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225B1 -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 Google Patents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225B1
KR101525225B1 KR1020120088472A KR20120088472A KR101525225B1 KR 101525225 B1 KR101525225 B1 KR 101525225B1 KR 1020120088472 A KR1020120088472 A KR 1020120088472A KR 20120088472 A KR20120088472 A KR 20120088472A KR 101525225 B1 KR101525225 B1 KR 10152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s
vertical
frame
rectangul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1920A (en
Inventor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의료기산업(주) filed Critical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08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225B1/en
Publication of KR2014002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2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설치대(100)와; 슬라이딩 레일(200)과; 이동대(300)와;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과; 좌판(500)과; 전방 체인스프로킷(600)과; 후방 체인스프로킷(700)과; 체인(800)과; 페달(900) 및; 몸통회전수단(A)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몸통을 지탱하는 복근 및 척추 기립근의 운동만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장요근의 협응을 억제하여 복근만의 수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지속적인 부위별 저항(웨이트) 운동을 통해 비만 체질을 개선하면서 해당 근육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강화할 수 있고, 다리의 목표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하며, 인체의 몸통 운동시, 인체의 몸통이 중력방향과 적정의 각도를 이루어 척추만곡이 중력에 의해 자연 발생되게 하여 복부 또는 척추기립근의 운동성을 높이며, 양발로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인체의 몸통이 시계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몸통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몸통 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척추 디스크 등 척추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고관절 움직임이 몸통의 움직임과 하지의 움직임을 관할하게 됨으로써, 복부의 운동은 척추와 고관절의 수축이 일어나야 하고, 대퇴 사두의 운동은 대퇴골과 고관절의 수축이 일어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축의 위치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ing apparatus, comprising: a mounting base (100); A sliding rail 200; A moving base 300; A seat mounting frame 400; A seat plate 500; A front chain sprocket (600); A rear chain sprocket 700; A chain 800; A pedal 900; The body rotation means (A) can concentrate only the movement of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backbone of the body supporting the body of the body, while suppressing the coordination of the longitudinal muscles connecting the pelvis and the femur,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strengthen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muscles while improving the constitution of obesity through the continuous partial resistance (weight) exercise, intensively training the target muscles of the legs, and, when exercising the torso of the human body, The spine curvature is naturally generated by the gravity so as to increase the mobility of the abdominal or vertebrae muscles and the torso motion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body of the huma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pressing the foot pedal The body move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spine, such as the spine. As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torso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limb, the abdominal motion should cause the contraction of the spine and the hip joint, and the motion of the femoral head should contract the femur and hip joint. There is a special advantage that the exercise effect can be enhanc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it.

Description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상체 근육 가운데 몸통 근육군인 복근, 척추 기립근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키는 몸통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발로 패달을 밟아 줌에 따라 몸통이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비틀어져 복근과 척추 기립근을 단련시키고 몸통 근육의 움직임에서 골반의 협응성을 낮추며 등판의 회전 운동이 인체 척추의 단련 및 패달의 밟음에 따라 하체운동과 함께 척추 기립근의 근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exercising apparatus for intensively exercising abdominal muscles and spinal standing muscles in the body muscles of upper body muscles, and more particularly, The lower body and body exercises, which are designed to train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spinal muscles, lower the pelvic coordination in the movement of the body muscles,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ck muscles to strengthen the muscular muscles of the vertebrae along with the lower body exercises .

최근 들어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면서 운동부족으로 인한 만성질환 및 기형적인 몸 체형으로 인해 부위별로 전문화된 운동처방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으며, 특히 현대인들은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복부 비만으로 인해 복부 비만 체질개선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단순히 런닝 등과 같이 전신 운동을 하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윗몸 일으키기 등과 같이 부위별 운동으로 복부 비만을 해결하려고 하고 있지만 별다른 실효성은 없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heavy work, and due to chronic diseases and deformed body shape due to lack of exercise, there is a need for specialized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s. Especially, in modern people, obesity is caused by abdominal obesity Although I feel the necessity of exercise to improve my constitution, I am trying to solve my abdominal obesity by exercising the whole body such as running or general sit-ups, but it is not effective.

