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680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680A
KR20100094680A KR1020090013767A KR20090013767A KR20100094680A KR 20100094680 A KR20100094680 A KR 20100094680A KR 1020090013767 A KR1020090013767 A KR 1020090013767A KR 20090013767 A KR20090013767 A KR 20090013767A KR 20100094680 A KR20100094680 A KR 2010009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um
dryer
dry matter
dry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김재홍
김재석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4680A/ko
Priority to CN200910208586XA priority patent/CN101701414B/zh
Publication of KR2010009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건조물이 수용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히터;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 상기 건조드럼 내에서,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배기덕트의 입구부에 위치하고 소량의 건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는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건조기, 건조드럼, 배기덕트, 입구부, 건조물, 수용부재

Description

건조기{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건조물을 건조하는 경우 소량의 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드럼과, 상기 건조드럼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드럼을 벨트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건조기는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응축식은 히터에서 발생된 열기를 송풍팬에 의하여 건조드럼 측으로 보내어 건조드럼 내의 건조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건조물을 건조시킨 건조드럼 내의 공기는 고온다습한 상태가 되며 응축기에 의해 습기가 제거됨으로써 건조된 후 다시 송풍팬에 의해 건조드럼 내로 유입된다.
또한, 배기식은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건조드럼을 통과한 열풍을 세탁기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지닌다.
이와 같은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건조시 건조물에서 발생하는 린트(미세한 보푸라기)가 열풍에 의해 배기구를 통해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조기는 소량의 건조물을 건조하는 경우에, 열풍공급덕트로부터 건조드럼 내로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가 회전하는 건조물, 특히 소량의 건조물 전체에 미치지 못함으로써 건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량의 건조물을 건조하는 경우 소량의 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건조물이 수용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히터;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 상기 건조드럼 내에서,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배기덕트의 입구부에 위치하고 소량의 건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는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건조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메쉬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입구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끼움걸이이며, 상기 배기덕트는 입구부에 상기 끼움걸이와 대응되도록 끼움홈 또는 끼움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소량의 건조물을 수용하여 배기덕트의 입구부에 위치시키는 수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소량의 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0), 캐비닛(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조드럼(130)이 구성된다.
또한, 캐비닛(1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 즉 열풍을 만드는 히터(170), 히터(170)에서 생성된 열풍을 건조드럼(13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172)가 설치된다.
아울러, 건조드럼(130)에서 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179), 다습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유닛(178) 등도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은 편의상 모터(160)와 벨트(165)를 이용하여 건조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건조드럼(13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건조드럼(13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건조드럼(130)의 내부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챔버 기능을 하며, 건조드럼(130)의 내부에는 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건조물을 뒤집어주어 건조효율을 높이는 리프트(13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드럼(130)과 캐비닛(110) 사이에는 프론트서포터(140)와 리어서포터(150)가 각각 설치된다.
즉, 프론트서포터(140)와 리어서포터(150)의 사이에 건조드럼(1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론트서포터(140) 및 리어서포터(150)와 건조드럼(13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프론트서포터(140)와 리어서포터(150)는 건조드럼(13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건조드럼(13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론트서포터(140)에는 건조드럼(13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도어(11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론트서포터(140)에는 건조드럼(13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덕트(174)가 연결되며, 린트덕트(174)에는 린트필터(175)가 설치된다.
한편, 린트덕트(174)에는 블로워유닛(178)의 일측이 연결되며, 블로워유 닛(178)의 타측은 배기 덕트(179)와 연결된다.
따라서, 블로워유닛(178)이 작동하면, 건조드럼(130) 내부의 공기는 린트덕트(174), 배기 덕트(17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필터(175)에서 여과된다.
아울러, 리어서포터(150)에는 다수의 통공(150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50a)에는 열풍공급덕트(172)가 연결된다.
한편, 리어커버(112)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공(112a)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건조기가 도시된 도 1을 참조하면, 건조기의 열풍은 열풍공급덕트(172)로부터 리어서포터(150)의 통공(150a)을 통해 건조드럼(130) 내로 토출되며, 배기덕트(179)에 설치된 블로워유닛(178)에 의해 건조드럼(130) 내의 열풍이 배기덕트(179)에 형성된 흡입공(179a)을 통해 흡입되어 배기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열풍은 건조드럼(130) 내에서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로는 통공(150a)으로부터 흡입공(179a)을 잇는 이동경로이다.
이와 같이, 열풍은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건조드럼(130) 내에서 회전하는 건조물(101) 모두에는 미치지 못한다.
나아가, 건조물(101)이 소량인 경우, 소량의 건조물(101)은 건조드럼(130)을 따라 크게 회전함으로써 열풍이 건조물(101) 전체에 잘 미치지 못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건조기 내에 설치되고 소량의 건조물이 수용된 수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건조드럼(130) 내에 소량의 건조물(101)을 수용하는 수용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재(190)는 건조드럼(130)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배기덕트(179)는 건조드럼(13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덕트이며, 배기덕트(179)에서 건조드럼(130)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이 입구부(180)이다.
물론,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는 건조드럼(130) 내의 공기가 흡입되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흡입공(179a)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는 건조드럼(130) 내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기되기 위해 흡입되는 부분으로서, 입구부(180)에 건조물(101)이 위치되면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에 건조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재(190)는, 건조물(10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본체(192)와, 본체(19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입구부(180)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92)는 소량의 건조물(101)을 수용하기 위해, 소량의 건조물(101)에 대응되는 수용공간이 그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은, 일정넓이의 하판에 측벽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됨으로써, 건조물(101)을 상측으로부터 본체(192)에 삽입한 후 하판에 안착시켜 건조물(101)을 수용한다.
여기에서, 측방면을 채우는 측벽들 중 일측벽은 배기덕트(179)의 입구 부(180)가 대신할 수 있다. 즉, 수용부재(190)가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에 설치되면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가 수용부재(190)의 일측면을 가로막음으로써 수용부재(190)의 일측벽을 대신한다.
물론, 본체(192)는 소량의 건조물(101)에 대한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일례로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건조물(101)을 일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재(190)의 본체(192)는 메시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92)는 그물모양으로 형성된 면들로 이루어진 형상으로서, 건조드럼(130) 내의 고온의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본체(192)는 건조드럼(130) 내의 고온의 공기가 통과가능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92)는 건조드럼(130) 내의 고온의 공기가 건조물(101) 전체에 닿도록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하는 구조이면 될 뿐 이에 대한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체(192)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량의 건조물(101)을 집어서 공중에 거치시킬 수 있는 집게나 소량의 건조물(101)을 걸어놓을 수 있는 걸이와 같은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재(190)는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에 체결되기 위해 일측부에 구성되는 체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는 입구부(180)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용부재(190)는 체결부에 의해 입구부(180)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함으로써, 건조물(101)이 소량인 경우에 수용부재(190)를 입구부(180)에 체결하여 상기 소량의 건조물(101)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는 본체(192)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끼움걸이(194)이며, 배기덕트(179)는 입구부(180)에 끼움걸이(194)와 대응되도록 끼움홈(미도시) 또는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기덕트(179)는 입구부(180)에 일정길이 돌출된 끼움걸이가 형성되고, 본체(192)의 체결부는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끼움홈 또는 끼움홀이 될 수 있다.
물론, 체결부는 본체(192)가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에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면 될 뿐, 그 구조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소량의 건조물(101)을 수용하여 배기덕트(179)의 입구부(180)에 위치시키는 수용부재(190)를 포함함으로써, 소량의 건조물(101)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조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한 건조행정이 이루어지는 모든 세탁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조기 내에서 소량의 건조물이 회전하면서 건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건조기 내에 설치되고 소량의 건조물이 수용된 수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건조물 179 : 배기덕트
179a : 흡입공 180 : 입구부
190 : 수용부재 192 : 본체

