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254A -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254A
KR20100097254A KR1020090016101A KR20090016101A KR20100097254A KR 20100097254 A KR20100097254 A KR 20100097254A KR 1020090016101 A KR1020090016101 A KR 1020090016101A KR 20090016101 A KR20090016101 A KR 20090016101A KR 20100097254 A KR20100097254 A KR 2010009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at
inlet
outlet
circul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09001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254A/ko
Publication of KR2010009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에 의한 강제순환방식과 첵밸브에 의한 자연순환방식의 장점들을 접목시켜, 펌프에 의해 매트로 균일한 순환수의 제공과 더불어 상기 펌프가 설정온도 또는 고장 및 정전에 의해 정지된 상태여도 잔존하는 가열부의 열에 의해 자연순환방식으로 계속 온수를 매트에 제공함으로써, 온수매트의 효율성 및 제품신뢰성을 증폭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온수조와; 상기 온수조의 진출구 측에 마련되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순환수가 상기 온수조의 진출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첵밸브; 상기 첵밸브의 일단에 일단이 마련되되 타단에는 상기 일단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마련된 관체 및 상기 관체의 외주연에 마련되어 상기 관체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는 제2입구와 타측으로 제2출구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순환수가 진입되는 제1입구와 타측에 제1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제2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마련되는 축과 상기 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임펠라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전원의 인가로 상기 축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코일부로 구성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A warm water mat dragon warm water circulation device}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에 의해 순환수를 균일하게 매트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는 강제순환방식과 첵밸브에 의해 별도의 동력없이 가열된 순환수의 팽창 및 증발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압력으로 순환수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자연순환방식의 장점들을 접목시켜, 펌프에 의해 매트로 균일한 순환수의 제공과 더불어 상기 펌프가 설정온도 또는 고장 및 정전에 의해 정지된 상태여도 잔존하는 가열부의 열에 의해 자연순환방식으로 계속 온수를 매트에 제공함으로써, 온수매트의 효율성 및 제품신뢰성을 증폭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실내의 바닥을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난방을 하거나 보온유지를 목적으로 동절기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의 경우,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단시간에 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의 경우 발열을 위해 전기를 사용하는 관계로 감전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고, 자체의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유해 전자파가 발생하며 그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춘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가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유해 전자파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으며 그 효과 역시 검증되지 않아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온의 온수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온돌방식을 채택한 온수매트가 제안되었고, 이러한 온수매트는 전기발열선을 이용한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나 감전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으며, 유해 전자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온수매트는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온수의 공급이 차단되어도 매트에 기제공된 온수에 의해 상당한 시간 동안 온기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효과는 전기매트에서는 찾을 수 없는 것으로, 온돌 효과의 배가 및 전기사용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온수매트의 구조를 보면, 내부에 온수가 진입되어 전 면적을 순환하도록 온수관이 매립된 매트와 상기 매트의 온수관으로 온수를 진입 또는 배출시키도록 하는 온수순환장치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온수순환장치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온수조와 상기 온수조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켜 매트의 온수관으로 진입되도록 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 부로 가열된 온수를 매트의 온수관으로 진입시키고 진입된 온수가 매트를 순환한 후 배출되어 상기 온수조로 재저장되도록 하는 순환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부는 펌프의 동력에 의해 온수를 강제순환시키도록 하는 강제순환식, 또는 첵밸브를 기준으로 온수와 기제공된 식혀진 온수의 온도차에 의한 증발 및 팽창에 의한 압력차이로 온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자연순환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강제순환식의 순환부는 국내특허공개 제2005-57890호(명칭: 난방용 온수순환 매트) 또는 국내특허 제725250호(명칭: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등과 같이 다수의 공보자료를 참조하면, 펌프의 압력으로 항상 일정하게 온수를 순환시킴으로, 매트의 설정온도 도달시간이 