특히 헬스장 등과 같이 일반인들이 자주 찾는 체력단련장에 구비된 헬스기구 중 주로 많이 사용하는 기구는 런닝머신이나 상체 단련 헬스기구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체와 하체의 근육이 불균형하게 발달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복부 비만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될 때에는 활동상의 장애를 받게 되고, 인체의 중심을 지탱하고 있는 척추에도 무리를 가하게 되며, 성인병 및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복부 비만을 해결하기 위해 복근을 집중적으로 단련함으로 인해 비만체질을 개선하려는 선 출원된 특허 제1992-19390호인 "복근운동구"를 살펴보면, 프레임에 한쌍의 전, 후방다리가 부착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등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그 전방부가 부하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유동하는 운동부하수단과; 상기 운동부하수단의 선단부에 그 양측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무릎을 지지하여 주는 무릎걸이와;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 내장되어 전방으로 수평하게 출몰하는 다리지지대와; 상기 다리지지대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발을 지지하여 주는 발걸이와; 상기 무릎걸이와 발걸이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다.Especially, in the gyms such as gymnasiums, which are often used by the general public, the gymnasiums that are mainly used are often used by running machines or upper body training gymnasiums, which cause unbalanced development of upper and lower body muscles When the abdominal obesity gradually increases, it is affected by the activity disorder, and the spine which supports the center of the body is put on the crowd, causing adult diseases and various chronic diseases. In order to solve such abdominal obesity, In the "abdominal athletic area", which is a prior application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992-19390 to improve the obesity due to the intensive training of the abdominal muscles, there will be described a chair comprising: a seat plate to which a pair of front and rear legs are attached; A back plate portion foldably connected to the seat plate portion; A moving load mean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eft plate portion and having a front portion thereof flowing upward and downward under a load force; A knee hanger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nd of the motion load means to support the knee; A leg support which is built in both sides of the seat plate and projects horizontally forwardly; A footrest connected to a distal end of the leg support to support the foot;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knee hanger to the footwear.

상기 복근운동기구는 상체의 몸통 주요 근육군인 복근군과 척추 기립근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리 운동과 허벅지 운동까지 병행하여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인체 척추의 움직임을 단순 링크에 의한 원호운동의 작용으로 인해 등판의 회전 운동이 일정 회전 운동만 형성됨으로 인해 몸통 근육과 고관절 근육이 협응되는 현상이 일어나며, 특히 등판 패드가 신체 일부에서 이탈이 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나 효과면에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The abdominal exercise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bdominal muscles of the upper body of the torso, but only the leg muscles and the thigh muscles, so that the lower body exercises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The rotation of the back plate only forms a certain rotational movement, so that the body muscles and the hip muscles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the back pads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

종래의 상체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복근을 단련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장요근의 협응으로 인해 복근만의 운동이 불가능하며, 척추 기립근을 단련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슬곡근군과 둔근군의 협응으로 인해 척추 기립근만의 운동이 불가능하여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When exercising the abdominal muscles using conventional upper body exercises, it is impossible to exercise only the abdominal muscles due to the coordination of the elongate muscles connecting the pelvis and the femur. In the case of exercising the spinal autonomic muscles, Coordination is a problem in that only the spinal canal is unable to move, resulting in inefficiency.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 몸통 운동기로 개발된 것이 특허등록 제0884577호의 "고관절 운동성을 이용한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가 특허등록공보에 개시되어 있다.Considering such a situation, Patent Registration No. 0884577,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 conventional body exerciser, discloses a patent application for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e apparatus using a hip joint motion.

