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350A -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350A
KR20100101350A KR1020090019800A KR20090019800A KR20100101350A KR 20100101350 A KR20100101350 A KR 20100101350A KR 1020090019800 A KR1020090019800 A KR 1020090019800A KR 20090019800 A KR20090019800 A KR 20090019800A KR 20100101350 A KR20100101350 A KR 2010010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storage
cargo
shelf
variabl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827B1 (ko
Inventor
윤종문
정주환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라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라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라커
Priority to KR102009001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82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를 가지는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을 결합 혹은 분리하는 가변선반이 구비된 가변형 보관함부, 상기 도어와 상기 가변선반의 개방 혹은 폐쇄에 따른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감시부 및 각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화물의 입고 혹은 출고시 수신되는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선반의 상기 분리 혹은 결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은 한정된 보관함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대형화물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선반의 상태정보를 통해 가변선반의 결합 및 분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비정상적인 가변선반의 이용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무인 운용 시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와 관리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관함, 가변선반, 화물, 도어, 배달

Description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SYSTEM AND CUSTODY METHOD FOR PARCEL CUSTODY HAVING VARIABLE SHELF}
본 발명은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부피가 큰 대형화물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소형 보관함을 결합하여 대형 보관함으로 변경하고, 보관이 끝나면 다시 소형 보관함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함 및 그 보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관함은 물품을 간직하고 관리하기 위해 넣어두는 일정한 크기의 상자를 의미하고, 보관 시스템은 다수의 보관함을 구비하고 일정한 시간 동안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공동주택이나 지하철과 같은 역사내의 일부 공간에 택배화물(이하, 화물이라 약칭함) 수령자가 부재중일 경우 배달된 화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수령인이 편리한 시간에 화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고, 화물을 발송할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화물을 보관하여 발송자와 배달자(택배기사)간의 화물을 중계해 주는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무인화물중계시스템이라고도 함)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은 발송자와 배달자 및 수령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한 시간에 화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나아가, 각종 인증시스템 및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배송상황을 통지하는 등의 향상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은 화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보관함이 구비될 수 있으나, 대형화물--하나의 보관함에 수납되지 않는 크기의 화물--의 보관은 보관함 크기의 한계 또는 대형보관함의 수 가 많지 않아서 보관하기 어렵다. 이는 무인화물 보관 시스템이 시설되는 장소(공간)가 제한적이고 대형화물의 보관이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보관함의 시설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제한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고 대형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가변형 보관함이 제안되었다.
가변형 보관함은 인접한 복수의 보관함 사이에 가변형 선반(이하, '가변선반' 이라 칭함)을 구비하고, 가변선반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복수의 보관함(수납공간)이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관함을 말한다.
예컨대, 종래의 무인화물 보관 시스템에 가변형 보관함을 적용한 경우 상기 가변선반이 개방 및 폐쇄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달자가 인접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문이 열리면 가변선반을 위로 들어올려 상단의 고정장치에 고정시켜 개방한다. 그러면, 각각 독립된 상기 복수의 소형 보관함이 하나의 대형 보관함으 로 결합되어 대형화물을 보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대형화물의 수령자가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대형화물이 보관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문이 열린다. 수령자는 상기 대형화물을 꺼내고 상기 상단의 고정장치에 고정된 가변선반을 다시 아래쪽으로 내려서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되었던 하나의 대형 보관함이 각각 독립된 복수의 소형 보관함으로 분리된다.