단축되고 고른 열전도를 가지는 장점은 있으나, 온수의 순환을 위해 펌프가 사용되어야 함에 따라 전력소비가 증가되고, 특히 고장 또는 정전과 같은 펌프에 전력이 공급이 차단될 때 온수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온돌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트의 설정온도에 맞춰 펌프의 작동이 정지되면 온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도 함께 정지되나 이때, 가열부의 잡열에 의해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는 계속 가열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온수조의 내부에는 계속 가열된 온수의 팽창 및 증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유지하여, 결국 온수조의 내부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폭발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자연순환식의 순환부는 본출원인의 국내특허출원 제2008-2113호(명칭: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또는 국내특허출원 제2008-9761호(명칭: 역지변 구 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등과 같은 다수의 출원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전력이 없이 온도차이에 의한 팽창 및 증발에 의해 온수가 순환됨에 따라 전력소비량의 감소로 제품경쟁력을 가지는 장점은 있으나, 자연순환식에 의한 온수의 고른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고른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특히 온도차이에 의한 증발 및 팽창으로 첵밸브가 개방될 때 "뽁"하는 소음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상기 "뽁" 소음으로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제순환식과 자연순환식의 장점만을 접목시켜, 온수의 고른 제공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또한 정전 또는 펌프의 고장과 같은 펌프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도 가열부에 의해 기가열된 온수가 계속 매트를 순환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매트의 설정온도 또는 정전과 같은 펌프로 인가되었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가열부에 잔존하는 열에 의해 순환수가 가열되더라도 첵밸브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를 자연순환방식으로 매트에 가열된 온수를 제공함에 따라 온수조에 작용하는 팽창 및 증발에 의한 압력을 상쇄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해소하도록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는 매트와 상기 매트에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온수순환장치로 구성된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장치는 내부에 순환수를 저장하고 어느 일측에 상기 순환수가 진출되도록 진출구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매트에 순환된 순환수가 재진입되도록 하는 진입구가 마련된 온수조와; 상기 온수조의 진출구 측에 마련되고 상기 진출구를 통해 배출된 순환수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상기 온수조의 진출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첵밸브; 상기 첵밸브의 일단에 일단이 마련되되 타단에는 상기 일단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마련된 관체 및 상기 관체의 외주연에 마련되어 상기 관체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는 제2입구와 타측으로 제2출구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순환수가 진입되는 제1입구와 타측에 제1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제2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축과 상기 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임펠라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전원의 인가로 상기 축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코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부의 회전력 발생으로 상기 축과 함께 임펠라가 회전하면서 제2 및 제1입구를 통해 진입된 순환수를 제1 및 제2출구로 배출시켜 매트에 순환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펌프의 케이싱 제2입구에는 임펠라의 회전으로 상기 제2 입구를 통해 제1입구로 진입하는 순환수의 진입압력에 의해 임펠라에 작용하는 부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제2입구로 진입된 순환수의 진입압력이 상쇄되도록 순환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와류공간;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의 제2출구와 하우징의 제1출구 사이에는 밀폐를 위해 패킹;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강제순환식과 자연순환식의 장점만을 접목시켜, 온수의 고른 제공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또한 정전 또는 펌프의 고장과 같은 펌프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도 가열부에 의해 기가열된 온수가 계속 매트를 순환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매트의 설정온도 또는 정전과 같은 펌프로 인가되었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가열부에 잔존하는 열에 의해 순환수가 가열되더라도 첵밸브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를 자연순환방식으로 매트에 가열된 온수를 제공함에 따라 온수조에 작용하는 팽창 및 증발에 의한 압력을 상쇄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해소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온수순환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장치는 순환수를 저장하는 온수조(10)와, 상기 온수조(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순환수를 가열시키는 가열부(20)와, 상기 가열부(20)를 통해 가열된 순환수를 자연순환방식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첵밸브(30), 및 상기 가열부(20)를 통해 가열된 순환수를 강제순환방식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제공하는 펌프(40)로 구성한다.
