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420B1 -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420B1
KR102106420B1 KR1020190129402A KR20190129402A KR102106420B1 KR 102106420 B1 KR102106420 B1 KR 102106420B1 KR 1020190129402 A KR1020190129402 A KR 1020190129402A KR 20190129402 A KR20190129402 A KR 20190129402A KR 102106420 B1 KR102106420 B1 KR 10210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ontainer body
container
unit
natural ene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은혜
전혜정
황정은
김태윤
이준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Priority to KR102019012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상부에 제1 천적의 알이 산란된 제1 식물이 수용된 제1 유닛이 배치되고, 용기 본체의 하부에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와 먹이곤충 및 제2 식물을 수용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해충별로 유인 또는 기피 방어벽을 제공하되,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PACKAGE ASSEMBLY FOR TRANSFERRING NATURAL ENEMY INSECTS AND BANKER PLANTS}
본 발명은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적 방제를 위한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화학약품에 의한 해충 방제의 환경 유해성과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크게 부각되는 상황에서 천적 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의 유용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가 최근들어 널리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뱅커 플랜트(banker plants)는 천적의 개체수를 꾸준히 증시켜주는 천적 유지식물인데, 이러한 뱅커 플랜트는 그 자체의 천적 생물의 먹이가 되는 것이 아니며, 뱅커 플랜트 자신에 서식하는 벌레, 즉 퇴치 대상인 해충의 먹이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958959호의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탈착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생육 토양과, 상기 생육 토양에 파종된 뱅커플랜트의 종자 또는 모종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생육 토양의 표면을 누르는 하단부와, 상기 제1 유닛에 접촉되거나 끼움 결합되는 상단부를 구비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종자가 파종된 상기 생육 토양이 상기 제1 유닛의 이송 과정에서 외부 충격을 받아 뒤집히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선행기술은 기생성 천적 생물과 그 먹이가 되는 먹이곤충과 먹이 곤충이 먹을 뱅커플랜트를 함께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선행기술은 실제 방제 현장에서 뱅커플랜트를 적용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로부터 제2 유닛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분리시켜야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제2 유닛 분리 과정은 뱅커플랜트에 부착된 먹이곤충이나 천적 생물들이 이탈하여 흩어지거나, 작업자의 숙련도 부족이나 부주의로 인하여 천적 생물이나 먹이곤충들의 활력이 저하되고 유효 개체수가 감소될 우려가 다분하다.
특히, 선행기술은 뱅커플랜트의 뿌리측에서 매트 형성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쪽에서는 상토가 날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9589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해충별로 유인 또는 기피 방어벽을 제공하되,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천적 생물들을 이상적으로 조합하여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적 생물을 생물학적 방제에 적용하기 위한 진입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춤으로써 저비용 고효율의 친환경 방제기법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제1 천적의 알이 산란된 제1 식물이 수용된 제1 탈착 용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잎을 가진 화본과(禾本科) 식물의 모종인 제2 식물과, 상기 제2 식물을 먹는 먹이곤충과, 상기 먹이곤충을 포식하는 제2 천적 또는 상기 제2 천적의 번데기가 수용된 제2 탈착 용기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하 양단 관통이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하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탈착 용기에 수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식물이 식재되는 생육용 배지와, 상기 제1 탈착 용기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걸려 안착되는 제1 안착 리브와, 상기 제1 안착 리브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맞물려 상기 제1 탈착 용기를 밀폐시키는 제1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천적 및 상기 제1 식물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탈착 용기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식물이 어레이되는 임시 용기와, 상기 임시 용기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식물의 잎이 상기 임시 용기의 상부측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모종의 잎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복수의 메시가 형성된 망체와, 상기 제2 탈착 용기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밀착 리브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제1 하부 탈착 리브와, 상기 제2 탈착 용기의 외측 바닥면과 맞물려 상기 제2 탈착 용기와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제1 유닛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천적 또는 상기 제2 천적의 번데기와 상기 먹이곤충 및 상기 제2 식물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용기 본체; 용기 본체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제1 천적의 알이 산란된 제1 식물이 수용된 제1 탈착 용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용기 본체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잎을 가진 화본과(禾本科) 식물의 모종인 제2 식물과, 제2 식물을 먹는 먹이곤충과, 먹이곤충을 포식하는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가 수용된 제2 탈착 용기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은 용기 본체와 일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해충별로 유인 또는 기피 방어벽을 제공하되,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는 상하 양단 관통이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은 용기 본체의 상하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천적 생물들을 이상적으로 조합하여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제1 