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755A -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감쇠시키기 위한, 단계적이고 가변적인 감쇠 특성을 갖는 감쇠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감쇠시키기 위한, 단계적이고 가변적인 감쇠 특성을 갖는 감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755A
KR20100100755A KR1020107007822A KR20107007822A KR20100100755A KR 20100100755 A KR20100100755 A KR 20100100755A KR 1020107007822 A KR1020107007822 A KR 1020107007822A KR 20107007822 A KR20107007822 A KR 20107007822A KR 20100100755 A KR20100100755 A KR 2010010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ston rod
throttle
damping
d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191B1 (ko
Inventor
가브리엘레 슈나이더
마르쿠스 허퍼
Original Assignee
그라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그라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10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20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the piston-rod extending through both ends of the cylinder, e.g. constant-volume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1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characterised by actuation means
    • F16F9/462Rotary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16F9/467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위한 감쇠 장치(10)는 하우징(12)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고 양측 상에 2개의 작업 챔버들(24; 26)을 형성하는 피스톤(14)을 포함하고, 작업 챔버들은 크기가 가변적이고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연결(overflow connection)을 통해 2개의 작업 챔버들(24; 26) 사이에 감쇠 매체의 조절된 이송을 허용하는, 유체 감쇠 매체로 채워진다. 밀폐된 방식으로 하우징으로부터 안내되는 피스톤 로드(28)는 피스톤(14)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로드의 외측 종단을 통하여, 감쇠되는 가구 부품의 이동은 피스톤으로 전달된다. 피스톤 로드 측의 작업 챔버(26) 반대편의 피스톤의 일측 상에는, 연장된 조정 샤프트(38)가 연결된다. 피스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조정 샤프트의 자유단은 또한 밀폐된 방식으로 하우징(12)으로부터 안내되고, 그 원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스로틀 디스크(46)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는 피스톤(14)의 전면에 인접해 있으면서 2개의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고, 오버플로우 연결을 구성하는 피스톤 통로 구멍(45)의 종단 영역에서 존재한다. 스로틀 디스크는 상이한 통로 단면을 갖는 복수 개의 리세스들을 포함하되, 상기 리세스들은 상호 간에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되고(offset), 상기 단면은 조정 샤프트(38)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는 통로 구멍(45)과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평면도에서 원형 경계를 가지며 적어도 방사상의 외측 엣지 영역에서 상호 간에 평행한 2개의 평면을 갖는, 스로틀 디스크(46)는 회전가능한 방법으로 피스톤(14) 상에 또는 피스톤 내에 고정되고 통로 구멍(45)과 정렬된 리세스들의 정렬 위치에서 의도하지않는 회전에 대하여 피스톤(14) 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감쇠시키기 위한, 단계적이고 가변적인 감쇠 특성을 갖는 감쇠 장치{DAMPING DEVICE WITH MULTISTAGE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FOR DAMPING OF MOVABLE FURNITURE PARTS}
본 발명은 감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이동된 위치의 함수로서 유체 감쇠 매체로 채워진 가변적인 크기의 2개의 작업 챔버들의 양측 상에 유체 감쇠 매체로 채워진 작업 챔버들을 형성하는 피스톤을 갖는, 가구의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의 이동을 감쇠시키는 위한 감쇠 장치에 관한 것이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연결을 통해 2개의 작업 챔버들 사이에서 감쇠 매체의 조절된 오버플로우를 가능하게 하되, 밀폐된 방식으로 하우징의 연관된 전면 종단으로부터 안내되는 피스톤 로드는 피스톤의 일측에 연결되고, 감쇠되는 가구 부품의 이동은 피스톤으로부터 떨어진 피스톤 로드의 외측 종단으로 전달되며, 피스톤 로드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연장된 조정 샤프트는 피스톤 로드 측 상의 작업 챔버의 반대편에서 피스톤의 측 상에 연결되고, 조정 샤프트의 자유단은 밀폐된 방식으로 피스톤 로드 측 상의 폐쇄된 종단면 반대편에 놓이는 하우징의 종단면으로부터 동일하게 안내되며, 조정 샤프트는 회전가능하게 피스톤 내에 위치되고, 2개의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고 오버플로우 연결을 형성하는 피스톤 통로 구멍의 종단의 영역에서 피스톤의 종단면에 인접해 있는 그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스로틀 디스크를 가지며, 스로틀 디스크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오프셋된(offset) 상이한 통로 단면을 갖는 복수 개의 리세스들을 구비하고, 조정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스톤 내에 형성되고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는 통로 구멍과 정렬될 수 있다.
