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418A - 자동 손톱깎이 - Google Patents

자동 손톱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418A
KR20100093418A KR1020090012592A KR20090012592A KR20100093418A KR 20100093418 A KR20100093418 A KR 20100093418A KR 1020090012592 A KR1020090012592 A KR 1020090012592A KR 20090012592 A KR20090012592 A KR 20090012592A KR 20100093418 A KR20100093418 A KR 20100093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lade
blade
nail clipper
power
automatic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665B1 (ko
Inventor
박종철
고범석
신해섭
명민수
서지동
김기영
전인수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6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45D2029/026Nail clippers or cutters for toenails, e.g. with a rod acting over the clip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깎아 줄 뿐만 아니라 잘린 손톱 또는 발톱을 모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하고 잘린 손톱 또는 발톱을 모아 배출함으로써 뒷정리를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자동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손톱깍이, 자동, 모터

Description

자동 손톱깎이{An Automatic nail cutter}
본 발명은 자동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깎아 줄 뿐만 아니라 잘린 손톱 또는 발톱을 모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하고 잘린 손톱 또는 발톱을 모아 배출함으로써 뒷정리를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자동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깎이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구비되어 사용되는 생활용품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손톱깎이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날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날과 연결된 타측에 누름판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누름판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두 개의 날이 상대하는 방향으로 눌러지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손톱 또는 발톱을 깎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손톱깎이는 손의 힘, 특히 손가락의 힘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일반적인 손톱깎이는 손톱 또는 발톱을 깎는 경우, 잘려진 손톱 또는 발톱이 예상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튀어 잘려진 손톱 또는 발톱을 찾아 뒷정리하는 데 많은 불편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깎을 수 있는 자동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잘려진 손톱 또는 발톱을 뒷정리하기 편한 자동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톱 또는 발톱을 효과적으로 깎을 수 있는 자동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끝단에는 상부 칼날을 구비하며, 타측 끝단에는 복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날과 복원 수단 사이의 일정 위치에 돌출부를 구비한 상부 칼날부; 상기 돌출부를 눌러주어 상기 상부 칼날부의 상부날을 하강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상부 칼날부, 동력부 및 전원부를 내장하며, 상기 상부날에 대응되는 위치 구비된 하부날 및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 사이에 손톱 또는 발톱이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은 상기 하부날과 교차될 때,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의 교차점이 일측 가장자리부터 타측 가장자리로 순차적으로 이동 되도록 빗면 형태의 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의 일정 영역은 손가락의 볼록한 형태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은 단면 형상이 상기 개구부의 오목한 형태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구비된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원형기어; 및 상기 원형기어의 회전축에 구비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케이스와 분리가능하며,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에 의해 절삭된 손톱 또는 발톱을 저장하는 밑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에 의해 절삭된 손톱 또는 발톱이 상기 밑받침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튐 방지막을 더 구비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원 수단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동력부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날을 하강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 손톱깎이는 자동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깎아 줌으로써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지 않아 노약자 또는 어린이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자동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손톱깎이는 잘려진 손톱 또는 발톱을 모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잘려진 손톱 또는 발톱을 뒷정리하기 편리한 자동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손톱깎이는 손톱 또는 발톱을 깎을 때, 손톱 또는 발톱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깎는 구조의 날을 구비하고 있어 효율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깎을 수 있는 자동 손톱깎이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상기 자동 손톱깎이의 일 부품인 상부 칼날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는 크게 상부 칼날부(100), 동력부(200), 전원부(3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 칼날부(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측 끝단, 