탈착 용기에 수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식물이 식재되는 생육용 배지와, 제1 탈착 용기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용기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걸려 안착되는 제1 안착 리브와, 제1 안착 리브 및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맞물려 제1 탈착 용기를 밀폐시키는 제1 커버를 더 포함하며, 제1 커버는 제1 천적 및 제1 식물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제2 탈착 용기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물이 어레이되는 임시 용기와, 임시 용기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 식물의 잎이 임시 용기의 상부측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모종의 잎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복수의 메시가 형성된 망체와, 제2 탈착 용기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되어 용기 본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밀착 리브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제1 하부 탈착 리브와, 제2 탈착 용기의 외측 바닥면과 맞물려 제2 탈착 용기와 용기 본체 및 제1 유닛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하며, 제2 커버는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와 먹이곤충 및 제2 식물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적 생물을 생물학적 방제에 적용하기 위한 진입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춤으로써 저비용 고효율의 친환경 방제기법을 구축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작물의 작기 초에 복잡한 예찰과정이 없이 농업 현장에 천적을 정착시킬 수 있는 현장에 특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손쉽게 천적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친환경 방제에 대한 진입장벽을 대폭 낮추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괄적으로 천적과 서식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생물학적 방제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천적 생물과 먹이 생물 및 뱅커 플랜트의 계획 생산에 의하여 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므로, 천적의 제품단가 인하를 유도하여 천적곤충 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를 이용하게 된다면, 관행방제 수준의 비용으로 친환경적인 방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천적 생물을 이용하는 농가의 소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를 이용하게 된다면, 농업 현장에 특화된 천적 생물의 유지 시스템 개발과 연계하여 농업인들이 천적 생물을 적기에 투입하는 등 다양한 활용도를 높임에 따라 천적 투입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방제 효율을 높여 농업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00)의 상부에 제1 천적의 알(102)이 산란된 제1 식물(101)이 수용된 제1 유닛(100)이 배치되고, 용기 본체(300)의 하부에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203)와 먹이곤충(202) 및 제2 식물(201)을 수용하는 제2 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용기 본체(30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제1 천적의 알(102)이 산란된 제1 식물(101)이 수용된 제1 탈착 용기(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용기 본체(300)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용기 본체(300)에 수용되는 잎을 가진 화본과(禾本科) 식물의 모종인 제2 식물(201)과, 제2 식물(201)을 먹는 먹이곤충(202)과, 먹이곤충(202)을 포식하는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203)가 수용된 제2 탈착 용기(2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은 용기 본체(300)와 일체로 이송되어 생물학적 방제가 필요한 농업 현장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천적은 광포식성 천적 생물이며, 제2 천적은 진딧물 기생성 천적 생물일 수 있다.
여기서, 광포식성 천적 생물은, 애꽃노린재, 침노린재, 딱정벌레, 무당벌레, 반날개, 풀잠자리, 혹파리, 꽃등에, 거미, 이리응애, 응애혹파리, 깨알반날개류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이때, 진딧물 기생성 천적 생물은, 고치벌, 맵시벌, 좀벌, 금좀벌, 깡충좀벌, 면충좀벌을 포함하는 기생벌과, 기생파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한편, 용기 본체(300)는 상하 양단 관통이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은 용기 본체(300)의 상하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300)는 내부에 수용된 식물과 곤충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탈착 용기(110)에 수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식물(101)이 식재되는 생육용 배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제1 탈착 용기(11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용기 본체(30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걸려 안착되는 제1 안착 리브(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제1 안착 리브(111) 및 용기 본체(300)의 상단부와 맞물려 제1 탈착 용기(110)를 밀폐시키는 제1 커버(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커버(130)는 제1 천적 및 제1 식물(101)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탈착 용기(11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탈착 용기(110)의 하부면을 일정 크기의 메시망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생물학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에 바로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메시망 형태의 구조는 제1 식물(101)과 생육용 배지(120) 또는 제1 식물(101)과 생육용 토양(이하 미도시)에 포함된 제1 천적 또는 제1 천적의 알 등이 제1 탈착 용기(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제1 커버(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1 안착 리브(111)가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상부 탈착 리브(13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유닛(100)은, 제1 상부 탈착 리브의 가장자리(131)를 따라 연장되어 용기 본체(30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밀착 리브(310)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상부 탈착 리브(132)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탈착 용기(210)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물(201)이 어레이되는 임시 용기(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임시 용기(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 