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960A -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960A
KR20100098960A KR1020090017691A KR20090017691A KR20100098960A KR 20100098960 A KR20100098960 A KR 20100098960A KR 1020090017691 A KR1020090017691 A KR 1020090017691A KR 20090017691 A KR20090017691 A KR 20090017691A KR 20100098960 A KR20100098960 A KR 20100098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ire wheel
wheel
shaft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451B1 (ko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1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4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3Support of wheel parts during machine operation
    • B60C25/0542Support of wheel parts during machine operation with self-centering means, e.g.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132Machines for removing and mount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0Means for holding wheels or parts thereof
    • B60B30/02Means for holding wheels or parts thereof engaging the tyre, e.g. the tyre being mounted on the wheel rim
    • B60B30/04Means for holding wheels or parts thereof engaging the tyre, e.g. the tyre being mounted on the wheel rim the tyre not being mounted on a rim, i.e. holders or supports for tyres a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베드상에 구비되는 안착수단에 의해 타이어휠의 디스크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탈착수단으로 안착수단에 간단한 조작으로 타이어휠의 디스크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이어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타이어휠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작업자의 작업 높이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로서,
타이어휠 클램핑장치(300)는, 베드(100)상에 구비되는 구동축(110)에 축설되어 상단에 타이어휠의 디스크부가 안착되게 하면서 한측단에 타이어휠의 디스크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걸려져 타이어휠의 자체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타이어휠 안착수단(310)과; 상기 타이어휠 안착수단(310)의 중앙에 끼워져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착수단(310)에 나사체결에 의해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휠(800)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타이어휠 탈착수단(320)으로 구성한 것이다.
타이어 교환기, 타이어휠, 안착수단, 탈착수단, 클램핑장치,

Description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clamping apparatus of tire-wheel for exchanger of tires}
본 발명은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휠에 끼워진 타이어를 교환하기 위하여 타이어휠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간단한 동작으로 타이어 교환기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를 수리나 교환 등을 위하여 타이어휠을 타이어 교환기의 하방에 구비되는 타이어 클램핑장치에 의하여 고정한 후 상부에 승하강되는 로드에 설치되는 마운팅 툴에 의하여 타이어를 휠로부터 분리하거나 휠에 끼우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타이어휠 클램핑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한 턴테이블의 상면 사방에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되는 클램프가 구비되어 턴테이블상에 타이어휠을 정위치에 올려놓고 실린더를 작동시키면 사방의 클램프가 휠의 하단 림을 클램핑하므로서 휠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사방의 클램프가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휠의 림을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림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많아 차량 소유자들로부터 상당한 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휠을 고정시키기 위해 턴테이블, 클램핑부 등의 구성요소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방법이 번거롭고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크기가 다양함에 따라 턴테이블상에 올려 놓은 타이어가 큰경우 타이어 휠의 상면이 높아져 작업자가 휠의 상면에서 마운팅툴을 이용하여 타이어를 휠로부터 분리 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위치가 높아져 바닥에 작업높이를 보정할 수 있는 작업대를 놓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베드상에 구비되는 안착수단에 의해 타이어휠의 디스크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탈착수단으로 안착수단에 간단한 조작으로 타이어휠의 디스크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이어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타이어휠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작업자의 작업 높이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드의 전방에 타이어휠을 고정시키는 클램핑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베드의 후방에 수직상으로 구비되는 포스트바의 상단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전바의 외측단에 탄력적으로 승하강하는 로드에 마운팅 툴을 구비하여 타이어휠로부터 타이어를 분리하거나 끼우도록 하는 타이어 교환기로서,