상기 특허등록 제0884577호의 "고관절 운동성을 이용한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체운동 겸용 몸통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평프레임(1)에 수직프레임(2a, 2b)을 수직 교차되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수직프레임(2a, 2b)은 전후방에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하고, 상단에 지지프레임(3)을 형성하여 상호 연결되게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의 하측에 형성된 제2고정축(20)에는 안장이 형성된 안장지지대(21)가 축 고정되게 하고, 상기 안장지지대(21)에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안장링크(25a, 25b)의 양측에 제1고정축(10a, 10b)을 형성하여 발걸이(12)가 형성된 발걸이 링크(11a, 11b)가 축 고정되게 하고, 상기 발걸이 링크(11a, 11b)는 구동링크(13)에 의해 후방에 고정 설치된 수직프레임(2a, 2b)의 소정의 부위와 연결될 수 있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의 상측에 형성된 제3 고정축에는 등패드(32)가 형성된 등패드 지지대(31)가 축 고정되게 하되, 상기 안장지지대(21)의 측면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구동보조링크(14, 15)와 상기 등패드 지지대(31)의 측면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 구동보조링크(14, 15)가 연결대(16)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발걸이 링크의 구동에 의해 안장지지대(21) 및 등 패드 지지대(31)가 구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허리패드 지지대(23)에 허리패드 길이조절부(24a)가 형성된 허리패드 길이조절부(32a)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3)의 상측에 제 3 고정축(30)이 형성되고, 상기 등패드(32)를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손잡이고정대(33a, 33b)의 일측이 등패드지지대(3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고정대(33a, 33b)의 타측 부위에 손잡이(34a, 34b)가 각각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in the body mechanism for exercising the lower body and the body, the vertical frames 2a and 2b are vertically crossed to the horizontal frame 1, The vertical frame 2a and the vertical frame 2b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ming a support frame 3 at the upper end, A saddle support 21 having a saddle is fixed to the second fixed shaft 20 and a first fixed shaft 10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addle links 25a and 25b forme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addle support 21, The footrest links 11a and 11b are fixed to the vertical frames 2a and 2b fixed to the rear by the drive link 13. The footrests 11a and 11b are fixed to the footrests 11a and 11b, 2b, and the above-mentioned ground A back support pad 31 having a back pad 32 is fixed on a third fixing shaf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3 and a driving auxiliary link 14 And a driving auxiliary link 14 and 15 formed on a predetermined side surface of the back pad support 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16 so that the saddle support 21 is driven by driving the footrest link, And a waist pad length adjusting portion 32a formed with a waist pad length adjusting portion 24a is formed on the waist pad supporting base 23 and the waist pad length adjusting portion 32a is formed on the waist pad supporting base 23, The third fixing shaft 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one side of the handle fixing bars 33a and 33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ack pad 3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ck pad support 31 Handles 34a and 34b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fixing bases 33a and 33b, It is construc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몸통 운동기는 윗몸 일으키기처럼 운동하는 것이어서 복부를 단련시키기에는 좋지만은 몸통을 단련시켜 그에 따른 복부 비만이나 척추 디스크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기에는 부족함이 많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ody exerciser exercises like a sit-up so that it is good for training the abdome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nough to prevent various adult diseases such as abdominal obesity and spinal disc caused by training the bod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몸통 운동기구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체의 몸통을 지탱하는 복근 및 척추 기립근의 운동만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장요근의 협응을 억제하여 복근만의 수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슬곡근군과 둔근군의 협응을 억제하여 척추 기립근만의 수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부위별 저항(웨이트) 운동을 통해 비만 체질을 개선하면서 해당 근육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various drawbacks and problems caused by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body exercising apparatu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centrate only the exercise of the abdominal muscles and spinal muscles supporting the body of the human body,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contraction movement of the abdominal muscles possible by suppressing the coordination of the muscles of the stomach muscles and to suppress the coordination of the muscles of the leg muscles and the gluteus muscl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ing apparatus capable of intensively strengthening muscular strength of the muscles while improving obes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의 하체 운동시, 무릎 관절의 운동범위에 척추의 형상을 종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척추기립근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다리의 목표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하며, 인체의 몸통 운동시, 인체의 몸통이 중력방향과 적정의 각도를 이루어 척추만곡이 중력에 의해 자연 발생되게 하여 복부 또는 척추기립근의 운동성을 높이도록 하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a human body in which the shape of a vertebra can be subordinated to the range of motion of a knee joint, thereby intensively training the target muscles of the legs without imposing a strain on the vertebrae, And the body of the human body forms an appropriate angle with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spinal curvature is naturally generated by the gravity so as to increase the mobility of the abdominal or vertebral standing muscl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발로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인체의 몸통이 시계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몸통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몸통 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척추 디스크 등 척추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ody of a patient so that the body of the human body is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t a predetermined angle to move the body so that the body move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spine, And to provide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고관절 움직임이 몸통의 움직임과 하지의 움직임을 관할하게 됨으로써, 복부의 운동은 척추와 고관절의 수축이 일어나야 하고, 대퇴 사두의 운동은 대퇴골과 고관절의 수축이 일어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축의 위치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운동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limbs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movement of the abdomen shrinks the vertebrae and the hip joint and the movement of the femur and the hip joints causes contraction of the femur and hip And to provide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ing mechanism for appropriately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shaf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exercise effe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는 바닥에 놓이는 가로 세로 프레임(101, 101') 상에 용접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0)와; 상기 설치대(10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 상단에 전후 길이방향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슬라이딩 레일(2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을 따라 전후로 직선 운동하는 이동대(300)와;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 사이 가로 프레임(101)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과; 상기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좌판(500)과; 상기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수직 프레임(102)과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 설치대(601)에 설치대는 전방 체인스프로킷(6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체인스프로킷(700)과; 상기 전후방 체인스프로킷(600, 700)을 연결하는 체인(800)과; 상기 체인(800)에 브라켓(303)을 통해 연결된 이동대(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동대(3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페달(900) 및; 상기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의 축 상단에 고정되어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교대로 회전하는 몸통회전수단(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ower body and the body exerci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base 100 composed of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and 102 'welded and fixed on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101 and 101' ; A sliding rail 200 welded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and 102 'of the mounting table 100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movable table 300 linearly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ing rail 200; A left panel mounting frame 400 fixed by welding on the horizontal frame 101 betwee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and 102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seat plate 500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 mounting frame 400; In the horizontal mounting table 601 fixed by welding between the left vertical frame 102 and the left panel mounting frame 400 positioned on the left side, the mounting table includes a front chain sprocket 600; A rear chain sprocket 7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liding rail 200; A chain 800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chain sprockets 600 and 700; A pedal 900 installed in front of the moving table 300 connected to the chain 800 through a bracket 303 to move the moving table 300 back and forth; And a body rotating means (A) fixed to the shaft top of the rear chain sprocket (700) and rotated alternately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본 발명은 인체의 몸통을 지탱하는 복근 및 척추 기립근의 운동만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장요근의 협응을 억제하여 복근만의 수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슬곡근군과 둔근군의 협응을 억제하여 척추 기립근만의 수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부위별 저항(웨이트) 운동을 통해 비만 체질을 개선하면서 해당 근육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강화할 수 있고, 인체의 하체 운동시, 무릎 관절의 운동범위에 척추의 형상을 종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척추기립근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다리의 목표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하며, 인체의 몸통 운동시, 인체의 몸통이 중력방향과 적정의 각도를 이루어 척추만곡이 중력에 의해 자연 발생되게 하여 복부 또는 척추기립근의 운동성을 높이며, 양발로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인체의 몸통이 시계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몸통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몸통 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척추 디스크 등 척추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고관절 움직임이 몸통의 움직임과 하지의 움직임을 관할하게 됨으로써, 복부의 운동은 척추와 고관절의 수축이 일어나야 하고, 대퇴 사두의 운동은 대퇴골과 고관절의 수축이 일어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축의 위치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ncentrate only the abdominal muscles supporting the body of the human body and the muscles of the spinal muscles while suppressing the coordination of the muscles of the femur connecting the pelvis and the femur so that only the abdominal muscles can be contracted. By restraining the coordination and allowing the contraction movement of only the spinal nerve root to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strengthen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muscles while improving the constitution of obesity through continuous resistance (weight) exercise, and when the lower body exercise of the human body, The body of the human body in the body of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nd the appropriate angle to the angle of the spine when exercising, The curvature is naturally generated by gravity, thereby enhancing the mobility of the abdominal or vertebral muscles, The body of the human body is rotated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o move the body so that the body move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spine such as the spinal disc, The movement of the abdomen should be contraction of the spine and the hip joint, and the movement of the femoral head should contract the contraction of the femur and the hip joint. For this purpose, the axis position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There are special advantages.