이처럼 가변형 보관함은 가변선반을 통해 결합 혹은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한된 환경에서도 대형화물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가변형 보관함의 경우 상기 배달자는 대형화물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가변선반을 조작하여 대형화물을 보관하지만, 수령인은 이미 화물을 꺼낸 후이기 때문에 가변선반을 원위치 시켜놓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즉, 수령인이 화물을 보관함에서 꺼낸 후, 개방된 가변선반을 원위치(폐쇄) 시켜놓지 않으면, 복수의 보관함이 결합상태가 계속 유지되거나 무인화물중계시스템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화물의 보관을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소형 보관함을 결합하여 대형 보관함으로 변경하고, 대형화물의 보관이 끝나면 다시 소형 보관함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변선반의 비정상적인 개방을 감시하여 화물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를 가지는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결합 혹은 분리하는 가변선반이 구비된 가변형 보관함부; 상기 도어와 상기 가변선반의 개방 혹은 폐쇄에 따른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감시부; 및 각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화물의 입고 혹은 출고시 수신되는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선반의 상기 분리 혹은 결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물의 입고시 선택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가변선반이 개방된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이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화물의 출고시 선택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가변선반이 폐쇄되지 않으면 상기 가변형 보관함을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의 화물 입출고 방법은,
a) 발송자로부터 전기적으로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를 가지는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결합하기 위해 가변선반이 개방되는 단계; b) 상기 도어와 상기 가변선반의 개방 혹은 폐쇄에 따른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가변선반이 개방된 경우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을 결합된 하나의 대형 보관함으로 인식하고 관리하는 단계; c) 수령자 정보 혹은 화물정보를 이용한 수령자 인증에 성공하면 결합된 상기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화물이 수령된 후 상기 결합된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가변선반이 폐쇄되는 단계; 및 d) 상기 가변선반의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가변선반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가변선반의 폐쇄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외부로 출력하여 상기 가변선반의 폐쇄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가변선반의 개방에 따른 경고방법은,
a) 전기적으로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를 가지는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과 상기복수의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결합 혹은 분리하는 가변선반이 개방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확인결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잠긴(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비정상적인 가변선반의 개방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은 한정된 보관함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대형 화물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변선반의 상태정보를 통해 가변선반의 결합 및 분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비정상적인 가변선반의 이용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무인 운용 시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와 관리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선반의 개폐 상태정보와 해당하는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비 정상적인 가변선반의 개방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함으로써 화물의 도난 및 분실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은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부(100), 보관함 제어부(200), 입력부(300), 중앙 처리부(400) 및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가변형 보관함부(100)는 일정한 수납공간과 전기적 신호를 통해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door)가 구비된 다수의 가변형 보관함(110-1,110-2,110-3,110-4) 및 각각 인접한 가변형 보관함 사이에 위치하여 수납공간을 분리 및 결합하는 가변선반(120-1,120-2,120-3)을 포함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통하여 가변형 보관함부(1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 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부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부(100)를 상하로 인접한 가변형 보관함(110)과 각각의 가변형 보관함(110)사이에 가변선반(120)이 구비된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2는 가변형 보관함(110)들의 가변선반(120)을 조작하여 상하에 인접한 가변형 보관함(110)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A)->(B)->(C) 단계로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발송자 혹은 배달자)의 대형화물을 보관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로써 가변형 보관함(110)의 도어(111)을 여는 (A)단계, 가변선반(120)을 도어(111)이 열린 바깥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B)단계 및 가변선반(120)을 90도 회전시켜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C)단계를 통해 각각의 가변선반(120)을 개방시킴으로써 가변형 보관함(110)들을 결합한다.
이처럼, 가변형 보관함(110)은 가변선반(120)의 개폐구조를 통해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그러한 구조로 인해 화물의 도난 혹은 분실의 위험성이 충분히 고려 되어야만 한다.
이 때, 상기 (A) 단계에서 가변선반(120)은 자신에 해당되는 상하 보관함의 도어(111)이 모두 열려야지만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에서와 같이 제1 가변선반(120-1)의 두께가 제1 가변형 보관함(110-1)과 제2 가변형 보관함(110-2)의 도어(111) 경계에 걸쳐지게 형성하여 하나의 도어(111)가 열리더라도 닫혀진 다른 하나의 도어(111)에 의해 후진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도어(111)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1 가변선반(120-1)이 후진되는 상기 (B)단계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가변선반(120)을 개방할 수 없다.
