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001A - 전동 손톱깎이 - Google Patents

전동 손톱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001A
KR20050093001A KR1020040018204A KR20040018204A KR20050093001A KR 20050093001 A KR20050093001 A KR 20050093001A KR 1020040018204 A KR1020040018204 A KR 1020040018204A KR 20040018204 A KR20040018204 A KR 20040018204A KR 20050093001 A KR20050093001 A KR 2005009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ase
nail clipper
nail
electric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윤
Original Assignee
이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윤 filed Critical 이강윤
Priority to KR102004001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3001A/ko
Publication of KR2005009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 A45D29/05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motor-driven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몸체; 상기 구동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전환부재; 상기 운동 전환부재에 결합되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날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는 손톱을 깎는 날이 자동으로 상하 승강 및 좌우 이동하여 손톱 또는 발톱을 자동으로 손쉽게 깎을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 등도 손쉽게 손톱을 깎을 수 있으므로 그 사용 편리성이 높으며, 또한 손톱을 깎음과 동시에 손톱 또는 발톱의 깎인 부분이 자동으로 소제할 수 있도록 하고, 손톱을 깎을 때 손톱 안쪽 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안정성과 효율이 뛰어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 손톱깎이{Electro nail clipper}
본 발명은 전동 손톱깎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쉽고 간단한 조작으로 손톱을 자동으로 깎을 수 있도록 하고, 손톱을 깎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손톱 소재가 가능하도록 한 전동 손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깎이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기본적인 구조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날이 마주하도록 하고, 날의 일측으로 누름판이 설치되어 이 누름판을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두개의 날이 상대하는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손톱 또는 발톱이 깎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손톱깎이는 손톱을 깎기 위하여 누름판을 조작시켜야 하므로, 손가락의 힘이 부족한 노약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사용시 사용상의 실수로 날이 일부가 손톱이나 발톱 안쪽의 살을 파먹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손톱이나 발톱을 깎은 후 깎인 부분이 불규칙하고 모서리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이후 별도의 손톱 소재용 줄 등을 사용하여 깎은 부분을 마름질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이 자동으로 상하 승강 및 좌우 이동하여 손톱 또는 발톱을 자동으로 손쉽게 깎을 수 있도록 한 전동 손톱깎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톱을 깎음과 동시에 손톱 또는 발톱의 깎인 부분이 자동으로 소제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손톱깎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몸체; 상기 구동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전환부재; 상기 운동전환부재에 결합되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날은 손가락 끝 모양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날의 절삭끝에는 손톱 연마를 위한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편심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운동전환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하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된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기 장공이 형성된 반대면에 돌출 형성된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날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 안착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날 안착판은 상기 케이스에 후크 결합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날 안착판의 내부에는 상기 날의 삽입단부가 끼워져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날 안착판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의 양단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 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부 몸체의 하측을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누름로드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누름로드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며 중간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있는 연결로드와,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하단이 상기 누름로드에 축 결합된 누름스위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과 상기 구동부 몸체의 하측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구동부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누름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깎인 손톱이 수거되는 손톱수거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날이 위치한 반대편 단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박스가 회전 동작 가능하게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의 실시예는 이하의 설명에서와 같이 두 가지 실시예를 나누어서 설명한다.
첫 번째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전동 손톱깎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0)와 전원공급박스(110)로 되어 있고, 이 케이스(100)와 전원공급박스(110)는 서로 힌지 결합되어 케이스(100)가 좌우로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들의 결합을 위하여 케이스(100)와 전원공급박스(110)를 교차하여 관통하는 볼트(111)와 너트(112)가 설치된다. 여기서 볼트(111)는 절연체로 구성되고, 케이스(100)의 상하 관통홀(107)에는 통전용 부시(106)가 각각 설치되어 전원공급박스(100)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원공급박스(110)는 내부에는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식 건전지가 설치될 수 있고, 외부의 전원이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연결부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두 번쩨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한편,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의 구동부몸체(120)가 설치된다. 이 구동부 몸체(120)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3)이 편심 절곡된 모터(122)가 설치되고, 모터(122)의 회전축(123) 단부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전환부재가 설치된다.