도 1은 종래 고관절 운동을 이용한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요부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팔 받침대의 간격조절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팔 받침대의 젖힘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e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hip joint mo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body and a body exercis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and the body exercis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and the body exercis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another direction, Fig.
Fig. 5A and Fig. 5B are operational states of the lower body and the body exercis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rval between the armre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bending stat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요부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팔 받침대의 간격조절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팔 받침대의 젖힘 작동 상태도로서,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는 바닥에 놓이는 가로 세로 프레임(101, 101') 상에 용접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0)와; 상기 설치대(10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 상단에 전후 길이방향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슬라이딩 레일(2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을 따라 전후로 직선 운동하는 이동대(300)와;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 사이 가로 프레임(101)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과; 상기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좌판(500)과; 상기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수직 프레임(102)과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 설치대(601)에 설치대는 전방 체인스프로킷(6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체인스프로킷(700)과; 상기 전후방 체인스프로킷(600, 700)을 연결하는 체인(800)과; 상기 체인(800)에 브라켓(303)을 통해 연결된 이동대(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동대(3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페달(900) 및; 상기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의 축 상단에 고정되어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교대로 회전하는 몸통회전수단(A)으로 구성되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and a body movement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 support is spaced from the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arm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mounting base 100 consisting of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and 102 'welded and fixed on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101 and 101' placed on the floor; A sliding rail 200 welded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and 102 'of the mounting table 10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movable table 300 linearly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ing rail 200; A left panel mounting frame 400 welded on the horizontal frame 101 betwee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10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 seat plate 500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 mounting frame 400; In the horizontal mounting table 601 fixed by welding between the left vertical frame 102 and the left panel mounting frame 400 positioned on the left side, the mounting table includes a front chain sprocket 600; A rear chain sprocket 7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liding rail 200; A chain 800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chain sprockets 600 and 700; A pedal 900 installed in front of the moving table 300 connected to the chain 800 through a bracket 303 to move the moving table 300 back and forth; And a body rotating means A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rear chain sprocket 700 and alternatel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사각 관체(201, 201')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대(300)는 상기 사각 관체(201, 201') 내를 직선운동하는 사각기둥(301, 301')과, 상기 사각기둥(301, 30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롤러(302) 및; 상기 체인(800)과 고정되는 브라켓(30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liding rail 200 is composed of rectangular tubular members 201 and 201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The moving base 300 includes a rectangular column body 201 and 201' (301, 301 '), rollers (302)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quadrangular columns (301, 301'), And a bracket 303 fixed to the chain 800.

