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729A -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및 단-측 관상기관 문합 방법 - Google Patents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및 단-측 관상기관 문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729A
KR20100093729A KR1020090012796A KR20090012796A KR20100093729A KR 20100093729 A KR20100093729 A KR 20100093729A KR 1020090012796 A KR1020090012796 A KR 1020090012796A KR 20090012796 A KR20090012796 A KR 20090012796A KR 20100093729 A KR20100093729 A KR 2010009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uide tube
conduit
anastomosi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603B1 (ko
Inventor
김철웅
한기봉
궁요안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09001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603B1/ko
Priority to PCT/KR2009/006765 priority patent/WO2010095801A1/ko
Publication of KR2010009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17/064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penetrating the tissue, deformable to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1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having at least three legs as part of one sing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5End-to-side connections, e.g. T- or Y-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통로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 제1 관로가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링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안내관의 개구를 통해 상기 안내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링의 외측에 외번된 상기 제1 관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가압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된 문합링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 위치 및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2 위치로 전환되며, 후면에 상기 문합링에 형성된 고정핀의 변형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이동식 슬라이더들을 포함한다.
안내관, 이동링, 가압링, 피스톤, 이동식 슬라이더, 관상기관

Description

단-측 관상기관 문합 장치 및 단-측 관상기관 문합 방법{End-to-Side TUBULAR ANASTOMOSIS DEVICE AND End-to-Side VASCULAR ANASTOMOSIS SURGERY}
본 발명은 단-측 관상기관 문합 장치 및 단-측 관상기관 문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합링을 이용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 장치 및 단-측 관상기관 문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동 부족과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인체기관 중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 질환의 발생률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 경색 및 협심증 등이다.
이러한 협착(Stenosis)이 진행되는 혈관 또는 폐쇄 혈관의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 근육을 팽창시키는 근육 이완제 또는 항칼슘제를 사용하는 약물 요법과 수술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약물 요법은 초기 상태의 폐쇄혈관 치료에 유용하지만 이미 상당한 정도로 폐쇄과정이 중기 이상의 폐쇄 혈관의 치료에는 효과가 매우 적어서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다. 따라서, 폐쇄 혈관의 직접적인 치료법인 수술 요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현재, 수술 요법으로는 내과적 방법과 외과적 방법이 있다. 내과적 방법은 대퇴 정맥과 같은 혈관을 통해 금속망(Stent)을 협착 부위에 삽입하고 그곳에서 금속망을 팽창시켜 협착 부위를 치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팽창 금속망을 사용하는 방법에 필요한 장치들이 미국특허 제3,416,53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술 후 장시간이 경과하면, 금속망 틈새로 내막조직이 성장하고 새로운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이 금속망의 안쪽에 자라나게 되어 혈관이 다시 막히는 재협착(Restenosis)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외과적 방법은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가슴을 절개하여 열고 다른 곳에서 가져온 혈관(주로, 다리 정맥)을 사용하여 막힌 부위를 우회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리 정맥의 한쪽 단부를 IMA(Internal Mammary Artery: 흉부 및 복부조직과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단-단(End-to-End) 연결방식, 또는 단-측(End-to-Side) 연결방식으로 결합하고, 다른 쪽 단부를 협착 부위를 넘어선 혈관에 단-단 연결방식, 단-측 연결방식, 또는 측-측(Side-to-Side) 연결방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혈관은 크게 내막(Intima), 중간막(Tunica media) 및 외막(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혈관의 문합시 반드시 내막은 내막끼리(Intima-to-intima) 접촉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심장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이전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을 문합할 때에 미세수술 전문의사가 직접 봉합사를 사용하여 현미경이나 고배율의 확대경으로 확대된 시야를 확보하고 수작업에 의해 봉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봉합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의사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심장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기적 박동이 행해지는 부위의 혈관을 일일이 봉합하여 문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심장 수술시에는 장시간(적어도 3 시간 이상) 동안 인위적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심장의 박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혈관 문합을 상기와 같이 의사가 봉합사를 사용하여 직접 봉합하지 않고 대신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문합할 