가구 구조에서, 이러한 감쇠 또는 감속 장치는 예를 들어 몸체 상에 장착된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의 급격한 감속 동안에 캐비넷의 서랍의 폐쇄 또는 문의 격렬한 폐쇄 동안에 생성된 소음 또는 응력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상당히 감소를 제공한다. 감쇠 매체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점성 유체와 작용하는 감쇠 장치들(예를 들어, DE 103 00 732 A1)은 이들 유체 감쇠 매체가 실제로 압축가능하지 않아, 폐쇄된 위치가 도달된 후에 실제 폐쇄된 위치로부터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다시 어느 정도 이동시키고자 시도하는, 탄력성을 갖지 않는 기체 감쇠 매체와 작용하는 장치들 이상의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감쇠기들이 사용될 때,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의 감쇠를 위하여 생성되는 감쇠력은 또한 각각의 가구 부품의 질량 및 이의 폐쇄 속도에 따라, 상이한 감쇠 작업을 위하여 적절하게 요구된 감쇠 특성에 적용되는 상이한 감쇠기들이 필수적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개별적인 부품의 변경 또는 치환없이 상이한 감쇠 특성들에 적용가능하도록 이런 알려진 감쇠 장치들을 구성하기 위하여, 조정 샤프트 및 이에 따른 스로틀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스로틀 디스크에서 상이한 통로 단면을 갖는 복수 개의 리세스들 중 각각 하나는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는 피스톤 내의 통로 구멍과 정렬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감쇠 특성들이 미리 결정된 단계들의 수, 예를 들어 4 단계에서 가변적인 경우 및 서두에 언급된 방식으로 구성되는 감쇠 장치들(PCT/EP 2007/008461, 도 14 내지 도 21)이 제안되어 왔다. 미리 공지되지 않은 - 이런 감쇠 장치에서 - 각각 선택된 감쇠 단계에서 스로틀 디스크는 유효 잠금 결합(positive locking engagement)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회전에 저항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또다른 감쇠 단계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우선 인장 스프링의 초기 장력에 저항하는 조정 샤프트의 횡방향 변위에 의해 가능한, 회전에 저항하는 이런 잠금을 중단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런 종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어서 조정 샤프트는 원하는 감쇠 단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런 디자인은 설정된 감쇠 특성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는 변경에 저항하는 높은 안정성을 확실히 달성하나, 조정 작용 그 자체는 복잡하고 조정 샤프트의 이동 가능한 장착 및 프리텐션(pretension)의 작용에 대한 요구 때문에 구조에 상응하게 증가된 지출이 필수적인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감쇠 특성의 의도하지 않는 조정에 대하여 안정성의 감소 및 구조의 복잡성의 증가 없이 단지 조정 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감쇠 장치의 단계적인 변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알려진 감쇠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개발을 구현하는 것이다.
서두에서 언급된 형태의 감쇠 장치로부터 시작하여, 이런 목적은 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원형 경계를 갖고 적어도 방사상의 외측 엣지 영역에서 상호 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평평한 종단면들을 갖는, 스로틀 디스크가 피스톤 상에서 또는 피스톤 내에서 유지되고 조정 샤프트의 종방향 중앙축의 방향으로 종방향 변위에 대하여 고정되며, 피스톤 내에서 통로 구멍과 정렬된 리세스들 각각의 정렬 위치에서 의도하지 않는 회전에 대하여 스로틀 디스크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구성은 스로틀 디스크가 조정 샤프트가 통과하는 피스톤의 작업 챔버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어링 돌기를 갖고, 베어링 돌기는 그 원주에 대하여 탄력있게 가압되고 피스톤 상에 위치된 2개의 스프링 아암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구체예는 베어링 돌기가 원형 단면으로부터 벗어나고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번갈아 형성되는 둥근 돌출부들 및 리세스들을 구비하는 단면을 갖고, 이어서 스프링 아암들이 베어링 돌기의 원주면에 대하여 맞물리기 위하여 형성된 각각 접촉 영역들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어서 조정 샤프트의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 돌기와 스프링 아암들 사이에서 만연한 마찰이 극복되어야만 할 뿐 아니라 조정 샤프트가 회전될 때 최대 휨이 극복된 후에 감쇠 특성의 다음 단계로 할당된 위치로 다시 튀어오를 때까지 스프링 아암들은 스프링 프리텐션의 추가적인 증가로 휘어져야만 한다.
