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384A -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384A
KR20100097384A KR1020090016297A KR20090016297A KR20100097384A KR 20100097384 A KR20100097384 A KR 20100097384A KR 1020090016297 A KR1020090016297 A KR 1020090016297A KR 20090016297 A KR20090016297 A KR 20090016297A KR 20100097384 A KR20100097384 A KR 2010009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aphids
banker
plant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011B1 (ko
Inventor
김학남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초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초롱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초롱
Priority to KR102009001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0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은 캔 모양의 용기(10)에 흡수제, 배양토(20), 비료, 천적유지식물(30)의 씨앗을 넣어 입병하는 입병단계(S1), 상기 입병단계(S1)를 마친 상기 용기(10)의 밑면에 개폐 가능한 배수공(11)을 가짐과 동시에 용기(10)의 상면의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상면뚜껑(13)을 형성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S2)로 이루어진 뱅커플랜트 자동화 생산 시스템과; 진딧물, 천적을 최적의 환경에서 대량 사육하여 상기 뱅커플랜트와 별도로 진딧물, 천적을 배송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용기(10) 형태로 생산 제작된 뱅커플랜트의 농가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배송되어(S3) 농가의 대상하우스에 병해충 방제에 요구되는 배치면적에 맞게 배치된 후 천적유지식물(30)이 발아되어 일정크기로 재배되고(S4), 상기 상태에서 제조판매자에 의해 대량 사육된 진딧물, 천적을 별도 구매 요청에 따라 배송(S5)하여 상기 재배된 천적유지식물(30)에 접종 증식시키는 단계(S6)를 더 포함한다.
뱅커플랜트, 진딧물, 천적, 배양토, 자동화, 콜레마니진디벌, 보리

Description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System Separating And Supplying of Banker Plants And The Natural Enemy}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적유지식물인 뱅커플랜트를 대량 생산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렇게 자동 생산된 뱅커플랜트를 농가에 배송 공급하여 농장에 배치한 후, 진딧물과 천적을 별도로 배송하여 농가 현장에서 농가 환경에 맞게 증식하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인 비용 절감 및 천적의 초기 적응 실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뱅커플랜트(Banker Plants)란 천적유지식물을 말하는 것으로써, 천적의 개체수를 꾸준히 증가시켜 주는 천적유지식물이다.
이러한 뱅커플랜트는 자체가 천적 먹이가 되는 것이 아니고, 뱅커플랜트에 서식하는 벌레가 기생성 천적의 산란처가 되며, 예를 들어, 보리 등 벼과 작물에는 보리두갈래진딧물이나 기장테두리진딧물이 서식하는데, 진딧물 천적인 진디벌이 이들에게 기생(산란)하며 세대를 이어 가다가 목화진딧물이나 복숭아혹진딧물이 발생 하면 대상 해충에 기생하여 방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최근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유기농법의 일환으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자연 발생적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천적유지식물인 뱅커플랜트를 활용하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천적유지식물을 활용하는 방법이란, 농가가 천적이용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도록 천적을 보유하고 있는 천적유지식물을 주재배 작물과 함께 심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자연적으로 천적의 수를 늘려 병해충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 통상적인 진딧물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정식 후 진딧물이 발생하기 전에 먼저 진디벌 뱅커플랜트를 660㎡(200평)당 3~4포트를 포장에 이식하고, 이식한 보리에 진딧물과 진디벌의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작물에 진딧물의 발생이 확인되면, 먼저 진딧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복숭아혹진딧물이나 목화진딧물이면 콜레마니진디벌로 방제가 가능하나, 수염진딧물인 경우 콜레마니진디벌이 기생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염진디벌이나 진디혹파리를 사용해야한다.
통상 진딧물은 처음부터 온실 전체에 골고루 발생되지 않고 한 지점에 발생되어(hot spot) 증식이 이루어진 후 포장 전체로 퍼지는게 대부분이다.
따라서, 발견된 지점에 천적을 집중적으로 방사하여 초기에 진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상기 콜레마니진디벌의 방사량은 진딧물 발생이 시작 단계라면, ㎡당 0.5~1 마리를 1주일 간격으로 3~4회 방사하며, 진딧물의 발생량에 따라 천적의 사용량은 가감된다.