상기 전방 체인스프로킷(600)은 상기 사각 관체(201, 201') 사이와 양측 수평 설치대(601) 사이에 축의 상하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설치되고,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은 상기 사각 관체(201, 201') 사이와 양 가로 프레임(101) 후방 사이에 축의 상하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The front chain sprocket 6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axes of the sprocket 600 are rotatably fixed between the rectangular tubular bodies 201 and 201 'and the both side horizontal mounting tables 601. The rear chain sprockets 700 are installed in the square tubular body 201 , 201 'and the rear of both the horizontal frames 101 are rotatably fixed up and down.

또한, 상기 페달(900)은 상기 사각기둥(301, 301') 각각의 전방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901)과, 상기 수직 프레임(901)에 설치되는 발판(902, 902')과, 상기 사각기둥(301, 301')의 전방 외측면에 설치되어 페달(900)을 밟는 사용자의 양측 종아리의 측면을 보호하는 종아리 보호대(90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edal 900 includes a vertical frame 90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each of the rectangular pillars 301 and 301 'and a foot plate 902 and 902' provided on the vertical frame 901, And a calf protector 903 provided on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quadrangular pillars 301 and 301 'for protecting the sides of the calves on both sides of the user pressing the pedal 900.

상기 몸통회전수단(A)은 상기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의 축 상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사각 관체(a1)와 사각 관체(a1) 내에서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사각기둥(a2)으로 이루어지는 수평 프레임(a)과, 상기 수평 프레임(a)의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직기둥(b)과, 상기 수직기둥(b)을 삽입하는 사각 수직관체(c)와, 상기 사각 수직관체(c)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전수단(B)과, 상기 수직기둥(b) 하단부 좌우에 고정되는 팔받침 지지대(D)와 상기 양 팔받침 지지대(D)에 설치되는 팔 받침대(d, d')와; 상기 사각 수직관체(c)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팔 받침대 간격 조절 레버(e, e')와; 상기 양 팔받침 지지대(D) 하부 후방에 설치되는 팔받침 지지판(E) 및; 상기 수직기둥(b)의 하방측 후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실린더(b1) 및 실린더 모터(b2)로 구성되어 있다.The body rotating means A includes a rectangular tubular body a1 welded to an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rear chain sprocket 700 and a horizontal tubular body a2 made of a square column a2, A vertical column b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 by welding; a rectangular vertical tubular body c for inserting the vertical column b; (D) and a pair of armrests (d, d ') installed on both armrests (D); a safety means (B)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column (b) Arm rest spacing levers (e, e ')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ectangular vertical tube (c); An arm support plate (E) install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both arm support arms (D); And a height adjusting cylinder b1 and a cylinder motor b2 provid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vertical column b.

상기 팔 받침대(d')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로 들리어 젖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측면에서 좌판(500)에 올라앉기에 편리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e armrest d 'is configured to be til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for the user to sit on the seat 500 on the side.

그리고 상기 안전수단(B)은 상기 사각 수직관체(c)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 프레임(b3)과, 상기 연장 프레임(b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안전벨트 설치대(b4, b4')와, 상기 안전벨트 설치대(b4, b4')에 걸기는 고리(b5)와 끈(b6)을 구비하는 몸통벨트(b7) 및, 상기 수직기둥(b)의 상부 전면에 설치된 숍압쇼바(b8)로 구성되어 있다.The safety means B includes an elongated frame b3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vertical tubular body c and safety belt mounting b4 and b4 A body belt b7 having a ring b5 and a strap b6 which are fastened to the seatbelt installation b4 and b4 ' b8).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ower body and the body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하체 및 몸통 운동을 하고자하면, 먼저 사용자가 팔 받침대(d')를 90°로 들어 젖힌(도 7 참조) 다음 측면에서 좌판(500)에 올라앉아 팔 받침대(d')를 원위치 시키고, 팔 받침대 간격 조절 레버(e, e')에 있는 너트(e")를 조이거나 풀어 팔 받침대(d, d')의 간격을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절한다. 이어서 팔 받침대(d')에 설치된 스위치(도시 않음)를 조작한다. 그러면, 실린더 모터(b2)가 작동하여 상기 수직기둥(b)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어 그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When the user wants to exercise the lower body and the body using the lower body and the body exerci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first places the arm rest (d ') at 90 degrees on the next side (see FIG. 7) (d '), and the nut (e ") on the armrest spacing lever (e, e') is tightened or loosen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armrests (d, d ' The cylinder motor b2 is operated to raise or lower the vertical column b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column b.