수 있는 다수의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정확하게 문합할 수 있는 문합기 및 문합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통로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 제1 관로가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링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안내관의 개구를 통해 상기 안내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링의 외측에 외번된 상기 제1 관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가압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된 문합링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 위치 및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2 위치로 전환되며, 후면에 상기 문합링에 형성된 고정핀의 변형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이동식 슬라이더들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의 일단은 상기 이동링에 각도전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 되고 상기 안내관의 전단부에 타단이 연결된 지지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바는 상기 이동링이 상기 안내관의 전단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향해 각도전환할 수 있다.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전단이 상기 이동링의 후단에 연결된 가압부를 가압하는 가압관; 그리고 상기 제1 가압링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압링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가압관의 후단을 가압하는 제2 가압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압링이 상기 가압관의 후단을 가압할 때 상기 제1 가압링은 상기 이동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이동통로를 가지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가압링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상기 제1 가압링과 함께 이동하며, 외주면에 이동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실린더; 상기 이동나사산과 체결되는 구동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이동실린더를 구동하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이동실린더의 전단에 연결된 기준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기준링의 변위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이동공간을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문합링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문합링에 제공된 정렬돌기를 안내하는 정렬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관로의 단부를 제2 관로의 측부에 문합하는 방법은 상기 제1 관로를 안내관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제1 관로의 일측을 외번하여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안내관의 전단부를 상기 제2 관로의 측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이동식 슬라이더들을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2 위치로 전환하여 외번된 상기 제1 관로의 내막을 상기 제2 관로의 내막과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관로의 외부로부터 문합링을 가압하여 상기 문합링에 형성된 고정핀이 제2 관로와 제1 관로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변형되어 상기 제1 관로를 상기 제2 관로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정확하게 문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혈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피판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그리고 심장 질환, 그밖의 관상기관의 문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수술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내관과 이동링 및 제1 가압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다이얼이 회전함에 따른 제1 및 제2 가압링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안내관에 관로가 삽입된 후 외번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안내관(10), 이동링(20), 가압관(30), 수납관(60), 하우징(70), 그리고 다이얼(8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관(10)은 전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통로(14)를 가지며, 후술하는 관로(Ⅰ)는 제1 통로(14)를 통해 안내관(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동링(20)은 안내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안내관(10)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안내관(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링(20)은 제1 통로(14)와 대응되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이동식 슬라이더들(54)의 일단은 이동링(20)에 각도전환이 가능하도 록 설치되며, 이동식 슬라이더들(54)은 이동링(20)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식 슬라이더(54)는 각도전환에 의해 안내관(10)과 대체로 나란한 해제위치 및 안내관(10)과 대체로 수직한 받침위치로 전환된다. 이동식 슬라이더(54)의 타단은 지지바(52)의 일단에 연결되며, 지지바(52)는 안내관(10)의 전단에 설치된 고정링(12)에 각도전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이동식 슬라이더(54)는 후술하는 고정핀(92)의 변형을 안내하는 안내홈(56)을 가진다.
가압관(30)은 안내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제1 통로(14)와 대응되는 제2 통로(14)를 가진다. 가압관(30)은 전단이 이동링(20)의 후단과 접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2 가압링(44)에 의해 가압되며, 이로 인해, 가압관(30)은 이동링(20)의 후단에 연결된 가압부(22)를 가압한다.
제1 가압링(42)은 안내관(10) 및 가압관(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동링(20)의 후방에 설치되며, 전방지지로드(43)가 제1 가압링(42)의 후면에 연결된다. 제1 가압링(42)은 이동링(2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격거리는 제1 가압링(42)이 전방지지로드(43)와 함께 안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변한다. 또한, 제2 가압링(44)은 전방지지로드(43)의 후단에 연결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관(30)의 후단을 가압한다. 후방지지로드(45)는 제2 가압링(44)의 후면에 연결된다.
