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233A -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233A
KR20100095233A KR1020090014411A KR20090014411A KR20100095233A KR 20100095233 A KR20100095233 A KR 20100095233A KR 1020090014411 A KR1020090014411 A KR 1020090014411A KR 20090014411 A KR20090014411 A KR 20090014411A KR 20100095233 A KR20100095233 A KR 20100095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image
stored
stor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정재효
복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233A/ko
Publication of KR2010009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5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ill pictu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5Recording a sequence of still pictures, e.g. burs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저장매체 분할부 및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하는 저장 영역 선택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 중심의 저장공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름 카메라는 필름을 통하여 영상을 저장하는 것에 반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디지털 촬상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이루어진 영상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저장매체의 저장 용량에 따라서 촬상장치에 저장 가능한 영상의 매수가 결정된다. 최근 DRAM이나 Flash 메모리 등 저장매체에 대한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저장매체의 저장 용량이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촬상장치에서 저장할 수 있는 영상 파일의 양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촬상장치에서는 영상 파일이 하나의 폴더에 파일명 순서대로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저장된 영상 파일의 양이 늘어날수록 사용자는 저장된 영상 파일들을 관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저장된 영상 파일등의 데이터는 추후 컴퓨터나 기타 장치로 전송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시간, 장소 또는 기타 다른 기준에 의하여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는 촬영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별도의 행위에 의하여 이루 어지는 것이므로 여전히 저장된 영상 파일을 관리하는데 많은 수고를 들여야 한다.
따라서 촬영된 영상 파일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된 영상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저장매체 분할부와,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하는 저장 영역 선택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장매체 분할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각각의 용량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영시에 선택된 영역에 저장 가능한 영상 매수를 계산하는 잔여 용량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재생 모드에서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선택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촬영시에 선택된 영역에 저장 가능한 영상 매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재생 모드에서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촬상장치에 장착된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분할하여 영상 파일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촬상장치(1)는 촬영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메모리(60), 저장/판독 제어부(70), 저장매체(71), 디스플레이 제어부(80), 디스플레이부(81), 조작부(90) 및 주 제어기(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는 촬상장치(1)가 촬영 모드 일 때,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부는 렌즈 구동부(11), 조리개(20), 조리개 구동부(21), 촬상소자(30), 촬상소자 제어부(31), A/D 변환부(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10)는 줌 렌즈와 초점 렌즈를 포함한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화각을 바꾸는 렌즈이며, 초점 렌즈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피사체의 상이 촬상소자(30)의 촬상면에 초점이 맞도록 하는 렌즈이다. 이러한 렌즈(10)는 주 제어기(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렌즈 구동부(11)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구 동된다.
조리개(20)는 촬상소자(30)로 투과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로서, 조리개 구동부(21)의 제어에 의하여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촬상소자(30)는 상기 렌즈(10) 및 조리개(2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31)는 상기 주 제어기(1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을 조절한다.
A/D 변환부(40)는 상기 촬상소자(10)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촬영부는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기 신호를 일정 레벨까지 증폭시키는 CDS/AMP부(이중 상관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주 제어기(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변경, 노이즈 제거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가 수행된 데이터에 대하여 JPEG 등의 압축 포맷을 사용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제어부(51), 저장매체 분할부(52), 저장 영역 선택부(53), 잔여 용량 계산부(54), 재생 영상 생성부(55)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구성요소들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1)가 제어부(51), 저장매체 분할부(52), 저장 영역 선택부(53), 잔여 용량 계산부(54), 및 재생 영상 생성부(55)를 구비하면 족하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예를 들면 영상 파일 등은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0)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데이터를 저장매체(71)에 저장한다. 즉, 저장매체(71)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0)는 저장매체(71)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0)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매체(71)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 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매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71)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물론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로부터의 영상은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0)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 이부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부를 통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후술할 재생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한 재생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EL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80)는 터치 스크린일 수도 있다.
조작부(90)는 예를 들면 촬상장치(1)에 설치된 4방향 버튼, 전원 스위치, 줌 버튼, 모드 다이얼, 셔터 버튼 등이다. 조작부(9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신호를 주 제어기(100)에 입력한다.
주 제어기는 촬상장치(1)의 전체 동작을 통괄한다. 상기 조작부(90)로부터의 조작신호는 상기 주 제어기(100)에 전달되며, 상기 주 제어기(100)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촬상장치(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촬상장치(1)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된 설정으로 저장매체(71)의 저장 공간을 분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어부(51), 저장매체 분할부(52), 저장 영역 선택부(53), 잔여 용량 계산부(54), 및 재생 영상 생성부(55)를 포함한다.
제어부(5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각 부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 다.
저장매체 분할부(52)는 저장매체(71)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상기 분할은 컴퓨터에서 하드 디스크를 분할하는 것과 같은 파티션 분할일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 분할부(52)는 저장매체(71)의 저장 공간을 분할할 때, 분할된 각 영역이 차지하는 용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영역은 전체 저장 공간 중에서 40%, 제2 영역은 전제 저장 공간 중에서 30%와 같은 방식으로 분할된 영역의 용량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 매체 분할부(52)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포함된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 매체 분할부(52)는 저장/판독 제어부(70)의 일례일 수도 있다.
저장 영역 선택부(53)는 상기 저장매체 분할부(53)에 의하여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에서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한다. 상기 저장될 영역의 선택은 다양한 버튼이나 모드 다이얼 등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조작신호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실시예로서, 두 개의 모드 다이얼이 구비된 촬상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그 중 어느 하나의 모드 다이얼은 다양한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 다른 하나의 모드 다이얼은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모드 다이얼이 하나만 구비된 촬상장치의 경우, 상기 모드 다이얼이 촬영 모드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영역을 동시에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촬영 모드는 항상 동일한 영역에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4방향 버튼이나 기타 다른 버튼을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촬영 전에, 촬영될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하는 UI를 실행시키고 4방향 버튼 등을 이용하여 촬영될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저장매체(71)의 저장 공간을 도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한 내용을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잔여 용량 계산부(54)는 촬영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하여 선택한 영역에서 앞으로 저장 가능한 영상 매수를 계산한다. 즉, 선택된 영역이 500MB이며 현재 300MB 만큼의 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촬영될 영상의 파일 크기가 하나에 5MB이면 40매의 영상을 더 촬영할 수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즉, 잔여 용량 계산부(54)는 선택된 영역의 전체 용량을 판단하고,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용량을 계산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 촬영 모드에서 설정된 영상의 해상도를 사용하여 잔여 용량의 계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계산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81)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재생 영상 생성부(55)는 재생 모드에서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 터 재생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재생시킨다.
도 3은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저장매체 분할부(52)를 사용하여 저장매체(71)를 복수의 영역(Area 1 내지 Area 6)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매체를 6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단 저장매체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후에도 추가적으로 일부 영역을 다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촬상장치에 장착된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저장매체의 영역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어 영상 파일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촬상장치를 사용하여 저장매체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촬상장치의 전원을 키거나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저장 공간 정의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410). 이 때, 저장 공간을 분할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저장매체 전체를 하나의 저장 공간으로 사용한다(S420).
한편, 사용자에게 적합한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체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 대, 전체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몇 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것인지 분할할 영역의 개수를 설정한다(S430). 또한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이 전체 저장 공간중 어느정도의 저장 공간을 차지할 것인지 각 영역의 용량을 설정한다(S440).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촬상장치가 촬영 모드로 진입(S510)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저장 공간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520). 즉, 전체 저장매체를 하나의 저장 공간으로 볼 것인지, 분할된 공간으로 볼 것인지를 판단한다. 다만, 이미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이 분할되어 있으면 이러한 판단 없이 직접 S530단계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저장 공간 모드로 진입하면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할 영역을 선택한다(S530). 즉, 앞으로 촬영될 영상을 어느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촬영될 영상이 저장될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의 용량, 이미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용량, 촬영될 영상의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앞으로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저장 가능한 영상의 매수를 계산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540).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 버튼이 완전 누름 상태가 되면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이 수행되고(S550), 촬영된 영상은 영상 파일로 변환되어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다(S560).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촬상장치가 재생 모드로 진입(S610)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저장 공간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620). 즉, 전체 저장매체를 하나의 저장 공간으로 볼 것인지, 분할된 공간으로 볼 것인지를 판단한다. 다만, 이미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이 분할되어 있으면 이러한 판단 없이 직접 S640단계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가 설정한 저장 공간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종래와 같이 가장 최근에 촬영된 영상의 재생 영상을 생성(S630)하여 디스플레이(S670)할 수 있다. 즉, 영상 파일의 파일명의 순서에 기초하여 재생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사용자가 설정한 저장 공간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생 영상을 생성할 영역을 선택하고(S640),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추출한다(S650). 상기 추출된 영상 파일로부터 재생 영상을 생성하게 되며(S660), 이를 디스플레이한다(S670).
이와 같이, 촬상장치에 장착된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저장매체의 영역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상기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어 영상 파일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촬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 또는 저장매체(71)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에서의 주 제어기(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장치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7)