운동전환부재는 회전축(123)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하로 연장된 상하 장공(131)이 형성된 좌우이동판(130)과, 좌우이동판(13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좌우이동판(1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동부 몸체(120) 내부의 상하에 지지된 안내레일(140)과, 좌우이동판(130)의 상하 장공(131)이 형성된 반대면에 돌출 형성된 구동축(150)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축(123)의 끝단 외주에는 베어링(12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23)이 편심 회전하면 좌우이동판(130)의 상하장공(131)에 의하여 회전축(123)의 상하 방향으로의 운동이 상쇄되어 좌우이동판(130)이 안내레일(140)을 따라 좌우로만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전방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날 진출입구(102)가 형성되고, 이 날 진출입구(102)를 개폐하는 덮개(101)가 설치되어 있으며, 날 진출입구(102)의 전방에는 손톱의 하부 안쪽으로 받쳐지는 지지대(104)가 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날 진출입구(102)의 내부에는 날(1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날(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 진출입구(102) 내측에 고정 설치된 날 안착판(170)에 설치되는데, 날(160)의 설치를 위하여 날 안착판(170)의 전면 양측에는 슬라이딩홈(1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날(160)은 손가락 끝 모양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절삭끝에는 손톱 끝의 연마를 위한 주름(1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160)은 그 등면에 구동축(150)이 끼워지는 결합홈(16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162)에 대응하는 날 안착판(170)에는 구동축(15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홀(17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150)이 이동하게 됨에 따라 날(160)과 날 안착판(170)이 함께 좌우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50)은 좌우이동판(130)에 형성된 삽입관(132)에 끼워지며 삽입관(132)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33)에 의하여 탄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날(160)이 날 안착판(170)으로 끼워질 때 구동축(150)은 삽입관(132) 내부로 눌려졌다가 날(160)의 결합홈(162)에 구동축(150)이 위치하면 다시 돌출하여 날(160)이 구동축(15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구동축(150)의 끝단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날(160)은 교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구동부 몸체(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이 설치된다. 이 상하이동수단은 구동부 몸체(120)의 하측을 받치며 구동부 몸체(120)의 하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81)가 상면에 형성된 받침대(180)와, 받침대(180)의 일측에 설치된 누름로드(182) 그리고 받침대(180)와 누름로드(182)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며 중간부분이 케이스(100)의 내부 바닥에 축 결합되어 있는 연결로드(183)를 구비하고, 또한 상단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하단이 누름로드(182)에 축 결합된 누름스위치(184)로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부 몸체(12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돌기(121)가 상하로 돌출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121)에 대응하는 케이스(100)의 내부 양측면에는 가이드홈(103)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구동부 몸체(120)가 상하 운동할 때 원운동하지 않고, 직선 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동손톱깎이에 대한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는 사용자가 날 진출입구(102)의 상측으로 손톱을 깎을 손가락의 손톱을 위치시킨다. 이때 손톱의 하부 안쪽으로 지지대(104)가 받쳐져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다른 한 손으로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돌출한 누름스위치(184)를 누른다.
이렇게 누름스위치(184)를 누르면 누름스위치(184)의 하단은 누름로드(182)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고, 동시에 누름로드(182)가 하측으로 눌려지면 누름로드(182)와 결합된 연결로드(183)의 단부가 눌려진다. 이때 연결로드(183)의 타단에 설치된 받침대(180)는 시소운동에 의하여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어 구동부 몸체(120)를 상승시킨다.
