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344A -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344A
KR20100097344A KR1020090016238A KR20090016238A KR20100097344A KR 20100097344 A KR20100097344 A KR 20100097344A KR 1020090016238 A KR1020090016238 A KR 1020090016238A KR 20090016238 A KR20090016238 A KR 20090016238A KR 20100097344 A KR20100097344 A KR 2010009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header tank
evaporator
drain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655B1 (ko
Inventor
오광헌
이덕호
전영하
임홍영
민은기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6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2Cooling devices using evaporation, i.e. not including a compressor, e.g. involving fuel or wate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재와 하부 헤더탱크 사이에 기둥 형태 또는 격자 구조의 배수 부재가 구비되고 이격된 공간을 배수 채널로 활용하거나 단열재에 배수홀을 구비하여 증발기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되 상부 헤더탱크와 하부 헤더탱크, 튜브, 핀을 포함하는 증발기; 상기 하부 헤더탱크와 상기 공조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 및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하단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와 하부 헤더탱크 사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으로 상기 공조케이스의 드레인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수 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발기, 공조장치, 단열재, 응축수, 배수 부재, 배수로, 배수 채널

Description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with Improved drainage efficiency}
본 발명은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재와 하부 헤더탱크 사이에 기둥 형태 또는 격자 구조의 배수 부재가 구비되고 이격된 공간을 배수 채널로 활용하거나 단열재에 배수홀을 구비하여 증발기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b 는 상기 도 1a 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도, 도 2 는 종래의 증발기의 배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다른 증발기의 배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또 다른 증발기의 배수 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1a 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 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도면 미도시), 상기 공조케이 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냉기통로와 온기통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템프 도어(1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냉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 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증발기(E)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 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기통로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방이 수행된다.
반면에 난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 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를 개방함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는 온기통로를 통하여 상기 히터코어(H)를 거치면서 상기 히터코어(H)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 교환되어 온기로 바뀌게 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난방이 수행된다.
상기 증발기(E)는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 및 하부 헤더탱크; 상기 상부 헤더탱크 및 하부 헤더탱크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 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증발기(E)는 내부에 온도가 낮은 열 교환매체가 순환되고 상기 열 교환매체가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와 열 교환되어 자동차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는 냉방장치이므로, 상기 증발기(E)의 내부 및 표면의 온도가 주위보다 낮아져 상기 증발기(E)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응 축수가 상기 증발기(E)의 표면에 그대로 존재하는 경우, 세균의 번식과 그로 인한 악취의 문제뿐만 아니라 공기 유동을 방해하며 증발기(E)와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증발기가 개시된 바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E)는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하부 헤더탱크(21), 상기 헤더탱크(21) 내부에 형성된 격벽(22), 상기 헤더탱크(21)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 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23), 상기 튜브(23)사이에 개재되는 핀(24)을 포함하며 상기 헤더탱크(21) 상단에 결합되는 헤더(20)는 중앙부위가 높게 구성되는 헤더 중앙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E)의 표면 및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E)는 헤더 탱크(21)의 중앙에 별도의 배수 홀(25)이 구성되어 있어 상기 증발기(E)의 표면 및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튜브 타입(plate tube type) 증발기의 경우 상기 튜브(23)들은 두 개의 대칭되는 판상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인데, 탱크(30)들은 상기 판상 부재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탱크(30)는 바닥이 없는 컵의 형상을 갖는 컵부들이 일렬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상기 증발기(E)의 경우 제작공정 상의 이유, 경제적인 이유, 또는 의도적인 설계로 인하 여 탱크(30) 하부에 돌출부(2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인접한 판상 부재들이 서로 접합된 접합단부가 상기 돌출부(26)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돌출부(26)에 비하여 돌출되지 않은 부분을 비돌출부(27)라 하며 상술한 컵부가 비돌출부(27)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단열재(16)의 볼록부(28)가 상기 탱크(30)의 돌출부(26)를 지지하여 배수 홀(25)이 높게 형성되므로 상기 배수 홀(25)로 낙하한 응축수는 용이하게 인접한 응축수 배출구로 이동된다.