물론, 상기 온수조(10), 가열부(20), 첵밸브(30), 및 펌프(40) 들은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측에는 이들 수단들의 작동상태 및 온도설정 등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패널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온수조(10)는 내부에 순환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어느 일측에는 저장된 순환수를 배출하기 위한 진출구(12)와, 상기 진출구(12)를 통해 진출된 순환수가 매트를 순환한 후 재저장되도록 순환수가 진입되는 진입구(14)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온수조(10)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에 순환수를 보충 또는 배수하여 청결을 위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충구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충구에는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뚜껑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온수조(10)는 함체 형상임이 바람직하고, 그 외주연에는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단열재를 더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온수조(10)의 진출구(12)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진출구(12)를 통해 매트로 진출하는 순환수를 가열하는 수단이다.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진출구(12)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체(22), 및 상기 관체(22)의 외주연에 마련되어 열을 발산하여 상기 관체(22)로 열이 전도됨에 따라 상기 관체(22)의 내부에 흐르는 순환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24)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24)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ally Sensitive Resistor)히터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관체(22)의 내부에 흐르는 순환수를 가열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가열부(20)의 관체(22)는 순환수가 진입되는 측의 지름과 순환수가 배출되는 측의 지름이 상호 다른 지름을 가지는 테이터 또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펌프(40)가 고장 또는 정전이나 설정온도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도 자연순환방식으로 순환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가열부(20)의 관체(22)는 온수조(10) 측에 마련된 일단이 타단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유속을 증가시켜 자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첵밸브(30)는 온수조(10)의 진출구(12)의 일측에 구성되어, 가열부(20)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의 팽창으로 온수조(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팽창된 순환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진 순환수가 저장된 매트 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동력없이 자연순환방식으로 순환수가 순환되도 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첵밸브(30)는 가열부(2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팽창 및 증발되는 순환수가 온수조(1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순환방식으로 가열된 순환수가 매트로 진입되도록 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상기 펌프(40)는 가열부(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가열부(20)를 통해 가열된 순환수를 매트 측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펌프(4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어느 일측에 제1입구와 제1출구가 마련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부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축(42)과, 상기 축(42)에 고정되어 상기 축(42)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되면서 순환수를 제1입구를 통해 제2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임펠라(43)와, 상기 축(42)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어부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으면 상기 축(42)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코일부(44)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41)의 외주연에는 일정량의 순환수가 저장되도록 저장공간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케이싱(46)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46)에는 가열부(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20)를 통해 가열된 순환수를 제공받도록 하는 제2입구(47), 및 상기 하우징(41)의 제1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매트의 내부에 매립된 순환관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라(43)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되는 순환수를 매트에 제공되도록 하는 제2출구(48)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케이싱(46)의 제2출구(48)에는 상기 케이싱(46)의 내부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제2출구(46)의 일단이 하우징(41)의 제1출구에 삽입되어 연결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41)의 제1출구에는 상기 케이싱(46)의 제2출구(48)의 일단이 삽입될 때 누수됨을 방지하도록 패킹(45)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46)의 제2입구(47)는 임펠라(43)의 회전에 의해 흡수되는 순환수가 직접적으로 임펠라(43)에 작용하지 않도록 와류공간(49)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41)의 제1입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높이 돌출되되, 돌출된 측면에 다수의 흡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싱(46)의 제2입구(47)를 통해 순환수가 진입되면서 와류공간(49)을 통해 1차 진입압력이 상쇄되고, 더불어 상기 제1입구의 돌출된 측면의 다수의 흡입공으로 진입됨에 따라 2차 진입압력이 상쇄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수순환장치의 작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패널을 통해 펌프(40)의 코일부(44)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44)의 전류발생으로 축(42)과 상기 축(42)의 일단에 고정된 임펠라(43)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상기 임펠라(43)의 회전방향은 순환수가 케이싱(46)의 제2입구(47)를 통해 제2출구(48)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온수조(10)에 저장된 순환수가 상기 펌프(40) 측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펌프(40)의 작동으로 상기 온수조(10)에 저장된 순환수는 상기 온수조(10)의 진출구(12)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펌프(40)의 흡입압력에 의해 첵밸브(30)를 강제 개방시키면서 가열부(20)로 진입되고, 이때 상기 가열부(20)에 구 성된 관체(22)를 통해 펌프(40)로 진입된다.