식물(201)의 잎이 임시 용기(220)의 상부측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모종의 잎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복수의 메시가 형성된 망체(2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2 탈착 용기(210)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되어 용기 본체(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밀착 리브(320)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제1 하부 탈착 리브(2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2 탈착 용기(210)의 외측 바닥면과 맞물려 제2 탈착 용기(210)와 용기 본체(300) 및 제1 유닛(100)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커버(2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커버(230)는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203)와 먹이곤충(202) 및 제2 식물(201)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망체(221)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면에도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생물학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에 바로 식재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제1 탈착 용기(110)의 메시망 형태 바닥면 구조가 제1 식물(101)의 매트 형성된 뿌리가 드러나는 것과 같이, 망체(221)의 구조 또한 제2 식물(201)의 매트 형성된 뿌리가 드러나도록 하여 용기 본체(300)로부터 분리한 망체(221)를 현장에 식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망체(221)의 메시망 형태의 구조는 제1 식물(101)과 생육용 배지(120) 또는 제1 식물(101)과 생육용 토양(이하 미도시)에 포함된 먹이곤충(202)과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203) 등이 임시 용기(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하부 탈착 리브(211)에 의하여 제2 탈착 용기(210)의 외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링 형상의 돌출부(212)와 맞물리도록 제2 커버(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하부 탈착 리브(231)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돌출부(212)를 제2 하부 탈착 리브(231)와 맞물리도록 하고 제2 식물(201)들이 어레이된 임시 용기(220)를 제2 탈착 용기(210)에 안착 고정시킨 다음, 제2 밀착 리브(320)가 제1 하부 탈착 리브(211)에 맞물리도록 하면, 제2 식물(201)과 먹이곤충(202) 및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203)를 용기 본체(300)에 수용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제1 천적의 알(102)이 산란된 제1 식물(101)이 식재된 생육용 배지(120)를 제1 탈착 용기(110)에 담고 제1 식물(101)이 식재되는 생육용 배지(120)를 제1 밀착 리브(310)에 안착 고정시킨 후 제1 상부 탈착 리브(131)와 제2 상부 탈착 리브(132)를 각각 제1 안착 리브(111)와 제1 밀착 리브(310)에 맞물리게 하면, 용기 본체(300)의 상하 양단부에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만일의 경우 운반 이송 과정에서 용기 본체(300)의 하단부와 제2 유닛(200)의 의도치 않은 분리 또는 이탈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형 후크편(4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체 고정형 후크편(400)은 제1 커버(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단부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300)의 하단부가 안착 고정된 제2 탈착 용기(210)의 바닥면과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하단부를 구비한 것이다.
즉, 일체 고정형 후크편(400)은 상단부와 반대쪽인 하단부에 형성되어 제2 커버(230)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제2 하부 탈착 리브(231)와 걸림 고정되는 탈착 후크(410)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기 본체(300)의 상하 양단부에 제1, 2 유닛(100, 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커버(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형 후크편(400)을 회동시킨 후 탈착 후크(410)를 제2 커버(230)의 바닥면에 결합시킴으로써, 용기 본체(300)에 대한 제1, 2 유닛(100, 200)의 일체 고정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용기 본체(300); 용기 본체(30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제1 천적의 알(102)이 산란된 제1 식물(101)이 수용된 제1 탈착 용기(11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 및 용기 본체(300)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용기 본체(300)에 수용되는 잎을 가진 화본과(禾本科) 식물의 모종인 제2 식물(201)과, 제2 식물(201)을 먹는 먹이곤충(202)과, 먹이곤충(202)을 포식하는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203)가 수용된 제2 탈착 용기(21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을 포함하며,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은 용기 본체(300)와 일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해충별로 유인 또는 기피 방어벽을 제공하되,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300)는 상하 양단 관통이며,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은 용기 본체(300)의 상하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천적 생물들을 이상적으로 조합하여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제1 탈착 용기(110)에 수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식물(101)이 식재되는 생육용 배지(120)와, 제1 탈착 용기(11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용기 본체(30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걸려 안착되는 제1 안착 리브(111)와, 제1 안착 리브(111) 및 용기 본체(300)의 상단부와 맞물려 제1 탈착 용기(110)를 밀폐시키는 제1 커버(130)를 더 포함하며, 제1 커버(130)는 제1 천적 및 제1 식물(101)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제2 탈착 용기(210)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물(201)이 어레이되는 임시 용기(220)와, 임시 용기(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 식물(201)의 잎이 임시 용기(220)의 상부측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모종의 잎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복수의 메시가 형성된 망체(221)와, 제2 탈착 용기(210)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되어 용기 본체(3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밀착 리브(320)가 안착되는 링 형상의 제1 하부 탈착 리브(211)와, 제2 탈착 용기(210)의 외측 바닥면과 맞물려 제2 탈착 용기(210)와 용기 본체(300) 및 제1 유닛(100)을 받침 지지하는 제2 커버(230)를 더 포함하며, 제2 커버(230)는 제2 천적 또는 제2 천적의 번데기(203)와 먹이곤충(202) 및 제2 식물(201)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해충별로 유인 또는 기피 방어벽을 제공하되, 천적 생물마다 최적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적 방제가 필요한 현장까지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식물