이런 경우에, 스로틀 디스크 및 베어링 돌기는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 측 상에서 조정 샤프트의 종단은 회전가능하지 않게 스로틀 디스크에 연결된다.
또한, 베어링 돌기는 피스톤 로드 상에 위치되고 회전가능하지 않게 스로틀 디스크를 통과하는 조정 샤프트의 종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어서 선택된 정렬 위치에서 원치않는 회전에 대하여 스로틀 디스크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스로틀 디스크를 향하는 스프링 아암들의 경계면 및 스프링 아암을 향하는 스로틀 디스크의 표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상호 간에 오프셋되어 맞물린 래칭 돌출부들 또는 래칭 리세스들에 의해 형성되고, 래칭 돌출부들 또는 래칭 리세스들의 수, 및 스로틀 디스크의 리세스들에 대한 그 배열은, 적어도 하나의 래칭 돌출부가 연관된 래칭 리세스에 결합될 때, 각각의 경우에 피스톤의 종단면을 향하는 스로틀 디스크의 종단면에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는 피스톤 내의 통로 구멍과 정렬되도록 선택된다.
피스톤 스트로크(piston stroke)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베어링 돌기 상에서 탄력있게 가압되는 스로틀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스프링 아암들의 경계면들이 피스톤 로드 측 상의 피스톤의 종단 위로 돌출되지 않는 양만큼, 조정 샤프트가 통과하는 작업 챔버의 방향으로 피스톤 로드 측 상의 피스톤의 종단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계단모양 방식으로, 조정 샤프트로부터 떨어진 피스톤의 종단면 상에서 스로틀 디스크의 접촉 영역이 후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에, 스프링 아암들은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종단면 상에서 스로틀 디스크의 접촉 영역에 평행하게 스로틀 디스크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피스톤에 부착되고, 실제로 이런 경우에는, 스프링 아암들은 피스톤의 일체형 부품이다.
예를 들어 회전 노브(rotary knob)로서 구성된 핸들은 조정 샤프트의 샤프트 직경에 대하여 직경이 확대되고, 회전 노브의 원주면은 바람직하게는 그루브(groove)들 또는 널링(knurling)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또다른 구체예에서,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 피스톤은 타원형이거나 원호에 의한 그 종단들에서 폐쇄된 2개의 평행한 직선 경계들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부터 벗어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감쇠 장치의 하우징의 이런 소위 "압축된" 단면 형상으로 인해, 또한 감쇠 장치는 상호 간에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 사이에서 단지 작은 간격이 존재하는 가구의 이런 영역들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로서 참조는 서랍 벽의 외측면과 서랍 캐비넷의 몸체의 연관된 내측면 사이에서의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감쇠 장치의 외부 치수는 조정 샤프트의 종방향 중앙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종방향 중앙축에 대하여 오프셋되고 피스톤 내에서의 통로 개구 내에 유지되며, 피스톤 로드가 통과하는 피스톤 내의 통로 개구의 영역 내에서, 오버플로우 통로가 구성되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 종단 상의 피스톤 로드의 작업 챔버에서, 밸브 칼라는 피스톤 종단면에 놓이고 오버플로우 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와, 피스톤 종단면으로부터 올라가고 오버플로우 통로를 피스톤 로드로부터 떨어진 작업 챔버에 연결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이런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내의 통로 개구는 피스톤 로드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원형 단면을 갖고, 각각의 경우에, 통로 개구 내에 오버플로우 통로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리세싱된 그루브를 형성하는 직경의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증가를 부분 영역에서 갖는다.
이런 경우에, 밸브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로드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조합하여 구체예의 하기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 장치의 제 1 구체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피스톤 로드는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도시된다;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2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감쇠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3-3에 의해 도시된 단면으로 감쇠 장치를 관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피스톤뿐만 아니라 피스톤에 연결된 감쇠 장치의 조정 샤프의 종단 및 피스톤의 종단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5-5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피스톤 로드 및 조정 샤프트가 없는 감쇠 장치의 피스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서 화살표 7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피스톤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8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피스톤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서 화살표 9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피스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에서 화살표 10-10에 의해 도시된 단면으로 피스톤을 관통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회전가능하게 피스톤에 위치된 스로틀 디스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서 화살표 12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스로틀 디스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서 화살표 13-13을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2에서 화살표 14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스로틀 디스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15는 도 12에서 화살표 15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스로틀 디스크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10에 의해 전체적으로 나타내어지고 도면들 중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감쇠 장치의 구체예는 - 중공이고 원통형이며, 이에 따라 종종 간략하게 "실린더"를 가리키는 하우징을 갖는 알려진 감쇠 장치와 달리 - 상호 간에 이격되고 반원형 경계선들에 의해 그 종단들에 연결되는 2개의 평행 직선 경계 엣지들에 의해 형성된 단면을 갖는 하우징(12)을 갖는다.