반면, 사용자(배달자 혹은 수령자)가 본인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대형화물을 획득한 후 가변선반(120)을 폐쇄시키는 단계는 역순((C)->(B)->(A))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A) 단계는 가변형 보관함(110)의 도어(111)을 모두 닫는 단계가 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가변선반(120-1)의 개폐상태 신호를 감시하고 그 여부에 따라 정상적인 가변형 보관함(110)의 분리 여부를 판단 및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다음,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110)의 내부구성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110)의 내부구성은 가변선반(120)과 가변선반(120)의 개폐동작을 위한 구성 요소로서, 회 전 프레임부(112), 개방 프레임부(113), 폐쇄 프레임부(114) 및 회전부(115)를 포함한다.
가변선반(120)은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사이에 구성되는 사각의 선반으로 일측 끝단인 제1 단부(121)가 회전 프레임부(112)와 회전부(115)를 통해 결합되어 수직 혹은 수평으로 회전(90도)할 수 있다. 그리고, 반대쪽 끝단인 제2 단부(122)가 폐쇄 프레임부(114)에 고정되어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을 각각 분리하거나 개방 프레임부(113)에 고정되어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 및 결합은 가변형 보관함(110)들의 내부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거나 결합함을 의미하며, 동시에 제어부(410)가 각각의 도어(111)을 분리된(독립된) 동작으로 제어하거나 결합된 동작으로 제어하게 됨을 의미한다.
가변선반(120)의 제2 단부(122)에는 사각의 관으로 형성된 잠김몸체(123)와 그 양측면에 길이방향의 관통홈(124)이 구성된다. 그리고, 잠김몸체(123)의 상면으로부터 연장지게 형성된 지지바(bar)(125)가 형성되어 폐쇄 프레임부(114)의 상면에 거치되는 형태로 선반을 지지한다.
회전 프레임부(112)는 사각의 막대형상 프레임으로 가변형 보관함(11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며, 회전부(115)를 통해 가변선반(120)의 제1 단부(121)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115)는 일종의 경첩과 같은 역할을 하며,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가변선반(120)과 회전 프레임부(112)의 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변선 반(120)의 회전축인 힌지부(115a)와 가변선반(120)의 전진과 후진을 위한 샤프트(115b), 후진된 가변선반(120)을 전진시키는 탄성 스프링(115c) 및 이를 지지하는 멈춤링(115d)을 포함한다.
개방 프레임부(113)는 회전 프레임부(112)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가변형 보관함(110)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개방된 가변선반(120)을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쇠(113a)를 포함한다.
제1 고정쇠(113a)는 가변선반(120)의 대응하는 관통홈(124)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 고정하며, 관통홈(124)이 삼각구조의 일정한 경사면을 슬라이딩하여 제1 고정쇠(113a)의 홈에 결합된다.
폐쇄 프레임부(114)는 회전 프레임부(112)와 수평으로 대응하는 가변형 보관함(110)의 반대 측면에 고정되며, 폐쇄된 가변선반(120)을 수평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쇠(114a)를 포함한다.
