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053A - 유저장치 및 신호전력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및 신호전력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053A
KR20100093053A KR1020107011021A KR20107011021A KR20100093053A KR 20100093053 A KR20100093053 A KR 20100093053A KR 1020107011021 A KR1020107011021 A KR 1020107011021A KR 20107011021 A KR20107011021 A KR 20107011021A KR 20100093053 A KR20100093053 A KR 2010009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ignal power
bandwidth
cel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9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6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using historical data, averaging values or stat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소정의 대역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하는 유저장치는,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결정하는 측정대역 관리부; 상기 결정된 측정대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하여, 상기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구하는 평균화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및 신호전력 측정방법 {USER DEVICE AND SIGNAL ELECTRIC POWER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은, 유저장치 및 신호전력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셀로부터 구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유저장치가 하나의 셀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할 때에, 셀을 전환해서 통신을 계속한다. 이 셀의 전환을 핸드오버(handover)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유저장치(UE:User Equipment)가 인접 셀로 이동하여, 인접 셀로부터의 신호가 서빙 셀(Serving Cell)(원래 통신을 수행하고 있던 셀)로부터의 신호보다 강해진 경우에, 인접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수순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우선, 유저장치는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한다(S1). 다음으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이 이하의 식을 만족시키는지 확인한다.
인접 셀의 신호전력+오프셋>서빙 셀의 신호전력
상기의 식을 만족시킨 경우에, 유저장치는 그 이벤트(Event A1)를 네트워크(기지국)에 보고한다(S2). 또한, 오프셋은, 셀 경계에서 서빙 셀로부터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가 빈번히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설정되는 값이며, 양의 값이어도 좋고, 음의 값이어도 좋다. 네트워크는, 이벤트(Event A1)를 수신하면, 유저장치가, 상기 이벤트가 보고된 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결정하고, 핸드오버 수순을 실행한다(S3). 또한, 상술한 이벤트는, Event A1으로 정의되어 있으나, 다른 이벤트, 예를 들어, Event A3로 정의되어도 좋다.
이 핸드오버의 품질은,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S1에 있어서의 측정정밀도 및 측정시간이, 핸드오버의 품질에 관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시간이 짧고, 그리고, 정밀하게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유저장치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핸드오버의 실패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혹은, 정밀하게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잘못해서 핸드오버해서는 안 되는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핸드오버의 실패를 막는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의 후계가 되는 LTE(Long Term Evolution)에 있어서의 핸드오버에 대해서 상세하게 검토한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E에서는, 기지국 및 유저장치의 능력에 따라서, 6리소스블록(RB:Resource Block)∼100리소스블록까지의 가변 시스템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리소스블록의 시스템대역폭이 이용되어도 좋으며, 50리소스블록의 시스템대역폭이 이용되어도 좋으며, 100리소스블록의 시스템대역폭이 이용되어도 좋다. 리소스블록이란, 주파수방향의 1송신단위이며, 1리소스블록의 주파수대역폭은 180kHz이다(TR36. 804, V0. 8. 0, Section 5. 1 및 TR36. 803, V0. 7. 0, Section 5. 1 참조). 또한, LTE에서는, 시스템대역폭은, Channel Bandwidth라고도 불린다.
LTE에서는, 핸드오버 기준(인접 셀 및 서빙 셀로부터의 수신전력)의 하나로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가 이용된다(TR36. 214, V8. 0. 0, Section 5. 1. 1 참조). 또한, RSRP 이외에도, RS-SIR(Reference Signal Signal-to-Interference Ratio)이나, E-UTRA Carrier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도 2b에, 시스템대역폭이 20MHz(100리소스블록)인 경우의 RSRP의 측정방법을 나타낸다. 유저장치는, 100리소스블록 중, 6리소스블록의 대역폭에서 RSRP의 측정을 수행해도 좋으며, 50리소스블록의 대역폭에서 RSRP의 측정을 수행해도 좋으며, 100리소스블록의 대역폭에서 RSRP의 측정을 수행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유저장치의 이동에 따라서, 수신전력은 격하게 변동한다(순시적인 레벨변동이 발생한다). 이 변동을 레일리 페이딩(Rayleigh fading)이라 부른다. RSRP의 측정에서는, 레일리 페이딩에 의한 레벨변동을 평균화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좁은 대역폭에서 측정하는 것보다, 넓은 대역폭에서 측정하는 것이, 주파수방향의 평균화 구간이 크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레일리 페이딩에 의한 레벨변동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즉, RSRP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넓은 대역폭에서 측정한 경우에는, 보다 짧은 시간방향의 평균화로 소정의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좁은 대역폭에서 측정한 경우에는, 소정의 정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보다 긴 시간방향의 평균화가 필요해진다.