따라서 하우징의 내부에 대하여 맞물리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피스톤은 하우징(12)의 중공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하우징(12)은 도면들에서 일체형 종단 벽(20)에 의해 하부 종단 상에서 및 하우징(12)에 고정된 분리 하우징 커버(22)에 의해 상부 종단 상에서 폐쇄되고, 이에 의해 각각 유체 감쇠 매체로 채워진, 작업 챔버들(24, 26)은 하우징(12)의 종단면의 양측 상에서 생성된다.
밀폐된 방식으로 하우징 커버(22)를 통해 안내되고 하우징 내부의 종단에서 피스톤(14)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28)는, 감쇠되는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의 자유 외측 종단에서 유도된 피스톤(14) 이동으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피스톤(14)은 하우징(12) 내에서 이동되며, 작업 챔버들(24, 26)의 부피는 피스톤(14)의 이동 방향의 함수로서 각각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도 3은 하우징(12)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피스톤(14)이 종단 벽(20)의 내부면에 인접해 있는 피스톤 로드(28)의 위치를 도시하고, 이에 따라 작업 챔버(24)는 도시에서 사라진다. 작업 챔버들의 부피 변화에 따라, 하우징에 에워싸인 감쇠 매체는 감소하는 작업 챔버로부터 반대편으로 증가하는 작업 챔버로 넘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관통하는 채널들이 피스톤(14) 내에 형성되고, 이들 관통하는 채널들의 디자인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피스톤 로드(28)가 통과하는 작업 챔버(26) 반대편에 놓이는 작업 챔버(24)는 피스톤 로드(28)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작업 챔버를 통과하고, 차례로 하우징 종단벽에서 계단모양 통로(30)를 통하여 안내되며 그루브들 또는 널링을 갖는 원주면 상에 위치된 회전 노브의 형태로 핸들을 외측 자유단 상에 구비하는 조정 샤프트(38)를 갖는다. 조정 샤프트의 밀폐는, 원형 디스크(34) 및 인접 치형 디스크(36)에 의해 통로 내에 유지되고 조정 샤프트(38)의 원주면 상에서 씰(seal)을 형성하는, 오-링(O-ring)으로서 구성된 밀폐 고리(32)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우징 커버(22)에서의 피스톤 로드(28)의 밀폐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하우징 커버(22)가 단면으로 도시되지 않기 때문에 도 3에서 보여질 수 없다.
도 4와 도 5에서, 피스톤(14)은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28) 및 조정 샤프트(38)와 함께 도시되고, 도 5에서 단면은 피스톤 측 상에서 피스톤 로드(28)의 종단이 피스톤(14) 내의 통로 개구(5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통로 개구를 접하게 통과하는 피스톤(14) 내의 횡방향 구멍(59)으로 핀(60)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런 경우에, 피스톤 로드(28)의 제한된 이동가능성은 핀(60)이 접하게 통과하는 리세스(61)가 피스톤 로드(28)의 원주면에서, 피스톤 로드의 종방향으로의 특정한 종방향 크기를 가져, 리세스(61)의 종방향 크기만큼 미리결정된 틀(framework)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28)가 통로 개구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피스톤 내의 통로 개구(50)는 피스톤 로드(28)의 직경에 단지 부분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2개의 전혀 다른 반대편의 영역들에서, 통로 개구(50)의 직경은 이에 따라 작업 챔버들(24, 26) 사이에 오버플로우 통로들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리세싱된(recessed) 그루브들(51)을 전체적인 길이 이상으로 갖는다. 작업 챔버(26)를 향하는 피스톤(14)의 종단면(43)의 영역에서, 피스톤 로드는, 피스톤 종단면에 인접해 있을 때 그루브(51)들에 의해 형성된 오버플로우 통로를 폐쇄하는 반면에 피스톤 종단면으로부터 올라간 위치에서, 작업 챔버들 사이에서 감쇠 매체의 오버플로우를 허용하는,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밸브 칼라(valve collar; 54)를 구비한다.