제2 고정쇠(114a)는 제1 고정쇠(113a)와 마찬가지로 가변선반(120)의 대응하는 관통홈(124)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 고정하되, 제2 고정쇠(114a)의 홈은 적어도 제1 고정쇠(113a)의 홈보다 더 깊게 형성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임의로 가변선반(12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폐쇄 프레임부(114)의 상부에는 가변선반(1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가변선반 센서(114b)가 형성된다. 예컨대, 가변선반 센서(114b)는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일 수 있으며 가변선반(120)의 개폐상태에 따라 지지바(125)에 의해 눌려지며, 그 여부에 따라 개방상태신호 혹은 폐쇄상태신호를 생성 하여 보관함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각 프레임부(112, 113, 114)는 용접을 통하여 보관함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보관함 제어부(200)는 화물 보관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보관함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각각의 가변형 보관함(1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도어(111)을 열거나 잠그는 전기정(개폐장치) 신호 처리부(210)와 가변형 보관함(110)의 도어(111)와 가변선반(120)의 개방 혹은 폐쇄에 따른 상태(센서)신호를 검출하는 센서 감시부(220)를 포함한다. 즉, 센서 감시부(220)는 각각의 가변형 보관함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서 도어(111)의 열리고 닫힌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입력부(300)는 사용자(발송자, 배달자, 수령자 등)로부터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사용자 정보 및 요구사항 등을 입력 받는 역할을 하며, 키입력부(310), 카드리더부(320) 바코드부(330) 및 카메라부(34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310)는 사용자 키를 입력하는 수단으로 모니터 표면에 부가되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한다.
카드리더부(320) 사용자의 신용결제 및 인증을 위한 마그네틱카드 및 스마트 카드 등을 인식하는 역할하고, 바코드부(330)는 사용자의 화물 혹은 배송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부(340)는 동작감시센서를 통해 화물 보관 시스템에 접근한 사람을 촬영하거나 화물 보관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중앙 처리부(400)는 화물 보관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부(410), 화물 보관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프로세스 및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420) 및 원격지에서 각지에 분산된 화물 보관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30)를 포함한다.
제어부(410)는 일반 보관함 및 가변형 보관함의 상태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인증 및 결제 그리고 각 보관함에 대한 도어(111)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시스템 운용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410)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이 선택된 경우 해당 가변형 보관함(110)의 도어(111)들을 열어주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들이 결합된 상태로 관리한다. 따라서, 결합된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들은 상호 연관되게 동작하게 된다.
특히, 제어부(410)는 보관함 제어부(200)의 센서 감시부(220)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도어(111)의 열림/잠김 정보, 가변선반(120)의 개폐정보, 그리고 공지된 내용으로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으나 보관함 내의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 등의 화물 감지신호 등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가변형 보관함(110)을 관리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화물을 수령한 후 가변선반(120)을 원래의 위치인 폐쇄 프레임부(114)에 고정하지 않고 도어(111)를 닫는 경우 이에 대한 상태정보를 체크하여, 가변선반(120)을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도록 출력부(50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도어(111)가 잠긴 상태에서 가변선반(120)이 개방된 상태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정상적인 사용에 대한 이벤트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출력 부(500)를 통해 경보를 울리는 한편, 미리 입력된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즉, 불순한 목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가변선반(120)을 개방한 경우 가변선반 센서(114b)의 버튼이 해제되어 도어(111)가 잠긴 상태에서 비정상적으로 가변선반(120)이 개방되었음을 알림으로써 고객의 화물 도난 및 절도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 화물 보관 서비스에서 특히, 가변형 보관함(110)에서 취약할 수 있는 고객 화물 보관의 안정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변형 보관함(110)을 선택한 사용자가 해당 가변선반(120)을 개방하지 않고 도어(111)를 모두 닫은 경우, 화물 감지신호에 따라 화물이 보관된 가변형 보관함(110)에 화물이 보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저장부(420)는 화물 보관 시스템 운용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와 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정보, 운송 가능한 도착지 정보, 입출고 정보, 결제정보 및 촬영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430)는 유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서버와 연동하며 화물 보관 시스템의 운용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관리서버로 제공하거나 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등록정보를 검색하는 한편, 관리서버를 경유하여 택배사 서버(미도시)등과 서비스 운용에 요구되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출력부(500)는 표시부(510), 프린터(520) 및 스피커(530)를 포함한다.
표시부(510)는 화물 보관 시스템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 입력상황, 처리상황 및 처리결과 등의 다양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프로세서에 따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이다.
