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096A - 곤충 트랩 - Google Patents

곤충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096A
KR20100097096A KR1020107008785A KR20107008785A KR20100097096A KR 20100097096 A KR20100097096 A KR 20100097096A KR 1020107008785 A KR1020107008785 A KR 1020107008785A KR 20107008785 A KR20107008785 A KR 20107008785A KR 20100097096 A KR20100097096 A KR 2010009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sect
light source
attraction
insect at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031B1 (ko
Inventor
존 캐드먼 윌콕스
존 모리스 위버
Original Assignee
브랜덴버그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2573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9709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11/860,516 external-priority patent/US20080229652A1/en
Application filed by 브랜덴버그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랜덴버그 (유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실시예들은 곤충트랩(10;110;210)에 관한 것이다. 곤충 트랩의 한가지 특별한 실시예는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과, 곤충부동장치(190)와, 가시스펙트럼 광원(80a;80b;180a;180b)을 보유한 하우징(12;112;212)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곤충유인광원, 곤충부동장치 및 가시스펙트럼 광원이 보이는 것을 감추고 곤충들이 상기 장치로 들어가 상기 곤충부동장치에 접근할 수 있고 곤충유인광의 그라데이션 패턴이 곤충을 없애고 싶은 영역으로 투사될 수 있는 채널(14a,14b,114a,114b,214a,214b)을 포함한다. 상기 곤충트랩으로부터 방출된 광패턴은 반사면(26a;26b;126a;126b;226a;226b)에서 반사된 확산된 광구성요소(77a;77b)와 광도관(70a;70b;270a;270b)을 통해 전송된 강한 광 구성요소(78a;78b)를 포함한다. 광도관은 곤충유인광원 바로 가까이 있는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곤충유인광으로부터의 광을 가둔다. 상기 광도관의 제 2 단부는 채널의 개구 부근에 배치되어 있어 곤충을 없애고 싶은 영역 방향으로 상기 곤충유인광을 전송하는 식으로 지향되어 있다.

Description

곤충 트랩{An Insect Trap}
본 발명은 통상적인 등 고정물(light fixture) 또는 벽걸이형 전등으로 위장된 곤충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런 곤충 트랩은 특히 식사 시설에 적용된다.
트랩에 곤충을 유혹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외선(UV) 광을 이용하는 것이 해당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UV광은 대략 100 내지 400 나노미터("㎚")의 범위의 파장을 갖는 전자자기 복사의 한 형태이다. 사람의 눈은 자외선 광을 검출할 수 없으나, 벌과 파리와 같은 많은 곤충들을 포함한 일부 동물들은 UV광을 볼 수 있다. UV광은 3개의 대역폭, 즉, UV-A, UV-B, 및 UV-C로 다시 나누어진다. UV-C는 때로 극자외선이라 하며, 100 내지 280㎚ 사이의 파장을 특징으로 한다. UV-B는 때로 여태까지 자외선이라 하며 280 내지 315㎚ 사이의 파장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UV-A는 때로 근자외선이라 하며 315 내지 400㎚ 사이의 파장을 갖는다. 종종 "어두운 광", "흑색광" 또는 "흑청광(Black Light Blue)"이라 하는 광은 모두가 UV-A광을 발생한다.
왜 곤충들이 UV-A광에 끌리는지에 대한 몇가지 이론들이 있다. 자연상태에서, 곤충들은 그늘과 어둠 속에 있는 식물에서 식량자원을 입수하거나 찾게 된다. 이 환경 중에서의 방법은 태양광의 성분인 빛, 특히 UV광을 찾는 것이다. 식물 내부로부터 개방 공간으로 곤충들이 날 때, 밝은 광 간극(light gap), 또는 광강도 그라데이션(graduations)을 찾는다. 또한, 어떤 꽃들과 균류 및 액체는 UV-A광을 반사한다. 곤충들은 UV-A광을 식량지역, 교배기회 및 가능한 알 낳을 곳과 연관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UV-A는 곤충 시각의 핵심 요소라 생각된다.
