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445B1 -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445B1
KR101011445B1 KR1020080033456A KR20080033456A KR101011445B1 KR 101011445 B1 KR101011445 B1 KR 101011445B1 KR 1020080033456 A KR1020080033456 A KR 1020080033456A KR 20080033456 A KR20080033456 A KR 20080033456A KR 101011445 B1 KR101011445 B1 KR 10101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stomosis
rods
anastomosis device
lever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168A (ko
Inventor
박종웅
김철웅
한기봉
손대구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08003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44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2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applying the staples on the outside of the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5Circular stapl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2017/1157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applying the staples radially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전단에 제1 및 제2 문합링을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홀더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로드; 그리고 상기 제1 로드를 상기 제2 로드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로드를 상기 제1 로드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로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레버; 상기 제1 및 제2 로드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 랙기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 사이에 설치되는 피니언축; 그리고 상기 피니언축 상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한다.
로드, 피니언축, 피니언기어, 랙기어

Description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MECHANICAL ANASTOMOSIS APPARATUS FOR TUBULAR ORGAN}
본 발명은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문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 부족과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혈관 질환의 발생률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 경색 및 협심증 등이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의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 근육을 팽창시키는 근육 이완제 또는 항칼슘제를 사용하는 약물 요법과 수술에 의한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약물 요법은 초기 단계의 치료에 유용하지만 이미 상당한 정도로 폐쇄 과정이 진행된 혈관에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다. 따라서, 폐쇄 혈관의 직접적인 치료법인 수술 요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수술 요법으로는 크게 내과적 방법과 외과적 방법이 있는데, 내과적 방법은 대퇴 정맥과 같은 혈관을 통해 금속망(Stent)을 폐쇄 부위에 삽입하고 그곳에서 금속망을 팽창시켜 폐쇄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팽창 금속망을 사용하는 방법에 필요한 장치들이 미국특허 제3,416,53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수술한 후 얼마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금속망 사이로 병변조직이 삐져나오고 새로운 육아조직(granular tissue)이 금속망의 안쪽에 자라나게 되어 또다시 폐쇄과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가슴을 절개하여 열고(Open heart surgery) 다른 곳에서 가져온 혈관(주로, 다리 정맥)을 사용하여 막힌 부위를 우회 연결하는 외과적 수술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이때, 상기 다리 정맥의 한쪽 단부를 IMA(Internal Mammary Artery: 흉부 및 복부조직과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단부 대 단부(End-to-End) 또는 단부 대 측부(End-to-Side)로 연결하고, 다른 쪽 단부를 폐쇄 부위를 넘어선 혈관에 단부 대 측부 또는 측부 대 측부(Side-to-Side)로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혈관은 크게 내층(Intima), 중간층(Media) 및 외층(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혈관의 문합시 반드시 내층은 내층끼리 외번시켜서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심장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이전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방법으로는, 미세수술 전문의사가 직접 봉합사를 사용하여 현미경이나 고배율의 확대경으로 확대된 수술시야를 확보하고 수작업에 의해 일일히 봉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봉합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의사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심장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기적 박동이 행해지는 부위의 혈관을 일일이 봉합하여 문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심장 수술시에는 장시간 동안 인위적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심장의 박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봉합사를 사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혈관을 직접 봉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다수의 혈관 문합 장치들이 고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는 푸셔 및 문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전단에 