도 1b 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E)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상기 증발기(E)가 장착되는 부위를 거치부(10-1), 배수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부위를 경사부(10-2)라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0-1)에서 상기 증발기(E)와 접촉 길이를 확보하고 외부와 열 교환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16)를 부착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E)는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밀착되어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진동 및 소음 등이 유발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하부 헤더탱크의 공기 유동 상류측 방향에 존재하는 응축수는 배출될 수 있으나 하부 헤더탱크의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에 존재하는 응축수는 배출이 어려워진다. 특히, 상기 단열재(16)는 상기 증발기(E)와 공조케이스(10) 사이에 부착되므로 배수를 위한 공간이 더욱 협소해진다.
그러므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증발기(E)의 경우에도 상기 단열재(16)를 부착시 응축수의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헤더 탱크를 구비한 압 출형 증발기의 경우 도 4 에 도시된 플레이트-튜브 타입(plate-tube type) 증발기의 경우와 달리 돌출부(26)와 비돌출부(27)를 갖지 않으며 헤더 탱크 하단에 상기 단열재(16)를 부착시 역시 응축수 배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16) 부착 후에도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열재와 하부 헤더탱크 사이에 기둥 형태 또는 격자 구조의 배수 부재가 구비되고 이격된 공간을 배수 채널로 활용하거나 단열재에 배수홀을 구비하여 증발기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벤트(110, 120, 13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부 헤더탱크(310)와 하부 헤더탱크(320), 튜브(350), 핀(360)을 포함하는 증발기(300);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와 상기 공조케이스(100)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50); 및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코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5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하단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150)와 하부 헤더탱크(320) 사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수 채널(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열재(150)와 하부 헤더탱크(320) 사이에는 상기 증발 기(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둥 형태로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수 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부재(141) 사이의 이격된 중공 형태 공간이 상기 배수 채널(140)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수 부재(141)는 상기 증발기(300)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둥이 격자(格子)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 부재(141)는 상기 단열재(150) 또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열재(150)에는 상기 증발기(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 중공 형태의 배수 홀(15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홀(151)은 응축수 배출을 위한 상기 배수 채널(140)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발기의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장점이 있다. 즉, 단열재의 부착에 의해 증발기와 공조케이스 사이 공간이 협소해져 강한 표면 장력 등에 의해 응축수의 이동이 방해되며 상당량의 응축수가 고이게 되는데 단열재와 하부 헤더탱크 사이에 기둥 형태 또는 격자 구조의 배수 부재가 구비되고 이격된 공간을 배수 채널로 활용하거나 단열재에 배수홀을 구비하여 응축 수의 배출을 촉진시켜 열 교환성능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증발기의 방열 성능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자동차의 유리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또한, 증발기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한 구성요소로 열교환기의 일종이며 외부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자동차 실내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해주는 냉방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배수 부재의 분해결합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배수 부재가 단열재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배수 부재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개략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의 배수 부재의 사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의 배수 부재의 분해결합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 의 배수홀이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분해결합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실시예 1 은 공조케이스(100), 증발기(300), 단열재(150), 배수 부재(141)를 포함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벤트(110, 120, 13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부 헤더탱크(310)와 하부 헤더탱크(320), 튜브(350), 핀(360)을 포함하는 증발기(3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코어(400); 및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와 상기 공조케이스(100)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도면 미도시)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00)는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의 기본 몸체로 상기 증발기(300) 및 히터코어(400)가 구비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공조케이스(100)는 자동차 실내의 차창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10)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120)와, 자동차 실내의 앞좌석 바닥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Floor Vent, 130)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110, 120, 130)들은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0)는 상기 증발기(300)가 공조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부위에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드레인부(101)를 구비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300)는 일 측면에 튜브 삽입홀(도면번호 미부여)이 형성되는 헤더(도면번호 미부여),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도면번호 미부여), 및 상기 헤더(도면번호 미부여)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탱 크(도면번호 미부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도면번호 미부여)의 튜브 삽입홀(도면번호 미부여)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재(150)는 상기 증발기(300)가 상기 공조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부위에 하부 헤더탱크(320)의 하단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300)는 내부에 저온의 열 교환매체가 순환되고 이러한 열 교환매체는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와 열 교환하여 자동차 내부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는 냉방장치이므로 외부와의 단열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단열재(150)를 사용한다. 