하우징 내부에서의 조정 샤프트(38)의 일부는, 피스톤 측 상에서의 종단 영역에서, 피스톤(14) 내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42)을 통하여 결합되고, 자유단은 조정 샤프트(38)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로 스로틀 디스크(46)에 회전가능하지 않게 연결된다. 작업 챔버(24)를 향하는 스로틀 디스크(46)의 종단면은 종단면(4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계단모양 방식으로 후퇴되고, 추가적인 통로 구멍(45)이 개방되는 곳에서 통로 개구(50)의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피스톤(14)을 통과하며, 이에 따라 2개의 작업 챔버들 사이에 추가적인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평면부(43') 상에 지지된다. 이런 통로 구멍(45)은 이로 부터 베어링 돌기(47)가 돌출되는 스로틀 디스크(46)에 의해 덮힌다. 이런 베어링 돌기(47)는 피스톤 상에 위치되고 그 원주면으로 탄력있게 가압하는 2개의 스프링 아암들(48)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종단면부(43')를 향하는 베어링 돌기의 하부면은 스로틀 디스크(46)의 평평한 상부면에 놓이고, 이에 따라 장착된 상태에서 스로틀 디스크(46)는 확실히 종단면부-영역(43')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게 된다. 특별한 경우에, 스프링 아암들(48)들은 피스톤(14)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면부-영역(43')으로부터 평행한 간격으로 연장되며, 그 상부 경계면은 종단면(43)과 정렬된다.
스프링 아암들(48)의 하부 경계면에서 하우징 내부에서의 조정 샤프트(38)의 종단과 종단면부-영역(4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지 않게 유지되는 스로틀 디스크(46)는 평평한 종단면부-영역(43')에 놓이는 하부면 상에, 각각의 경우에 90°만큼 원주방향으로 상호 간에 오프셋되고, 스로틀 디스크의 원주면으로 개방되며, 상이한 폭들 및 깊이들, 예를 들어 상이한 통로 단면을 갖는 4개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리세스들(66a, 66b, 66c, 66d)을 구비한다.
스로틀 디스크(46)의 상부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베어링 돌기(47)는 - 특히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어지고 이들 사이에 각각 볼록하고 둥근 리세스들이 형성된 볼록하고 둥근 돌출부들(47a, 47b, 47c, 47d)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난 삼엽형 단면을 갖는다. 베어링 돌기 상에서의 접촉영역에서, 스프링 아암들(48)은 돌출부들(47a 내지 47d)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들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부들을 구비하여, 이에 따라 - 스로틀 디스크(46)의 회전된 위치에 의존하는 - 스프링 아암들(48)의 스프링 아암 접촉 영역으로 돌출되는 맞물리는 형상의 돌출부 각각은 돌출부들(47a, 47c 또는 47b, 47d) 사이에서 리세싱되어 놓이는 각각의 쌍에서 탄력있게 결합된다. 스로틀 디스크(46)의 하면에서 리세스들(66a 내지 66d)과 정렬된 돌출부들(47a 내지 47d)의 정렬은 스로틀 디스크(46)의 4개의 가능하게 회전된 각각의 위치에서 리세스들(66a 내지 66d) 중 각각 하나는 피스톤(14) 내의 통로 구멍(45)과 정렬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어서 리세스들(66a 내지 66d)의 상이한 통로 단면 때문에, 상이한 스로틀 효과는 역방향으로 - 작업 챔버(26)로부터 리세스들(66a 내지 66d) 및 통로 구멍(45)을 경유하여 작업 챔버(24)로 유동하는 작업 매체에서 더 강력하게 된다.
설명된 구체예에서, 스로틀 디스크(46)가 이에 따라 조정 샤프트(38)에 의해 회전되는 4개의 단계에서 각각의 경우에, 감쇠 장치의 스로틀 특성이 조정가능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단계들이 스로틀 디스크(46)의 하부면에서 리세스들(66a, 66b,...)의 위치 및 수에 대한 변화 및 돌출부(47a, 47c, ...)의 수에 대하여 상응하는 변화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더욱이, 선택된 스로틀 단계들에서 스로틀 디스크(46)의 고정을 위한 고정 장치의 디자인은 또한 상이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호 간에 맞물리고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오프셋된 래칭 돌출부들 또는 래칭 리세스들은 스프링 아암들을 향하는 스로틀 디스크의 표면, 및 스로틀 디스크를 향하는 스프링 아암들의 경계면에 위치될 수 있고, 스로틀 디스크(46)의 하부면에서의 리세스들에 대한 래칭 돌출부들 또는 래칭 리세스들의 수 및 배열은 차례로 선택되어 적어도 하나의 래칭 돌출부가 연관된 래칭 리세스에서의 래칭 결합으로 존재할 때, 스로틀 디스크의 하부면에서 형성된 리세스들 중 각각 하나는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는 피스톤 내의 통로 구멍과 정렬되도록 한다.