많은 요인들이 긍정적으로 전구밝기, UV 방출지역의 크기, 전구방향, 트랩위치, 명멸 주파수, 파장을 포함한 발광 곤충트랩의 효율(즉, 포획률 및 종의 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 밝은 전구를 포함하는 트랩은 더 큰 포획률을 갖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믿어지나, 제조업체는 복사 노출시 규제제한과 같은 전구 밝기 선택시 많은 요인들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트랩위치는 외부 광과 같이 대항하는 UV소스는 유닛이 창문에 배치되는 경우 포획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곤충 트랩은 이상적으로 곤충들이 일반적으로 가는 곳에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곤충 트랩은 바람직하게는 천장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한다. 또한 광강도를 높이고 몇가지 배경 광도가 있을 때 곤충 유인도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달리 말하면, 높고 낮은 강도의 광 영역을 포함한 UV 광패턴이 방출될 때 곤충 반응이 더 커질 수 있다.
345에서 375㎚ 범위에서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360㎚ 미만의 파장에서 피크인 UV광원은 최적의 곤충 반응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관찰되었다. 이 최적 파장의 선택은 다양한 곤충들의 피크 반응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기초로 한다. 예컨대, 집파리는 340-350㎚의 UV 피크반응을 갖는다. 꿀벌은 336㎚의 UV 피크반응을 갖는다. 과일파리는 345와 375㎚에서 UV 피크반응을 갖는다. 다른 곤충 종들의 스펙트럼 반응에 연구가 계속되나, 소정 예에서는 쌍시류(dipterans)는 유사한 광해상도 능력을 갖고 360㎚ 이하를 방출하는 UV 소스는 이런 생물들에서 더 큰 반응을 야기하는 것이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몇몇 종래 기술의 장치와 같이 벽에서 보다는 곤충을 없애고 싶은 지역으로 UV-A광을 지향할 때 포획률 증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장착 벽표면에 대하여 UV-A광을 지향하는 것과는 반대로 UV-A광을 외부로 지향하는 것이 무성한 식물로부터의 이용할 수 있는 출구를 더 잘 흉내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곤충들이 식물의 내부에서 개방 공간으로 날아갈 때, 곤충들은 UV광의 큰 덮개를 보지 못하고 크기가 다양한 잎들 사이의 갭 내에 있는 광을 볼 것이다.
유인으로서 UV-A광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장치들은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잘 받아들여지는 장치들을 제공하지만 많은 이들 유효함이 증가한 특징들을 포함하지 못하는 것을 알았다. UV-A광을 이용한 곤충 트랩은 고객들이 곤충 트랩보다 훨씬 덜한 노출된 전구를 보고 싶어하지 않는 종종 식사시설에 사용되며, 곤충 트랩에 대한 이런 생각은 식욕을 돋구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주장된 실시예들은 장치의 곤충포획성질을 은폐하는 광트랩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곤충유인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곤충유인광원과,
·곤충을 움직이지 못하게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곤충부동장치와,
·상기 곤충유인광원과 상기 곤충부동장치를 보유한 하우징과,
·상기 곤충유인광원과 상기 곤충부동장치가 보이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추는 커버를 구비하는 곤충포획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은 곤충들이 상기 장치로 들어갈 수 있는 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곤충유인광원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투사를 방지하는 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곤충유인광원으로부터 상기 개구로 상기 곤충유인광을 외부로 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채널 또는 광도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포획장치가 제공된다.
광트랩의 일예시적인 실시예는 트랩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숨겨진 2개의 (UV-A) 램프를 이용하나, 트랩이 장착되는 벽면으로부터 멀리 앞쪽에 면한 2개의 광채널 밖으로 UV 광을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2개의 광채널은 유닛의 좌우측에 있고 상기 UV 광에 대해 상기 벽에 임의의 디스플레이 또는 패턴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트랩은 또한 작업 조명을 제공하는 2개의 램프일 수 있는 2개의 가시광원 또는 채택하기 위한 어떤 근접을 지시하는 더 많은 액센트 조명을 제공하는 LED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가시광원은 벽에 광을 투사하도록 지향될 수 있다. 가시광원은 UV 성분을 전혀 방출하지 않고, 이로써 광유인장치에 상당한 기여를 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가시광원은 월와시(wall wash) 조명처럼 가장(假裝)의 전체 어셈블리에 추가된다. 각각 어스레함을 유지하는 한 장치내 가시광 및 비가시광의 곤충유인광을 조합함으로써, 유닛은 월와시 광으로서 맨 먼저 인식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유닛이 감지영역에 배치되게 한다.
