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867A -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867A
KR20100097867A KR1020090016726A KR20090016726A KR20100097867A KR 20100097867 A KR20100097867 A KR 20100097867A KR 1020090016726 A KR1020090016726 A KR 1020090016726A KR 20090016726 A KR20090016726 A KR 20090016726A KR 20100097867 A KR20100097867 A KR 20100097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munication
card
digital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647B1 (ko
Inventor
김건희
한만철
박세형
박현철
김래현
하성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1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647B1/ko
Priority to US12/536,182 priority patent/US20100219975A1/en
Publication of KR2010009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이나 글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카드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시,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화면 출력시키는 의사소통 단말기와;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소통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 장소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의사소통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의 사용 빈도에 따라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와 상기 관리 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문답 상황에 따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의사소통을 위한 디지털 카드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사소통, 의사표현, 디지털 카드, 위치 정보

Description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Digital Card System Based of Place Recognition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말이나 글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카드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완 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은 말이나 글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의사 표현 수단으로서, 생활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의 의사소통을 지원해 주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획된 모든 접근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미국언어병리학회(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이란 말하기 쓰기에 심한 장애를 보이는 언어 장애우들을 일시적으로 혹은 영구적으로 보완해 주는 임상치료 행위의 한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한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체계란 개인의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상 징(symbol), 보조기구(Aids), 전략(Strategies), 기법(Techniques) 등을 총체적으로 통합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의 정의에서 보완과 대체가 연결되어 사용되지만 이들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보완 의사소통은 약간의 의사소통 기술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의사소통 과정을 보충, 향상 및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대체 의사소통은 말 대신에 다른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어 장애우들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그림 카드를 활용하여 간단한 일상용어를 조합하는 수준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림 카드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식은 그림 카드의 휴대가 불편하며, 의사소통시 일일이 적절한 카드를 찾는 것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에, 오늘날에는 그림 카드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의사 표현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 디지털 카드를 탑재한 의사소통 단말기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의사소통 단말기에 탑재된 디지털 카드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식은 의사소통 단말기에 다양한 아이콘과 소리파일을 내장시켜, 이전의 그림 카드 방식보다 휴대가 간편하고 더욱 다양한 의사 표현을 나타낼 수 있다.
의사소통 단말기는 언어치료학/특수교육공학/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전자 기기로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말하기 쓰기 행위를 통해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언어 장애우들의 일상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회성 향상과 언어치료 및 언어능력 개발을 통하여 그들의 자아실현에 이바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사소통 단말기에 탑재된 디지털 카드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식은 그림 카드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식에 비하여 단지 의사 표현을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을 뿐, 언어 장애우들의 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답 상황에서 적절한 표현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를 찾기 위해서는 이전의 그림 카드 방식과 마찬가지로 적지 않은 검색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의사소통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답 상황에 사용되는 디지털 카드의 사용 빈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드에 배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의사소통 단말기로 하여금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디지털 카드를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은, 단말기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시,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화면 출력시키는 의사소통 단말기와;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소통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 장소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의사소통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의 사용 빈도에 따라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의사소통 단 말기와 상기 관리 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소별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 각각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데이터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 및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시키고,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 입력에 따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된 디지털 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는 의사 표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사운드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 모듈과; GPS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 위 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지털 카드들을 화면 출력하는 경우에,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디지털 카드들을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경우에, 가로 방향으로는 화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세로 방향으로는 화면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디지털 카드를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지털 카드들을 화면 출력하는 경우에,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 디지털 카드에 표시된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
다르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 드 시스템은, 전자 태그를 탑재하고,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시,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화면 출력시키는 의사소통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장소마다 설치되며,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에 탑재된 전자 태그를 리딩하여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태그 리더기와; 상기 태그 리더기로부터 생성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 장소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의 사용 빈도에 따라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와 상기 관리 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소별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 각각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데이터를 화 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 및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시키고,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 입력에 따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된 디지털 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는 의사 표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사운드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 