하우징(70)은 이동공간(72) 및 이동공간(72)에 연통된 이동통로(74)를 가지며, 이동공간(72) 내에는 후방지지로드(45)의 후단에 연결된 기준링(46)이 설치되고, 이동통로(74) 내에는 기준링(46)의 후면에 연결된 실린더(47)가 설치된다. 실린더(47)는 원통 형상이며, 실린더(4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다이얼(80)은 하우징(70)의 후단에 연결되며, 다이얼(80)은 하우징(70)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때, 다이얼(80)과 하우징(70) 사이에 별도의 베어링(도시안함)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80)의 내주면에는 실린더(47)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다이얼(80)의 암나사산과 실린더(47)의 수나사산은 맞물려 결합된다. 따라서, 다이얼(8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실린더(47)는 전진하며, 다이얼(80)이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실린더(47)는 후진한다. 다이얼(80)이 회전함에 따라 실린더(47)는 이동통로(74)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때, 기준링(46)은 이동공간(72)을 따라 후방지지로드(45)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한다. 기준링(46)의 이동거리(변위)는 이동공간(7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동공간(72)의 길이는 기준링(46)의 이동거리(변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압링(42)은 이동링(2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1) 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다이얼(8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린더(47)는 이동통로(74)를 따라 전진하며, 이로 인 해, 기준링(46) 및 제2 가압링(44)은 전진한다. 마찬가지로, 제1 가압링(42)은 이동링(20)을 향하여 이동하며, 제1 가압링(42)은 이동링(2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2) 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가압관(30)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가압링(44)은 전진하여 가압관(30)의 후단에 접촉하며, 다이얼(80)을 계속하여 회전시킬 경우, 제2 가압링(44)은 가압관(30)의 후단을 가압한다. 가압관(30)은 이동링(20)의 후단에 연결된 가압부(22)를 가압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Ⅰ)는 제1 및 제2 통로(14,32)를 통해 삽입되어 안내관(10)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인출되며, 인출된 관로(Ⅰ)의 끝단은 외번(eversion)된 상태에서 이동링(20)과 제1 가압링(42) 사이에 위치한다. 관로(Ⅰ)가 외번된 상태에서, 관로(Ⅰ)의 외막은 이동식 슬라이더(54)(또는 안내관(10))와 직접 접촉하며, 관로(Ⅰ)의 내막은 반대로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제1 가압링(42)이 이동링(20)을 향하여 이동하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동링(20)과 제1 가압링(42)의 이격거리는 감소하며((d1 → d2, d1>d2), 관로(Ⅰ)의 끝단은 이동링(20)과 제1 가압링(42)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때, 제1 가압링(42)은 이동링(2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d2) 만큼 이격되어 관로(Ⅰ)가 과다한 압축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가압링(42)이 이동링(20)을 직접 가압하는 대신에 제2 가압링(44)이 가압관(30)을 통해 이동링(20)을 간접적으로 가압한다.
도 5는 도 1의 고정링과 이동링 사이에 연결된 지지바 및 이동식 슬라이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이동링이 이동함에 따라 이동식 슬라이더가 동작하는 모습 및 이동식 슬라이더가 동작함에 따라 관로(Ⅰ)의 형상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링(12)은 안내관(10)의 전단에 고정설치되며, 고정링(12)의 후방에는 이동링(20)이 고정링(12)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동식 슬라이더들(54) 및 지지바들(52)은 고정링(12) 및 이동링(2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한편, 이동식 슬라이더(54)의 일단은 이동링(20)에 각도전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지지바(52)는 고정링(12)과 이동식 슬라이더(54) 사이에 연결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슬라이더(54) 및 지지바(52)는 이동링(20)이 고정링(12) 방향으로 근접함에 따라 안내관(10)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도전환을 하며, 이동링(20)의 이동에 의해 고정링(12)과 이동링(20)의 이격거리가 변함에 따라 이동식 슬라이더(54)와 안내관(10)이 이루는 각도는 변한다. 이와 같은 내용은 우산의 접고 펴는 원리를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살펴보면, 관로(Ⅰ)의 끝단이 이동링(20)과 제1 가압링(42)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이얼(80)을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가압관(30)은 이동링(20)의 후단에 연결된 가압부(22)를 계속하여 가압하며, 이로 인해, 이동링(20)은 안내관(10)의 전단에 고정설치된 고정링(12)을 향해 이동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슬라이더(54)는 최초 안내관(10)에 대체로 나란한 해제 위치에 위치한다. 이후, 이동링(20)이 고정링(12)을 향해 이동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링(20)에 연결된 이동식 슬라이더(54)와 고정링(12)에 연결된 지지바(52)는 상호 내각을 이루며 접힌다(똔ㄴ 각도전환을 한다). 이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슬라이더(54)는 안내관(10)에 대체로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해제위치로부터 받침위치로 전환된다.