광파이프가 광채널내에 끼워져 UV 복사 룸(loom) 내에 수직으로 강한 UV선을 디스플레이하여 광트랩의 UV 시그너처(signature)를 조작하게 할 수 있다. UV 조사를 본 곤충들은 광원을 향해 접근 및 유인되어 UV 강도가 더 큰 유닛에 들어가게 된다. 유닛 내에, 곤충이 걸려들 수 있는 교체가능한 통제판(접착제 도포판)이 앞면 패널 뒤에 있다.
상술하고 후술된 특징들 및 당업자에 공지된 다른 특징들의 몇몇 조합을 포함한 다른 실시예들은 이런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명확히 식별되고 논의되지 않더라도 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주장된 이들 및 다른 특징, 태양, 목적 및 실시예들의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및 첨부도면을 고려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광트랩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4는 저면도이며, 평면도는 기본적으로 저면도의 미러 이미지이다
도 5는 분해도이다.
도 6은 광채널로부터 방출된 복사 룸(radiation loom)의 시각적 표현을 포함한 (도 7의 AA를 관통하는)횡단면도이다.
도 7은 광채널로부터 방출된 복사 룸의 시각적 표현을 또한 포함한 정면도이다.
도 8은 광채널로부터 방출된 복사 룸의 시각적 표현을 또한 포함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앞면 커버가 열린 위치에 있는 광트랩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광파이프가 어떻게 트랩에 설치되는 지를 설명하는 근접 사시도이다.
도 11은 광트랩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은 반드시 비례할 필요가 없고 실시예들은 때때로 그래픽 상징, 가상선, 도식 및 단편도로 도시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어떤 경우,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주장된 실시예들의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거나 다른 세부내용들을 인식하기 어려운 내용들은 생략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은 예시된 특별한 실시예들에 반드시 국한될 필요가 없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실제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와 기술사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거나 균등한 다른 많은 구성들을 고안할 수 있는 것이 예상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하기의 도면의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마다 같거나 동일한 부분들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광트랩(10,110,210)의 3가지 특정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즉, 첫번째는 도 1 내지 도 8에, 두번째는 도 9 및 도 10, 그리고 세번째는 도 11에 기술되고 도시되어 있다. 청구된 특징들을 이용해 장치들이 다른 표면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것이 고려되나, 이들 각 실시예들은 벽면에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 트랩(10,110,210)은 상기 광트랩(10,110,210)내에 2개의 곤충 광원(60a,60b,160a,160b)(제 3 실시예에 미도시)과 하나의 곤충부동장치(190)(제 1 및 제 3 실시예에 미도시)가 실질적으로 보이는 것을 가림으로써 현재의 광트랩에 비해 중립적 미학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 각각은 2개의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을 이용하나, 다소 만족스런 결과를 이용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트랩(10,110,210)의 중립적 미학에 기여하는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은 광트랩(10,110,210)을 극한의 각도에 볼 때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일반적인 구경꾼의 시각선 밖에 유지된다. 그러나, 광트랩내에 광원(60a,60b,160a,160b)을 숨김으로써, 곤충유인광은 광트랩으로부터 직접 전방투사가 방지된다. 곤충유인광이 광트랩(10,110,210)의 외부에 도달할 수 있게 하고 (벽표면으로부터 멀리) 전방방향으로 투사하게 하기 위해, 광트랩(10,110,210)은 주로 곤충을 없애고 싶은 지역의 소정 방향으로 광을 채널링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중립적 미학에 대한 다른 기여로, 광트랩(10,110,210)은 벽에 가시스펙트럼광을 투사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3개의 실시예들(10,110,210)은 표준 월와시 등 고정물(wall wash light fixture)로 위장되는 곤충 트랩이다. 광트랩(10,110,210)의 3개의 실시예들은 실질적으로 같으나,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구조 및 어셈블리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포함한다. 광트랩(10,110,210)은 곤충을 없애고 싶은 지역으로 곤충유인광을 투사하도록 모두 적용되는 점에서 유사하다. 