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820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820A
KR20100095820A KR1020090014825A KR20090014825A KR20100095820A KR 20100095820 A KR20100095820 A KR 20100095820A KR 1020090014825 A KR1020090014825 A KR 1020090014825A KR 20090014825 A KR20090014825 A KR 20090014825A KR 20100095820 A KR20100095820 A KR 2010009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passage
filter
cabinet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김나은
고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820A/ko
Priority to EP10743908.5A priority patent/EP2398948B1/en
Priority to CN201080005041XA priority patent/CN102292489B/zh
Priority to PCT/KR2010/000867 priority patent/WO2010095833A2/en
Priority to CN2010800050424A priority patent/CN102292490B/zh
Priority to EP10743907.7A priority patent/EP2398947B1/en
Priority to PCT/KR2010/000866 priority patent/WO2010095832A1/en
Priority to US12/709,751 priority patent/US8656745B2/en
Priority to US12/709,816 priority patent/US20100212368A1/en
Publication of KR2010009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내측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 내측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세탁장치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세탁장치 {Washing mah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만을 수행하는 세탁기, 세타과 건조를 함께 수행하는 건조겸용 세탁기 및 건조만을 수행하는 건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부에서 투입하는 탑로딩 방식(top loading type),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건조겸용 세탁기 및 건조기는 내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자동으로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내측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 내측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거된 이물질은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배수된다. 또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터브의 후방상부와 상기 히트펌프를 연결하는 배기유로와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터브의 전방상부를 연결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유로에 인접한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배수되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배기유로와 배수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유로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상기 배수유로에서 세탁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배기유로와 배수유로를 따라 순환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유로에서 상기 배기유로로 향하는 상기 필터부재를 청소하는 청소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배기유로와 배수유로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필터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상기 배수유로로 공급하는 이물질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와 연결되는 상기 터브에 구비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드럼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를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터브 배면의 배기홀에 구비되고, 상기 청소부재는 상기 배기홀에 대응하는 상기 드럼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겸용 세탁장치는 터브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하 며,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배기유로 및 공급유로를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20)을 구비하며, 캐비넷(20)은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을 구비한다.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은 세탁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제1 캐비넷(100)의 내측에는 메인공간(110)이 형성되며, 메인공간(110)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05) 및 터브(105)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미도시)이 구비된다.
제1 캐비넷(100)의 전방에는 도어가 구비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드럼으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럼은 터브(105)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07)는 터브(105)의 후방에 구비되어 드럼의 회전축과 직접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드럼의 회전축과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드 럼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드럼의 내부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는 전술한 제1 캐비넷(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지만,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는 제1 캐비넷(100)과는 별도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가 드럼 및 터브(105)와 함께 제1 캐비넷(100)에 구비된다면, 제1 캐비넷(100)의 내부가 협소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드럼 및 터브(105)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경우에 제1 캐비넷(100)과 함께 그 내부에 구비된 모든 구성요소, 즉 드럼, 터브(105) 및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의 설계를 새로이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별도의 공간에 구비하고 터브(105)와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덕트 등에 의해 연결하게 된다면, 전술한 드럼 및 터브(105)의 용량이 변화하더라도,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다시 설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포함한 일종의 조립체(assembly)를 제공하게 되면, 다양한 용량의 터브 및 드럼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상기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구비하는 제2 캐비넷(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서 제2 캐비넷(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드럼 및 터브(105)의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제2 캐비넷(200)에 구비하 게 된다.