한편, 안내관(10) 및 이동식 슬라이더(54)의 외측을 감싸는 관로(Ⅰ)는 이동링(20)의 이동 및 이동식 슬라이더(54)의 각도전환에 따라 변형되며,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된 관로(Ⅰ)는 받침위치로 전환된 이동식 슬라이더(54)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싼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안내관의 전단을 관로(예를 들어, 혈관)의 절개부에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관로의 절개부에 삽입된 이동식 슬라이더가 동작함에 따라 관로의 형상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Ⅰ)를 관로(Ⅱ)의 측부에 문합하기 위해 절개부(C)를 형성한다. 다음,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슬라이더(54)가 해제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관로(Ⅰ)가 외번된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의 전단부(또는 안내관(10)의 전단부)를 절개부(C)에 삽입한다. 도 8a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의 전단부(또는 안내관(10)의 전단부)가 절개부(C)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동식 슬라이더(54)는 해제위치에 있다.
이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슬라이더(54)를 받침위치로 전환하면, 관로(Ⅰ)가 변형되어 이동식 슬라이더(54)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며, 외부로 노출된 관로(Ⅰ)의 내막은 관로(Ⅱ)의 내막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도 9는 문합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1의 안내관 상에 설치된 수납관 및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관(60)은 하우징(70)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납관(60)은 문합링(9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60b)을 가진다. 문합링(90)은 가압관(30)(또는 안내관(10))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나란한 방향으로 수납되며, 후술하는 피스톤(64)에 의해 가압관(30)(또는 안내관(10))과 대체로 나란한 방향으로 방출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링(90)은 복수의 고정핀(92)들을 가지며, 고정핀들(92)은 문합링(90)의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피스톤(64)은 수납공간(60b)에 수납된 문합링(90)의 후방에 설치되며, 피스톤(64)은 연결부재(66)에 연결된다. 연결부재(66)는 수납공간(60b)의 후방에 형성된 이동공간(60a)을 따라 이동하여, 피스톤(64)을 구동한다. 이때, 이동공간(60a)의 길이는 피스톤(64)(또는 연결부재(66))의 이동거리와 대체로 일치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70)은 상부통로(76) 및 하부통로(78)를 가지며, 상부통로(76) 및 하부통로(78)는 수납관(6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부로드(67)는 수납관(60)의 후단에 연결되어 수납관(60)과 함께 이동하며, 하부로드(68)는 연결부재(66)에 연결되어 연결부재(66)와 함께 이동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에 도시한 수납관 및 피스톤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피스톤의 동작에 따라 변형된 문합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문합링을 통해 관로(Ⅰ)가 관로(Ⅱ)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관(60)의 내부에 문합링(90)이 수납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수납관(60)을 이동시키면, 문합링(90)은 이동식 슬라이더(54)를 향하여 근접하며, 피스톤(64)은 수납관(60)과 함께 이동한다. 상부로드(67) 및 하부로드(68)는 상부통로(76) 및 하부통로(78)를 따라 각각 이동한다.