광트랩은 모두 자외선(또는 UV)광을 방출하는 2개의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과 특별히 A 대역폭의 자외선광(본 명세서에서 "UV-A"광-2이라 함)을 이용한다. UV-A광은 맨눈으로 볼 수 없으나, 곤충들은 볼 수 있고 특히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UV-A광에 끌린다. UV-A 대역폭의 전체 스펙트럼내(즉, 약 315㎚ 내지 400㎚ 사이)에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이용해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곤충 종들에 대해서는 345㎚ 내지 375㎚ 사이,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360㎚ 약간 아래의 지배적인 파장을 갖는 UV-A광을 방출하는 곤충유인광을 이용해 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3개의 실시예들(10,110,210)에서,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은 하우징의 앞면 커버(50,150,250) 뒤의 광하우징(12,112,212)내에 위치되어 있다. 앞면 커버(50)는 곤충유인광원이 벽면에 법선방향으로 그리고 법선의 어느 한 면에서 약 30-40도 내에 직접 광을 방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은 일반적으로 보는 것이 가려져 있기 때문에, 광트랩(10,110,210)은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 및 광파이프(70a,70b,270a,270b)를 이용해 광트랩(10,110)으로부터 밖으로 그리고 상기 광트랩(10,110)이 장착되는 벽구조로부터 멀리 곤충유인광을 지향한다.
다양한 다른 형태와 배향의 광채널들을 갖는 장치들은 특허청구범위내에 있는 것이 고려되나, 상기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은 길게 늘어진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지향되어 있고, 약 0.032㎡의 결합된 면적을 갖는다. 상기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은 광트랩(10,110,210)으로부터 밖으로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하기 위해 반사면(26a,26b,126a,126b,226a,226b)을 포함한다.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의 감추어진 특성으로 인해, 방출된 곤충유인광은 벽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광원(60a,60b,160a,160b)으로부터 반사면(26a,26b,126a,126b,226a,226b)을 향해 측면으로 뻗어 있다. 상기 반사면(26a,26b,126a,126b,226a,226b)은 벽구조로부터 약 120도의 각도로 지향되어 있어 곤충을 없애고 싶은 지역으로 상기 곤충유인광을 반사한다. 상기 반사면(26a,26b,126a,126b,226a,226b)은 또한 광트랩(10,110,210)이 부착되는 벽표면에 곤충유인광의 전송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광트랩은 그런 기능을 수행하도록 별개의 차폐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파이프 또는 광도관(70a,70b,270a,270b)은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의 개구를 통해 곤충유인광을 효과적으로 "벤딩(bending)" 집중시킴으로써 소정 방향으로 광을 보내기 위한 제 2 수단을 제공한다. 유리와 같은 다른 재료와 광섬유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 다른 광도관(들)이 유사하게 효과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도관(70a,70b,270a,270b)은 아크릴판형 구조이다. 상기 광도관(70a,70b,270a,270b)은 집중된 곤충유인광을 획득하게 제 1 단부에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과 접해 있다. 광은 상기 광도관(70a,70b,270a,270b)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광도관(70a,70b,270a,270b)의 맞은편 단부이며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의 개구 부근에 배치된 제 2 단부로부터 방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광도관(70a,70b,270a,270b)의 길이 치수는 상기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의 길이 치수와 전체적으로 나란하게 지향되어 있으나, 도관들이 다양한 다른 방향으로 지향된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된다. 광도관의 판형 구조로 인해, 도관으로부터 투사된 광은 강한 곤충유인광선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용되는 광도관의 특정한 타입에 따라 다른 패턴들이 고려된다. 사용시, 반사면(26a,26b,126a,126b,226a,226b)에서 반사된 곤충유인광은 확산 패턴(77a,77b)으로 광채널을 나가는 경향이 있는 반면 광도관을 통해 전송된 곤충유인광은 훨씬 더 집중된 패턴(78a,78b)으로 광채널로부터 방출된다. 광채널로부터 방출된 광의 확산 및 집중된 패턴은 강도 그라데이션을 갖는 광패턴(79a,79b)을 형성하기 위해 병합된다.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과 관련된 구조에 의해 방출된 광의 패턴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특히 참조하면, 광트랩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광트랩(10)은 일반적으로 벽구조에 장착되고 광트랩(10)의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광하우징(12)을 구비한다. 광하우징(12)의 도시된 실시예는 광채널(14a,14b)용 개구를 정의하는 여러 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된다. 이런 구성요소들은 뒷면 패널(20), 2개의 단부 패널(또는 몰딩)(30a,30b), 중간 샤시판(40), 앞쪽 커버(50), 및 전자 밸러스트(electronic ballast)(42)를 포함한다. 전자 밸러스트(42)는 UV 램프 가동시 전류를 제어하는 초크(choke)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광트랩(110)의 제 2 실시예도 또한 여러 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된 광하우징(1112)을 포함한다. 