal shaft 20: support
21: fixed body 22: support plate
23: hip support 24: hip support

Claims (10)

메인프레임(3)에 축지된 좌우 한 쌍의 페달(1); 메인프레임(3)에 고정되고, 일정 높이로 설치된 의자(2); 의자(2)보다 높게 설치된 손잡이(4); 상기 페달(1)의 구동에 의해 손잡이(4)를 회전시키는 벨트(5);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신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의자(2)의 중심부 하측에 회전기둥(6)이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4)는 회전기둥(6)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5)는 회전기둥(6)에 귄회되고, 양 단부가 각각 양측 페달(1)에 고정되며, 회전기둥(6)에 권회된 벨트(5)의 가운데 부분은 벨트고정구(7)에 의해 회전기둥(6)에 고정되어; 페달(1)의 작동으로 회전기둥(6)과 손잡이(4)가 일체로 일정 각도 회전운동이 반복됨을 특징으로 전신 운동 기구.A pair of left and right pedals 1 supported by the main frame 3; A chair 2 fixed to the main frame 3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handle 4 installed higher than the chair 2; A belt (5) for rotating the handle (4) by the drive of the pedal (1), comprising a body, the rotary pillar (6)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chair 2 is rotated in place Installed vertically; The handle 4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ting column 6; The belt 5 is pivoted to the rotating column 6,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both side pedals 1,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elt 5 wound around the rotating column 6 is attached to the belt fastener 7. It is fixed to the rotary column (6); Full-body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by rotating the pedal (6) and the handle (4) integrally rotated by a certain angle rotation of the pedal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둥(6)에 회전포스트(8)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4)는 회전포스트(8)에 높이가 조절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2. The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ting post (8) is fixed to the rotating pillar (6), and the handle (4) is installed to adjust a height of the rotating post (8). 제 1항에 있어서, 회전기둥(6)의 상부에는 걸림홈(12)이 회전기둥(6)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다수 개 배열되게 형성된 스프링장력조절판(13)이 부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에는 인장스프링(14)의 일측 단부가 체결되며; 상기 인장스프링(14)의 타측 단부는 스프링장력조절판(13)의 걸림홈(12)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2. The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13)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13)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column (6) such that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12) are arranged away from the rotating column (6);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14) is fastened to the main frame (3);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14) is a whole body exercis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engaging groove (12) of the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3)의 상면 중 페달(1)과 회전기둥(6)의 사이에 가이드롤러(15)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5)는 가이드롤러(15)의 하측 부분에 접촉되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The guide roller (15) is installed between the pedal (1) and the rotary column (6)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3), and the belt (5) is lower than the guide roller (15). Full body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s in contact with the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둥(6)은 메인프레임(3)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중심축(16)에 설치되고, 중심축(16)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The whole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column (6) is installed on a central axis (16)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frame (3), and rotates in place with the central axis (16) as the center of rotation. Fitness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1)은 페달암(17)과 벨트암(18)이 일정 각도 꺽인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페달암(17)과 벨트암(18)의 연결 부분이 메인프레임(3)에 페달축(19)으로 회동되게 축지되며, 페달암(17)의 단부에는 받침구(20)가 설치되고, 벨트암(18)의 단부에는 벨트(5)의 단부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al (1) is connected to the pedal arm 17 and the belt arm 18 in a predetermined angle ben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edal arm 17 and the belt arm 18 is the main frame (3) is pivotally pivoted by the pedal shaft (19), the support 2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edal arm 17, the end of the belt (5)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belt arm (18)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2)는 메인프레임(3)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체(21)의 상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The whole body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ir (2) is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fixing body (21)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main frame (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1)에는 의자(2)의 후측 상부로 돌출되게 힙받침대(2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8. The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hip support (23) is installed on the fixed body (21)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chair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는 사용자의 몸통보다 앞쪽으로 나오도록 둥근 원호의 형상으로 되어 양측 부분이 의자(2)의 전방으로 뻗은 형상이고, 양측 단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가 용이하도록 상부로 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4) is in the shape of a circular arc so as to come out ahead of the user's torso, both sides of the shape extending to the front of the chair (2), both ends are easy to hold by the user by hand Full body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upwar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2)는 회전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 기구.2. The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ir (2) has a rotating structure.
KR1020100005032A 2010-01-20 2010-01-20 Whole body training device KR101093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32A KR101093558B1 (en) 2010-01-20 2010-01-20 Whole body trai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32A KR101093558B1 (en) 2010-01-20 2010-01-20 Whole body train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777A Division KR20090031714A (en) 2009-03-09 2009-03-09 Whole body trai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518A true KR20100101518A (en) 2010-09-17
KR101093558B1 KR101093558B1 (en) 2011-12-13

Family

ID=4300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32A KR101093558B1 (en) 2010-01-20 2010-01-20 Whole body trai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55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25B1 (en) * 2012-08-13 2015-06-04 신광의료기산업(주)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CN111228732A (en) * 2020-01-17 2020-06-05 北京工业大学 Muscle strength training device for waist rotation
KR102337384B1 (en) * 2021-06-15 2021-12-09 주식회사 지씨에스 Chair for pelvic muscle exercise with improved frame structure and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90Y1 (en) 2011-08-04 2014-01-03 이중서 Chair sporting equipment
KR102296449B1 (en) * 2014-11-26 2021-09-07 큐렉소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KR101938496B1 (en) 2017-11-29 2019-01-14 엄유진 Exercis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595Y1 (en) 2001-03-23 2001-10-10 기 석 우 A motion apparatus of all the bod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25B1 (en) * 2012-08-13 2015-06-04 신광의료기산업(주)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CN111228732A (en) * 2020-01-17 2020-06-05 北京工业大学 Muscle strength training device for waist rotation
CN111228732B (en) * 2020-01-17 2022-03-29 北京工业大学 Muscle strength training device for waist rotation
KR102337384B1 (en) * 2021-06-15 2021-12-09 주식회사 지씨에스 Chair for pelvic muscle exercise with improved frame structure and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558B1 (en) 201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558B1 (en) Whole body training device
US8708866B2 (en) Abs-cycle
US20070099766A1 (en) Stationary exercise bicycle
US20100035729A1 (en) Multimotio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101166981B1 (en) The equipment training waiter muliti-joint
US20060252607A1 (en) Vertical total body exercise apparatus
CN105163815A (en) Exercise machines
US6245000B1 (en) Exercise device and body toner with adjustable inclined roller platform
US5637062A (en)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US20070117682A1 (en) Ball exercis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099332B1 (en) Health bicycle having adjustable swing device for seat
KR101194993B1 (en) Twist and sit-up exerciser
KR20090031714A (en) Whole body training device
KR101012808B1 (en) Multi remedial exercise apparatus
KR101827253B1 (en) Multifunctional complex exercise equipment
KR100868983B1 (en) A Whole Body Exercise Device Of Creeping Posture
KR20140021920A (en)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KR100637316B1 (en) A stationary exercise bicycle
KR20190043120A (en)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ankle and knee joint while exercising upper leg and hip
CN105582644A (en) Arm strength pushing and pressing exercise equipment
KR20190002555U (en) Multi Functional Sports Equipment
KR101142731B1 (en) Health cycle for multi exercise
KR20030016939A (en) The machine for exercise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KR200351859Y1 (en) Twist machine for training whole body
CN110368643B (en) Knee and shoulder joint simultaneous exercise rehabili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