상기 수직기둥(b)의 높이 조절이 끝나면, 팔 받침대(d')에 설치된 스위치(도시 않음)를 조작하여 숍압쇼바(b8)를 동작시켜 안전벨트 설치대(b4, b4')가 하향으로 내려오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몸통벨트(b7)를 착용한다. When the height of the vertical column b is adjusted, the shop pressure switch b8 is operated by operating a switch (not shown) provided on the arm rest d 'so that the seat belt rests b4 and b4' descend downward In this state, the user wears the body belt b7.

이어서 양발을 각각 발판(902, 902')에 위치시켜 종아리 보호대(903)를 양측 종아리에 착용하고, 팔 받침대(d')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숍압쇼바(b8)를 동작시켜 설치대(b4, b4')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엉덩이가 좌판(500)에서 떨어지도록 한다.Next, the two legs are placed on the foot plates 902 and 902 ', the calf protector 903 is worn on both side calves, the switch provided on the arm rest d' is operated to operate the shop pressure shock absorber b8, b4 and b4 'are moved upward so that the user's hips are separated from the seat plate 500. [

이어서, 사용자가 발판(902, 902')를 밟아서 페달(900)을 작동시키면, 사각기둥(301, 301')이 교대로 사각 관체(201, 201') 내를 전 후진하면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체인(800)이 회전하면서 전후방 체인스프로킷(600, 700)을 회전시키고,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의 회전에 따라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회전수단(A)이 일정 각도로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하체 및 몸통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user steps on the foot plates 902 and 902 'to actuate the pedal 900, the quadrangular pillars 301 and 301' alternately move linearly while advancing and retracting within the rectangular tubular bodies 201 and 201 ' The chain sprockets 600 and 700 are rotated while the chain 800 rotates to rotate the front and rear chain sprockets 600 and 700 and the body rotating means A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user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an angle so that the lower body and the torso movement of the user are performed.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설치대 101 : 가로 프레임
101' : 세로 프레임
102, 102' : 좌우측 수직 프레임
200 : 슬라이딩 레일 201, 201' : 사각 관체
300 : 이동대 301, 301' : 사각기둥
302 : 롤러 303 : 브라켓
400 : 좌판 설치용 프레임 500 : 좌판
600 : 전방 체인스프로킷 601 : 수평 설치대
700 : 후방 체인스프로킷 800 : 체인
900 : 페달 901 : 수직 프레임
902, 902' : 발판 903 : 종아리 보호대
A : 몸통회전수단 a : 수평 프레임
a1 : 사각 관체 a2 : 사각기둥
b : 수직기둥 B : 안전수단
b1 : 높이조절 실린더 b2 : 실린더 모터
b3 : 연장 프레임 b4, b4' : 안전벨트 설치대
b5 : 고리 b6 : 끈
b7 : 몸통벨트 b8 : 숍압쇼바
c : 사각 수직관체 D : 팔받침 지지대
d, d' : 팔 받침대 E : 팔받침 지지판
e, e' : 팔 받침대 간격 조절 레버 e" : 너트
100: Mounting base 101: Horizontal frame
101 ': Vertical frame
102, 102 ':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200: sliding rail 201, 201 ': square tube
300: Moving stand 301, 301 ': Square pillar
302: roller 303: bracket
400: frame for mounting the stool 500:
600: Front chain sprocket 601: Horizontal mounting
700: Rear chain sprocket 800: Chain
900: Pedal 901: Vertical frame
902, 902 ': Foot plate 903: Calf guard
A: body rotating means a: horizontal frame
a1: square tube a2: rectangular column
b: Vertical column B: Safety means
b1: Height adjusting cylinder b2: Cylinder motor
b3: Extension frame b4, b4 ': Seatbelt stand
b5: ring b6: string
b7: Body belt b8: Shop pressure Shoba
c: square vertical tube D: arm support
d, d ': armrest E: armrest
e, e ': Arm rest adjustment lever e ": Nut