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넷(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2 캐비넷(200)의 내측에 보조공간(210)이 형성되고, 보조공간(210)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캐비넷(200)은 전술한 제1 캐비넷(100)에 비하여 그 체적이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제1 캐비넷(100)에 드럼 및 터브(105)와 같이 체적이 큰 요소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넷(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착탈'이라 함은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이 일체, 즉,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제2 캐비넷(200)이 제1 캐비넷(10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및 터브 등을 구비하는 제1 캐비넷(100)에 제2 캐비넷(200)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용량의 제1 캐비넷(100)에 대응하여 제2 캐비넷(200)의 범용화가 가능해진다. 제2 캐비넷(20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제1 캐비넷(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넷(100)의 상부, 하부 및 양측부의 어느 부위에도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캐비넷(100)에 드럼 및 터브(105)를 구비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1 캐비넷(100)으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게 되며, 이 경우 제1 캐비넷(100)의 높이가 적절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서 세탁대상물을 투입해야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세탁대상물을 제1 캐비넷(100)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 넷(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은 내부에 각각 공간을 형성하도록 밀페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부분적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의 연결부위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의 내측에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가 구비되므로,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와 터브(105)를 연결하는 덕트 등의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이 서로 연통되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캐비넷(200)과 제1 캐비넷(100)이 서로 인접하는 부위가 개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이 제1 캐비넷(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캐비넷(100)의 하부와 제2 캐비넷(20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의 일부분이 제2 캐비넷(200)의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제1 캐비넷(100)의 메인공간(110)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캐비넷(200)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가 구비되는 경우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의 점검 또는 보수를 하는 경우에 제2 캐비넷(200)을 모두 분해해야 한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외부에서 보조공간(210)으로 접근 이 용이하도록 제2 캐비넷(2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 캐비넷(200)은 전면, 배면 및 양측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에 착탈 가능한 드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보조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워 타입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는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및 터브의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로서 히트펌프를 채용하지만, 예를 들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는 전기식, 또는 가스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히트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트펌프(22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22), 압축기(224), 응축기(226) 및 팽창밸브(228)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22)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24)를 거쳐 응축기(226)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22)와 응축기(226)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증발기(222)와 응축기(226)에서 생성된 건조가열공기가 터브(105)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0)에 의해 터브(105)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히트펌프(220)에서 제습 및 가열된 건조가열공기는 터브(105) 및 드럼의 내측으로 공급되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브(105)에서 배출된 공기는 순환유로(도 6 참조, 240)를 따라 히트펌프(220)의 증발기(222) 및 응축기(226)를 거쳐 다시 터브(105) 내부로 공급된다. 즉, 터브(105)에서 배출된 공기는 히트펌프(220)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되어 다시 터브(105) 내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순환유로(240)는 터브(105)의 후방과 전방을 연결하여 터브(105)의 후방에서 공기를 배출하여 터브(105)의 전방으로 다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105)의 후방상부에서 공기를 배출하여 터브(105)의 전방상부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히트펌프(220)에서 증발기(222)와 응축기(226)가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증발기(222)와 응축기(226)를 묶어서 하나의 열교환기조립체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22)와 응축기(226)의 하나의 하우징(225)에 구비하여, 이를 열교환기조립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조립체를 구성하게 되면, 설치,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증발기(222) 또는 응축기(226)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히트펌프(220)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이 열교환기조립체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순환유로(240)는 터브(105)의 후방상부와 히트펌프(220)의 