베드상에 돌출되는 구동축에 축설되어 상단에 타이어휠의 디스크부가 안착되게 하면서 한측단에 타이어휠의 디스크부에 형성된 홀에 걸려져 타이어휠의 자체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타이어휠 안착수단; 상기 타이어휠 안착수단의 중앙에 끼워져 조작에 의해 치형 가변편을 입출되도록 하여 안착수단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휠을 고정하도록 하는 타이어휠 탈착수단으로 구성되어지는 본 발명의 타이어 교환기용 타이어 클램핑장치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착수단에 의해 타이어휠의 디스크부를 수평면으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탈착수단으로 안착수단에 간단한 조작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휠의 디스크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이어휠에 손상을 가할 우려가 전혀 없는 효과를 갖으면서 타이어휠의 탈착이 극히 간편하여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타이어휠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작업자의 작업 높이가 변동되지 않아 타어이의 교환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타이어 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타이어휠을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타이어휠 탈착수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타이어휠 탈착수단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5a,5b는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작동축의 조작수단을 보인 분리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탈착수단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치형 가변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에서와 같이, 타이어 교환기(T)는,
베드(100)의 전방에 타이어휠을 고정시키는 클램핑장치(300)를 구비하며, 상 기 베드(100)의 후방에 수직상으로 구비되는 포스트바(400)의 상단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하는 회전바(500)의 외측단에 탄력적으로 승하강하는 로드(600)에 마운팅 툴(700)을 구비하여 타이어휠(800)로부터 타이어를 분리하거나 끼우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타이어휠 클램핑장치(300)는,
베드(100)상에 돌출되는 구동축(110)에 축설되어 상단에 타이어휠(800)의 디스크부(810)가 안착되게 하면서 한측단에 타이어휠(800)의 디스크부(810)에 형성된 체결공(811)에 걸려져 타이어휠(800)의 자체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타이어휠 안착수단(310)과;
상기 타이어휠 안착수단(310)의 중앙에 끼워져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착수단(310)에 나사체결에 의해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휠(800)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타이어휠 탈착수단(320)으로 구성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타이어휠 안착수단(310)은,
하부를 베드(100)에 위치하는 구동축(110)에 축설되어 수직상으로 볼트에 의하여 체결하여 연동되도록 하면서 상부에 타이어휠(800)의 디스크부(810)를 안착시키어 받치도록 하는 안착부(312)를 일체로 형성한 체결축관(311)과,
상기 체결축관(311)의 하방 한측에 연결한 걸림대(313)에 하단이 걸려지면서 상기 안착부(312)의 한측에 형성한 절개홈(312a)에 설치되는 가이드편(314)에 수직상으로 위치하여 하방에 스프링(315)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하여 타이어휠(800)의 디스크부(810)에 형성된 어느 한 체결공(811)에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핀(316)을 구 비한 것이다.
상기 안착부(312)의 상면에 디스크부(810)를 받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안착패드(317)를 체결한 것이며, 상기 안착패드(317)는 성형시 내부에 지지편을 위치시키고 적정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를 연결하여 체결볼트를 안착부(312)에 형성한 체결공에 끼워 너트로 체결시키어 고정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타이어휠 탈착수단(320)은,
상부에 지지틀체(322)를 형성하면서 상기 체결축관(311)의 중앙에 형성한 나선공(311a)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탈착축(321)과,
상기 탈착축(321)에 끼워져 타이어휠의 디스크부(810)의 내측 구경에 내입되어져 압지하도록 하는 압지구(330)와,
상기 탈착축(321)의 중심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지지틀체(322)의 내측으로 형성한 공간부에 걸려지도록 상단에 홀더(323)를 체결하면서 한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비틀림스프링(327)을 구비한 작동축(324)과,
상기 지지틀체(322)에 위치하여 작동축(324)을 설정범위내에서 인위적으로 좌우 회전시키도록 구비하는 작동축 조작수단(360)과,
상기 탈착축(321)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절개홈(321a)에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면서 작동축(324)의 하단부에 양측면을 좁게 형성한 양 편심부(324a)에 접촉되어 작동축(324)의 회전에 따라 탈착축(321)의 외측으로 입출되도록 하는 치형 가변편(340)과,