102...제1 천적의 알
110...제1 탈착 용기
111...제1 안착 리브
120...생육용 배지
130...제1 커버
131...제1 상부 탈착 리브
132...제2 상부 탈착 리브
200...제2 유닛
201...제2 식물
202...먹이곤충
203...제2 천적 또는 상기 제2 천적의 번데기
210...제2 탈착 용기
211...제1 하부 탈착 리브
212...돌출부
220...임시 용기
221...망체
230...제2 커버
231...제2 하부 탈착 리브
300...용기 본체
310...제1 밀착 리브
320...제2 밀착 리브
400...일체 고정형 후크편
410...탈착 후크

Claims (4)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제1 천적의 알이 산란된 제1 식물이 수용된 제1 탈착 용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잎을 가진 화본과(禾本科) 식물의 모종인 제2 식물과, 상기 제2 식물을 먹는 먹이곤충과, 상기 먹이곤충을 포식하는 제2 천적 또는 상기 제2 천적의 번데기가 수용된 제2 탈착 용기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하 양단 관통이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하 양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탈착 용기에 수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식물이 식재되는 생육용 배지와,
    상기 제1 탈착 용기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걸려 안착되는 제1 안착 리브와,
    상기 제1 안착 리브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맞물려 상기 제1 탈착 용기를 밀폐시키는 제1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천적 및 상기 제1 식물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대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90129402A 2019-10-17 2019-10-17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KR10210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02A KR102106420B1 (ko) 2019-10-17 2019-10-17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02A KR102106420B1 (ko) 2019-10-17 2019-10-17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420B1 true KR102106420B1 (ko) 2020-05-04

Family

ID=7073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402A KR102106420B1 (ko) 2019-10-17 2019-10-17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4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384A (ko) * 2009-02-26 2010-09-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초롱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
KR101221625B1 (ko) * 2010-11-09 2013-01-14 (주) 에코윈 천적유지식물 화분의 포장용기
KR101958959B1 (ko) 2018-09-27 2019-03-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KR101980218B1 (ko) * 2017-11-14 2019-05-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뱅커 플랜트와 천적 곤충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384A (ko) * 2009-02-26 2010-09-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초롱 뱅커플랜트의 생산 자동화를 통한 뱅커플랜트와 진딧물, 천적의 분리공급 시스템
KR101221625B1 (ko) * 2010-11-09 2013-01-14 (주) 에코윈 천적유지식물 화분의 포장용기
KR101980218B1 (ko) * 2017-11-14 2019-05-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뱅커 플랜트와 천적 곤충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KR101958959B1 (ko) 2018-09-27 2019-03-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7576B (zh) 螨类组合物
US20090025642A1 (en)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reeding Natural Enemy Insects And Rearing Method For Breeding Natural Enemy Insects
JP6392137B2 (ja) バンカー型生物農薬の製造方法
Askary et al. Entomopathogenic nematodes: mass production, formulation and application
JP2006230229A (ja) 天敵昆虫の餌昆虫と餌植物の運搬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86021B1 (ko) 파리포식천적 대량사육장치
Nielsen et al. Experiences in transplanting wood ants into plantations for integrated pest management
JP2006271307A (ja) 天敵昆虫の放飼方法、運搬増殖方法及び運搬増殖装置
KR102106420B1 (ko) 천적곤충과 뱅커 플랜트를 이송하기 위한 뱅커 플랜트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WO2018178870A1 (es) Metodo para criar y seleccionar pupas de encarsia formosa y amitus fuscipennis y metodo para controlar la mosca blanca en cultivos de tomate de invernadero
Walters et al. Management of oilseed rape pests
KR20070106838A (ko) 반날개과 대량사육방법 및 반날개과 상품용기
Soumia et al. Integrated Management of Paste on Onion and Garlic
KR101980218B1 (ko) 뱅커 플랜트와 천적 곤충 이송용 패키지 어셈블리
Sukhoruchenko et al. Effects of Luna® tranquility fungicide on arthropod pests and predatory mites in protected grounds
KR20000054015A (ko) 진딧물 방제를 위한 무당벌레의 인공 사료 및 대량 사육법개발
JP2019062885A (ja) 天敵の定着方法および害虫防除方法
Khamraev et al.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agricultural plant pests and diseases in Khorezm and the Republic of Karakalpakstan, Uzbekistan
Addis et al. Biology, geographical distribution,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enset root mealybug, Cataenococcus ensete (Homoptera: Pseudococcidae) in Ethiopia
Lambion et al. Flower strips: a tool for pest control in greenhouses
Mandal Adoption of IPM technology in Tomato at Village level
JP2001204298A (ja) 甲虫類の幼虫飼育方法とその方法に用いる飼育装置
Froke The Role of Nestboxes in Bird Research and Management¹
Thapa et al. A Study On Biological Control, Cultural Practices, And Chemical Control Methods In Nursery Pest And Disease Management
KR20180037084A (ko)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