즉,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상부에 상부날(110)을 구비하고 있고, 타측 끝단, 즉,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하부에는 복원 수단(12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부날(110)과 복원 수단(120)의 사이의 일정 위치, 즉,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가운데 근처에 돌출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날(110)은 도 2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후 설명될 하부날과 교차될 때,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의 교차점이 일측 가장자리(도 2b에서는 왼쪽)부터 타측 가장자리(도 2b에서는 오른쪽)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날(110)의 날 끝이 빗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날(110)과 이후 설명될 하부날의 교차가 이루어질 때 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의 전단력이 한 점에 집중되어 손톱 또는 발톱의 절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상부날(110)은 그 단면 형상이 오목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날(110)이 손톱 또는 발톱을 절삭하기 때문인데, 일반적으로 절삭하고자 하는 손톱 또는 발톱은 볼록한 형태를 이루고 있어 이를 절삭하기 위해서는 오목한 형태인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복원 수단(120)은 상기 상부 칼날부(100)를 원위치로 복원하는 수단으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원 수단(120)은 이후 설명될 동력부(200)에 의해 상기 상부 칼날부(100)가 하강하여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이 교차하여 손톱 또는 발톱을 절삭하고 난 후, 상기 상부 칼날부(100)를 원래 위치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1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날(110)과 복원 수단(120) 사이의 일정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이후 설명될 동력부(200)의 캠의 회전에 의해 눌러지는 구성요소로 상기 돌출부(130)가 눌러짐으로써 상기 상부 칼날부(100)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상부날(110)이 하부날과 교차하게 되어 손톱 또는 발톱을 절삭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210), 상기 모터(210)의 축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210)의 회전을 전달하 는 웜기어(220), 상기 웜기어(220)에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220)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 원형기어(230) 및 상기 원형기어(230)의 회전축(235)에 구비된 캠(2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동력부(200)는 이후 설명될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모터(210)을 동작, 즉,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210)의 축에 연결된 웜기어(220) 및 원형기어(230)을 통해 상기 원형기어(230)의 회전축(235)에 구비된 캠(24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캠(240)은 상기 회전축(235)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타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어 상기 캠(240)이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상기 도 2a 및 도 2b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돌출부(130)가 한번 눌러지게 되어, 상기 상부 칼날부(100)가 한번 하강한 후,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복원 수단(120)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와 같은 베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도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동력부(200)에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4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0) 및 덮개(4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400)의 몸체(410)에는 상기에서 상술한 상부 칼날부(100), 동력부(200) 및 전원부(30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400)의 몸체(410)의 측면의 일정 영역(430)은 손가락, 특히 손 톱 또는 발톱의 볼록한 형태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기 일정 영역(430)의 일정 위치에 개구부(4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440)에는 하부날(45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하부날(450)은 도 4b(이때, 도 4b는 하부날을 포함하는 개구부의 수직 절단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직삼각형의 빗면이 보이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날(110)은 이와는 다르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삼각형의 수직면이 보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450)이 서로 교차하면서 손톱 또는 발톱을 절삭함으로, 서로 밀착되어 교차되는 것이 절삭력을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부날(450)은 상기 개구부(440)와 동일하게 오목한 형태를 이루고 있고, 그 단면 형상이 상기 상부날(110)의 오목한 형태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케이스(400)의 몸체(410) 하부에는 상기 개구부(440), 상부날(110) 및 하부날(4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밑받침(460)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밑받침(460)은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450)에 의해 절삭된 손톱 또는 발톱을 받아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밑받침(46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하여 손톱 또는 발톱을 자른 후, 잘린 손톱 또는 발톱을 버리거나 뒷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받침(46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는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450)에 의해 절삭된 손톱 또는 발톱이 다른 곳을 튀는 것을 방지하는 튐 방지막(47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튐 방지막(470)은 절삭된 손톱 또는 발톱이 