제1 및 제2 문합링을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홀더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로드; 그리고 상기 제1 로드를 상기 제2 로드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로드를 상기 제1 로드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로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레버; 상기 제1 및 제2 로드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 랙기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 사이에 설치되는 피니언축; 그리고 상기 피니언축 상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체결유닛을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이동방향과 대체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제공된 제1 및 제2 가이드팁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로드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레버에 각각 제공된 제1 및 제2 스토퍼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들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들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로드는 상기 제1 및 제2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슬롯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의 내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슬롯을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지지축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로드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바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정지홈을 가지며,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제1 정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바가 상기 제1 삽입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제1 정지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 분리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홀더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유닛은 분리레버; 그리고 상기 분리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레버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홀더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함께 밀어내는 푸쉬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혈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혈관 이외의 인체의 다른 관상기관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상기관은 난관, 담관, 장, 이하선관, 요도 및 요관, 정삭, 췌장관, 총간관, 담도관, 나팔관, 림프관 등과 같이 관 구조(tubular structure)를 가진 기관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 신장, 췌장, 심장이식 등 혈관과 같은 관상기관의 문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술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문합장치는 대체 로 좌우대칭이므로,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타측에 위치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과 대체로 동일하다. 또한, 이하에서 어두에 '제1'이 붙는 구성요소는 좌측에 위치하고, 어두에 '제2'가 붙는 구성요소는 우측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케이스(10), 레버(20), 홀더(32), 그리고 로드(34,35)를 포함하며, 로드(34,3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로드(34)와 주로드(35)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2) 및 하부케이스(14)를 포함하며, 레버(20) 및 로드(34,35)를 포함하는 내부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레버(20)는 하부케이스(14)(또는 상부케이스(12))의 양측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레버(20)를 손으로 움켜쥐면 레버(20)는 하부케이스(14)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다. 레버(20)는 복수의 가이드슬롯들(24a,24b,24c)을 가지며, 상부케이스(12)(또는 하부케이스(14))에 제공된 복수의 가이드팁들(18a,18b,18c)은 가이드슬롯들(24a,24b,24c)에 각각 삽입된다. 가이드슬롯들(24a,24b,24c)은 레버(20)의 이동방향(또는 후술하는 로드(34,35)의 이동방향)과 대체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레버(20)의 이동을 안내한다.
레버(20)의 일측에는 보호관(22)이 설치되며, 보호관(22) 내에는 주로드(35)가 삽입설치된다. 이때, 주로드(35)의 후단은 보호관(22)의 후단 외측으로 노출된다. 주로드(35)의 후단에는 핸들(36) 및 탄성체(38)가 설치된다.
보호관(22)에는 랙기어(35a,35b)가 연결된다. 제1 및 제2 보호관(22)의 사이에는 축지지대(16a,16b)가 설치되며, 축지지대(16a,16b) 상에는 피니언축(53)이 설치된다. 피니언축(53)의 양단에는 랙기어(35a,35b)와 각각 맞물리는 피니언기 어(54)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드(35)의 전단에는 보조로드(34)가 연결된다. 보조로드(34)에는 지지바(33)가 삽입설치되며, 지지바(33)의 일단에는 문합링(40)을 고정하는 홀더(32)가 연결된다. 상부케이스(12) 상에는 이동홀(19)이 형성되며, 이동홀(19)을 따라 분리레버(62)가 이동한다. 분리레버(62)는 연결바(63)에 의해 푸쉬바(64)와 연결되며, 분리레버(62)의 이동에 따라 푸쉬바(64)가 함께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핸들(36)을 이용한 로드(34,35)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로드(35) 후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핸들(3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로드(35)의 후단에는 핸들(36) 및 탄성체(38)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6)은 내부공간(36a)을 가지며, 내부공간(36a)에는 지지축(37)이 설치된다. 