그러나 진딧물의 발생예찰이 늦어 천적사용시기를 놓쳤거나, 천적을 사용하였는데도 진딧물의 밀도를 억제하지 못하거나, 천적으로의 방제가 어려운 진딧물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진딧물 발생지점 위주로 천적에 안전한 피메트로진 수화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농약을 살포하여 진딧물의 밀도를 떨어뜨린 후, 천적을 방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기존에 투입된 천적에 영향을 적게 주어 생물적 방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다.
천적 방사 2~3주 후에는 진딧물이 죽은 머미가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여 머미의 형성률에 따라 진디벌의 추가방사를 결정해야 한다.
발생 진딧물의 50%이상 머미가 형성되었으면 진디벌의 추가방사는 하지 말고 주기적으로 진딧물 밀도 증가 상황을 관찰하여 진딧물 밀도가 감소되지 않으면 천적을 추가방사 해야 한다.
여름철 시설 내 온도가 33℃이상에서는 진디벌의 유충을 기생하는 중복기생벌의 발생이 많아 콜레마니진디벌의 효과가 매우 낮을 때는 진디혹파리, 진디면충좀벌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유기농법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해충이 발생하기 시작할 때 천적을 하우스에 넣는 연속방사법을 이용했는데, 이러한 연속방사법을 이용할 경우, 해충의 발생량이 증가하면 방제 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라 많은 양 의 천적을 여러번 투입하기 때문에 농가가 천적기술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개발된 천적유지식물 이용법은 작물을 하우스에 옮겨 심은 직후부터 천적을 보유하고 있는 식물을 함께 재배해서 천적의 먹이 공급처 또는 피신처로 활용함으로써, 농가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천적유지식물을 이용한 예로써, 시설하우스 오이재배에서 콜레마니진디벌유지식물(banker plants)을 이용하여 진딧물 방제를 수행하는 것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때, 천적유지식물(banker plants)은 보리두갈래진딧물(Schizaphis graminum)을 접종한 보리 유묘에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조기 정착시킨 것으로, 이를 통해 목화진딧물방제를 오랫동안 지속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수박의 수확기 한달 전에 30평 정도의 비닐하우스 2채에 목화진딧물을 넣어준 뒤 한달 후에 살펴본 결과, 천적유지식물인 보리를 함께 심은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수확을 한 반면에, 천적유지식물을 넣지 않은 곳에서는 수박잎 10장에서 1,700마리 이상의 목화진딧물이 서식해 결국 말라 죽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원예작물인 딸기, 고추, 파프리카 등의 주요 해충인 진딧물 방제를 위하여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이 주로 이용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즉, 이를 위하여 보리를 기주식물로 활용하고 있는 바, 보리의 해충인 보리 두갈레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이 보리에는 위해를 가하나, 일반 원예작물은 가해하지 않아 뱅커플랜트로서 적당한 식물로 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고추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us)과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이 가장 피해가 심하며, 일부 수염진딧물류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진딧물은 알로 월동을 하며, 월동시기를 제외하고 단위생식(單爲生殖)으로 새끼를 낳는데, 일생동안 약 80~90마리를 낳는다.
이러한 진딧물의 발생시기는 온실에서는 월동기 없이 연중 발생하지만, 노지에서는 대체로 월동 후 5월경부터 발생하는데, 이때 온실 천장과 측창을 통하여 시설 내로 날아 들어와 증식한다.
상기 진딧물 천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콜레마니진디벌, 싸리진디벌(Aphidius gifuensis), 수염진디벌(Aphidius ervi), 진디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진디면충좀벌(Aphelinus asychis),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등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는 천적은 콜레마니진디벌, 수염진디벌, 진디혹파리 정도이다.
이때, 상기 콜레마니진디벌은 수명이 약 3~5일 정도로 매우 짧기 때문에 자주 방사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방법이 진디벌 뱅커플랜트(banker plant)이고, 이 뱅커플랜트는 보리에 기장테두리진딧물이나 보리수염진딧물을 붙여 진디벌을 접종 한 형태로 포장에서 오랫동안 진디벌이 생존할 수 있는 먹이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혹시 보리에 붙어있는 기장테두리진딧물과 보리수염진딧물이 고추를 가해하지 않을까 우려할 수도 있으나, 화본과 작물만 가해하기 때문에 고추에는 피해를 주지 않는다.