이후, 레버(L)를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연결바(65)를 통해 연결된 피스톤(64)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피스톤(64)의 전방에 위치하는 문합링(90)을 가압하며,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링(90)의 고정핀(92)은 수납관(60)의 전단을 통해 방출되어 이동식 슬라이더(54)에 형성된 안내홈(56)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이후, 피스톤(64)이 문합링(90)을 가압하면,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92)의 끝단은 안내홈(56)에 진입하여 안내홈(56)의 형상에 따라 변형된다. 도 12는 변형된 문합링(90')을 나타내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Ⅰ)와 관로(Ⅱ)는 변형된 문합링(90')을 통해 문합된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수납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수납관(60)에 수납된 문합링(90)이 수납관(60)의 전단을 통해 방출되 는 과정에서 문합링(90)이 회전할 경우, 문합링(90)에 형성된 고정핀(92)의 위치가 이동식 슬라이더(54)에 형성된 안내홈(56)의 위치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핀(92)의 끝단이 변형될 수 없으므로(또는 안내홈(56)이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관로(Ⅰ)와 관로(Ⅱ)는 문합될 수 없다. 따라서, 문합링(90)의 외주면에 정렬돌기(94)를 형성하며, 수납관(60)의 수납공간(60b)에 문합링(90)의 방출방향과 나란하고 정렬돌기(94)가 삽입되는 정렬홈(6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안내관의 전단을 제2 관로의 절개부로부터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의 안내관과 가압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Ⅰ)와 관로(Ⅱ)가 문합된 상태에서, 기준링(46)(또는 제2 가압링(44))이 후퇴하도록 가압관(30)이 다이얼(8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준링(46) 및 제2 가압링(44)이 후퇴함에 따라, 가압관(30) 및 제1 가압링(42)이 후퇴하며, 이로 인해 이동링(20)과 제1 가압링(42) 사이에 고정된 관로(Ⅰ)의 끝단은 해제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관(30)이 후퇴함에 따라, 이동링(20)은 후퇴하며, 이동식 슬라이더(54)는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이동식 슬라이더(54)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면,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의 전단부(또는 안내관(10)의 전단부)는 관로(Ⅱ)의 절개부로부터 인출된다.
한편, 기준링(46) 및 제2 가압링(44)이 후퇴할 때 가압관(30)이 함께 후퇴할 수 있도록 안내관(10)의 후단부에는 탄성부재(36)가 설치된다. 탄성부재(36)의 일 단은 안내관(10)의 후단부에 형성된 단차에 접하며, 탄성부재(36)의 타단은 가압관(30)의 후단면(34)에 접한다. 탄성부재(36)는 가압관(30)의 후단면(34)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여 기준링(46) 및 제2 가압링(44)이 후퇴할 때 가압관(30)이 함께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내관과 이동링 및 제1 가압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다이얼이 회전함에 따른 제1 및 제2 가압링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안내관에 관로가 삽입된 후 외번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고정링과 이동링 사이에 연결된 지지바 및 이동식 슬라이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이동링이 이동함에 따라 이동식 슬라이더가 동작하는 모습 및 이동식 슬라이더가 동작함에 따라 제1 관로의 형상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안내관의 전단을 제2 관로의 절개부에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관로의 절개부에 삽입된 이동식 슬라이더가 동작함에 따라 제1 관로의 형상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문합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안내관 상에 설치된 수납관 및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에 도시한 수납관 및 피스톤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피스톤의 동작에 따라 변형된 문합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문합링을 통해 제1 관로가 제2 관로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수납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안내관의 전단을 제2 관로의 절개부로부터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안내관과 가압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내관 12 : 고정링
14 : 제1 통로 20 : 이동링
30 : 가압관 32 : 제2 통로
36 : 탄성부재 42 : 제1 가압링
43,45 : 지지로드 44 : 제2 가압링
46 : 기준링 47 ; 실린더
52 : 지지바 54 : 이동식 슬라이더
60 : 수납관 62 : 정렬홈
64 : 피스톤 66 : 연결부재
67 : 상부로드 68 : 하부로드
70 : 하우징 72 : 이동공간
74 : 이동통로 80 : 다이얼
90 : 문합링 92 : 고정핀
Ⅰ,Ⅱ : 관로

Claims (7)

  1. 통로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통해 제1 관로가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링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안내관의 개구를 통해 상기 안내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링의 외측에 외번된 상기 제1 관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가압링;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된 문합링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 및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 위치 및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2 위치로 전환되며, 후면에 상기 문합링에 형성된 고정핀의 변형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이동식 슬라이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의 일단은 상기 이동링에 각도전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 되고 상기 안내관의 전단부에 타단이 연결된 지지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바는 상기 이동링이 상기 안내관의 전단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향해 각도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안내관의 외측을 감싸며, 전단이 상기 이동링의 후단에 연결된 가압부를 가압하는 가압관; 및
    상기 제1 가압링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압링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가압관의 후단을 가압하는 제2 가압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압링이 상기 가압관의 후단을 가압할 때 상기 제1 가압링은 상기 이동링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이동통로를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가압링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상기 제1 가압링과 함께 이동하며, 외주면에 이동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실린더;
    상기 이동나사산과 체결되는 구동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이동실린더를 구동하는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이동실린더의 전단에 연결된 기준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기준링의 변위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이동공간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문합링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문합링에 제공된 정렬돌기를 안내하는 정렬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7. 제1 관로의 단부를 제2 관로의 측부에 문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를 안내관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제1 관로의 일측을 외번하여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안내관의 전단부를 상기 제2 관로의 측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이동식 슬라이더들을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제2 위치로 전환하여 외번된 상기 제1 관로의 내막을 상기 제2 관로의 내막과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로의 외부로부터 문합링을 가압하여 상기 문합링에 형성된 고정핀이 제2 관로와 제1 관로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이동식 슬라이더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변형되어 상기 제1 관로를 상기 제2 관로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 방법.