태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에 의하면, 의사소통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답 상황에 사용되는 디지털 카드의 사용 빈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드에 배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의사소통 단말기로 하여금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디지털 카드를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문답 상황에 따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의사소통을 위한 디지털 카드를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은 의사소통 단말기(100)와, 무선통신 망(200)과, 데이터베이스(300)와,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의사소통 단말기(100)는 예컨대, 타블렛 PC, 휴대폰, PDA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지며, GPS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자신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송출하는 한편,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시,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관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배열하여 화면 출력시키며, 화면 출력된 디지털 카드들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는 의사 표현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의사소통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단말기(100)는 메모리 모듈(110), 무선통신 모듈(120), 입력 모듈(130), 디스플레이 모듈(140), 사운드 출 력 모듈(150), 제어 모듈(160) 및 GPS 모듈(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모리 모듈(110)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다.
무선통신 모듈(120)은 무선통신 망(200)을 통해 관리 서버(4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입력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 모듈(16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제어 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화면 출력한다.
사운드 출력 모듈(150)은 제어 모듈(160)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모듈(160)은 무선통신 망(200) 및 무선통신 모듈(120)을 통해 관리 서버(400)로부터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메모리 모듈(110)에 저장시키고, 입력 모듈(130)을 통한 사용자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 입력에 따라, 메모리 모듈(110)에 저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모리 모듈(11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되,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먼저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입력 모듈(130)을 통해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메모리 모듈(110)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하고 디스플레이 모 듈(140)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며, 사용자가 입력 모듈(130)을 통해 화면 출력된 디지털 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는 의사 표현을 디스플레이 모듈(140) 및 사운드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단말기(100)에서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디지털 카드들이 배열되어 화면 출력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160)은 예컨대,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C1, C2, C3, C4, C5, C6, C7, C8, C9, C10, C11, C12' 디지털 카드들을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경우에, 가로 방향으로는 화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세로 방향으로는 화면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즉 'C12, C2, C5, C4, C3, C6, C8, C7, C9, C10, C1, C11' 순서대로 디지털 카드들을 배열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모듈(160)은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모듈(130)을 통해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메모리 모듈(110)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의 크기를 각각 다르게 하거나, 디지털 카드에 표시된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모듈(170)은 GPS 통신을 수행하여 주기적으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 모듈(120)을 통해 송출한다.
한편, 무선통신 망(200)은 의사소통 단말기(100)와 관리 서버(400) 간의 통 신을 지원한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서비스 제공 장소별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 각각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관리 서버(400)는 무선통신 망(200)을 통해 의사소통 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를 파악함으로써, 의사소통 단말기(100)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 즉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그 확인 결과 의사소통 단말기(100)가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의 사용 빈도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디지털 카드들의 사용 빈도를 이용하여 각 디지털 카드에 배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무선통신 망(200)을 통해 의사소통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의사소통 단말기(100)가 주문 관련 문답 상황이 발생하는 커피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 즉 커피 판매점으로 진입한 경우에, 의사소통 단말기(100)의 커피 판매점 진입을 인식하고, 커피 판매점에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각 디지털 카드에 배열 우선순위를 부여하되, 커피 종류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 및 커피 주문시 필요한 문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 서버(400)는 주기적으로 의사소통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의사소통 단말기(100)가 커피 판매점, 음식점 또는 편의점 등의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0).
상기한 단계 S510에서의 확인 결과, 의사소통 단말기(100)가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한 경우에, 관리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문 등의 문답 상황에 관련된 각 디지털 카드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각 디지털 카드의 사용 빈도에 따라 각 디지털 카드에 배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무선통신 망(200)을 통해 의사소통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10).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500에서의 확인 결과, 의사소통 단말기(100)가 커피 판매점으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한 단계 S510에서의 각 디지털 카드에 배열 우선순위 부여시, 커피 종류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 및 커피 주문시 필요한 문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한 단계 S510을 통해 관리 서버(400)로부터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한 의사소통 단말기(100)는 수신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디지털 카드 검색시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들을 화면 출력하고, 사용자가 화면 출력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 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화면 출력하되, 내부에 저장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한 후 화면 출력한다(S520).
상기한 단계 S520에서 의사소통 단말기(100)는 예컨대, 사용자가 화면 출력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화면 출력하되, 내부에 저장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 디지털 카드에 표시된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화면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의사소통 단말기(100)에 GPS 모듈 대신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 태그를 장착시키고, 서비스 제공 장소마다 태그 리더기를 설치한 후, 의사소통 단말기(100)가 특정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함에 따라, 특정 서비스 제공 장소에 설치된 태그 리더기에서 의사소통 단말기(100)에 장착된 전자 태그로부터 송출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태그가 장착된 의사소통 단말기(100)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면, 관리 서버(400)에서 태그 리더기로부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소통 단말기(100)의 특정 서비스 제공 장소 진입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태그는 의사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무선통신 모듈(120)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여 태그 리더기로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의사소통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의사소통 단말기에서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디지털 카드들이 배열되어 화면 출력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의사소통 단말기 110: 메모리 모듈
120: 무선통신 모듈 130: 입력 모듈
140: 디스플레이 모듈 150: 사운드 출력 모듈
160: 제어 모듈 170: GPS 모듈
200: 무선통신 망 300: 데이터베이스
400: 관리 서버