10 감쇠 장치 12 하우징
14 피스톤 22 하우징 커버
24, 26 작업 챔버 28 피스톤 로드
32 밀폐 고리 34 원형 디스크
36 인접 치형 디스크 38 조정 샤프트
39 핸드(회전 노브) 45 통로 구멍
46 스로틀 디스크 47 베어링 돌기
48 스프링 아암 54 밸브 칼라

Claims (17)

  1. 가구의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의 이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housing; 12)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이동된 위치의 함수로서 유체 감쇠 매체로 채워진 가변적인 크기의 2개의 작업 챔버들(24; 26)의 양측 상에 유체 감쇠 매체로 채워진 작업 챔버들(24; 26)을 형성하는 피스톤(14)을 갖되,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overflow) 연결에 의해 2개의 작업 챔버들(working chamber, 24; 26) 사이에서 감쇠 매체의 조절된(throttled) 오버 플로우를 가능하게 하며, 밀폐된 방식으로 하우징의 연관된 전면 종단으로부터 안내되는 피스톤 로드(28)는 피스톤(14)의 일측에 연결되고, 감쇠되는 가구 부품의 이동은 피스톤으로부터 떨어진 피스톤 로드의 외측 종단으로 전달되며, 피스톤 로드(28)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연장된 조정 샤프트(adjustment sharft; 38)는 피스톤 로드 측 상의 작업 챔버(26) 반대편에서 피스톤의 측 상에 연결되고, 조정 샤프트의 자유단은 밀폐된 방식으로 피스톤 로드 측 상의 종단벽(22) 반대편에 놓이는 하우징의 종단면(20)으로부터 동일하게 안내되며, 조정 샤프트(38)는 회전가능하게 피스톤(14) 내에 위치되고, 2개의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고 오버플로우 연결을 형성하는 피스톤 통로 구멍(45)의 일 종단의 영역에서 피스톤(14)의 종단면에 인접해 있는, 원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스로틀 디스크(throttle disc; 46)를 가지며, 스로틀 디스크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오프셋된(offset) 상이한 통로 단면을 갖는 복수 개의 리세스(recess)들을 구비하고, 조정 샤프트(38)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스톤(14) 내에 형성되며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는 통로 구멍(45)과 정렬될 수 있는, 감쇠 장치(10)에 있어서,
    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원형 경계를 가지며 적어도 방사상의 외측 엣지 영역에서 상호 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평평한 종단면들을 갖는 스로틀 디스크(46)는, 피스톤(14) 상에서 또는 피스톤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조정 샤프트(38)의 종방향 중앙축의 방향으로 종방향 변위에 대하여 고정되며,
    피스톤(14) 내에서 통로 구멍(45)과 정렬된 리세스들 각각의 정렬 위치에서 의도하지 않은 회전에 대하여 스로틀 디스크(46)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로틀 디스크(46)는 조정 샤프트(38)가 통과하는 피스톤(14)의 작업 챔버(2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어링 돌기(47)를 갖되, 베어링 돌기는 피스톤(14) 상에 위치된 2개의 스프링 아암들(spring arms; 48)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며 그 원주에 대하여 탄력있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베어링 돌기(47)는 원형 단면으로부터 벗어난 단면을 갖고,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번갈아, 둥근 돌출부들(47a; 47b; 47c; 47d) 및 리세스들을 구비하며, 스프링 아암들(48)은 베어링 돌기(47)의 원주면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접촉 영역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스로틀 디스크(46) 및 베어링 돌기(47)는 일체형 구성요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 측 상의 조정 샤프트(38)의 종단은 회전가능하지 않게 스로틀 디스크(4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베어링 돌기는 회전가능하지 않게 스로틀 디스크(46)를 통과하는 피스톤 로드 측 상의 조정 샤프트(38)의 종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스프링 아암을 향하는 스로틀 디스크(46)의 표면 및 스로틀 디스크를 향하는 스프링 아암들(48)의 경계면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오프셋되어 맞물리는 래칭(latching) 돌출부들 또는 래칭 리세스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래칭 돌출부가 연관된 래칭 리세스에 결합될 때 피스톤의 종단면을 향하는 스로틀 디스크(46)의 종단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작업 챔버들을 연결하는 피스톤 내의 통로 구멍(45)과 정렬되기 위하여, 래칭 돌출부들 또는 래칭 리세스들의 수, 및 스로틀 디스크(46)에서의 리세스들에 대한 그 배열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 돌기(47) 상에서 탄력있게 가압되는 스로틀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스프링 아암들(48)의 경계면이 피스톤 로드 측 상에서 피스톤(14)의 종단면(43) 위로 돌출하지 않는 양만큼, 조정 샤프트(38)가 통과하는 작업 챔버(24)의 방향으로 피스톤 로드 측 상의 피스톤(14)의 종단면(43)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계단모양 방식으로, 조정 샤프트로부터 떨어진 피스톤(14)의 종단면(43') 상에서 스로틀 디스크(46)의 접촉 영역이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스프링 아암들(48)은 피스톤 종단면(43') 상에서 스로틀 디스크(46)의 접촉 영역에 평행하게 스로틀 