이후 구동부 몸체(120)가 케이스(100)의 가이드홈(103)에 끼워진 가이드 돌기(121)에 의하여 상측으로 직선 운동하여 상승하면, 동시에 케이스(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105)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부 몸체(12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122)는 회전운동을 시작한다. 즉 누름스위치(184)의 눌림 동작시 위의 동작들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구동부 몸체(120)의 상승동작과 모터(122)의 온 동작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 몸체(120)가 상승하면 날(160) 또한 날 진출입구(102) 측으로 돌출하여 날 진출입구(102) 상측에 위치한 손톱을 절단하게 된다. 즉 날(160)은 상승과 좌우 절삭동작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좌우 절삭동작은 모터(122)가 온 됨에 따라 모터(122)의 편심회전축(123)의 끝단이 소정의 직경으로 원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회전축(123)의 원운동은 회전축(123)의 단부에 결합된 좌우이동판(130)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좌우이동판(130)에는 회전축(123)의 단부와 결합된 상하장공(131)이 있다. 따라서 회전축(123)의 원운동 중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은 이 상하장공(131)에서 상쇄되고, 단지 좌우로의 동작만이 좌우이동판(130)으로 전달되므로 날(160)과 결합된 좌우이동판(130)의 구동축(150)은 좌우 운동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날(160)은 구동축(150)의 좌우운동으로 좌우방향으로의 절삭 동작만을 수행하고,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은 상하이동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하, 좌우 운동에 의하여 손톱이 깎일 때, 손톱 자체의 깎임 동작은 날(160)의 상하, 좌우 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손톱이 깎임과 동시에 날(160)의 주름(161)에 의하여 손톱의 깎인 부분에 대한 연마가 동시에 이루어져 손톱의 소재 또한 자동으로 수행된다. 더욱이 날(160)은 그 형상이 손톱 끝모양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끝 모양으로 손톱을 깎고 또한 손톱의 연마를 함께 수행하여 보다 편리하고, 청결한 손톱 소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사용자가 누름스위치(184)를 놓으면 마이크로 스위치(105)의 자체적인 복원력과 구동부 몸체(120)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받침대(180)는 하방으로 복원하게 된다. 그러면 동시에 연결로드(180)에 의하여 누름스위치(182)가 다시 상측으로 복원하여 최초 동작전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반복하면서 사용자는 다수의 손톱 또는 발톱을 깎을 수 있다.
그리고 손톱의 소재가 완료되고, 사용을 종료되었을 때에는 덮개(101)로 날진출입구(102)를 막음으로써 날(160)의 훼손이나 케이스(100) 내부로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중에 각 손톱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케이스(100)의 위치를 전원공급박스(110)의 위치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전원공급박스(110)를 손바닥에 파지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케이스(1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에서 손톱을 깎을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다른 전동 손톱깎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은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첫 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마찬가지로 이들의 설명부호 또한 동일하게 적용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는 케이스(200)와 전원공급박스(110)의 연결구조는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케이스(200)와 전원공급박스(110)의 연결부분에 대한 설명은 반복해서 하지 않으므로 이들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첫 번째 실시예와 가장 비교되는 구성은 케이스(200)의 구성이다. 먼저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몸체(120)와 운동전환부재의 구성은 거의 동일한다. 단지 이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운동전환부재의 구동축을 신축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첫 번째 실시예와 달리 손톱이 깎이는 방향은 상에서 하로 날(210)이 진행하면서 손톱이 깎이도록 되어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날(210)의 상하이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상하이동수단은 케이스(200)의 바닥과 구동부 몸체(120)의 하측 사이에 설치된 판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231)와, 구동부 몸체(12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케이스(200) 외부로 노출된 누름스위치(230)로 구성되고, 마이크로 스위치(105)는 구동부 몸체(120)의 하측에 탄성부재(231)와 함께 위치한다.
따라서 누름스위치(230)가 눌려지면 탄성부재(231)가 눌려지고,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105)가 온 동작하게 되고, 누름스위치(23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구동부 몸체(120)는 상측으로 복원하고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105)는 오프된다.
그리고 날(210)은 날 안착판(22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날(210)은 날 안착판(220)과 함께 케이스(200)의 전방으로 후크 결합으로 체결된다.
날(210)과 날 안착판(220)의 결합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 안착판(220)의 내부에는 날(210)의 삽입단부인 날(210)의 상단이 끼워져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221)이 설치되고, 날 안착판(220)의 내부 양측에는 레일(221)의 양단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2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의 날(210)의 상단과 레일(221)의 양단 그리고 안내홈(222)은 모두 "T" 자 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날(210)이 결합된 날 안착판(220)의 후크 결합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 안착판(220)의 케이스(200)와 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두개의 후크(223)를 구비하고, 케이스(200)에는 이 후크(223)가 삽입되는 두개의 후크홈(201)이 형성된다.