  1.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저장매체 분할부; 및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영역을 선택하는 저장 영역 선택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 분할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각각의 용량 설정이 가능한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촬영시에 선택된 영역에 저장 가능한 영상 매수를 계산하는 잔여 용량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재생 모드에서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5. 저장매체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선택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촬영시에 선택된 영역에 저장 가능한 영상 매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재생 모드에서 선택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14411A 2009-02-20 2009-02-20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5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411A KR20100095233A (ko) 2009-02-20 2009-02-20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411A KR20100095233A (ko) 2009-02-20 2009-02-20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233A true KR20100095233A (ko) 2010-08-30

Family

ID=4275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411A KR20100095233A (ko) 2009-02-20 2009-02-20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2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50A (ko) * 2015-12-21 2017-06-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관리 시스템 및 영상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50A (ko) * 2015-12-21 2017-06-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관리 시스템 및 영상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9192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laying mood music with image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JP4045525B2 (ja) 画質選択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6919925B2 (en) Imaging apparatus and video camera, and method of reproducing recorded information performed by the imaging apparatus or the video camera
KR20130084468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36191A (ja) 撮像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08034972A (ja) 画像情報再生装置、画像情報再生装置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61870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KR10173937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7029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743512B2 (ja)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20100101390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100095233A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297073B2 (ja) 画像生成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CN102591107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1643614B1 (ko)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1135352A (ja) 記録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
JP4915978B2 (ja) 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383230B2 (ja) 撮像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901619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5556246B2 (ja) 撮像装置
JP6632236B2 (ja) 撮像装置
JP4687007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表示方法
KR1016436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JP2009010554A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30069038A (ko) 영상 재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