아래 표 1 및 그림에는 1999년도 농과원에서 발표한 고추에서 콜레마니진디벌 방사에 의한 진딧물 방제 효과에 대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9011970887-PAT00001
이처럼, 상기 천적유지식물을 이용한 방법은 천적을 한번만 넣어도 밀도가 자체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이 있어 연속방사법에 비해 방제효과가 크고, 농가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앞으로 농가보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방법은 천적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농약 재배가 가능하여 환경농산물로서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박 등 채소 하우스재배 농가에 시범 재배하고 작목반 단위로 확산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천적유지식물을 이용한 방법이 일반화되지 않았으며, 현재에도 대단위 재배농가에서 집단적 혹은 대단위 형태로만 천적을 보급하는 데 그쳐, 소규모의 개별농가에서 소량 주문을 통해 천적유지식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2887호(2005. 04. 19. 등록,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의 포장구조)에 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천적유지식물을 화분의 형태로 보급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즉,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382887호에 개시된 기술 내용은, 화분 역할을 하는 포트 내에 상토를 넣고, 식물을 심은 다음 해충과 천적을 함께 넣어 장기간 동안 천적이 발생하도록 함과 아울러 식물의 뿌리가 서로 엉겨서 매트를 형성하도록 된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과, 상기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을 넣어 포장하는 포장상자와, 상기 포장상자를 감아 묶는 포장끈을 구비하되; 상기 포장끈의 일단이 상기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의 포트 및 매트를 관통하여 좌우 측으로 연장 연결된 다음, 상기 포장끈이 포장상자의 양측면 구멍을 통해 포장상자 밖으로 나와 포장상자 전체를 감아서 포장됨으로써, 택배 등을 통한 소량 배달 시 포장상자를 거 꾸로 들어도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 천적유지식물을 보급하는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에 배양토를 넣고 보리를 파종하고, 보리가 약간 자란 단계에서 여기에 진딧물을 이식하여 증식한 다음, 기 생성된 천적을 접종하여 머미(번데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이를 포장하여 농가에 하나의 상품으로 출하함으로써, 농가 내에서 보리 화분을 식재 또는 배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배송과정에서 식물이 죽는 문제점이 들어 났고, 특히, 배송 포장된 천적유지식물을 식재하는 과정에서의 식물이 고사하거나, 기생용 진딧물이나 천적(콜레마니진디벌)이 환경적응에 실패하여 정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송 포장되는 뱅커플랜트의 1개 예방 면적이 200평 단위이므로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해충의 특성에 맞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개별 단위로 포장 배송되는 뱅커플랜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적유지식물인 뱅커플랜트를 대량 생산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렇게 자동 생산된 뱅커플랜트를 농가에 배송 공급하여 농장에 배치한 후, 진딧물과 천적을 별도로 배송하여 농가 현장에서 농가 환경에 맞게 증식하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인 비 용 절감 및 천적의 초기 적응 실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캔 모양의 용기에 흡수제, 배양토, 비료, 천적유지식물의 씨앗을 넣어 입병하는 입병단계, 상기 입병단계를 마친 상기 용기의 밑면에 개폐 가능한 배수공을 가짐과 동시에 용기의 상면의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상면뚜껑을 형성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로 이루어진 뱅커플랜트 자동화 생산 시스템과; 진딧물, 천적을 최적의 환경에서 대량 사육하여 상기 뱅커플랜트와 별도로 진딧물, 천적을 배송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입병단계는 사전 제작된 캔 모양의 용기가 생산라인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흡수제가 먼저 투입되고, 그 다음 일정비율로 혼합된 질석, 육묘용 상토, 압면배지로 이루어진 배양토가 투입되며, 이렇게 배양토가 투입된 이후에는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비료가 투입되고, 이어 천적유지식물의 씨앗이 투입되며, 그 위에 다시 상기 배양토를 덮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 형태로 생산 제작된 뱅커플랜트의 농가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배송되어 농가의 대상하우스에 병해충 방제에 요구되는 배치면적에 맞게 배치된 후 천적유지식물이 발아되어 일정크기로 재배되고, 상기 상태에서 제조판매자에 의해 대량 사육된 진딧물, 천적을 별도 구매 요청에 따라 배송하여 상기 재배된 천 적유지식물에 접종 증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뱅커플랜트를 용기 형태로 자동 생산화함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종래 