또한 후크홈(201)이 형성된 케이스(200)의 내측에는 후크(223)가 삽입되었을 때 후크(223)의 끝단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203)과 이 걸림턱(203)이 후크홈(201)의 내측으로 노출되거나 숨겨지도록 끝단이 케이스(100)의 측방으로 돌출한 후크스위치(204)를 구비한 두개의 체결부재(202)를 구비하고, 이 두개의 체결부재(202)의 내측단부는 스프링(205)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날(160)의 구성은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손톱 끝 모양처럼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주름(211) 또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대(212)는 날(210)의 하부에 날(210)의 끝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두 번째 실시예에서 받침대(240)는 내측 하부가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깎인 손톱은 받침대(240)의 내측 하부로 수거되는데, 이때 수거되는 손톱의 청결한 수거를 위하여 케이스(200)의 하부에는 손톱수거부(250)가 설치된다. 이 손톱수거부(250)는 케이스(200)이 하부에 후크 결합구조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동손톱깎이에 대한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는 사용자가 깎을 손가락의 손톱을 날(160)과 지지대(212)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지지대(212)는 손톱의 안쪽 살 부분에 받쳐진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다른 한 손으로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돌출한 누름스위치(230)를 누른다.
이 누름스위치(230)를 누르면 탄성부재(231)에 지지된 구동부 몸체(120)는 하측을 내려간다. 이때의 하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하여 첫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돌기(121)와 가이드홈(103)을 각각 구동부 몸체(120)와 케이스(200)의 내면에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 몸체(120)가 내려가면 구동부 몸체(120) 하부에 위치한 마이크로스위치(105)가 온 되어 모터(122)를 동작시킨다. 즉 누름스위치(230)의 눌림 동작과 함께 마이크로 스위치(105)가 온되어 구동부 몸체(120)의 하강동작과 모터(122)의 동작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 몸체(120)가 하강하면 날(210) 또한 레일(221)과 함께 하강하게 되고, 날(210)의 하부에 위치한 손톱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때의 좌우 절삭동작은 전술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런데 날 안착판(220)에 형성된 구동축(150)이 관통하는 체결홀(224)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구동축의 동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날 안착판(220)은 첫 번째 실시예와 달리 날(210)과 함께 상하 운동하지 않고, 단지 날(210) 만이 상하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날(160)은 구동축(150)의 좌우운동으로 좌우방향으로의 절삭 동작만을 수행하고, 상하방향으로의 운동은 누름스위치(230)와 이 누름스위치(230)의 동작시 함께 동작하는 탄성부재(23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하, 좌우 운동에 의하여 손톱이 깎인다. 이때 손톱 자체의 깎임 동작은 날(210)의 상하, 좌우 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손톱이 깎임과 동시에 날(210)의 주름(211)에 의하여 손톱의 깎인 부분에 대한 연마가 동시에 이루어져 손톱의 소재 또한 자동으로 수행된다. 더욱이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날(210)은 그 형상이 손톱 끝모양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끝 모양으로 손톱을 깎고 또한 손톱의 연마를 함께 수행하여 보다 편리하고, 청결한 손톱 소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깎인 손톱들은 손톱수거부(250)에 수거되고, 사용 후에는 이 손톱수거부(250)를 케이스(200)로 부터 분리하여 청소한 후 다시 사용하면 된다.
이후 사용자가 누름스위치(230)를 놓으면 마이크로 스위치(105)와 탄성부재(231)의 복원력 구동부 몸체(120)는 상측으로 복원하게 되고, 날(210) 또한 날 안착판(220) 내부로 진입하게 되어 보호됨으로써 날(210)의 훼손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첫 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 중에 각 손톱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케이스(200)의 위치를 전원공급박스(110)의 위치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전원공급박스(110)를 손바닥에 파지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케이스(2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에서 손톱을 깎을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한편, 날(210)은 날 안착판(220)과 함께 교체가 가능하다. 이때의 교체 동작은 케이스(200)의 양측으로 노출된 체결부재(202)의 후크스위치(204)를 누르면 체결부재(202)의 걸림턱(203)이 후크홈(20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여 후크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이후 날 안착판(220)으로 전방으로 당기면 날 안착판(220)이 빠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끼울 때에는 날 안착판(220)을 후크홈(201)의 삽입하면 걸림턱(203)이 후크홈(201)에 의하여 측방으로 밀려나갔다가 후크(223)의 걸림부분에 걸림턱(203)에 위치하면 탄성부재(231)에 의하여 자동으로 복원하여 후크에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에 대한 실시예와 달리 구성요소의 일부를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는 손톱을 깎는 날이 자동으로 상하 승강 및 좌우 이동하여 손톱 또는 발톱을 자동으로 손쉽게 깎을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 등도 손쉽게 손톱을 깎을 수 있으므로 그 사용 편리성이 높으며, 또한 손톱을 깎음과 동시에 손톱 또는 발톱의 깎인 부분이 자동으로 소제할 수 있도록 하고, 손톱을 깎을 때 손톱 안쪽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안정성과 효율이 뛰어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의 날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깎이의 날 안착판의 교체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손톱깍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케이스
110...전원공급박스
120...구동부 몸체
160, 210...날
170, 220... 날 안착판

Claims (11)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몸체;
    상기 구동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운동전환부재;
    상기 운동전환부재에 결합되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은 손가락 끝 모양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날의 절삭끝에는 손톱 연마를 위한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편심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운동전환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하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된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기 장공이 형성된 반대면에 돌출 형성된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날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 안착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 안착판은 상기 케이스에 후크 결합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 안착판의 내부에는 상기 날의 삽입단부가 끼워져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날 안착판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의 양단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 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부 몸체의 하측을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누름로드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누름로드에 양단이 힌지 연결되며 중간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축 결합되어 있는 연결로드와,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하단이 상기 누름로드에 축 결합된 누름스위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과 상기 구동부 몸체의 하측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구동부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누름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깎인 손톱이 수거되는 손톱수거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손톱깎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날이 위치한 반대편 단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박스가 회전 동작 가능하게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손톱깎이.