이런 구성요소들은 뒷면 패널(20), 2개의 단부 패널(130a,130b), 및 앞쪽 커버를 포함한다. 도면에 명백히 나타나지는 않았듯이, 이런 구조는 뒷면 패널(120)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실시예는 중간 샤시판을 이용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광트랩(210)의 제 3 실시예는 앞쪽 커버(250)에 대해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110)와 거의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예에서, 뒷면 패널(20)은 중심부와 그 좌우측에 2개의 굽은 윙부가 있으며, 상기 윙부는 중심부에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뒷면 패널(2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고려되며, 이로써 윙부의 내부면은 광채널(14a,14b)용 반사면(26a,26b)으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뒷면 패널(20)은 몇몇 다른 재료, 충분히 반사되지 않을 수 있는 심지어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런 경우, 뒷면 패널(2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금속형 스티커와 같은 추가 반사구조가 광채널(14a,14b)에 제공될 수 있다. 구조에 관한 한, 뒷면 패널에는 광트랩(10)이 벽면에 장착되고, 케이블 출구를 제공하며, 전자 밸러스트(42)가 장착될 수 있게 여러 개의 개구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예들은 벽에 장착되도록 의도되어 있으나, 광트랩은 자유로이 서 있을 수 있거나, 몇몇 종류의 스탠드 또는 폴에 장착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은 제 1 실시예의 샤시판(40)의 맞은편과, 제 2 실시예의 뒷면 패널(120)의 샤시 영역에 부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곤충유인광원과 가시 스펙트럼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윙부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제 1 실시예의 샤시판(40)과 제 2 실시예의 뒷면 패널(120)의 샤시 영역에 둘러싸여 있다.
각각의 단부 패널(30a,30b,130a,130b)은 뒷면 패널(20,120)과 중간 샤시판(40)의 맞은편 단부들을 수용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슬롯 등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의 단부 패널(30a,30b,130a,130b)에 대해, 제 1 슬롯은 뒷면 패널(20)을 수용하기 위한 각 단부 패널의 뒷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며, 샤시판(40)과 동일한 전체 외형을 갖는 제 2 슬롯은 샤시판(40)을 수용하기 위해 각 단부 패널(30a,10,30b)의 뒷면 가장자리로부터 뻗어 나오게 제공된다. 각각의 단부 패널(30a,30b)에는 광도관(70a,70b)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추가 슬롯 쌍들이 제공된다. 단부 패널(30a,30b)은 또한 앞쪽 커버(5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하단 단부 패널(30b)은 앞쪽 커버와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구성된 2개의 내부로 발산하는 바닥개방형 슬롯들을 포함한다. 상단 단부 패널(30a)은 또한 앞쪽 커버와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구성된 2개의 내부로 발산하는 바닥폐쇄형 슬롯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단 단부 패널(30a)에서 바닥폐쇄형 슬롯은 적소에 커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와 결합된다. 통제판(미도시)이 단부 패널(30a,30b)과 샤시판(40)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의 단부 패널(130a,130b)에 대해, 제 1 슬롯은 뒷면 패널(120)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상단 단부 패널(130a)은 통제판의 제 1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 2 세장 슬롯을 포함한다. 하단 단부 패널(130b)은 (제품번호 BBG1012.5인 Brandenburg사 판매의 통제판과 같은) 표준 통제판상에 굴곡부인 통제판의 맞은편 단부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립(lip)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 패널(130a,130b)은 또한 광도관(170a,170b)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슬롯을 포함한다. 광도관(170a,170b)은 2개의 단부 패널(130a,130b) 사이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며, 도관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도관 지지 슬롯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단부 패널(130a,130b)은 또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 회전하도록 형성된 앞쪽 커버(150)에 대한 힌지로서 역할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광하우징(12)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패스너가 제 1 실시예의 샤시판(40) 또는 단부 패널(30a,30b,130a,130b)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뒷면 패널(120)과 결합된다.