상기 지지틀체(322)의 양측에 축핀으로 연결하여 위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 는 핸들레바(325)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압지구(330)는 타이어휠의 크기에 따라 디스크부(810)의 내경이 다르기 때문에 타이어휠(800)의 각 규격 사이즈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규격 사이즈 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압지구(330)의 둘레는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디스크부(810)의 내경에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작동축 조작수단(360)을 보인 실시예로써,
상기 지지틀체(322)의 중앙부에 형성한 공간부내에 홀더(323)로 지지되는 작동축(324)의 상단을 연장하여 지지틀체(32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지고, 상면에 노브(361)를 상기 작동축(324)에 끼워 체결함과,
상기 지지틀체(322)의 상면에 형성한 입출공(322a)에 삽입되는 스프링(362)으로 받쳐져 돌출되는 걸림핀(363)을 구비하고 지지틀체(322)에 걸림핀(363)의 수직선상의 상부 위치로 노브(361)에 형성한 작동공(361a)에 끼워져 위로 돌출되는 해제핀(364)을 구비하여 조작수단(360)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해제핀(364)의 하부 직경은 지지틀체(322)에 걸림핀(363)이 끼워지는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하면서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치형 가변편(340)은 외측면에 치형(341)을 형성하면서 한쌍을 대칭되게 이루어 양측에 스프링 등 탄성부재(342)로 연결하여 그 사이로 작동축(324)에 형성된 편심부(324a)에 밀착되어 작동축(324)의 회전에 따라 편심작용으로 양 치형 가변편(340)이 절개홈(321a)을 따라 탄력적으로 탈착축(321)외부로 입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대하여 타이어휠을 클램핑하는 작용관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착수단(310)에 끼워지는 탈착수단(3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안착수단(310)의 상면에 위치한 안착패트(317) 상면에 타이어휠(800)의 디스크부(810)사 수평면으로 위치하도록 안착시키면서 안착패드(317)의 한측에 수직상으로 돌출되는 걸림핀(316)이 디스크부(810)에 형성한 어느 하나의 체결공(811)에 끼워지도록 타이어휠(800)을 안착시키므로서 타이어휠(800)이 자체적으로 회전이 제어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타이어휠 탈착수단(320)을 상기 안착수단(310)에 클래핑시키어 타이어휠을 고정하게 되는 바,
즉, 상부에 설치된 핸들레바(325)를 양손으로 각각 잡은 상태에서 탈착축(321)을 체결축관(311)의 중심에 형성된 나선공(311a)에 끼우면 탈착축(321)에 끼워진 압지구(330)의 테이퍼진 외면이 안착패드(317)에 안착된 타이어휠의 디스크부(810)의 내경에 끼워져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단에 위치한 노브(361)의 한측으로 구비된 해제핀(364)을 누르면 걸림핀(363)이 하강되어 걸림이 해제되면 동시에 노브(361)가 축설된 작동축(324)이 비틀림 스프링(327)의 복원력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도 5a,5b에서와 같이 탈착축(321)의 하방에 위치하는 치형 가변편(340)이 작동축(324)에 형성된 편심부(324a)에 밀착되어 작동축(324)의 회전에 따라 편심작용으로 양 치형 가변 편(340)이 절개홈(321a)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치형 가변편(340)의 치형(341)부분이 탈착축(3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탈착축(321)이 끼워진 체결축관(311)의 내부 나선공(311a)에 치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361)를 돌려주어 해제핀(364)의 위치선상에 걸림핀(363)이 이르게 되면 스프링(36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되어 노브(361)에 해제핀(364)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노브(361)가 정지되고 동시에 노브(361)의 회전시 작동축(324)이 상기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되는 상태이므로 치형 가변편(340)이 작동축(324)에 형성된 편심부(324a)가 위치이동에 의한 편심작용으로 양 치형 가변편(340)이 절개홈(321a)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치형 가변편(340)의 치형(341)부분이 체결축관(311)의 나선공(311a)으로부터 치합이 해제되는 상태가 되어 탈착축(321)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단부에 구비된 핸들레바(325)를 잡고 조임방향으로 돌려주면 탈착축(321)이 치합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나선공(32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조여지게 되므로 탈착축(321)에 끼워진 압지구(330)가 타이어휠의 디스크부(810)를 압착시키게 되며 이는 압지구(330)가 디스크부(8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착축(321)의 적은 움직임으로도 타이어휠(800)을 확실하게 클램핑하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타이어를 끼우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타이어의 교체가 완료되어 타이어휠(800)을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노브(361)를 걸림위치로 돌려주어 해제핀(364)의 위치선상에 걸림핀(363)이 이르게 되면 스프링(362)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핀(363)의 상승으로 노브(361)에 해제핀(364)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걸려진 상태가 되어 노브(361)의 회전이 정지되고 동시에 노브(361)의 회전시 작동축(324)이 상기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되는 상태이므로 치형 가변편(340)이 작동축(324)에 형성된 편심부(324a)가 위치이동에 의한 편심작용으로 양 치형 가변편(340)이 절개홈(321a)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치형 가변편(340)의 치형(341)부분이 체결축관(311)의 나선공(311a)으로부터 치합이 해제되는 상태가 되어 탈착축(321)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휠(800)의 