수작업으로 제작할 때의 제품의 불균일화를 해소하여 제품의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통기간을 최저 6개월 정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뱅커플랜트를 용기 형태로 제작하여 대상 하우스에서 직접 발아시켜 기르기 때문에 종래 천적유지식물을 사전에 길러서 포장 배송하여 대상하우스에 식재할 경우와 비교해서 천적유지식물의 이동이 없어 이동에 따른 천적유지식물이 고사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농가에서 용기에 담긴 뱅커플랜트를 발아시켜 일정크기로 기른 상태에서 진딧물, 천적을 별도로 배송하여 접종시킨 후 증식시키기 때문에, 농가 환경에 맞춰서 초기 적응에 실패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비용에 있어서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진딧물, 천적의 경우에도 뱅커플랜트의 제조판매자가 최적의 환경에서 대량 사육후 농가의 구매자에게 구매요청에 따라 별도로 소량씩 일괄 공급할 수 있어 양질의 진딧물 및 천적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천적유지식물을 통한 병해충 방제 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시스템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 자동화를 통해 용기(캔) 형태로 제조된 뱅커플랜트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도 3은 용기 형태로 제조된 뱅커플랜트의 밑면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배수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용기에서 천적유지식물을 발아시키기 위해 용기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용기 내에서 천적유지식물이 발아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를 딸기 밭에 배치하여 발아 재배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와, 이렇게 자동 생산된 뱅커플랜트를 배송하여 농장에 배치한 후, 진딧물, 천적을 분리 배송하여 접종, 증식하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는 뱅커플랜트를 대량 생산 가능하도록 하고 표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이미 주지 공용되고 있는 음료 캔 자동 생산 방식을 응용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 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병단계(S1)와 밀봉단계(S2)로 구분할 수 있는 데, 상기 입병단계(S1)에서는 캔 모양의 용기(10, 도 3 참조)에 흡수제, 배양토(20, 도 4 참조), 비료, 천적유지식물(30, 도 5 참조)의 씨앗을 넣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캔 모양의 용기(10) 재질로는 알루미늄, 합성수지와 같이 종래 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할 수 있으나, 제조단가에 따른 경제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10) 내에 입병되는 상기 흡수제로는 솜이나 스폰지가 사용되고, 상기 배양토(20)는 질석, 육묘용 상토, 압면 배지 등으로 구성되며, 천적유지식물(30)로 발아될 수 있는 씨앗과 함께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비료가 넣어지게 된다.
일예로써, 상기 씨앗은 천적유지식물로 주로 알려진 보리의 씨앗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입병단계(S1)를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전 제작된 캔 모양의 용기(10)가 생산라인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먼저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흡수제가 투입되고, 그 다음 일정비율로 혼합된 질석, 육묘용 상토, 압면배지로 이루어진 배양토(20)가 투입된다.
이렇게 배양토(20)가 투입된 이후에는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비료가 투입되고, 이어 천적유지식물(30)의 씨앗이 투입되며, 그 위에 다시 상기 배양토(20)로 덮어줌으로써, 입병단계(S1)가 마무리되게 된다.
이렇게 입병단계(S1)가 마무리 되면, 상기 용기(10)를 밀봉하는 밀봉단계(S2)를 거치게 됨으로써,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가 마무리되게 된다.
이러한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는 종래 수작업에 따른 제품의 불균일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배양토(20), 비료, 씨앗의 입병단계를 자동 화시킴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밀봉단계(S2)에서 상기 용기(10)의 밑면에는 배수공(11)을 갖추어야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밑면에 음료 캔 등에서 적용되는 원터치 뚜껑(12) 형태의 개폐방식으로 이루어진 배수공(11)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공(11)은 용기(10)를 농장에 배치하여 천적유지식물(30)을 발아시키고자 할 때, 용기(10) 내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게 뚜껑(12)을 열어 상기 배수공(11)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단계(S2)에서 용기(10)의 상면에는 통조림 캔의 개폐방식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구조처럼 상면뚜껑(13) 전체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밀봉하게 된다.