주로드(35)의 후단에는 주로드(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슬롯(35c)이 형성되며, 지지축(37)은 지지슬롯(35c)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지지축(37)은 지지슬롯(35c)을 따라 이동하며, 핸들(36)의 회전력을 주로드(35)에 전달하여 햄들(36)과 함께 주로드(35)를 회전시킨다. 탄성체(38)의 일단은 내부공간(36a)의 저면과 접하며, 탄성체(38)의 타단은 지지슬롯(35c)을 관통한 지지축(37)과 접한다. 탄성체(38)는 지지슬롯(35c)을 따라 이동한 지지축(37)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며, 이로 인해 지지축(37)과 함께 이동한 핸들(36)도 함께 복귀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0)의 후단에는 스토퍼(26)가 설치된다. 스토퍼(26)는 레버(20)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후술하는 핸들(36)의 고정홀(36b,36c)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핸들(36)의 회전을 방지한다. 레버(20)의 후단과 대향되는 핸들(36)의 전단에는 복수의 고정홀(36b,36c)이 형성된다. 고정홀(36b,36c)은 핸들(36)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기설정된 각도(α)를 이룬다. 기설정된 각도란 로드(34,35)의 회전변위(또는 문합링(40)의 회전변위)에 의해 결정된다. 두 문합링(4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문합링(40)의 고정핀(44) 및 체결홀(46)과 상대 문합링(40)의 체결홀(46) 및 고정핀(44)이 서로 마주보도록 문합링(40)이 배치되어야 한다. 즉, 문합링(40)은 회전 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문합링(40)의 회전변위는 문합링(40)의 최초 배치(문합링(40)을 홀더(32)에 설치하거나 문합링(40)에 혈관을 고정시키는 위치)와 회전 후 배치(문합링(40)을 체결하기 위한 위치)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문합링(40)의 회전변위(또는 로드(34,35)의 회전변위)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가 결정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홀(36c)에 스토퍼(26)가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36)은 스토퍼(26)로 인해 회전할 수 없으며, 문합링(40)은 전면을 향해 배치된다. 이때, 핸들(36)을 잡아당기면, 제1 고정홀(36c)은 스토퍼(26)와 분리되며, 지지축(37)은 지지슬롯(35c)을 따라 이동한다. 이후,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6)을 회전시키면, 지지축(37)에 의해 로드(34,35)가 회전하며, 이로 인해 문합링(40)은 회전하여 서로 마주본다. 이때, 핸들(36)의 회전변위(36)는 제1 고정 홀(36c)과 제2 고정홀(36b)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결정되며, 스토퍼(26)와 제2 고정홀(36b)이 대응되는 위치(스토퍼(26)가 제2 고정홀(36b)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까지 핸들(36)을 회전시킨 후 잡아당긴 핸들(36)을 놓는다. 지지슬롯(35c)을 따라 이동한 지지축(37)에 의해 압축된 탄성체(38)는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며, 지지축(37)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핸들(36)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스토퍼(26)가 제2 고정홀(36b)에 삽입되어 핸들(36)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레버(20)를 이용하여 문합링(40)을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20)를 손으로 움켜쥐면 레버(20)는 하부케이스(14)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며, 레버(20)에 연결된 보호관(22)도 레버(20)와 함께 이동한다. 이때, 보호관(22)과 함께 랙기어(35a,35b)가 이동하며, 랙기어(35a,35b)의 이동에 의해 랙기어(35a,35b)와 맞물린 피니언기어(54a,54b)가 회전한다. 이때, 상부랙기어 및 하부랙기어(35a,35b)는 동일한 구성(잇수, 피치 등)을 가지며, 상부피니언기어 및 하부피니언기어(54a,54b)는 동일한 구성(잇수, 피치 등)을 가지므로, 보호관(22)의 상부 및 하부는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며, 제1 및 제2 보호관(22)은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주버튼(72) 및 보조버튼(76)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2의 지지바(33)를 로드(34)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합장치는 홀더(32)(또는 지지바(33))를 보조로드(34)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버튼을 더 포함하며, 분리버튼은 주버튼(72) 및 누름체(74), 그리고 보조버튼(76)을 구비할 수 있다. 주버튼(72)의 동작에 의해 누름체(74) 및 보조버튼(76)은 연동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로드(34)의 전단에는 지지바(33)가 삽입설치되는 삽입구(34a)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홀더(32)는 보조로드(34)의 전단에 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보조로드(34)에는 보조버튼(76)이 각각 설치되며, 보조버튼(76)의 상부에는 누름체(74) 및 주버튼(72)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주버튼(72)을 누르면, 주버튼(72)과 함께 누름체(74)가 눌리며, 이로 인해 보조버튼(76)이 눌린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바(33)는 정지홈(33a)을 가진다. 보조버튼(76)은 회전가능한 회전바(78)에 연결되며, 회전바(78)의 끝단에는 스토퍼(78a)가 제공된다. 스토퍼(78a)는 정지홈(33a)에 삽입되어 지지바(33)가 삽입구(34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보조버튼(76)(또는 주버튼(72))을 눌렀을 때, 정지홈(33a)으로부터 이탈하여 지지바(33)가 삽입구(34a)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주버튼(72) 및 누름체(74)는 탄성체(75)에 연결되며, 탄성체(7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9는 도 2의 홀더(32) 및 문합링(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홀더(32)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문합링(40)이 삽입되는 미끄럼홈(32a)을 가지며,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홀(32b)을 가진다. 문합링(40)은 혈관과 대응되는 링(42) 형상이며, 복수의 고정핀들(44) 및 복수의 체결홀들(46)을 가진다. 고정핀들 및 체결홀들(44,46)은 문합링(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을 이루도록(도시하지 않았으나 약 60°를 이루도록) 각각 배치되며, 교대로 배치된다. 혈관은 문합링(40)의 중앙 개구에 삽입된 후 뒤집어진 상태에서 고정핀(44)에 고정되며, 고정핀(44)은 혈관을 관통하여 혈관이 문합링(4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핀(44)의 상단에는 관통한 혈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가 제공된다. 또한, 문합링(40)은 미끄럼홈(32a)을 따라 미끄럼이동하여 문합링(40)을 홀더(32) 상에 고정시키는 가이드(48)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48)는 링(42)의 양측에 제공된다.
