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117A -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117A
KR20100098117A KR1020090017130A KR20090017130A KR20100098117A KR 20100098117 A KR20100098117 A KR 20100098117A KR 1020090017130 A KR1020090017130 A KR 1020090017130A KR 20090017130 A KR20090017130 A KR 20090017130A KR 20100098117 A KR20100098117 A KR 2010009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images
image
same
class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8117A/ko
Publication of KR2010009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류 방법은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인물별로 사진을 분류하는 경우, 원하는 인물의 사진만을 한 번의 선택으로 동일한 인물 사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얼굴, 분류, 터치, 인식

Description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n image using f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영상 분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사진의 양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예를 들면 특정 얼굴이 있는 사진만을 골라서 보고 싶어하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특정 인물 사진을 찾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2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첫째, 얼굴 인식을 사용한 인물 분류 기능이 없는 경우, 재생(PlayBack) 모드로 진입 후 버튼 혹은 다이얼을 이용하여 사진을 한 장씩 넘기면서 인물 사진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해야만 하고, Wide 버튼 혹은 특정 버튼을 이용하여 섬네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전환 후 4장 혹은 9장씩 보이는 화면에서 Key 조작으로 원하는 사진을 선택 후 확대해서 보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원하는 인물의 사진만 찾아서 보기가 어렵고, 사진을 감상하는 도중 즉흥적으로 원하는 인물의 사진을 선택해서 볼 수 없다.
얼굴 인식을 사용한 인물 분류 기능이 있는 경우, 인물이 포함된 사진으로부터 얼굴 화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화상으로부터 특징을 판별하여 해당 인물의 사진을 관리하는 리스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 원하는 인물의 사진을 찾기 위해 해당 폴더로 이동하거나 키 입력을 통한 선택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여러 번의 키 입력을 통해서만 인물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카메라 사용 방식으로는 분류된 인물 정보로의 접근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인물별로 사진을 분류하는 경우, 원하는 인물의 사진만을 한 번의 선택으로 동일한 인물 사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은 입력 영상에서 소정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얼굴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된 얼굴 영역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얼굴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한 영상들을 촬영한 영상들 중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한 영상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분류 방법은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썸네일로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색 단계에서, 상기 촬영한 영상들은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장치는 입력 영상에서 소정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터치 판단부; 상기 터치된 얼굴 영역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인식한 얼굴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들을 촬영한 영상들 중에서 검색하는 얼굴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한 영상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영상 분류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분류 장치는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는,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얼굴 검색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을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영상 분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영상 분류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은 원하는 인물의 사진만을 한 번의 선택으로 동일한 인물 사진으로 분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1과 함께 설명할 도 2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광학부(10), 광학 구 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패널 일체 형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광센서 방식,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통해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센서 방식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소 내에 광센서를 배치하고, 광에 의해 화면에서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종류의 표시 장치에서는, 광센서로서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가 이용되고, 각 화소의 포토 다이오드에 커패시터가 접속된다. 그리고 포토 다이오드에서의 수광량의 변화에 따라서 커패시터의 전하량을 변화시켜, 커패시터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광 센서를 패널에 집적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투영된 손가락 이미지를 검출하여 정보 입력을 행하는 것이다. 또는 라이트 펜 등의 발광 물체로부터 조사된 광을 검출함으로써 정보 입력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광을 이용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에서 발광하는 내광,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의 발광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관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영상 신호 처리부(72), 얼굴 영역 검출부(73), 터치 판단부(74), 얼굴 인식부(75), 얼굴 검색부(76) 및 영상 분류 부(77)를 포함한다.
제어부(7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얼굴 영역 검출부(73)는 입력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은 재생 영상, 프리뷰 영상을 포함한다. 얼굴 영역 검출은 입력된 영상에서 어느 위치에 얼굴이 있는지를 검출한다. 얼굴 영역 검출부(73)는 미리 기억된 얼굴의 특징 데이터와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입력된 영상 중에 얼굴의 특징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얼굴 데이터가 있다고 판단되면 어느 위치에 그 얼굴의 화상 데이터가 있는지를 인식한다. 얼굴 영역 검출과 관련하여 많은 종 래기술들이 존재하며, 아다부스팅(Adaboosting) 알고리즘, 피부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판단부(74)는 얼굴 영역 검출부(73)가 검출한 얼굴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에 터치 여부에 대한 판단은 저항막식, 정전용량 방식 및 광 센서 방식 등을 통해 터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영상에서 특정 얼굴 영역(300)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해당 영상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얼굴의 선택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얼굴 인식부(75)는 터치된 얼굴 영역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얼굴 인식은 얼굴 검출, 눈 검출, 얼굴정규화, 얼굴 특징점 추출, 얼굴인식과 같이 다섯 단계를 포함한다. 얼굴 검출과 눈 검출은 얼굴 영상과 얼굴 아닌 영상, 눈 영상과 눈 아닌 영상을 구별하는 단계이며, 얼굴 검출과 눈 검출을 하기 위해서 AdaBoost와 Modified Census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시킨다. 얼굴 정규화는 앞 단계에서 찾은 얼굴과 눈을 기준으로 얼굴의 크기, 기울어짐, 회전을 보정하는 단계이다. 정규화 얼굴에서, 예를 들면 2D-PCA 알고리즘을 적용시켜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얼굴 인식부(75)는 터치된 얼굴 영역에 포함된 얼굴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한다.
얼굴 검색부(76)는 인식한 얼굴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들을 촬영한 영상들 중에서 검색한다. 얼굴 검색부(76)는 얼굴 인식부(75)가 인식한 이러한 특징점을 촬영한 영상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를 포함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사진들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큰 얼굴 사진을 검색하게 된다.
영상 분류부(77)는 얼굴 검색부(76)의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한 영상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도 3에서 터치된 얼굴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하고 있는 사진들을 기록매체에서 검색하여, 검색한 사진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한다. 제어부(71)는 영상 분류부(77)에서 분류한 그룹별로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동일 그룹에 속하는 사진들을 썸네일 영상으로 축소하여 함께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도 5는 각각의 인물별로 인물의 사진 파일 리스트들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한 인물별로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진들을 간단하게 분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터치 스크린의 입력을 감지한다. 단계 602에서, 입력 영상의 얼굴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한다. 얼굴 영역이 터치된 경우, 단계 604에서, 해당 얼굴 영역의 특징점들을 추출한다. 단계 606에서, 추출한 얼굴 영역의 특징점들과 저장된 영상들의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인물인지 판단한다. 단계 610에서, 동일한 인물인 경우, 동일한 사진 리스트로 분류한다. 단계 612에서, 동일한 사진 리스트를 함께 표시한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하는 인물의 얼굴을 터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터치된 인물을 포함한 사진들만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물별로 사진들을 분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촬영 장치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71: 제어부 72: 영상 신호 처리부
73: 얼굴 영역 검출부 74: 터치 판단부
75: 얼굴 인식부 76: 얼굴 검색부
77: 영상 분류부