열교환기조립체(225)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도 6 참조, 242)와, 히트펌프(220)의 열교환기조립체(225)와 터브(105)의 전방상부를 연결하는 공급유로(도 6 참조, 24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기유로(242)를 통해 히트펌프(220)의 열교환기조립체(225)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조립체의 내부에서 제습 및 가열되어 건조가열공기로 변하게 되며, 건조가열공기는 팬(250)의 구동에 의해 공급유로(244)를 통하여 다시 터브(105)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터브(105)의 공기가 열교환기조립체(225)로 유입되는 배기유로에는 바람직하게 필터(도 2 참조, 300)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300)를 구비함으로써, 터브(105)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다시 터브(105)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사용자가 세탁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세제를 비롯한 각종 액세서리를 보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액세서리를 세탁장치의 상부에 보관하는 경우에 미관상 보기 안좋을 뿐만 아니라, 세제가 물 등에 의해 용해되어 세탁장치의 표시부 및 선택부 등으로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세탁장치의 각종 액세서리를 보관할 수 있는 장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캐비넷(200)을 구비하게 되므로, 제2 캐비넷(200)의 내측에 액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보조공간과 별도의 공간을 구비한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트펌프(220)를 제2 캐비넷(200) 내부의 일측으로 배치하고, 제2 캐비넷(200) 내부의 타측에 히트펌프(220)가 구비되는 보조공간(210)과 구별되는 추가공간(3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의 전면, 배면 및 양측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전술한 추가공간(310)은 상기 착탈 가능한 패널이 구비되는 부위를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착탈 가능한 패널을 통하여 상기 추가공간(31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캐비넷(20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한 패널 등을 구비하는 경우에, 히트펌프(220)는 제2 캐비넷(200)의 후방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추가공간(310)은 제2 캐비넷(200)의 전방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추가공간은 보조공간(210)과 격벽(312) 등을 통하여 구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드로워를 구비한 제2 캐비넷(400)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캐비넷(400)에 착탈 가능한 드로워(42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캐비넷(400)은 보조공간(410)을 형성하는 드로워(420) 및 드로워(420)가 슬라이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440)을 구비한다. 여기서, 드로워(420)는 제2 캐비넷(400)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중에 하나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캐비넷(400)의 전면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4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420)의 내부에 보조공간(410)이 형성되며, 보조공간(410)에 히트펌프(22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드로워(420)의 내측에 히트펌프(220)가 구비되면, 히트펌프(220)의 유지 및 보수를 하는 경우에 제1 캐비넷(100) 또는 제2 캐비넷(400)을 분해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드로워(420)를 제2 캐비넷(400)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해진다.
한편, 드로워(420)를 제2 캐비넷(400)에 구비하게 되면, 드로워(420)를 제2 캐비넷(4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순환유로(240)와 히트펌프(220)를 연결하는 부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순환유로(240)와 히트펌프(220)의 연결부위를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플렉서블한 튜브(243, 245)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420)를 분리하여 당기게 되면 플렉서블 튜브(243, 245)가 신장되어 드로워(420)가 제2 캐비넷(400)에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드로워(420)를 밀어넣게 되면 플렉서블 튜브(243, 245)가 수축되어 드로워(420)가 제2 캐비넷(400)으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드로워(420)의 내부에 보조공간(410)과 구별되는 추가공간을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같이 응축식건조겸용 세탁기에서는 터브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유로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가 순환유로를 순환하게 되면, 세탁대상물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세탁대상물에서 비산된 먼지, 린트와 같이 이물질 등이 히트펌프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히트펌프에 과부하가 걸리게 하거나, 히터펌프의 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되므로, 순환유로를 따라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필터부에 상기와 같은 이물질이 소정량 이상 부착되면, 순환유로를 따라 건조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지 못하게 되므로, 필터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야하는 바, 이러한 제거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물질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터브 배면의 배기유로와 배수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히트펌프(220)에 의해 터브(105)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터브(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터브(105)의 후방상부에서 배출되며, 히트펌프(220)에서 생성된 건조가열공기는 공급유로(244)를 따라 터브(105)의 전방상부로 유입된다. 한편, 터브(105) 내측의 세탁 수를 배수하는 배수유로(106)는 터브(105)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배수유로(106)는 사이폰(siphon)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106)는 터브(105)의 배면을 따라 구비되므로, 터브(105)의 후방상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배기유로(242)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105)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도 7 참조, 500)는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유로(240)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히트펌프(220)로 유입되기 전, 즉, 배기유로(242)를 따라 구비된다.