한편,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홀더(32)에 고정된 문합링(40)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홀더(32)에 고정된 문합링(40)은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핀(44) 및 체결홀(46)을 각각 가지고 있다. 즉, 두 개의 문합링(40)은 고정핀(44)이 체결홀(46)에 삽입됨으로써 상호 체결되므로, 두 개의 문합링(40)은 고정핀(44) 위치에 체결홀(46)이 위치하고 있어야 하며, 동일한 위치에 고정핀(44)이 위치하거나 체결홀(46)이 위치할 경우 문합링(40)은 상호 체결될 수 없다.
도 10은 도 1의 문합링(40)이 혈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의 문합링(40)을 이용한 문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링(40)은 열려있는 혈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고정핀(44)은 혈관이 문합링(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개의 혈관에 각각의 문합링(40)을 설치하고 문합링(40)을 체결함으로써 혈관은 문합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핸들을 이용한 로드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로드 후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레버를 이용하여 문합링을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주버튼 및 보조버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지지바를 로드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홀더 및 문합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문합링이 혈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6 : 축지지대
18 : 가이드팁 19 : 이동홀
20 : 레버 22 : 보호관
24 : 가이드슬롯 26 : 스토퍼
32 : 홀더 33 : 지지바
33a : 정지홈 34 : 보조로드
34a : 삽입구 35 : 주로드
35a,35b : 랙기어 35c : 지지슬롯
36 : 핸들 36a : 내부공간
36b,36c : 고정홀 40 : 문합링
42 : 링 44 : 고정핀
46 : 체결홀 48 : 가이드
54 : 피니언기어 62 : 분리레버
63 : 연결바 64 : 푸쉬바
72 : 주버튼 74 : 누름체
76 : 보조버튼 78 : 회전바
78a : 스토퍼

Claims (8)

  1. 제1 및 제2 관상기관의 일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 문합링을 체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관상기관을 문합하는 문합장치에 있어서,
    전단에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홀더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로드; 및
    상기 제1 및 제2 로드에 각각 연결되며, 문합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와 함께 상호 접근하는 제1 및 제2 레버;
    상기 제1 및 제2 로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 랙기어;
    상기 제1 및 제2 로드 사이에 설치되는 피니언축; 및
    상기 피니언축 상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와 동시에 맞물리며,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접근시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피니언축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제공된 제1 및 제2 가이드팁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로드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레버에 각각 제공된 제1 및 제2 스토퍼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들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들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드는 상기 제1 및 제2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슬롯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들의 내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슬롯을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지지축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로드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정지홈을 가지며,
    상기 제1 로드는 회전가능한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정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바가 상기 제1 삽입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그리고 상기 회전바의 타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제1 정지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 분리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홀더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유닛은,
    분리레버; 및
    상기 분리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레버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홀더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함께 밀어내는 푸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KR1020080033456A 2008-04-11 2008-04-11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101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56A KR101011445B1 (ko) 2008-04-11 2008-04-11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56A KR101011445B1 (ko) 2008-04-11 2008-04-11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168A KR20090108168A (ko) 2009-10-15