Claims (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건조물이 수용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히터;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
    상기 건조드럼 내에서, 상기 건조드럼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배기덕트의 입구부에 위치하고 소량의 건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건조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는 수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건조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메쉬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입구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끼움걸이이며,
    상기 배기덕트는 입구부에 상기 끼움걸이와 대응되도록 끼움홈 또는 끼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90013767A 2009-02-19 2009-02-19 건조기 KR20100094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67A KR20100094680A (ko) 2009-02-19 2009-02-19 건조기
CN200910208586XA CN101701414B (zh) 2009-02-19 2009-10-19 烘干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67A KR20100094680A (ko) 2009-02-19 2009-02-19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680A true KR20100094680A (ko) 2010-08-27

Family

ID=4215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767A KR20100094680A (ko) 2009-02-19 2009-02-19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94680A (ko)
CN (1) CN101701414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5336Y1 (it) * 1998-12-23 2002-03-20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Essicatore domestico migliorato a tamburo rotante ecaricamento frontale
JP4348816B2 (ja) * 2000-03-14 2009-10-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具
EP1522625A1 (en) * 2003-10-10 2005-04-13 CANDY S.p.A. Door for laundry dryer machine and relative laundry dryer machine
CN1978764A (zh) * 2005-11-29 2007-06-1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衣物烘干机用干燥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01414B (zh) 2012-12-05
CN101701414A (zh)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2114B1 (en) Clothing dryer
CN106574426B (zh) 衣物干燥机
EP2287387A2 (en) Dryer door and dryer comprising the same
KR20100034077A (ko) 의류건조기
KR20150063817A (ko) 의류건조기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BRPI0715349A2 (pt) mÁquina méltipla de tratamento de artigo a ser lavado e mÉotdo de controle da mesma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KR100732550B1 (ko) 의류건조기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20100094686A (ko) 건조기
KR101961141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CN111748985A (zh) 衣物处理设备
KR100556804B1 (ko) 의류 건조기용 배기챔버
KR20100094681A (ko) 건조기
KR20100094680A (ko) 건조기
JP657243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209958110U (zh) 衣物处理设备
KR20100086652A (ko) 건조기
TW200307074A (en) Washing machine with dryer functions
KR100599040B1 (ko) 의류건조기
KR100651865B1 (ko) 의류 건조기
JP6572434B2 (ja) 衣類乾燥装置
KR20150118859A (ko) 건조기
JP2020039527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