상기 단열재(150)의 재질은 통상적인 단열 부재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 부재(141)는 상기 증발기(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단열재(150)와 하부 헤더탱크(3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부재(141)는 상기 단열재(15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부재(141)는 다수개의 기둥 형태로 원기둥, 사각기둥 등 그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 까지 연장 형성된다. 냉방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에서는 통상적으로 차량 외부의 공기가 공조장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하여 공조 케이스 내로 공급되고, 이 공기는 공조장치 내부에 설치된 냉방용 증발기에서 열 교환되어 냉각되며,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공조장치의 공기 유출구를 통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있는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냉방 장치가 작동하여 증발기 표면의 온도가 대기압에서의 노점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증발기의 외부 표면에 수분이 응결되고 이 상태가 계속되면 응결된 수분이 증발기 아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에 존재하는 응축수는 상기 단열재(150)로 인해 배출이 어려워 공기 유동을 방해하며 열 교환성능을 저해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수 부재(141) 사이의 이격된 중공 형태의 공간이 응축수 배출을 위한 상기 배수 채널(140)로 작용하며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에 존재하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 채널(140)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고 열 교환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단열재(15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하단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 부재(141)도 상기 단열재(150)의 전면(全面)에 걸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하단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부재(141)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합성고분자 폴리아미드(polyamid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고분자 폴리아미드(polyamide)는 나일론으로도 불리고 아미드결합 -CONH-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로 대부분 섬유로 될 수 있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합성고분자 폴리아미드(polyamide)는 그 종류가 수천 가지에 이르나, 합성섬유로 응용되는 것은 주로 두 종류이다. 하나는 나일론 6,6으로 주로 뒤퐁사가 발매하고 있는데, 제조법은 벤젠을 출발물질로 하는 합성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편, 미국 이외의 많은 나라에서 공업화된 것은 나일론 6으로, 먼저 ε-카프롤락탐을 합성하고 이를 고리열림중합(開環重合)시켜 제조한다. 탄소 6개로 이루어진 ε-카프롤락탐이 그대로 중합하여 고분자를 이루므로 나일론 6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일론 6,6과 나일론 6은 배열순서가 바뀔 뿐 모두 C1H20(CO)2(NH)2의 화학식을 가진다. 또한 두 종류 모두 섬유로서의 강도나 비중이 1.1이고 내약품성에 있어서도 매우 유사하나, 녹는점만이 6.6은 250℃, 6은 210℃로 다르다. 따라서 타이어 코드와 같이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6,6이 더 좋다. 이 밖에 나일론 6,10이라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세바스산으로부터 합성한 것, 나일론 11이라는 피마자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나일론도 있다. 나일론 12는 부타디엔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되는데, 안정성이 좋다. 이와 반대로 (CH2)가 적은 나일론 4나 나일론 5 등도 있다. 녹는점은 나일론 6보다 높고 수분흡수율도 높으나, 안정성에 난점이 있다. 뒤퐁사는 생사(生絲)와 유사한 섬유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는데, 이것은 H2N-ㅇ-CH2-ㅇ-NH2와 HOOC-(CH2)10-COOH의 두 화합물의 축중합(縮重合) 반응으로 합성된다. 폴리에스테르(polyester)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축합중합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를 방사(紡絲)하여 얻는 합성섬유로 내산성(耐酸性)ㅇ내알칼리성도 충분하고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구성도 뛰어나다. 따라서, 전기공업에서 절연 재료를 비롯하여, 예선용(曳船用) 로프, 각종 차양, 돛, 그물, 컨베이어 벨트, 공업용 여포(濾布), 파라슈트용 섬유 등에 사용된다. 또한 ICI사의 테릴렌(Terylene), 미국 뒤퐁사의 데이크론(Dacron), 일본의 도레[東レ]와 데이진[帝人]의 테토론(Tetoron) 등도 같은 섬유이다.
실시예 2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실시예 2 는 공조케이스(100), 단열재(150), 증발기(300), 배수 부재(141)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00), 증발기(300), 단열재(15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1 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 부재(141)는 상기 증발기(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상하방향 배수 부재(141a)와 상기 증발기(3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좌우방향 배수 부재(141b)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상기 배수 부재(141)의 역할과 형성 위치는 상술한 실시예 1 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차이점은 실시예 2 에서의 상기 배수 부재(141)의 경우 상기 상하방향 배수 홀(141a)과 좌우방향 배수 홀(141b)로 그물망의 격자(格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 부재(141)의 격자 부위(도면번호 미부여)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 부위(도면번호 미부여)의 돌출에 따라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와 거리를 이격시켜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수 채널(140) 공간이 더 확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에 존재하는 응축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고 열 교환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3
도 10 을 참조하면 실시예 3 은 공조케이스(100), 증발기(300), 단열재(150), 배수 홀(151)을 포함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00), 증발기(300), 단열재(15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1 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 홀(151)은 상기 단열재(150)에 구비되되, 상기 증발기(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까지 연장되어 천공된 다수개의 중공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150)를 관통하는 상기 배수 홀(151)은 응축수 배출을 위한 상기 배수 채널(140)로 작용하며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에 존재하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151)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고 열 교환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 는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b 는 상기 도 1a 에 도시한 A부분의 확대도.