하부에 위치한 밑받침(460)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케이스(400)의 몸체(410) 또는 덮개(420)의 일정 위치에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력부(200)를 동작시켜 상기 상부날(110)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온 동작으로 상기 상부날(110)이 일 회 하강하도록 하는 스위치일 수도 있고, 한 번의 온 동작으로 상기 상부날(110)이 복수 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상술한 상부 절삭부(100), 동력부(200) 및 전원부(300)이 상기 케이스(400)의 몸체(410)에 결합된 형태를 설명하면, 우선, 상기 상부 절삭부(100)는 상기 몸체(41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절삭부(100)의 복원 수단(120)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 절삭부(100)가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절삭부 삽입부(482)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절삭부 삽입부(482)는 상기 상부 절삭부(100)가 하강하여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450)이 서로 교차하여 손톱 또는 발톱을 자르게 하고, 상기 상부 절삭부(10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상부 절삭부(100)가 원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동력부(200)의 모터(210)는 상기 몸체(410)의 하부면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하부 모터 케이스(484)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 모터 케이스(484)와 결 합되는 상부 모터 케이스(486)에 의해 고정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원형기어(230)의 회전축(235)은 상기 몸체(410)의 하부면에 위치한 복수 개의 회전축 지지체들(488a, 488b, 488c)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고정된다.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몸체(410)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1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스위치(미도시)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부(300)에서 상기 동력부(200)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모터(210)를 동작시킨다.
상기 모터(210)의 회전력이 상기 웜 기어(220) 및 원형 기어(230)로 전달되고, 상기 원형 기어(230)의 회전축(235)에 연결된 캠(240)을 회전(510)시킨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240)이 회전(510)하여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돌출부(130)를 눌어 상기 상부 칼날부(100)가 하강(610)하게 되면,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450)이 교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40)를 통해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450) 사이에 손톱 또는 발톱이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손톱 또는 발톱이 절삭되게 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240)이 도 5a에 도시된 것보다 더 회전(520)하여 상기 돌출부(130)를 밀어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하강이 완료되어 가장 낮은 하강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상부날(110)과 하부날(450)이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날(110)과 하부날(450)의 교차점이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 하게 되어 손톱 또는 발톱의 절삭을 완료하게 된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240)이 도 5b에 도시된 것보다 더 회전(530)하게 되면, 상기 캠(240)은 상기 돌출부(130)에서 이탈하게 되고, 상기 상부 칼날부(100)는 상기 상부 칼날부(100)의 복원 수단(12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620)하여 상기 상부날(110)이 하부날(450)보다 높은 위치로 원위치하게 되어 다음 하강을 준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는 상부날, 복원 수단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 칼날부, 캠을 포함하는 동력부, 개구부와 개구부에 구비된 하부날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전원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상기 동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캠을 회전시키고, 상기 캠이 상기 돌출부를 누름으로써 상기 상부날이 하강하여 하부날이 교차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손톱 또는 발톱을 절삭하고, 절삭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복원 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칼날부가 원위치로 복원되어 다음 절삭을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동 손톱깎이는 손톱 또는 발톱을 깎아 줌으로써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지 않아 노약자 또는 어린이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는 케이스 하부에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어 잘려진 손톱 또는 발톱을 모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잘려진 손톱 또는 발톱을 뒷정리하기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는 상기 상부날이 빗면 형태로 구비고, 그 단면이 오목한 형태를 이루어져 있어, 손톱 또는 발톱을 깎을 때, 손톱 또는 발톱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깎는 구조의 날을 구비하고 있어 효율적으로 손톱 또는 발톱을 깎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자동 손톱깎이의 일 부품인 상부 칼날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자동 손톱깎이의 일 부품인 동력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자동 손톱깍이의 일 부품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하부날을 포함하는 개구부의 수직 절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손톱깎이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 칼날부 110 : 상부날
120 : 복원 수단 130 : 돌출부
200 : 동력부 210 : 모터
220 : 웜 기어 230 : 원형 기어
240 : 캠 300 : 전원부
400 : 케이스 440 : 개구부
450 : 하부날 460 : 밑받침
470 : 튐 방지막