양 실시예의 단부 패널(30a,30b,130a,130b)은 일반적으로 가시스펙트럼 광원이 부착될 수 있는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미도시된) 원추형 또는 오목한 형태의 후미부(36a,36b)를 포함한다. 한가지 특별한 실시예에서, 가시스펙트럼 광원은 LED GU10 전구이다.
3가지 실시예의 광도관(70a,70b,170a,170b,270a,270b)의 구조들은, 제 1 실시예가 측면으로부터 곤충유인광원(60a,60b)에 접해 있는 반면 제 2 및 제 3 실시예가 뒷면으로부터 곤충유인광원(60a,60b)에 접해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런 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광도관(70a,70b,170a,170b,270a,270b)은 1차원 이상으로 뻗어 있는 길이를 가지며, 제 1 실시예(70a,70b)는 그 길이를 따라 하나의 벤드를 포함하는 반면, 제 2 및 제 3 실시예(170a,170b,270a,270b)는 2개의 벤드를 포함한다.
앞쪽 커버(50,150,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가 단부 패널(30a,30b)과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제 2 및 제 3 실시예는 단부 패널(130a,130b)과 회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앞면 패널(50,150,250)은 등 고정물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임의의 광선으로부터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을 차단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측면 치수로 그리고 일측에 대해 30-40°내에 뻗어 있다. 앞쪽 커버(50,150,250)는 또한 가시광(4)을 디스플레이하는 월와시 광요소(80a,80b,180a,180b)를 보는 것을 차단하도록 단부 패널(30a,30b,130a,130b)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떨어져 뻗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앞쪽 커버(250)는 광트랩(250)으로부터 UV광의 추가적인 일탈을 제공하는 복수의 윈도우(295)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복수의 윈도우(295)를 이용하나, 임의의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95)는 2개의 별개의 그룹핑으로, 즉, 하나는 광트랩의 우측에 다른 하나는 광트랩의 좌측에 배치된다. 각 그룹핑의 윈도우(295)는 삼각형 패턴으로 배열되나, 임의의 다른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각 윈도우(295)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나, 상기 윈도우(295)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윈도우(295)는 투명할 수 있으나, 상기 윈도우(295)는 광트랩 내부에 있는 것을 가리기 위해 반투명이거나 스크린된다.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한 임의의 재료가 윈도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95)에 반투명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윈도우의 내부면은 참조로 합체된 제6,108,965호의 커버 하우징과 유사한 거친 표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거친 표면"이라는 용어는 다르게는 평탄한 프로파일을 갖지 않는 부서지거나, 불균일하거나, 결이 있거나, 울퉁불퉁한 표면을 의미한다. 이런 표면은 결 표면을 갖는 몰드를 이용한 윈도우(295)를 샌드블라스팅(sandblasting)하거나 몰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95)에 UV 램프와 대면하는 식으로 있는 거친 내부면을 제공함으로써, 앞쪽 커버(50)를 통해 UV 램프로부터 곤충유인광의 전송이 강화될 수 있다. 이론에 국한되길 원하지 않으나, 거친 표면은 광원으로부터 광의 확대경으로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주장된 본 발명은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로 상당히 상세하게 기술되었으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주장된 본 발명이 예시적으로 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로 실시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실제로, 광트랩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예들 이외의 다른 많은 형태, 배향, 및 모양을 취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들의 설명에 국한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8)

  1. 곤충유인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곤충유인광원(60a;60b;160a;160b)과,
    곤충을 움직이지 못하게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곤충부동장치(190)와,
    상기 곤충유인광원과 상기 곤충부동장치를 보유한 하우징(12;112;212)과,
    상기 곤충유인광원과 상기 곤충부동장치가 보이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추는 커버(50;150;250)를 구비하는 곤충포획장치(10;110;210)로서,