도 2 는 종래의 증발기의 배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다른 증발기의 배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또 다른 증발기의 배수 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배수 부재의 분해결합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배수 부재가 단열재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배수 부재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의 배수 부재의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의 배수 부재의 분해결합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 의 배수홀이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분해결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케이스
E : 증발기 H : 히터 코어
10-1 : 거치부 10-2 : 경사부
11, 12, 13 : 벤트 11d, 12d, 13d : 도어
15 : 템프 도어 16 : 단열재
20 : 헤더 20a : 헤더 중앙부
21 : 헤더 탱크 22 : 격벽
23 : 튜브 24 : 핀
25 : 배수 홀
26 : 돌출부 27 : 비돌출부
28 : 볼록부 29 : 오목부
30 : 탱크
1000 : 자동차용 공조장치
100 : 공조케이스
110, 120, 130 : 벤트 110d, 120d, 130d : 도어
140 : 배수 채널 141 : 배수 부재
141a : 상하방향 배수 부재 141b : 좌우방향 배수 부재
150 : 단열재 151 : 배수 홀
160 : 템프 도어
300 : 증발기
310 : 상부 헤더탱크 320 : 하부 헤더탱크
330 : 입구 파이프 340 : 출구 파이프
350 : 튜브 360 : 핀
400 : 히터 코어

Claims (5)

  1.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벤트(110, 120, 13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부 헤더탱크(310)와 하부 헤더탱크(320), 튜브(350), 핀(360)을 포함하는 증발기(300);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와 상기 공조케이스(100)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50); 및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코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5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하단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150)와 하부 헤더탱크(320) 사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공기 유동 하류측 방향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수 채널(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50)와 하부 헤더탱크(32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둥 형태로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수 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부재(141) 사이의 이격된 중공 형태 공간이 상기 배수 채널(140) 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부재(141)는 상기 증발기(300)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기둥이 격자(格子)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부재(141)는 상기 단열재(150) 또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50)에는 상기 증발기(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드레인부(101)까지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 중공 형태의 배수 홀(15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홀(151)은 응축수 배출을 위한 상기 배수 채널(140)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 치.
KR1020090016238A 2009-02-26 2009-02-26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54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238A KR101543655B1 (ko) 2009-02-26 2009-02-26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238A KR101543655B1 (ko) 2009-02-26 2009-02-26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344A true KR20100097344A (ko) 2010-09-03
KR101543655B1 KR101543655B1 (ko) 2015-08-11

Family

ID=4300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238A KR101543655B1 (ko) 2009-02-26 2009-02-26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676A (ko) * 2012-12-27 2014-07-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145042A1 (ja) * 2022-01-31 2023-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676A (ko) * 2012-12-27 2014-07-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145042A1 (ja) * 2022-01-31 2023-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655B1 (ko)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2026A (zh) 车辆用空调装置
CN105452028A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100097344A (ko) 배수성 향상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07210360A (ja) 空調装置
JP2014043985A (ja) パラレルフロー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KR101543611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73312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히터코어 파이프의 커버구조
KR101186044B1 (ko) 자동차용 공조케이스의 리브구조
KR101418860B1 (ko) 증발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101528227B1 (ko) 열교환기
KR20090080577A (ko)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1333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49763A (ko) 축냉 열교환기
JP2007112271A (ja) 蓄冷パック及び蓄冷式冷房ユニット
KR20140096706A (ko) 증발기
KR1017157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233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866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47576B1 (ko) 차량용 피티씨 히터
JP200411478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26840Y1 (ko) 자동차 공조기 케이스의 응축수 배출구조
CN220038810U (zh) 蒸发器及空调箱
KR101705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3637B1 (ko) 버스 사이드 글래스 성애 제거 시스템
KR20110062743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