Claims (9)

  1. 일측 끝단에는 상부 칼날을 구비하며, 타측 끝단에는 복원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날과 복원 수단 사이의 일정 위치에 돌출부를 구비한 상부 칼날부;
    상기 돌출부를 눌러주어 상기 상부 칼날부의 상부날을 하강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상부 칼날부, 동력부 및 전원부를 내장하며, 상기 상부날에 대응되는 위치 구비된 하부날 및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 사이에 손톱 또는 발톱이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은 상기 하부날과 교차될 때,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의 교차점이 일측 가장자리부터 타측 가장자리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빗면 형태의 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의 일정 영역은 손가락의 볼 록한 형태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은 단면 형상이 상기 개구부의 오목한 형태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구비된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웜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원형기어; 및
    상기 원형기어의 회전축에 구비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케이스와 분리가능하며, 상기 상부날 과 하부날에 의해 절삭된 손톱 또는 발톱을 저장하는 밑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에 의해 절삭된 손톱 또는 발톱이 상기 밑받침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튐 방지막을 더 구비하고 있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수단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동력부를 작동시켜 상기 상부날을 하강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톱깎이.
KR1020090012592A 2009-02-16 2009-02-16 자동 손톱깎이 KR10109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592A KR101093665B1 (ko) 2009-02-16 2009-02-16 자동 손톱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592A KR101093665B1 (ko) 2009-02-16 2009-02-16 자동 손톱깎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418A true KR20100093418A (ko) 2010-08-25
KR101093665B1 KR101093665B1 (ko) 2011-12-15

Family

ID=4275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592A KR101093665B1 (ko) 2009-02-16 2009-02-16 자동 손톱깎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8185A (zh) * 2017-12-26 2018-06-15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自动修甲装置
CN108371115A (zh) * 2018-04-30 2018-08-07 中山市翔实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猫用趾甲快速修剪装置
KR102097916B1 (ko) * 2019-08-30 2020-04-06 이영근 푸쉬형 손발톱깎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303B1 (ko) * 2011-12-21 2012-08-17 노은영 애완동물 발톱 손질장치 및 손질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8185A (zh) * 2017-12-26 2018-06-15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自动修甲装置
CN108158185B (zh) * 2017-12-26 2021-02-12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自动修甲装置
CN108371115A (zh) * 2018-04-30 2018-08-07 中山市翔实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猫用趾甲快速修剪装置
CN108371115B (zh) * 2018-04-30 2020-11-24 张金发 一种猫用趾甲快速修剪装置
KR102097916B1 (ko) * 2019-08-30 2020-04-06 이영근 푸쉬형 손발톱깎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665B1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013B2 (en) Nail clipper holding device
EP3231318A1 (en) Nail clipper
KR101093665B1 (ko) 자동 손톱깎이
CN107363878B (zh) 具有可清洗的可拆卸容器的往复运动式食物切割设备
KR20090048660A (ko) 자동 손톱깎이
KR200477942Y1 (ko) 자동 손톱깎이
CN211298746U (zh) 一种自动指甲修剪器
KR100479827B1 (ko) 손톱깍기의 절단물 수납 및 배출장치
KR20110065027A (ko) 유아용 손톱깎이
KR102574305B1 (ko) 선택 사용이 가능한 회전식 날 교체형 손톱깎이
KR20090048661A (ko) 자동 손톱깎이
KR20090009247U (ko) 위생 손톱깎이 장치
KR102153812B1 (ko) 회전식 손톱깎이용 절단 손, 발톱 수집케이스
CN106136960B (zh) 食品加工机用刀具
KR200443977Y1 (ko) 손톱 절단편 수납 케이스
KR20120136013A (ko) 카드 일체형 손톱깎이
CN203467222U (zh) 含有集草箱的电动工具及其集草箱
KR20050093001A (ko) 전동 손톱깎이
KR200382300Y1 (ko) 손톱깎이
KR200419899Y1 (ko) 손톱깍이
KR200347998Y1 (ko) 손톱깍기
KR20110041151A (ko) 비산방지 보조구를 갖는 손톱깍기
KR20020065161A (ko) 손톱깍이
KR200382200Y1 (ko) 손톱깍기의 절단물 수납 및 배출장치
KR200367485Y1 (ko) 돋보기가 구비된 손톱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