Claims (9)

  1. 단말기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한편,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시,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화면 출력시키는 의사소통 단말기와;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소통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 장소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의사소통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의 사용 빈도에 따라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와 상기 관리 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장소별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 각각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데이터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 및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시키고,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 입력에 따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된 디지털 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는 의사 표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사운드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 모듈과;
    GPS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말기 위치 정 보를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지털 카드들을 화면 출력하는 경우에,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디지털 카드들을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경우에, 가로 방향으로는 화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세로 방향으로는 화면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디지털 카드를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지털 카드들을 화면 출력하는 경우에,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 디지털 카드에 표시된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7. 전자 태그를 탑재하고,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시,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카드 우선순위에 따라 화면 출력시키는 의사소통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장소마다 설치되며,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에 탑재된 전자 태그를 리딩하여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태그 리더기와;
    상기 태그 리더기로부터 생성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 장소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 장소로 진입한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의 사용 빈도에 따라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와 상기 관리 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장소별로 발생하는 문답 상황에 관련된 디지털 카드들 각각의 사용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및 의사 표현에 해당하는 디지털 카드들을 문답 상황 관련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과;
    데이터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망 및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카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시키고,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행 입력에 따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드들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우선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배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화면 출력된 디지털 카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지털 카드에 해당하는 의사 표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사운드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 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KR1020090016726A 2009-02-27 2009-02-27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KR10100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26A KR101004647B1 (ko) 2009-02-27 2009-02-27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US12/536,182 US20100219975A1 (en) 2009-02-27 2009-08-05 Digital card system based on place recognition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26A KR101004647B1 (ko) 2009-02-27 2009-02-27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67A true KR20100097867A (ko) 2010-09-06
KR101004647B1 KR101004647B1 (ko) 2010-12-31

Family

ID=4266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726A KR101004647B1 (ko) 2009-02-27 2009-02-27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19975A1 (ko)
KR (1) KR1010046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537B1 (ko) 2014-11-13 2016-03-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절단계류 모형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965103B1 (ko) * 2018-06-21 2019-04-02 강인학 스마트 aac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852A (ja) * 2009-10-30 2011-06-16 Optoelectronics Co Ltd 個人認証カードおよび個人認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4732366A (zh) * 2015-03-04 2015-06-24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可循环物流器具的连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6777B2 (en) * 2001-11-29 2006-02-0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uditory icons in a mobile terminal
US20050062726A1 (en) * 2003-09-18 2005-03-24 Marsden Randal J. Dual display computing system
US8065154B2 (en) * 2004-07-30 2011-11-22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sity of New York Augmentative communications device for the speech impaired using commercial-grade technology
EP1807812A4 (en) * 2004-11-02 2014-03-12 Custom Lab Software Systems Inc FUNCTIONAL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59318A1 (en) * 2006-05-02 2007-11-08 Harrison Elizabeth V System for interacting with develop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US9264231B2 (en) * 2008-01-24 2016-02-16 Intermec Ip Corp. System and method of using RFID tag proximity to grant security access to a computer
US20090300503A1 (en) * 2008-06-02 2009-12-03 Alexicom Tech, Ll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based augmentative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537B1 (ko) 2014-11-13 2016-03-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절단계류 모형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965103B1 (ko) * 2018-06-21 2019-04-02 강인학 스마트 aac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647B1 (ko) 2010-12-31
US20100219975A1 (en)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979B1 (ko) 사람-대-사람 교류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들의 레버리징
KR101577607B1 (ko) 상황 및 의도인지 기반의 언어 표현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170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oice input
CN108351890B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JP6231362B2 (ja) プラント監視サーバーおよびプラント監視方法
AU2012203198B2 (en) Personalized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6663427A (zh) 用于服务语音发音的高速缓存设备
Higginbotham et al. The future of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W200847004A (en) Speech-centric multimodal user interface design in mobile technology
CN108958806A (zh) 基于情境确定用于数字助理的响应提示的系统和方法
US20180011687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101004647B1 (ko)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카드 시스템
US20210350784A1 (en) Correct pronunciation of names in text-to-speech synthesis
KR20170056249A (ko) 심리 치료 제공을 위한 컴퓨터 장치 및 프로그램
EP34418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60335239A1 (en)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of completing a form using a device
KR101743999B1 (ko) 컨텐츠 검증 단말기, 시스템 및 그 것들의 제어방법
US20230015797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1230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JP2022129365A (ja) 電子メニュー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534171B2 (ja) 呼出支援システム
US20120267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achine-readable visual markers to provide environmental context for communications
KR20180115490A (ko)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EP35674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201872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