KR1020040018204A 2004-03-17 2004-03-17 전동 손톱깎이 KR20050093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04A KR20050093001A (ko) 2004-03-17 2004-03-17 전동 손톱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04A KR20050093001A (ko) 2004-03-17 2004-03-17 전동 손톱깎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001A true KR20050093001A (ko) 2005-09-23

Family

ID=3727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204A KR20050093001A (ko) 2004-03-17 2004-03-17 전동 손톱깎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30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0287B2 (en) 2006-04-28 2014-09-09 Ricoh Company, Ltd. Surface-emission laser array,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9067163A1 (en) * 2017-09-26 2019-04-04 Mcmullen Thomas J AUTOMATIC ELECTRIC NAIL CUTTING DEVICE
US11871831B2 (en) 2017-09-26 2024-01-16 Thomas J. McMullen Electrical automated nail-clipp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0287B2 (en) 2006-04-28 2014-09-09 Ricoh Company, Ltd. Surface-emission laser array,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9067163A1 (en) * 2017-09-26 2019-04-04 Mcmullen Thomas J AUTOMATIC ELECTRIC NAIL CUTTING DEVICE
CN110267564A (zh) * 2017-09-26 2019-09-20 T·J·麦克马伦 电动指甲修剪设备
EP3554309A4 (en) * 2017-09-26 2020-06-17 Thomas James McMullen ELECTRIC AUTOMATED NAIL CLAMPING DEVICE
CN110267564B (zh) * 2017-09-26 2023-05-05 T·J·麦克马伦 电动指甲修剪设备
US11871831B2 (en) 2017-09-26 2024-01-16 Thomas J. McMullen Electrical automated nail-clipp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7075B2 (ja) シェーバー
KR20140007149A (ko) 화장제거용 자동 크린싱 브러쉬장치
KR20130119605A (ko) 화장용 자동 크린싱 브러쉬장치
KR20050093001A (ko) 전동 손톱깎이
EP1839522A1 (en) Depilating device
EP1339300B1 (en) Case comprising means for storage,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a safety razor
KR101093665B1 (ko) 자동 손톱깎이
KR100414515B1 (ko) 전기면도기
JP7009299B2 (ja) 小型電気機器の充電器
CN204546570U (zh) 一种新型剃须刀
CN216652219U (zh) 簸箕及清扫组件
CN201745013U (zh) 适合人手握持并方便剃除背部毛发的电动剃毛器
JP5879531B2 (ja) 電気かみそり
JP4893549B2 (ja) 脱毛装置
CN209850982U (zh) 一种电动刀具
CN218852639U (zh) 一种可自清洁的簸箕
CN220593222U (zh) 一种具有高低刀的剃须刀
CN211961199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美发梳
JP3422085B2 (ja) 脱毛装置
CN217569806U (zh) 一种洗刷装置
JPH04231991A (ja) 電気かみそり
CN215874518U (zh) 一种扫把头和扫把
CN214711034U (zh) 梳剪一体化装置
CN220428409U (zh) 割毛发装置、清洁设备及基站
CN217694844U (zh) 一种宠物用多功能梳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