    상기 하우징은 곤충들이 상기 장치로 들어갈 수 있는 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곤충유인광원으로부터 외부로 직접 투사를 방지하는 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곤충유인광원으로부터 상기 개구로 상기 곤충유인광을 외부로 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채널(14a,14b,114a,114b,214a,214b) 또는 광도관(70a;70b;270a;270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포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채널은 상기 곤충유인광이 확산 패턴(77a;77b)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채널을 나가도록 구성되는 곤충포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곤충유인광원과 상기 장치로부터 외부로 상기 곤충유인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26a;26b;126a;126b;226a;226b)을 구비하는 곤충포획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커버(50)는 상기 곤충유인광원이 뒷면 하우징 패널(20)에 법선 방향으로 그리고 법선의 일측에 대해 30-40도 내에 직접 광을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곤충포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관(70a;70b;270a;270b)은 방출된 곤충유인광을 담기 위해 상기 곤충유인광원 바로 부근에 제 1 단부와, 상기 장치로부터 밖으로 강한 곤충유인광(78a;78b)을 투사하도록 상기 개구 부근에 배치된 제 2 단부를 갖는 곤충포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항에 덧붙여, 강도 그라데이션(intensity gradation)을 갖는 광패턴(79a;79b)을 형성하는 광의 확산 및 집중 패턴을 발생할 수 있는 곤충포획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관은 소정 방향으로 상기 곤충유인광을 효과적으로 휘게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길이를 갖는 곤충포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관은 판형 구조이며 상기 광도관의 제 2 단부는 세장 형태이고, 이로써 상기 광도관은 상기 장치로부터 외부로 강한 곤충유인광선을 투사하는 곤충포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관은 개구를 2개의 별개의 챔버로 나누고 곤충들이 한 챔버에서 다른 챔버로 이동하게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곤충포획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곤충유인광이 방출되는 복수의 윈도우(295)를 더 구비하는 곤충포획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는 반투명이거나 스크린되는 곤충포획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유인광은 UV-A 스펙트럼내의 광성분을 포함하는 곤충포획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유인광의 실제 성분은 345 내지 375㎚의 파장을 갖는 곤충포획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의 눈에 보일 수 있는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스펙트럼 광원(80a;80b;180a;180b)을 더 구비하는 곤충포획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스펙트럼 광원은 UV-A 스펙트럼내에 있는 광을 방출하지 않는 곤충포획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스펙트럼 광원은 벽면에 광을 투사하도록 지향되는 곤충포획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시스펙트럼 광원을 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단부 패널(30a;30b;130a;130b)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떨어져 뻗어 있는 곤충포획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곤충포획장치.
KR1020107008785A 2007-09-24 2008-09-23 곤충 트랩 KR101519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0,516 2007-09-24
US11/860,516 US20080229652A1 (en) 2007-03-24 2007-09-24 Insect Trap
PCT/GB2008/003243 WO2009040528A1 (en) 2007-09-24 2008-09-23 An insect trap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001A Division KR20140071498A (ko) 2007-09-24 2008-09-23 곤충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096A true KR20100097096A (ko) 2010-09-02
KR101519031B1 KR101519031B1 (ko) 2015-05-11

Family

ID=402573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001A KR20140071498A (ko) 2007-09-24 2008-09-23 곤충 트랩
KR1020107008785A KR101519031B1 (ko) 2007-09-24 2008-09-23 곤충 트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001A KR20140071498A (ko) 2007-09-24 2008-09-23 곤충 트랩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200426A1 (ko)
JP (1) JP5662799B2 (ko)
KR (2) KR20140071498A (ko)
CN (1) CN101815434B (ko)
AU (1) AU2008303371B2 (ko)
BR (1) BRPI0817015A2 (ko)
MX (1) MX2010003006A (ko)
MY (1) MY154433A (ko)
WO (1) WO20090405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1896A (zh) * 2010-10-17 2013-09-04 普渡研究基金会 虫口的自动监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1472B2 (ja) * 2009-08-26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害虫誘引照明方法及び害虫誘引照明システム
EP2632506B1 (en) * 2010-10-29 2019-12-1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 real-time insect monitoring device
EP2532224A1 (en) 2011-06-10 2012-12-12 Valoya Oy Method and means for improving plant productivity through enhancing insect pollination success in plant cultivation