디스크(46)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피스톤(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스프링 아암들(48)은 피스톤(14)의 일체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은 조정 샤프트(38)의 자유단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핸들은 직경이 확대된 회전 노브(rotary knob; 39)로서 구성되고, 회전 노브의 원주면은 그루브(groove)들 또는 널링(knurling)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하우징(12)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 피스톤(14)은 타원형이거나, 원호들에 의한 그 종단들에서 폐쇄된 2개의 평행 직선 경계들에 의해 형성된, 원형 단면 형상으로부터 벗어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28)는 조정 샤프트(38)의 종방향 중앙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종방향 중앙축에 대하여 오프셋되고, 피스톤(14) 내에서의 통로 개구(50) 내에 유지되며, 피스톤 로드(28)가 통과하는 피스톤(14) 내의 통로 개구(50)의 영역 내에서 오버플로우 통로가 구성되고,
    피스톤 로드 종단 상의 피스톤 로드(28)의 작업 챔버(26)에서 밸브 칼라(valve collar; 54)는 피스톤 종단면에 놓이고 오버플로우 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와, 피스톤 종단면으로부터 올라가고 오버플로우 통로를 피스톤 로드로부터 떨어진 작업 챔버(24)에 연결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피스톤 내의 통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로드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원형 단면을 갖고, 각각의 경우에 통로 개구 내에 오버플로우 통로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리세싱된 그루브를 형성하는 직경의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증가를 부분 영역에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밸브 칼라(54)는 피스톤 로드(28)의 일체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로틀 디스크(46) 내의 리세스들은 인접한 피스톤 종단면(43')을 향하는 종단면에 형성되고 스로틀 디스크의 원주면에서 개방되는, 상이한 통로 단면들을 갖는 리세스들(66a; 66b; 66c; 66d)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 장치.
KR1020107007822A 2008-01-11 2008-12-20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감쇠시키기 위한, 단계적이고 가변적인 감쇠 특성을 갖는 감쇠 장치 KR101442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8000455U DE202008000455U1 (de) 2008-01-11 2008-01-11 Dämpfungsvorrichtung mit mehrstufig veränderlicher Dämpfungscharakteristik, insbesondere zur Dämpfung von beweglichen Möbelteilen
DE202008000455.1 2008-01-11
PCT/EP2008/011166 WO2009086922A1 (de) 2008-01-11 2008-12-20 Dämpfungsvorrichtung mit mehrstufig veränderlicher dämpfungscharakteristik, insbesondere zur dämpfung von beweglichen möbel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755A true KR20100100755A (ko) 2010-09-15
KR101442191B1 KR101442191B1 (ko) 2014-09-18

Family

ID=4038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822A KR101442191B1 (ko) 2008-01-11 2008-12-20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감쇠시키기 위한, 단계적이고 가변적인 감쇠 특성을 갖는 감쇠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51253B2 (ko)
EP (1) EP2229545B1 (ko)
KR (1) KR101442191B1 (ko)
CN (1) CN101874164B (ko)
AT (1) ATE507411T1 (ko)
DE (2) DE202008000455U1 (ko)
ES (1) ES2366142T3 (ko)
WO (1) WO2009086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4208A (zh) * 2011-10-26 2012-03-21 成都市翻鑫家科技有限公司 自动可变阻尼减振装置
CN104747641A (zh) * 2014-07-22 2015-07-01 周鸿钧 一种双向伸展气弹簧
EP3650728A1 (en) * 2018-10-12 2020-05-13 BSH Hausgeräte GmbH A damping unit and a home appliance with the damping unit
CN115969174B (zh) * 2023-03-17 2023-06-23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三医学中心 一种智能病历收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929C (ko) *
US1586901A (en) * 1923-10-08 1926-06-01 Hubbell Theodore De Witt Checking mechanism
US1658962A (en) * 1924-05-10 1928-02-14 Thomas N Aikens Hydraulic shock absorber
US1965806A (en) * 1932-03-07 1934-07-10 David E Riggins Doorcheck
US3335452A (en) * 1965-04-23 1967-08-15 Independent Lock Co Adjustable door closer
US3827538A (en) * 1966-11-09 1974-08-06 F Morgan Shock absorbers
NL150891B (nl) * 1973-10-12 1976-09-15 Itt Schokdemper met een instelinrichting voor het instellen van de dempkracht.