즉, 상기 상면뚜껑(13)은 용기(10)를 농장에 배치하여 용기(10) 내에서 입병된 씨앗이 발아되도록 할 때 개방해야 하는바, 이때 작업자가 상면뚜껑(13)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밀봉단계(S2)가 마무리 되면, 상기 용기를 포장하여 일정장소에 저장 보관함으로서, 수요자의 요청이 있을 때 배송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뱅커플랜트가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대량 생산이 됨과 동시에 진딧물, 천적은 제조판매자에 의해서 최적의 환경에서 대량 사육되고, 이렇게 대량 사육된 진딧물, 천적은 뱅커플랜트와는 별도로 분리 공급되게 된다.
물론, 진딧물 및 천적은 다양한 종류가 있음으로, 각각 필요로 하는 최적의 환경에서 각각 대량 사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량 사육되는 진딧물 및 그 천적 관계는 종래 기술에서 일예로써 설명하고 있는 관계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농가의 구매자가 천적유지식물을 통한 병해충 방제를 하기 위해 뱅커플랜트의 배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생산 준비된 용기(10)를 요청 수량만큼 배송하게 되는 것이다.(S3)
이때, 상기 용기(10) 형태로 대량 생산된 뱅커플랜트는 보통 유통기간 최저 6개월을 보장하고 있는 바, 농가의 1작기 중 사용량을 초기 일괄 배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배송된 뱅커플랜트 용기(10)는 농장의 필요한 위치(대상하우스)에 배치되어 발아시키게 된다.(S4)
이처럼, 상기 용기(10)에 담긴 천적유지식물(30)을 대상 하우스(혹은 농장)에서 직접 발아시켜 기르기 때문에 방제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고, 이렇게 이동이 없게 되면, 종래 천적유지식물을 길러 포장상태로 배송하여 식재할 때에 비해서 상대적의 천적유지식물이 고사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뱅커플랜트를 작물을 재배하는 중간 중간에 배치하게 되는 바, 보통 660㎡(대략 200평)당 3~4포트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뱅커플랜트를 배치할 때, 소량화 된 용기를 국부적으로 해출 발생 예 상지점에 투여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뱅커플랜트를 발아시켜 천적유지식물(30)인 보리가 일정크기로 자라게 되면,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별도로 소량의 진딧물, 천적을 배송(S5)하여 작물 재배 현장에서 접종시키게 된다.(S6)
즉,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 제조 판매자는 생산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상기 뱅커플랜트를 용기 형태로 대량 생산함과 아울러, 별도로 최적의 환경에서 진딧물과 천적을 대량사육 후 구매자의 요청에 맞춰 소량 단위로 일괄 공급함으로써 양질의 진딧물 및 천적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농가의 구매자가 소량의 진딧물과 천적을 뱅커플랜트와 별도로 구매하여 현장에서 접종하게 되면, 종래 뱅커플랜트에 미리 접종 증식시켜 농가에 배송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절감 됨은 물론, 종래와 같이 농가 현장의 환경에서 진딧물 및 천적이 접종 증식되지 않고 안정적인 조건이 갖추어진 인위적인 환경에서 접종 증식될 때보다 자연적인 농가 환경에 맞게 접종되어 증식되기 때문에 진딧물과 천적이 적응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즉, 종래의 진딧물과 천적의 초기적응 실패와 같은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뱅커플랜트의 생육 및 진딧물, 천적 증식 상태를 관찰하여 사후 관리를 하게 되면, 천적유지식물을 통한 병해충 방제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뱅커플랜트의 생산 공급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시스템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형태로 제조된 뱅커플랜트의 밑면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배수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 용기에서 천적유지식물을 발아시키기 위해 용기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 용기 내에서 천적유지식물이 발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뱅커플랜트를 딸기 밭에 배치하여 발아 재배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1 : 배수공
12 : 원터치 뚜껑 13 : 상면뚜껑
20 : 배양토 30 : 천적유지식물

Claims (3)

  1. 캔 모양의 용기(10)에 흡수제, 배양토(20), 비료, 천적유지식물(30)의 씨앗을 넣어 입병하는 입병단계(S1), 상기 입병단계(S1)를 마친 상기 용기(10)의 밑면에 개폐 가능한 배수공(11)을 가짐과 동시에 용기(10)의 상면의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상면뚜껑(13)을 형성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S2)로 이루어진 뱅커플랜트 자동화 생산 시스템과;