KR101011445B1 true KR101011445B1 (ko) 2011-01-28

Family

ID=4155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456A KR101011445B1 (ko) 2008-04-11 2008-04-11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52B1 (ko) * 1998-07-02 2006-03-30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인베스트멘트 홀딩 코포레이션 알릴화 아미드 화합물 및 그 화합물로 제조되는 다이 부착용접착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90B1 (ko) * 2010-01-05 2012-01-30 (주)트리플씨메디칼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KR20170016100A (ko) 2015-08-03 2017-02-13 황현도 극친수성 소변기
CN116269584B (zh) * 2023-05-17 2023-08-29 泓欣科创(北京)科技有限公司 辅助挂环装置及血管吻合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090A (en) * 1982-06-24 1990-04-17 Unilink,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JPH0819597A (ja) * 1994-07-07 1996-01-23 Kouno Seisakusho:Kk 血管吻合具
EP1842495A2 (en) * 2006-04-06 2007-10-10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ssembly for anastomonsis
KR100769681B1 (ko) * 2006-05-15 2007-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문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090A (en) * 1982-06-24 1990-04-17 Unilink,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JPH0819597A (ja) * 1994-07-07 1996-01-23 Kouno Seisakusho:Kk 血管吻合具
EP1842495A2 (en) * 2006-04-06 2007-10-10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ssembly for anastomonsis
KR100769681B1 (ko) * 2006-05-15 2007-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문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52B1 (ko) * 1998-07-02 2006-03-30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인베스트멘트 홀딩 코포레이션 알릴화 아미드 화합물 및 그 화합물로 제조되는 다이 부착용접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168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1289A (en) Surgical device for suturing tissue
JP3890589B2 (ja) 心臓内縫合装置
Sinclair et al. Cannulation of the axillary artery for cardiopulmonary bypass: safeguards and pitfalls
US20100056863A1 (en) Medical manipulator,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treatment
Nguyen et al. Technical aspects of robotic-assisted pancreaticoduodenectomy (RAPD)
KR20020091522A (ko) 문합 장치
Tacchino et al. Single-incision laparoscopic gastric bypass for morbid obesity
KR101011445B1 (ko)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0948535B1 (ko)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Kunisaki et al. Application of reduced-port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preserving the pancreas and spleen
Sujatha-Bhaskar et al. The Role of Fluorescent Angiography in Anastomotic Leaks.
Endo et al. The utility of a 3D endoscope and robot-assisted system for MIDCAB
Kappert et al. Closed chest bilateral mammary artery grafting in double-vessel coronary artery disease
KR20090107376A (ko) 문합링 및 문합링의 설치방법
Arezzo et al. Endoscopic closure of gastric access in perspective NOTES: an update on techniques and technologies
KR101069603B1 (ko)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KR101010339B1 (ko) 푸셔 및 이를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방법
Kang et al. Intracorporeal overlap gastro-gastrostomy for solo single-incision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in early gastric cancer
Bisson et al. External carotid artery to middle cerebral artery bypass with the saphenous vein graft
Sozener Single stapler technique for vascular control in laparoscopic donor nephrectomy
RU2689856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нтракорпорального термино-терминального циркулярно-перитонизированного толстокишечного анастомоза
KR101342622B1 (ko) 정-역 나사산을 이용한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1274169B1 (ko) 분기식 드라이브바를 구비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Voermans et al. translumenal endoscopic debridement of organized pancreatic necrosis–the first step towards natural orifice translumenal endoscopic surgery
KR20140144001A (ko)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