한편, 배기유로(242)는 배수유로(106)와 인접하여 구비되므로, 필터부(500)에 모인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경우에 제거된 이물질 등은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이물질을 터브(105)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출하게 되면, 필터부에 필터링된 이물질 등을 세탁장치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필터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장치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500)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배기유로(242)는 배수유로(106)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또한, 필터부(500)에서 제거된 이물질 등은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출되는 바, 이하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05)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로(242)는 터브(105) 후방상부에서 제2 캐비넷(200)의 히트펌프(22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제2 캐비넷(200)이 제1 캐비넷(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배기유로(2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또한, 배수유로(106)는 터브(105)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지만, 사이폰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를 향하여 역U자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05)의 배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필터부(500)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배수유로(106)에 인접한 배기유로(242)를 따라 구비된다. 필터부(500)가 배수유로(106)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면, 필터부(500)에서 제거된 이물질 등을 배수유로(106)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수되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필터부(50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500)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배기유로(106)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배수유로(106)에서 세탁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500)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 사이를 순환하는 필터부재(510), 필터부재(510)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순환부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520)와, 회전기어(52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는 종속기어(52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필터부재(242)는 회전기어(520)와 종속기어(525)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회전기어(520)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 필터부재(510)에 의해 종속기어(525)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필터부(500)가 설치되는 배기유로(242)의 일부분은 배수유로(106)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접촉하여 구비되고, 필터부(500)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가 접촉하는 상기 일부구간을 따라 구비된다.
한편,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가 인접, 또는 서로 접하는 부위에는 필터부재(510)가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5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개구부(530)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배수유로(106)의 세탁수가 배기유로(24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개구부(530)의 형상은 필터부재(51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구부(530)를 따라 공기가 배기유로(242)에서 유출되거나, 또는 세탁수가 배수유로(106)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차폐부재는 개구부(530)를 완전히 차폐하는 것이 아니라, 필터부재(510)의 이동은 허용하면서 공기와 물의 이동을 최대한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부재는 플렉서블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5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브(105)에서 배기된 공기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이동하며, 필터부재(510)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은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이물질은 필터부재(510)의 상부에 부착되며, 배기유로(24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필터부재(510)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이 경우, 세탁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소정주기, 예를 들어 건조코스가 끝나는 경우에 회전기어(520)를 회전시킨다. 제어부는 배기유로(242)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물질이 부착된 필터부재(510)의 일부가 배수유로(106)의 내부로 이동할 때까지 회전기어(520)를 회전시킨다. 이어서, 세탁장치의 세탁행정 중에 헹굼과 같이 세탁수를 배수하는 행정이 수행되는 경우에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필터부재(510)의 이물질이 필터부재(510)에서 분리되어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출된다.
이 경우, 필터부재(510)가 배수유로(106)의 단면을 덮게 되면,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수되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510)가 순환하는 배수유로(106)의 일부 구간에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단면적이 더 큰 확장부(108)를 구비할 수 있다. 확장부(108)에 의해 필터부재(510)는 배수유로(106)의 일부만을 덮게 되며, 이에 의해 세탁수가 배수유로(106)를 따라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수되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필터부재(510)를 청소하더라도, 필터부재(510)에 부착되어 분리되지 않는 이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필터부재(510)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청소부(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청소부(540)는 어느 부위에도 구비가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유로(106)에서 배기유로((242)를 향해 이동하는 필터부재(510)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부의 개구부(530)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청소부(540)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배수유로(106)를 따라 배출되도록, 청소부(540)는 하구 개구부(530)에 인접하여 배수유로(106)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청소부(540)를 구비하게 되면, 세탁수에 의해 1차로 필터부재(510)를 청소하고, 이어서, 청소부(540)에 의해 2차로 필터부재(510)를 청소하게 되어, 필터부재(510)의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전술한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필터부재의 