Claims (7)

바닥에 놓이는 가로 세로 프레임(101, 101') 상에 용접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0)와; 상기 설치대(100)의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 상단에 전후 길이방향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슬라이딩 레일(2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을 따라 전후로 직선 운동하는 이동대(300)와;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102, 102') 사이 가로 프레임(101) 상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과; 상기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좌판(500)과; 상기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수직 프레임(102)과 좌판 설치용 프레임(400)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 설치대(601)에 설치대는 전방 체인스프로킷(600)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체인스프로킷(700)과; 상기 전후방 체인스프로킷(600, 700)을 연결하는 체인(800)과; 상기 체인(800)에 브라켓(303)을 통해 연결된 이동대(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동대(3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페달(900) 및; 상기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의 축 상단에 고정되어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교대로 회전하는 몸통회전수단(A)으로 구성된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2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사각 관체(201, 201')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대(300)는 상기 사각 관체(201, 201') 내를 직선운동하는 사각기둥(301, 301')과, 상기 사각기둥(301, 30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롤러(302) 및; 상기 체인(800)과 고정되는 브라켓(30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체인스프로킷(600)은 사각 관체(201, 201') 사이와 양측 수평 설치대(601) 사이에 축의 상하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설치되고,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은 상기 사각 관체(201, 201') 사이와 양 가로 프레임(101) 후방 사이에 축의 상하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페달(900)은 사각기둥(301, 301') 각각의 전방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901)과, 상기 수직 프레임(901)에 설치되는 발판(902, 902')과, 상기 사각기둥(301, 301')의 전방 외측면에 설치되어 페달(900)을 밟는 사용자의 양측 종아리의 측면을 보호하는 종아리 보호대(90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100) consisting of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102 ') welded and fixed on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101, 101') lying on the floor; A sliding rail 200 welded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and 102 'of the mounting table 10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movable table 300 linearly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ing rail 200; A left panel mounting frame 400 welded on the horizontal frame 101 between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02, 10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 seat plate 500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 mounting frame 400; In the horizontal mounting table 601 fixed by welding between the left vertical frame 102 and the left panel mounting frame 400 positioned on the left side, the mounting table includes a front chain sprocket 600; A rear chain sprocket 7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liding rail 200; A chain 800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chain sprockets 600 and 700; A pedal 900 installed in front of the moving table 300 connected to the chain 800 through a bracket 303 to move the moving table 300 back and forth; And a body rotating means (A) fixed to an upper end of a shaft of the rear chain sprocket (700) and rotated alternately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liding rail 200 is composed of rectangular tubular members 201 and 201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The moving base 300 includes a rectangular column body 201 and 201' (301, 301 '), rollers (302)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quadrangular columns (301, 301'), And a bracket (303) fixed to the chain (800);
The front chain sprocket 6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hafts are rotatably fixed between the rectangular tubes 201 and 201 'and the both side horizontal mounting tables 601, and the rear chain sprockets 700 are installed between the rectangular tubular bodies 201, 201 'and the rear of both the horizontal frames 101 so as to be rotatable;
The pedal 900 includes a vertical frame 90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each of the rectangular pillars 301 and 301 ', a foot plate 902 and 902' provided on the vertical frame 901, And a calf guard (903) provided on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pillars (301, 301 ') for protecting the sides of the calves on both sides of the user pressing the pedal (9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회전수단(A)은 상기 후방 체인스프로킷(700)의 축 상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사각 관체(a1)와 사각 관체(a1) 내에서 이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사각기둥(a2)으로 이루어지는 수평 프레임(a)과, 상기 수평 프레임(a)의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직기둥(b)과, 상기 수직기둥(b)을 삽입하는 사각 수직관체(c)와, 상기 사각 수직관체(c)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전수단(B)과, 상기 수직기둥(b) 하단부 좌우에 고정되는 팔받침 지지대(D)와 상기 양 팔받침 지지대(D)에 설치되는 팔 받침대(d, d')와; 상기 사각 수직관체(c)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팔 받침대 간격 조절 레버(e, e')와; 상기 양 팔받침 지지대(D) 하부 후방에 설치되는 팔받침 지지판(E) 및; 상기 수직기둥(b)의 하방측 후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 실린더(b1) 및 실린더 모터(b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rotating means (A) comprises a rectangular tubular body (a1) welded to an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rear chain sprocket (700) (c) for inserting the vertical column (b), and a vertical frame (b) for fixing the horizontal frame (a) A safety means B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vertical tube c; an arm support base 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olumn b; and an arm support d, d '); Arm rest spacing levers (e, e ')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ectangular vertical tube (c); An arm support plate (E) install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both arm support arms (D); And a cylinder b1 and a height adjusting cylinder b1 provided on a lower rear side of the vertical column b.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팔 받침대(d')는 90°로 들리어 젖혀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측면에서 좌판(500)에 올라앉기에 편리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6. The lower body and body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rmrest (d ') is configured to be tilted by 90 degrees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it on the seat (500) from the sid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수단(B)은 상기 사각 수직관체(c)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 프레임(b3)과, 상기 연장 프레임(b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안전벨트 설치대(b4, b4')와, 상기 안전벨트 설치대(b4, b4')에 걸기는 고리(b5)와 끈(b6)을 구비하는 몸통벨트(b7) 및, 상기 수직기둥(b)의 상부 전면에 설치된 숍압쇼바(b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afety means includes an elongated frame b3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vertical tubular body c, A body belt b7 having a mounting base b4 and b4 'and a ring b5 and a strap b6 which are fastened to the seatbelt mounting b4 and b4' And a shop pressure shock absorber (b8)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KR1020120088472A 2012-08-13 2012-08-13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KR101525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72A KR101525225B1 (en) 2012-08-13 2012-08-13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72A KR101525225B1 (en) 2012-08-13 2012-08-13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920A KR20140021920A (en) 2014-02-21
KR101525225B1 true KR101525225B1 (en) 2015-06-04