    진딧물, 천적을 최적의 환경에서 대량 사육하여 상기 뱅커플랜트와 별도로 진딧물, 천적을 배송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병단계(S1)는 사전 제작된 캔 모양의 용기(10)가 생산라인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흡수제가 먼저 투입되고, 그 다음 일정비율로 혼합된 질석, 육묘용 상토, 압면배지로 이루어진 배양토(20)가 투입되며, 이렇게 배양토(20)가 투입된 이후에는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비료가 투입되고, 이어 천적유지식물(30)의 씨앗이 투입되며, 그 위에 다시 상기 배양토(20)를 덮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 형태로 생산 제작된 뱅커플랜트의 농가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배송되어(S3) 농가의 대상하우스에 병해충 방제에 요구되는 배치면적에 맞게 배치된 후 천적유지식물이 발아되어 일정크기로 재배되고(S4), 상기 상태에서 제조판매자에 의해 대량 사육된 진딧물, 천적을 별도 구매 요청에 따라 배송(S5)하여 상기 재배된 천적유지식물에 접종 증식시키는 단계(S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
KR1020090016297A 2009-02-26 2009-02-26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방법 KR10109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297A KR101096011B1 (ko) 2009-02-26 2009-02-26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297A KR101096011B1 (ko) 2009-02-26 2009-02-26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384A true KR20100097384A (ko) 2010-09-03
KR101096011B1 KR101096011B1 (ko) 2011-12-19

Family

ID=4300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297A KR101096011B1 (ko) 2009-02-26 2009-02-26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0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52B1 (ko) * 2012-07-31 2014-07-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기생성곤충 생장 관찰장치
KR102106420B1 (ko) * 2019-10-17 2020-05-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KR20220028601A (ko) * 2020-08-31 2022-03-08 거창군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6458B (zh) * 2014-07-22 2016-03-02 中山大学 菜蚜茧蜂载体植物系统及其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87Y1 (ko) * 2005-01-17 2005-04-27 동그라미곤충농장 주식회사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의 포장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52B1 (ko) * 2012-07-31 2014-07-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기생성곤충 생장 관찰장치
KR102106420B1 (ko) * 2019-10-17 2020-05-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KR20220028601A (ko) * 2020-08-31 2022-03-08 거창군 포식성 천적 사육에 필요한 긴꼬리볼록진딧물 대량사육방법 및 저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011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wardani Hydroponic Vegetable Production Planning at Plantation Parung Farm Bogor
KR101130174B1 (ko) 천적곤충의 대량 생산 시설
CN105766308A (zh) 一种有机番茄高产的方法
CN105493874A (zh) 一种大棚黄瓜的高产栽培方法
CN103039242A (zh) 一种玉米无公害高产栽培的方法
CN102057833A (zh) Am菌根菌在牡丹栽培中的应用方法
CN103999665A (zh) 一种用葵菜养殖烟蚜茧蜂的方法
KR101096011B1 (ko)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 공급방법
Jovicich et al. Production of greenhouse-grown peppers in Florida
CN103444427A (zh) 一种大棚草莓套种网纹甜瓜种植方法
CN107409710A (zh) 一种西红柿的种植方法
KR101789174B1 (ko)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KR200382887Y1 (ko)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의 포장구조
CN102119614A (zh) 一种观瞻食用的生姜栽培方法
CN107455122A (zh) 一种茎用西兰花制种以及套种甜玉米、鲜食毛豆和厚皮甜瓜的栽培方法
Kobayashi et al. Ornamental ginger, red and pink
CN108782205B (zh) 一种拟南芥壮苗的培育方法
Srikanth et al. Impact of Climate Change in Capsicum Production: A Review
CN106305116A (zh) 一种适合作为牛饲料使用的高产甜玉米种植方法
KR101210680B1 (ko) 폐쇄형 육묘 시스템을 이용한 딸기 묘 육묘 방법
CN112825741A (zh) 番茄生产方法
Rowley et al. High tunnel strawberry production
CN109937789A (zh) 一种采用葡萄籽培育无籽葡萄的培育方法
KR200365551Y1 (ko) 가정용 버섯 재배 용기
Bermuli et al. The effect of pasteurization stage on the production of straw mushroom (volvariella volvacea, bull. ex. fr./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