디스크부(810)를 수평면으로 하여 안착되기 때문에 타이어휠의 폭이 큰 경우에도 안착부의 위로 올라가지 않고 하방으로 위치되어져 작업자의 클램핑 작업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정상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베드(100)상에 위치한 구동축(110)은 베드(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수단(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작동되고 구동수단은 베드(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패달 등에 의하여 정역회전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기술사상이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상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일 실시 상태를 기재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타이어 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타이어휠을 안착시키는 안착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타이어휠 탈착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타이어휠 탈착수단의 일부 단면도
도 5a,5b는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작동축의 조작수단을 보인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탈착수단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치형 가변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310: 타이어휠 안착수단 311: 체결축관
312: 안착부 313: 걸림대
314: 가이드편 315: 스프링
316: 걸림핀 317: 안착패드
320: 타이어휠 탈착수단 321: 탈착축
322: 지지틀체 323: 홀더
324: 작동축 325: 핸들바아
330: 압지구 340: 치형 가변편
360: 작동축 조작수단 361: 노브
363: 걸림핀 364: 해제핀

Claims (7)

  1. 타이어휠 클램핑장치(300)를 갖는 타이어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휠 클램핑장치(300)는,
    베드(100)상에 구비되는 구동축(110)에 축설되어 상단에 타이어휠의 디스크부가 안착되게 하면서 한측단에 타이어휠의 디스크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걸려져 타이어휠의 자체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타이어휠 안착수단(310)과;
    상기 타이어휠 안착수단(310)의 중앙에 끼워져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안착수단(310)에 나사체결에 의해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휠(800)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타이어휠 탈착수단(320)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휠 안착수단(310)은,
    하부를 베드(100)에 위치하는 구동축(110)에 축설되어 연동되도록 하면서 상부에 타이어휠의 디스크부(810)를 안착시키어 받치도록 하는 안착부(312)를 형성한 체결축관(311)과,
    상기 체결축관(311)의 하방 한측에 연결한 걸림대(313)에 하단이 걸려지면서 상기 안착부(312)의 한측에 형성한 절개홈(312a)에 설치되는 가이드편(314)에 수직상으로 위치하여 하방에 스프링(315)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하여 타이어휠의 디스크부(810)에 형성된 어느 한 체결공(811)에 끼워지도록 하는 걸림핀(316)으로구성함 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12)의 상면에 디스크부(810)를 받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안착패드(317)를 체결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휠 탈착수단(320)은,
    상부에 지지틀체(322)를 형성하면서 상기 체결축관(311)의 중앙에 형성한 나선공(311a)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탈착축(321)과,
    상기 탈착축(321)에 끼워져 타이어휠의 디스크부(810)의 내측 구경에 내입되어져 압지하도록 하는 압지구(330)와,
    상기 탈착축(321)의 중심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지지틀체(322)의 내측으로 형성한 공간부에 걸려지도록 상단에 홀더(323)를 체결하면서 한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비틀림스프링(327)을 구비한 작동축(324)과,
    상기 지지틀체(322)에 위치하여 작동축(324)을 설정범위내에서 인위적으로 좌우 회전시키도록 구비하는 작동축 조작수단(360)과,
    상기 탈착축(321)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절개홈(321a)에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면서 하단에 마감판(326)으로 체결되어 작동축(324)의 하방부에 형성한 편심부(324a)에 의해 외부로 입출되도록 하는 치형 가변편(340)과,
    상기 지지틀체(322)의 양측에 축핀으로 연결하여 위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는 핸들레바(325)로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구(330)의 둘레는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디스크부(810)의 내경에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 가변편(340)은 한쌍을 대칭되게 이루어 양측에 탄성부재(342)로 연결하여 그 사이로 작동축(324)에 형성된 편심부(324a)에 밀착되어 작동축(324)의 회전에 따라 편심작용으로 양 치형 가변편(340)이 절개홈(321a)을 따라 탄력적으로 탈착축(321)의 외부로 입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 조작수단(360)은 상기 지지틀체(322)의 공간부에서 홀더(323)로 지지되는 작동축(324)의 상단을 연장하여 지지틀체(322)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지고, 상면에 노브(361)를 작동축(324)에 끼워 체결함과,