Claims (10)

  1. 입력 영상에서 소정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얼굴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터치된 얼굴 영역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한 얼굴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한 영상들을 촬영한 영상들 중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한 영상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에서,
    상기 촬영한 영상들은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6. 입력 영상에서 소정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영역 검출부;
    상기 검출한 얼굴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터치 판단부;
    상기 터치된 얼굴 영역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인식한 얼굴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들을 촬영한 영상들 중에서 검색하는 얼굴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얼굴을 포함한 영상들을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하는 영상 분류부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분류한 그룹의 영상들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검색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을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영상 분류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90017130A 2009-02-27 2009-02-27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KR20100098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30A KR20100098117A (ko) 2009-02-27 2009-02-27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130A KR20100098117A (ko) 2009-02-27 2009-02-27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117A true KR20100098117A (ko) 2010-09-06

Family

ID=4300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130A KR20100098117A (ko) 2009-02-27 2009-02-27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81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1757A1 (zh) * 2014-04-23 2015-10-29 北京锤子数码科技有限公司 图片缩略图的获取方法及装置
KR101629832B1 (ko) * 2015-03-06 2016-06-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영상을 이용한 연대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구축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1757A1 (zh) * 2014-04-23 2015-10-29 北京锤子数码科技有限公司 图片缩略图的获取方法及装置
KR101629832B1 (ko) * 2015-03-06 2016-06-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영상을 이용한 연대별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구축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6360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7110412B2 (ja) 生体検出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並びに記憶媒体
JP4274233B2 (ja) 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ら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84676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arp processing on an input image
EP23369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plurality of facial images for face recognition
KR2011002052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EP2573759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907176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US20120057067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5263B1 (ko) 앨범 관리 방법 및 장치
US9001254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53504A (ko) 얼굴 인식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얼굴 인식 장치
US10488923B1 (en) Gaze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control method
JP200726514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KR20100098117A (ko) 얼굴 인식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및 장치
JP4371219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20230154148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detection of subject not intended by user, control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07051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진영상 분류 방법
US11175737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line of sight input,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75623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a photographer and organizing image data for each photograp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7535B1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201018711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US1140907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66311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040964B2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