프린터(520)는 상기 다양한 정보와 관련된 기록 및 영수증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스피커(530)는 상기 다양한 정보에 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스피커(530)는 사용자의 비정상적인 이용에 대한 이벤트 경고메시지 혹은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에서의 화물 입고 및 출고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의 화물 입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입고 절차의 개시는 발신자의 입력부(300) 조작에 따른 개시신호 입력(예; 안내화면 상에서 배송화물 보관 버튼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다(S501).
화물 보관 시스템의 제어부(410)는 사용 가능한 유휴 보관함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502),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휴 보관함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 전달과 함께 화물 보관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유휴 보관함이 존재하는 경우 화물정보와 화물의 수령자 정보를 입력받는다(S503). 이 때 상기 화물정보 및 화물의 수령자 정보는 키입력부(31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바코드부(3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수령자 정보는 수령자 이름, 주소, 전화(휴대폰)번호, 주민등록번호, 미리등록된 스마트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화물정보는 배송코드 정보, 화물의 종류 정보, 화물의 크기 및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령자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화물 보관 시스템의 표시부(510)를 통해 사용 가능한 유휴 보관함을 표시하고, 그 중 입고하고자 하는 화물의 크기에 맞는 크기의 보관함을 선택 받는다(S504).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 선택화면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표시부(510)에서 제공하는 보관함 선택 화면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인접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②+③+④)이 입력되면, 선택된 가변형 보관함(110)들의 도어(111)를 해제하여 개방한다(S505).
이어서, 가변선반(120)이 소폭 후진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고정되면, 제어부(410)는 센서 감시부(220)를 통해 가변선반(120)의 개방 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상태정보를 수신한다(S505).
또한, 대형화물의 수납이 완료된 후 도어(111)가 닫힘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를 알리는 상태정보와 보관함 내의 화물감지 상태정보를 수신한다(S506).
그런 다음, 가변선반(120)이 모두 정상적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07), 모두 개방되었으면 이후, 제어부(410)는 도어(111)가 개방된 가변형 보관함(110)(②+③+④)들을 결합된 하나의 대형 보관함으로 인식하고(S508), 보관화물의 보관사실을 결합된 가변형 보관함(110)과 대응시켜 저장부(S509)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 S507 단계에서 하나의 가변선반(120)이 개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화물감지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보관함은 제외하고(S510), 상기 S508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의 화물 출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출고 절차의 개시는 수령자의 입력부(300) 조작에 따른 개시신호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다(S801).
그리고, 입고시 입력된 상기 수령자 정보 혹은 화물정보를 바탕으로 수령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여(S802),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결합된 가변형 보관함(110)들의 도어(111)를 모두 개방한다(S803).
다음, 수령자가 물품을 꺼내어 수령하고(S804), 수직으로 고정된 가변선반(120)을 회전시켜 원래의 폐쇄 프레임부(114)에 수평으로 고정하여 해당 가변선반(120)을 모두 폐쇄한다(S805).
이 때, 제어부(410)는 센서 감지부(220)로부터 가변선반(120)의 폐쇄 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수신된 상기 상태정보를 토대로 상기 결합된 가변형 보관함(110)들에 해당하는 가변선반(120)이 모두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적으로 모두 폐쇄된 경우 결합된 가변선반(120)이 분리된 것으로 인식한다(S807). 그리고, 저장부(420)에서 각 가변형 보관함(110)의 보관사실을 삭제함으로써 유휴상태로 전환한다(S808).
반면, 상기 S8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가변선반(120)이 모두 폐쇄되지 않은 경우 가변선반(120)의 폐쇄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리고, 가변선반(120)의 재조작을 요구하는 안내를 출력한다(S809).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은 한정된 보관함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대형화물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변선반의 상태정보를 통해 가변선반의 결합 및 분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비정상적인 가변선반의 이용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무인 운용 시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와 관리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의 비정상적 가변선반(120) 개방에 따른 경고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적 가변선반 개방에 따른 경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은 무인 운용 시설로써 외부의 물리적 공격에 취약할 수 있으며, 특히, 가변선반(120)은 그 용도가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110)의 공간을 스위칭(결합/분리)하는 용도로 기존 보관함의 선반에 비해 선반을 분리(폐쇄) 고정하는 부분이 취약할 수 있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의 제어부(410)는 시스테의 정상적인 운용 상태를 감시한다(S901).