이때, 상기 가열부(20)의 관체(22)의 외주연에는 히터(2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히터(24)의 작동으로 상기 관체(22)의 내부를 흐르는 순환수는 가열되어 펌프(40)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펌프(40)의 작동으로 가열부(20)를 통해 가열된 순환수가 케이싱(46)의 제2입구(47)로 진입되나, 상기 제2입구(47)에는 하우징(41) 사이에 와류공간(49)을 더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입구(47)로 진입된 순환수가 하우징(41)의 임펠라(43)에 직접 진입되지 않고, 와류공간(49)에 1차 진입되어 진입압이 상쇄된 상태의 순환수가 상기 하우징(41)의 제1입구로 진입됨에 따라 상기 임펠라(43)에 가해지는 부하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임펠라(43)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41)의 제1입구로 진입된 순환수는 임펠라(43)의 회전력에 의해 타측의 제1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이때 상기 제1출구와 연결된 케이싱(46)의 제2출구(48)를 통해 배출되며, 이렇게 제2출구(48)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수는 매트로 진입되어 상기 매트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물론, 상기 매트로 진입되어 순환된 순환수는 온수조(10)의 진입구(14)를 통해 재진입됨에 따라 재저장되는 방식으로, 결국 펌프(40)의 임펠라(43)의 회전력에 의한 압력으로 순환수를 강제순환시킴으로써, 매트를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펌프(40)의 작용으로 매트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센싱(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펌프(40)로 인가되었던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펌프(40)의 작동은 정지 되고 또한 설정온도 이하로 매트의 온도가 내려갈 경우 센싱(미도시)에 의해 상기 펌프(40)로 전원이 재인가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온수순환장치가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센싱에 의해 펌프(40)로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펌프(40)는 작동이 정지되나, 가열부(20)의 히터(24)에 의해 가열된 관체(22)에는 잔존열이 남아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관체(22)의 내부에 저장된 순환수가 상기 잔존열에 의해 가열되어 팽창 및 증발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팽창된 순환수가 온수조(10) 측에 마련된 첵밸브(30)에 의해 상기 온수조(10) 측으로 역류함을 차단하기 때문에 결국 매트 측으로 이동되고, 이렇게 매트 측으로 순환수가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에는 진공 압력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첵밸브(30)를 강제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온수조(10) 측에 저장된 순환수가 강제 배수되어 상기 공간을 채워주는 자연순환방식으로 매트의 내부를 순환수가 순환하게 된다.
그러므로, 펌프에 의해 강제순환방식이 이루어진 후에도 가열부에 잔존하는 열에 의해 첵밸브를 통해 순환수가 자연순환방식으로 계속 매트를 순환함에 따라 매트의 가열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전력소모량의 감소 및 잡열이용에 따른 에너지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펌프가 고장으로 인해 정지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가열부에 마련된 히터가 작동하게 되면 첵밸브에 의해 자연순환방식으로 매트를 가열시킬 수 있으므로 계속 사용 가능하다.