AU2014223364C1 (en) 2013-03-01 2018-02-15 Arthropod Biosciences, Llc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ES2952696T3 (es) 2013-11-27 2023-11-03 Procter & Gamble Dispositivo para atrapar insectos
SG11201705017WA (en) 2015-01-12 2017-07-28 Arthropod Biosciences Llc Insect trap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10274188B2 (en) * 2015-11-04 2019-04-30 Twin-Star International, Inc. Lantern with heater
JP6767794B2 (ja) * 2016-07-05 2020-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JP6972176B2 (ja) 2017-12-26 2021-11-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屋内性のマダラメイガ亜科に属する蛾の成虫の捕獲方法、光源装置及び捕獲器
ES2769601A1 (es) * 2018-12-26 2020-06-26 Zobele Espana Sa Dispositivo para atrapar insectos
GB2583338B (en) * 2019-04-23 2021-10-27 Brandenburg Uk Ltd An insect trap
WO2021085486A1 (ja) * 2019-10-30 2021-05-06 アース製薬株式会社 加熱蒸散装置及びスイッチ構造
CN117915764A (zh) * 2021-07-19 2024-04-19 珀斯创尼克斯创新私人有限公司 用于室内授粉的设备、室内授粉系统和用于室内授粉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91313A (en) * 1994-11-21 1998-11-25 Ecolab Inc Insect trap, mounted upon a wall, comprising a light, a reflective surface and an immobilization surface
US5915948A (en) * 1997-05-28 1999-06-29 Waterbury Companies, Inc. Insect attractant device
US7036268B2 (en) * 2003-04-30 2006-05-02 Paraclipse, Inc. Flying insect trap
KR100659585B1 (ko) * 2004-02-28 2006-12-20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획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7383660B2 (en) 2004-10-15 2008-06-10 John Llewellyn Greening Flying insect trap
JP4506503B2 (ja) * 2005-02-23 2010-07-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捕獲殺虫装置
US20060218851A1 (en) * 2005-03-30 2006-10-05 Weiss Robert W J Insect trap device
JP3130829U (ja) * 2007-01-29 2007-04-12 アース・バイオケミカル株式会社 飛翔昆虫誘引捕獲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1896A (zh) * 2010-10-17 2013-09-04 普渡研究基金会 虫口的自动监测
US9585376B2 (en) 2010-10-17 2017-03-07 Purdue Research Foundation Automatic monitoring of insect popul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498A (ko) 2014-06-11
BRPI0817015A2 (pt) 2015-06-16
EP2200426A1 (en) 2010-06-30
AU2008303371B2 (en) 2014-07-03
CN101815434A (zh) 2010-08-25
CN101815434B (zh) 2012-07-18
KR101519031B1 (ko) 2015-05-11
MX2010003006A (es) 2010-08-23
MY154433A (en) 2015-06-15
AU2008303371A1 (en) 2009-04-02
WO2009040528A1 (en) 2009-04-02
JP2010539897A (ja) 2010-12-24
JP5662799B2 (ja)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031B1 (ko) 곤충 트랩
US20080229652A1 (en) Insect Trap
US7413321B2 (en) Light-emitting diode shelf
JP6746397B2 (ja) 車両用灯具
US20130027927A1 (en) Floating light luminaire
RU2594746C2 (ru) Оптический узел для торцевой крышки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0539897A5 (ko)
US20080230187A1 (en) Lighted Valance
US8201956B2 (en) Task light
US10842295B2 (en) Ultraviolet and white light showcase
JP4389601B2 (ja) 虫防除システム
KR101739333B1 (ko) 가변형 차단판을 갖는 경관등
CN104977780B (zh) 照明设备
CN106574756B (zh) 灯具
JP4840463B2 (ja) 虫防除システム
CA3018832C (en) Hidden lighting for a display space
CA2699739A1 (en) An insect trap
CN110604431A (zh) 紫外线阴影盒
US20170184279A1 (en) Diffusing reflector for linear arrays of finite point light sources
US20240071266A1 (en) Powered retail signage assembly with consistent visibility in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CN210424530U (zh) 一种高清无光害灯盘
JP4290535B2 (ja) 照明器具
WO20130033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ght blade sidemarker
CN112997237A (zh) 应急灯
JP2020181664A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用埋込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22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811

Effective date: 2016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