Family

ID=5026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472A KR101525225B1 (en) 2012-08-13 2012-08-13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2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8670C2 (en) 2017-07-18 2022-03-24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Иванов Multifunctional posture correction trainer
CN110812791B (en) * 2019-11-18 2020-09-29 北华大学 A pre-track and field warm-up equipment
CN112891840B (en) * 2021-01-26 2022-03-18 吉林师范大学 A combination formula sports trainer for belly and shank training
CN113940860A (en) * 2021-11-23 2022-01-18 中国人民解放军联勤保障部队第九八〇医院 A kind of active exercise equipment for stroke patients
CN114849165B (en) * 2022-04-22 2024-02-09 南京林业大学 Multifunctional physical exercise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386A (en) * 2003-04-01 2004-10-16 염락호 Health machine using pedals
KR20050050041A (en) * 2003-11-24 2005-05-27 최윤석 Exercising apparatus to train trunk
KR20100101518A (en) * 2010-01-20 2010-09-17 김산 Whole body training device
KR200450904Y1 (en) * 2010-03-22 2010-11-09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Upper and lower body combined movement stepper exercise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386A (en) * 2003-04-01 2004-10-16 염락호 Health machine using pedals
KR20050050041A (en) * 2003-11-24 2005-05-27 최윤석 Exercising apparatus to train trunk
KR20100101518A (en) * 2010-01-20 2010-09-17 김산 Whole body training device
KR200450904Y1 (en) * 2010-03-22 2010-11-09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Upper and lower body combined movement stepper exercis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920A (en)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U2008328550B2 (en) A prone crawling exerciser
AU728476B2 (en) Apparatus for restoring the balance of the human body
US5529560A (en) Stretch therapy apparatus for physical fitness, rehabilitation and medical treatment
KR101135365B1 (en) Whole body exercise machine
US7090628B2 (en) Exercise apparatus
KR101282300B1 (en) Whole body exercise machine including circular orbit sporting equipment of waist
JP2010506608A (en) Exercise device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abductor contraction, variable leg / knee / thigh / torso and spinal cord decompression and method thereof
NO326332B1 (en) Exercise equipment for the disabled
KR101525225B1 (en)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CN106236508A (en) One crouches, sits, stands the three healthy training devicess of attitude lower limb
US20090176633A1 (en) Gluteus training device
JP6999953B2 (en)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device
AU201727291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EP2181687B1 (en) Exercise apparatus
KR101946783B1 (en) Manual stretching exercise equipment
EP2902078B1 (en) Equipment for treating and caring for the spinal column
JP4802336B2 (en)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KR102243602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KR20190029003A (en) The pelvis and spinal device for calibration of movement
WO2005053799A1 (en) Saddle for excercise apparatus and exercise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8237785A5 (en)
KR100921938B1 (en) Lumbar Abdominal Strength Exercise Equipment
CN206261793U (en) One kind is sleeping, seat, the vertical three healthy trainers of attitude lower limb
CN114712172A (en) Knee hyperextension with hip kyphosis type hemiplegic gait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