이동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필터부재(5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필터부재(550)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가 서로 접하는 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가 서로 접하는 구간에 필터부재(550)가 회전할 수 있는 개구부(58)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필터부는 필터부재(55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필터부재(5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구동부(미도시)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가 서로 접하는 경계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필터부재(550)가 회전을 하여 배기 유로(242)와 배수유로(106)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필터부재(550)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축(56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562)을 중심으로 연장 형성되는 필터부재(55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데, 구동축을 중심으로 2개의 필터부재가 형성되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십자형상(+)을 가지도록 4개의 필터부재(550)가 구동축(562)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재를 2개 구비하는 경우에 필터부재는 이웃하는 필터부재와 대략 18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필터부재를 4개 구비하는 경우에 각 필터부재(550)는 이웃하는 필터부재와 대략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브(105)에서 배기된 공기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이동하며, 도 8에서 필터부재(556)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은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이물질은 필터부재(556)의 상부에 부착되며, 배기유로(24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필터부재(556)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 배수유로(106)의 내부에 위치한 필터부재(552)는 터브(105)에서 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청소되어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어서, 세탁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소정주기, 예를 들어 건조코스가 끝나는 경우에 구동부(미도시)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필터부재를 2개 구비한 경우에 제어부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축(562)이 대략 180°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필터부재를 4개 구비한 경우에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축(562)이 대략 90°또는 180 °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필터부재를 2개 구비한 경우에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축(562)이 대략 180°로 회전하게 되면, 청소가 끝난 필터부재는 배기유로의 내부로 회전하여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이물질이 부착된 필터부재는 배수유로의 내부에 위치하여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필터부재를 4개 구비한 경우, 도 8에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축(562)이 대략 90°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청소가 끝나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의 경계를 따라 구비되어 있던 필터부재(558)가 배기유로(242)의 내부로 회전하여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이물질이 부착된 필터부재(556)는 회전하여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의 경계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또한,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의 경계를 따라 구비되어 있던 필터부재(554)가 회전하여 배수유로(106)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수에 의한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필터부재(550)가 배수유로(106)의 단면을 모두 덮지 않도록 확장부(108)를 구비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필터부재를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예들과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610)와, 필터부재(610)의 이물질을 제 거하는 제거부(620)를 포함한다.
즉, 필터부재(610)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제거부(620)는 필터부재(610)의 이물질을 청소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거부(620)는 필터부재(61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어여 이물질을 수거하여 제거하는 이동부(630) 및 상기 이동부(63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부(630)는 필터부재(610)의 상부를 따라 수평으로 왕복이동하여 필터부재(610)의 상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수거하여 제거하게 된다. 또한, 필터부재(610)가 구비된 배기유로(242)의 일측에는 배수유로(106)와 연통되는 개구부(640)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터브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필터부재(610)의 상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제어부는 이동부(630)를 이동시켜, 예를 들어 도 9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동부(630)가 도 9에서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필터부재(610) 상부의 이물질은 이동부(630)에 의해 필터부재(610)에서 분리하여 이동부(630)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에 이물질들은 개구부(640)를 통하여 배수유로(106)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제어부는 히우의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부(630)를 개구부(640)에서 이격된 위치, 예를 들어 도 9에서 좌측으로 다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이동부(630)에 의해 배수유로(106)로 유입된 이물질은 배수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탁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가 서로 접하지 않고 인접하여 위치한 경우에는 배기유로(242)와 배수유로(106)를 연결하는 이물질유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유로는 전술한 개구부(640)와 연통하여 개구부(640)를 통하여 이물질유로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수유로(106)로 안내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드럼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필터부의 청소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배기유로(242)를 따라 터브(105)에 구비되는 필터부재(710)와, 드럼(103)에 구비되어 드럼(103)의 회전에 따라 필터부재(710)를 청소하는 청소부재(7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터브(105)의 배면에는 배기유로(242)와 연통되는 배기홀(109)이 형성되며, 필터부재(710)는 상기 배기홀(109)에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부재(710)는 터브(105)에서 배기홀(109)을 통해 배기유로(242)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링된 이물질은 필터부재(710)의 내측, 즉, 드럼(103)의 배면을 향하는 필터부재(710)의 일측에 부착된다.