그러던 중 제어부(410)가 센서 감시부(220)로부터 가변선반(120) 개방 상태정보를 수신하면(S902), 가변선반(120)에 해당하는 상하 가변형 보관함(110)들의 도어(111)가 모두 개방된 상태인지 확인한다(S903).
이 때, 제어부(410)는 도어(111)가 모두 개방된 상태라면 정상적인 가변선반(120)의 개방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111)가 모두 개방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가변형 보관함(110)을 개방할 수 없으므로, 비정상적인 가변선반(120)의 개방임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경보를 발생한다.
따라서, 출력부(500)는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고(S905), 통신부(430)는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연락처로 이벤트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관리자 서버로 이벤트발생을 알릴 수 있다(S90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선반의 개폐 상태정보와 해당하는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비 정상적인 가변선반의 개방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함으로써 화물의 도난 및 분실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부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선반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의 화물 입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보관함 선택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보관 시스템의 화물 출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적 가변선반 개방에 따른 경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전기적으로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를 가지는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과 인접한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결합 혹은 분리하는 가변선반이 구비된 가변형 보관함부;
    상기 도어와 상기 가변선반의 개방 혹은 폐쇄에 따른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감시부; 및
    각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화물의 입고 혹은 출고시 수신되는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변선반의 상기 분리 혹은 결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물의 입고시 선택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가변선반이 개방된 상태를 확인하면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이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화물의 출고시 선택된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가변선반이 폐쇄되지 않으면 상기 가변형 보관함을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보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보관함은,
    상기 가변형 보관함부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선반의 회동을 위한 회전부를 통해 상기 가변선반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 프레임부;
    상기 회전 프레임부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일측면에 고정되며, 개방되는 상기 가변선반을 수직으로 고정하는 개방 프레임부;
    상기 회전 프레임부와 수평으로 대응하는 상기 가변형 보관함의 반대 측면에 고정되며 폐쇄되는 상기 가변선반을 수평으로 고정하는 폐쇄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상기 단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가변선반이 일정한 간격으로 후진 및 전진할 수 있도록 샤프트, 스프링 및 멈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보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프레임부는,
    상기 가변선반에 구비된 관통홈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쇠; 및
    상부에 상기 가변선반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가변선반 센서
    를 포함하는 화물 보관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키패드, 키보드, 카드리더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데이터와 화물의 보관정보를 기록하는 저장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서버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 는 통신부; 및
    상기 가변형 보관함 이용에 따른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청각적으로 표출하는 스피커 및 영수증을 출력하는 프린터를 갖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화물 보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대응하는 가변선반이 개방되면 이벤트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보관 시스템.
  6.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의 화물 입출고 방법에 있어서,
    a) 발송자로부터 전기적으로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를 가지는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결합하기 위해 가변선반이 개방되는 단계;
    b) 상기 도어와 상기 가변선반의 개방 혹은 폐쇄에 따른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가변선반이 개방된 경우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을 결합된 하나의 대형 보관함으로 인식하고 관리하는 단계;
    c) 수령자 정보 혹은 화물정보를 이용한 수령자 인증에 성공하면 결합된 상기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화물이 수령된 후 상기 결합된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가변선반이 폐쇄되는 단계; 및
    d) 상기 가변선반의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가변선반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가변선반의 폐쇄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외부로 출력하여 상기 가변선반의 폐쇄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물 보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가변선반이 폐쇄된 상태인 경우는,
    상기 화물의 보관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화물감지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이 보관된 가변형 보관함을 인식하여 관리하고, 비어있는 보관함은 유휴상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물 보관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가변선반의 개방은,
    상기 가변선반이 일정 간격 후진하여 폐쇄된 걸림 상태를 풀고 일측 단부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보관 방법.