    상기 노브(361)의 저면이 접촉되는 위치의 지지틀체(322)에 스프링(362)으로 받쳐져 돌출되는 걸림핀(363)을 구비하고 지지틀체(322)에 걸림핀(363)의 수직선상의 상부로 돌출되는 해제핀(364)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환 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KR1020090017691A 2009-03-02 2009-03-02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KR10105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691A KR101057451B1 (ko) 2009-03-02 2009-03-02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691A KR101057451B1 (ko) 2009-03-02 2009-03-02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60A true KR20100098960A (ko) 2010-09-10
KR101057451B1 KR101057451B1 (ko) 2011-08-17

Family

ID=4300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691A KR101057451B1 (ko) 2009-03-02 2009-03-02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4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8619A (zh) * 2016-04-05 2016-08-03 营口光明科技有限公司 台式交流电动轮胎拆装机及其使用方法
CN109304995A (zh) * 2018-10-23 2019-02-05 章志鹏 电瓶车专用轮胎剥离装置
IT201900011181A1 (it) * 2019-07-08 2021-01-08 Beissbarth Gmbh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 ruote in macchine da autofficina o simili
IT202000011728A1 (it) * 2020-05-20 2021-11-20 Gino Ferrari Dispositivo di bloccaggio rapido di una ruota di veicolo su una piattaforma di lavoro di una macchina smontagomme
CN116834354A (zh) * 2023-08-08 2023-10-03 季华合越科技(佛山)有限公司 非充气轮胎多功能一体机
CN117848589A (zh) * 2024-03-07 2024-04-09 青岛市产品质量检验研究院(青岛市产品质量安全风险监测中心) 一种用于汽车轮胎动平衡的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727A (ja) * 1999-09-03 2001-03-21 Onodani Kiko Kk タイヤ着脱機におけるホイールの固定装置
IT1319467B1 (it) * 2000-05-22 2003-10-10 Corghi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cerchione per macchine smontagom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8619A (zh) * 2016-04-05 2016-08-03 营口光明科技有限公司 台式交流电动轮胎拆装机及其使用方法
CN105818619B (zh) * 2016-04-05 2023-12-19 科维(营口)工业有限公司 台式交流电动轮胎拆装机及其使用方法
CN109304995A (zh) * 2018-10-23 2019-02-05 章志鹏 电瓶车专用轮胎剥离装置
IT201900011181A1 (it) * 2019-07-08 2021-01-08 Beissbarth Gmbh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 ruote in macchine da autofficina o simili
WO2021004949A1 (en) * 2019-07-08 2021-01-14 Beissbarth Gmbh Locking device for wheels in workshop machines or the like
IT202000011728A1 (it) * 2020-05-20 2021-11-20 Gino Ferrari Dispositivo di bloccaggio rapido di una ruota di veicolo su una piattaforma di lavoro di una macchina smontagomme
CN116834354A (zh) * 2023-08-08 2023-10-03 季华合越科技(佛山)有限公司 非充气轮胎多功能一体机
CN116834354B (zh) * 2023-08-08 2024-01-26 季华合越科技(佛山)有限公司 非充气轮胎多功能一体机
CN117848589A (zh) * 2024-03-07 2024-04-09 青岛市产品质量检验研究院(青岛市产品质量安全风险监测中心) 一种用于汽车轮胎动平衡的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451B1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451B1 (ko) 타이어 교환기의 타이어휠 클램핑장치
US9254722B2 (en) Tool for supporting and locking a rim or tired wheel for motorcycles
US20110155329A1 (en) Device for fitting and removing tyres
US7866365B2 (en) Portable tire demounting tool
KR20100010762A (ko) 타이어 탈착기
JP2000343919A (ja) 通常・特殊タイヤの着脱用多目的ステーション
US20060260763A1 (en) Tool for making it easier to mount a tyre onto a rim
US5009257A (en) Tire breaker apparatus for all-terrain vehicle tires
WO2014129476A1 (ja) タイヤ固定機構及びタイヤチェンジャ
US4529024A (en) Tire changer accessory for use with custom alloy rims
ITRE960028A1 (it) Macchina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ei pneumatici sui e dai rispettivi cerchioni
US4738294A (en) Device for changing tubeless truck tires
CN109648467B (zh) 一种维修模具的推拉装置夹模器
US7793699B2 (en) Apparatus for mounting tires on large wheels
KR100322682B1 (ko) 타이어 탈착기
CN211163839U (zh) 钳工用旋转式工作平台
JP5904956B2 (ja) タイヤ着脱装置
CN1468742A (zh) 用于将防滑链紧固于车轮上的适配器
CN2419076Y (zh) 轮胎拆装机
KR102507724B1 (ko) 타이어 탈착용 고정장치
CN211195717U (zh) 一种轮胎更换辅助装置
CN218461341U (zh) 一种旋转焊接工装
KR101564734B1 (ko) 타이어 탈착기의 마운팅툴 서포팅장치
US11884526B1 (en) Vehicle jack
US1122487A (en) Cutter-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