KR1020090012796A 2009-02-17 2009-02-17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KR10106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796A KR101069603B1 (ko) 2009-02-17 2009-02-17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PCT/KR2009/006765 WO2010095801A1 (ko) 2009-02-17 2009-11-17 단-측 결합방식의 관상기관 문합기 및 문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796A KR101069603B1 (ko) 2009-02-17 2009-02-17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729A true KR20100093729A (ko) 2010-08-26
KR101069603B1 KR101069603B1 (ko) 2011-10-05

Family

ID=4263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796A KR101069603B1 (ko) 2009-02-17 2009-02-17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9603B1 (ko)
WO (1) WO20100958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169B1 (ko) * 2013-01-08 2013-06-12 (주)트리플씨메디칼 분기식 드라이브바를 구비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5986B (zh) * 2012-09-25 2014-10-22 夏时苍 一次性医用消化管多面立体切割吻合器
KR101342622B1 (ko) 2013-01-02 2013-12-17 (주)트리플씨메디칼 정-역 나사산을 이용한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CN114948038B (zh) * 2022-07-28 2022-09-30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经导管微创血管自动吻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3468A (en) * 1995-10-31 1999-11-30 Oticon A/S Method and anastomotic instrument for use when performing an end-to-side anastomosis
US7169158B2 (en) * 1996-07-23 2007-01-30 Tyco Healthcare Group Lp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for performing same
US5707380A (en) * 1996-07-23 1998-01-13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US7445622B2 (en) * 2005-05-05 2008-11-04 Ethicon Endo-Surgery, Inc. Anastomotic ring applier with double motion actu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169B1 (ko) * 2013-01-08 2013-06-12 (주)트리플씨메디칼 분기식 드라이브바를 구비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5801A1 (ko) 2010-08-26
KR101069603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1289A (en) Surgical device for suturing tissue
US5755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US6537288B2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such as an anastomosis device
US6419681B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such as an anastomosis device
JP4658557B2 (ja) 自己配置ファスナーのための単一内腔吻合用アプライヤー
US20040186489A1 (en) Anastomosis device
US9549834B2 (en) Emergency vessel repair prosthesis deployment system
US20010039425A1 (en) Connectors for hollow anatomical structures and methods of use
US20060217748A1 (en) Method for Hybrid Gastro-Jejunostomy
US20060212054A1 (en) Anastomosis device with separable section
EP1435847A2 (en) Surgical device for creating an anastomosis between first and second hollow organs
WO2008040580A1 (en) An anastomotic applier
US2007001087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ttach an unsupported surgical component
US71013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urgical procedure
KR101069603B1 (ko)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US20040181244A1 (en) Vascular anastomosis device
KR101011445B1 (ko)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US20040172049A1 (en) Vascular anastomosis device
KR101010339B1 (ko) 푸셔 및 이를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방법
US975049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issue suturing
KR101342622B1 (ko) 정-역 나사산을 이용한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1274169B1 (ko) 분기식 드라이브바를 구비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JP2004531284A (ja) 吻合器具および吻合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
KR20140144001A (ko)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US8262681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endoluminal proximal anastom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