한편, 청소부재(720)는 필터부재(710)의 일측을 청소할 수 있도록 배기홀(109)에 대응하는 드럼(103)의 배면에 구비된다. 즉, 청소부재(720)는 드럼(103)이 회전하는 경우에 청소부재(720)의 회전궤적이 배기홀(109)을 거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드럼(103)이 회전하는 경우에 청소부재(720)는 연동 하여 회전하고, 회전하는 청소부재(720)는 필터부재(710)를 거치도록 회전하므로, 드럼(103)의 회전에 따라 청소부재(720)가 필터부재(710)를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재(720)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회전부재(720)는 드럼(103)의 배면에 형성된 통기홀(104)에 연결되는 몸체부(722)와, 몸체부(722)에서 연장 형성되는 브러쉬(7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브러쉬(724)의 길이는 드럼(103)의 배면과 터브(105) 사이의 길이, 또는 그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몸체부(722)가 드럼(103)의 배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브러쉬(724)의 단부가 필터부재(710)에 접하도록 하여 청소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드럼(103)의 회전에 의해 청소부재(720)의 브러쉬(724)에 의해 필터부재(71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필터부재(7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은 터브(105)의 하부로 낙하하여 세탁수와 함께 배수유로(106)를 통해 세탁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히트펌프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2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드로워를 구비한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배기유로와 배수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11은 드럼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Claims (14)

  1.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내측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 내측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거된 이물질은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터브의 후방상부와 상기 히트펌프를 연결하는 배기유로와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터브의 전방상부를 연결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유로에 인접한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유로를 따라 배수되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와 배수유로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유로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상기 배수유로에서 세탁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배기유로와 배수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유로에서 상기 배기유로로 향하는 상기 필터부재를 청소하는 청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배기유로와 배수유로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필터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이물질을 수거하여 상기 배수유로로 상기 이물질을 공급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이동부에서 수거된 이물질을 상기 배수유로로 공급하는 이물질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기유로를 따라 상기 터브에 구비되는 필터부재와, 상 기 드럼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를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터브 배면의 배기홀에 구비되고, 상기 청소부재는 상기 배기홀에 대응하는 상기 드럼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90014825A 2009-02-23 2009-02-23 세탁장치 KR20100095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825A KR20100095820A (ko) 2009-02-23 2009-02-23 세탁장치
EP10743908.5A EP2398948B1 (en) 2009-02-23 2010-02-11 Washing machine
CN201080005041XA CN102292489B (zh) 2009-02-23 2010-02-11 洗衣机
PCT/KR2010/000867 WO2010095833A2 (en) 2009-02-23 2010-02-11 Washing machine
CN2010800050424A CN102292490B (zh) 2009-02-23 2010-02-11 洗衣机
EP10743907.7A EP2398947B1 (en) 2009-02-23 2010-02-11 Washing / drying machine
PCT/KR2010/000866 WO2010095832A1 (en) 2009-02-23 2010-02-11 Washing / drying machine
US12/709,751 US8656745B2 (en) 2009-02-23 2010-02-22 Washing machine
US12/709,816 US20100212368A1 (en) 2009-02-23 2010-02-22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825A KR20100095820A (ko) 2009-02-23 2009-02-23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820A true KR20100095820A (ko) 2010-09-01

Family

ID=4300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825A KR20100095820A (ko) 2009-02-23 2009-02-23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8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KR101186159B1 (ko) 의류건조기
EP2398947B1 (en) Washing / drying machine
RU2571358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5897390B2 (ja) 洗濯乾燥機
JP6037500B2 (ja) 洗濯乾燥機
EP2398948B1 (en) Washing machine
KR20060031164A (ko) 건조 세탁기
AU2007240254A1 (en) Laundry machine
TWI633225B (zh) washing machine
KR20100094372A (ko) 세탁건조기
JP201500284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28219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353005B2 (ja) 洗濯乾燥機
JP2018110789A (ja) 洗濯乾燥機
JP4286847B2 (ja) 洗濯乾燥機
KR20100095820A (ko) 세탁장치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CN110219149B (zh) 衣物干燥机
TWI660095B (zh) 洗衣乾衣機
JP6043956B2 (ja) 洗濯乾燥機
KR20110009924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EP3124683B1 (en) Laundry dryer
KR2023015060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