또는 온수매트의 사용 중 정전이 발생하여도 상술된 바와 같이 가열부에 잔 존하는 열에 의해 순환수가 매트를 순환할 수 있으므로 온수매트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하는 제품 신뢰성을 강화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온수순환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온수조 20: 가열부
22: 관체 24: 히터
30: 첵밸브 40: 펌프
41: 하우징 42: 축
43: 임펠라 44: 코일부
45: 패킹 46: 케이싱
47: 제2입구 48: 제2출구
49: 와류공간

Claims (3)

  1. 매트와 상기 매트에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온수순환장치로 구성된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장치는
    내부에 순환수를 저장하고 어느 일측에 상기 순환수가 진출되도록 진출구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매트에 순환된 순환수가 재진입되도록 하는 진입구가 마련된 온수조와;
    상기 온수조의 진출구 측에 마련되고 상기 진출구를 통해 배출된 순환수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상기 온수조의 진출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첵밸브;
    상기 첵밸브의 일단에 일단이 마련되되 타단에는 상기 일단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마련된 관체 및 상기 관체의 외주연에 마련되어 상기 관체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는 제2입구와 타측으로 제2출구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순환수가 진입되는 제1입구와 타측에 제1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제2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축과 상기 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임펠라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고 전원의 인가로 상기 축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코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코일부의 회전력 발생으로 상기 축과 함께 임펠라가 회전하면서 제2 및 제1입구를 통해 진입된 순환수를 제1 및 제2출구로 배출시 켜 매트에 순환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케이싱 제2입구에는
    임펠라의 회전으로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제1입구로 진입하는 순환수의 진입압력에 의해 임펠라에 작용하는 부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제2입구로 진입된 순환수의 진입압력이 상쇄되도록 순환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와류공간;
    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2출구와 하우징의 제1출구 사이에는
    밀폐를 위해 패킹;
    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1020090016101A 2009-02-26 2009-02-26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20100097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01A KR20100097254A (ko) 2009-02-26 2009-02-26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01A KR20100097254A (ko) 2009-02-26 2009-02-26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254A true KR20100097254A (ko) 2010-09-03

Family

ID=4300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01A KR20100097254A (ko) 2009-02-26 2009-02-26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2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481A2 (ko) * 2010-10-25 2012-05-03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KR101230543B1 (ko) * 2010-10-25 2013-02-06 정문식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동력 간이 난방용 보일러
KR200468400Y1 (ko) * 2012-07-23 2013-08-12 (주)한미홈케어 온수매트용 온수 보일러의 체크밸브장치
WO2013187662A1 (ko) * 2012-06-11 2013-12-19 (주)한미홈케어 온수 매트용 온수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481A2 (ko) * 2010-10-25 2012-05-03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WO2012057481A3 (ko) * 2010-10-25 2012-07-26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KR101230543B1 (ko) * 2010-10-25 2013-02-06 정문식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동력 간이 난방용 보일러
WO2013187662A1 (ko) * 2012-06-11 2013-12-19 (주)한미홈케어 온수 매트용 온수 공급장치
KR200468400Y1 (ko) * 2012-07-23 2013-08-12 (주)한미홈케어 온수매트용 온수 보일러의 체크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4042B2 (ja) ヒートポンプ式温水暖房装置
US20120017886A1 (en) Solar heating system with back-up electric heating
ES2657433T3 (es) Bomba para fluidos
KR101109705B1 (ko) 순간 온수공급기
KR20100097254A (ko)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101036136B1 (ko) 사계절 냉난방 보일러
KR100961937B1 (ko)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KR100945601B1 (ko) 냉난방 겸용 매트장치
KR101706176B1 (ko) 대형온수공급탱크를 구비한 난방용 보일러
JP4815998B2 (ja) 貯湯式給湯器
KR100255544B1 (ko) 순환펌프가 내장된 온수순환 매트
KR20090020822A (ko) 순간가열식 난방시스템
KR20110009964U (ko)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KR20140140231A (ko) 냉수 매트
KR1015523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축열식 무동력 유체순환장치
KR101229301B1 (ko) 물살투시창이 구비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KR200467215Y1 (ko) 온수 보일러용 물통
JP2008122032A (ja) 給湯システム
JP2011007340A (ja) 給湯装置
KR101019575B1 (ko)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20080105199A (ko) 온수순환펌프에 설치되는 온수가열장치 및 상기온수가열장치의 제조방법
JP2002364912A (ja) 多機能給湯装置
KR100824411B1 (ko) 직접가열식 전기보일러
JP2003222343A (ja) 床暖房用電気温水器
KR200299750Y1 (ko) 황토온돌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