US4057264A (en) * 1975-07-25 1977-11-08 Kensei Suzuki Front fork for suspending a front wheel of a motorcycle
US4867286A (en) * 1984-01-25 1989-09-19 Tayco Developments, Inc. Shock absorber having fluid amplified piston head with relief valve which provides second stage of fluid amplification
US4724937A (en) * 1984-09-04 1988-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Hydraulic damper for vehicles with variable deflected disk piston valving
DE3644447A1 (de) * 1986-12-24 1988-07-0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daempfung von bewegungsablaeufen
US5150916A (en) * 1991-08-15 1992-09-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suspension with damper having rotatable member overrun detection
JPH06129470A (ja) * 1992-10-20 1994-05-10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379024B2 (ja) * 1993-03-12 2003-02-17 トキコ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5341905A (en) * 1993-07-14 1994-08-30 Kai Fa Industry Co., Ltd. Shock absorb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US5579874A (en) * 1994-09-13 1996-12-03 Avm, Inc. Adjustable speed gas spring
DE19717937A1 (de) * 1996-11-08 1998-05-20 Grass Ag Brems- und Dämpfungselement für bewegliche Möbelteile
JPH10205570A (ja) * 1997-01-21 1998-08-04 Kayaba Ind Co Ltd シリンダ装置
DE10300732A1 (de) 2003-01-11 2004-07-22 Alfit Ag Vorrichtung zur Dämpfung bzw. Abbremsung von beweglichen Möbelteilen von Möbelstücken
DE202005011752U1 (de) * 2005-07-22 2006-11-30 Hettich-Oni Gmbh & Co. Kg Dämpfungselement
DE202007001571U1 (de) * 2006-10-12 2008-02-21 MEPLA-WERKE LAUTENSCHLäGER GMBH & CO. KG Dämpfungsvorrichtung mit einstellbar veränderlicher Dämpfungscharakteristik, insbesondere zur Dämpfung von beweglichen Möbel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4164A (zh) 2010-10-27
WO2009086922A1 (de) 2009-07-16
US8651253B2 (en) 2014-02-18
ES2366142T3 (es) 2011-10-17
EP2229545B1 (de) 2011-04-27
US20100270114A1 (en) 2010-10-28
KR101442191B1 (ko) 2014-09-18
CN101874164B (zh) 2013-01-23
DE202008000455U1 (de) 2009-05-20
ATE507411T1 (de) 2011-05-15
DE502008003388D1 (de) 2011-06-09
EP2229545A1 (de)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482B1 (ko) 가구용 댐퍼
EP0742381B1 (en) Rotary damper
KR100874633B1 (ko)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WO2008142711A1 (en) Door hinge
US8434600B2 (en) Damping device with adjustable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for the damping of movable furniture parts
KR960705122A (ko) 도어 클로저 및 도어 클로저용 댐퍼(door closers and dampers primarily for door closers)
EP2807396B1 (en) Improvements in damper assemblies
JP7206003B2 (ja) ダンパ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KR20100100755A (ko) 이동가능한 가구 부품을 감쇠시키기 위한, 단계적이고 가변적인 감쇠 특성을 갖는 감쇠 장치
WO2012150481A1 (en) Hinge
EP1489334B1 (en) Rotary damper
KR101204349B1 (ko) 오븐기용 도어 힌지 장치
KR101345236B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US20050252740A1 (en) Rotary damper
US20220025956A1 (en) Restriction for a vibration damper
JP4825242B2 (ja) 回転ダンパ
CN211324667U (zh) 一种带调节的阻尼机构
JP7109342B2 (ja) フロアヒンジ
JP7292478B2 (ja) フロアヒンジ
KR100414520B1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100458501B1 (ko) 로터리형 댐퍼
WO2012102148A1 (ja) 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