  9.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가변선반의 개방에 따른 경고방법에 있어서,
    a) 전기적으로 열리거나 잠기는 도어를 가지는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과 상기복수의 가변형 보관함 간의 수납공간을 결합 혹은 분리하는 가변선반이 개방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가변형 보관함의 도어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확인결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잠긴(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비정상적인 가변선반의 개방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물 보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미리 설정된 시각적 및 청각적 이벤트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e)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연락처로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물 보관 방법.
KR1020090019800A 2009-03-09 2009-03-09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KR10121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00A KR101218827B1 (ko) 2009-03-09 2009-03-09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00A KR101218827B1 (ko) 2009-03-09 2009-03-09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350A true KR20100101350A (ko) 2010-09-17
KR101218827B1 KR101218827B1 (ko) 2013-01-18

Family

ID=4300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800A KR101218827B1 (ko) 2009-03-09 2009-03-09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8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9637B2 (en) 2012-04-09 2014-12-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Unmanned parcel storage apparatus capable of dynamically allocating storage spa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923617A1 (de) * 2014-03-25 2015-09-30 Burg-Wächter Kg Vorrichtung zur zustellung von waren
KR20220083956A (ko) * 2020-12-12 2022-06-21 (주)퍼니랜드 비대면 중고물품 현장 거래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대면 중고물품 현장 거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92B1 (ko) * 2020-10-16 2020-12-08 김동수 작업 난간의 개방 영역을 개폐하는 틸팅 게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32B1 (ko) * 2000-11-29 2007-11-08 강민수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KR100584523B1 (ko) * 2004-09-14 2006-05-30 삼경하이텍(주) 무인 우편물 접수기
KR100643199B1 (ko) * 2005-04-25 2006-11-10 주식회사 미래건설 택배도어를 포함하는 지능형 도어 시스템
JP2008037644A (ja) 2006-08-10 2008-02-21 Ntt Facilities Inc 配送物保管ボックス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9637B2 (en) 2012-04-09 2014-12-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Unmanned parcel storage apparatus capable of dynamically allocating storage spa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923617A1 (de) * 2014-03-25 2015-09-30 Burg-Wächter Kg Vorrichtung zur zustellung von waren
KR20220083956A (ko) * 2020-12-12 2022-06-21 (주)퍼니랜드 비대면 중고물품 현장 거래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대면 중고물품 현장 거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827B1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121B1 (ko) 택배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 수령 방법과 비밀번호 인증 방법
KR102264564B1 (ko) 스마트 메일박스, 스마트 메일박스 시스템 및 관련 방법
US9861221B2 (en) Package receiving systems and methods
US7525429B2 (en) Delivery notification system
US9245398B2 (en) Interactive door system to provide door access to a user
KR101995874B1 (ko)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BRPI0708164A2 (pt) sistema e método para entrega remotamente acompanhada
KR101218827B1 (ko)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KR101854077B1 (ko) 택배 보관함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159286A1 (en) Secure package delive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06974539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信包箱
JP2009273739A (ja) 物品収受装置
KR20120039150A (ko) 무인택배 시스템
KR20090079114A (ko) 무인 택배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1044850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4233564A (ja) 物品収受装置
WO2021092432A1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system
FR3044886A1 (fr) Systeme collectif de boites aux lettres et procede de gestion correspondant
JP5587813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4150806A (ja) 物品収受装置
JP2012071912A (ja) 宅配物荷受けシステム及び宅配ボックス装置
US11466506B2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JP2014086929A (ja) 集合住宅の居住者支援システム
JP7101571B2 (ja) 宅配ロッカー管理システム
KR20170110880A (ko) 공동주택용 1회용 멀티 비밀번호를 갖는 사물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