예를 들어, 1.4MHz로부터 20MHz까지의 가변 시스템대역폭을 가지는 LTE에서는, 그 시스템대역의 중심 6리소스블록에서, 동기채널(Synchronization Channel)이나 물리알림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이 송신된다. 바꿔말하면, 어떠한 시스템대역폭에 있어서도, 중심 6리소스블록은 반드시 송신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6리소스블록의 RSRP를 측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인접 셀이 100리소스블록의 시스템대역폭에 대응하는 경우라도, 중심 6리소스블록의 RSRP를 측정한다. 그러나, 항상 이와 같은 좁은 대역폭에서의 측정에는, 긴 측정시간이 필요해지며, 핸드오버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고품질의 핸드오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넓은 대역폭에서 RSRP의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넓은 대역폭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은, 유저장치의 처리를 증대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빙 셀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인접 셀의 측정을 수행할 필요하다. 그 때문에, 서빙 셀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부에 더해서, 인접 셀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FFT 처리부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측정대역폭이 넓어질수록, 이 측정을 위한 FFT 처리부의 규모가 증대되고, 코스트나 복잡성의 증대에 직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유저장치의 처리를 저감하면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저장치 및 신호전력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유저장치는,
소정의 대역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결정하는 측정대역 관리부;
상기 결정된 측정대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하여, 상기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구하는 평균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신호전력 측정방법은,
유저장치가 소정의 대역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하는 신호전력 측정방법에 있어서,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측정대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하여, 상기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구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유저장치의 처리를 저감하면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가변 시스템대역폭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b는, 유저장치에 의한 신호전력의 측정대역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신호전력의 측정대역과 측정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전력의 측정대역과 측정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그 1)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전력의 측정대역과 측정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그 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전력 측정방법 및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전력의 측정대역과 측정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Measurement)하기 위해서,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1회의 측정시간에서는 좁은 대역폭을 이용해서 신호전력(RSRP)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대역폭을 6리소스블록으로 설정하고, 측정시간마다 측정대역의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저장치가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좁은 대역폭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FFT 처리부를 유저장치에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유저장치의 처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변화시킴으로써, 넓은 대역에서의 평균화를 실현할 수 있고, 신호전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측정패턴은,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패턴이라면, 어떤 패턴을 이용해도 좋다. 유저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일정한 패턴을 반복해서 이용해도 좋고, 랜덤으로 측정대역을 선택해도 좋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측정대역폭을 6리소스블록으로 했으나, 6리소스블록 이외의 대역폭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측정대역폭을 25리소스블록으로 설정하고, 측정시간마다 측정대역의 주파수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시스템대역폭이 20MHz인 경우를 나타냈으나, 20MHz 이외의 시스템대역폭의 경우에도, 같은 측정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대역의 대역폭에 따라서 측정패턴을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25리소스블록의 신호전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6리소스블록의 경우에 비해서,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측정횟수가 적은 측정패턴을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측정패턴은, 측정대역의 대역폭이 클수록, 측정빈도가 적어지는 패턴이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신호전력의 측정대역과 측정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서는, 유저장치는, 시스템대역폭 안에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을 이용하나,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기지국)로부터 통지된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의 안에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예를 들어, 알림정보나, 유저장치에 대해서 개별로 송신되는 RRC 메시지 등에 의해 통지된다.
상기 네트워크(기지국)로부터 통지된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measurementBandwidth라는 파라미터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상기 measurementBandwidth의 구체적인 값으로서, 리소스블록 수 6, 리소스블록 수 15, 리소스블록 수 25, 리소스블록 수 50, 리소스블록 수 75, 리소스블록 수 100이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measurementBandwidth라는 파라미터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서빙 셀의 하향링크의 시스템대역폭과 동일하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measurement Bandwidth라는 파라미터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미리 결정된 디폴트값과 동일하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측정하는 대상이 RSRP인 경우를 나타냈으나, 동일한 측정방법은, RSRP 이외의 측정항목에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RSRP 이외의 측정항목으로서, RSRQ나 RSSI, RS-SIR 등이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네트워크(기지국)와 통신중인 경우의, 즉, RRC connected 상태인 경우의, 핸드오버를 위한 인접 셀의 측정에 있어서의 측정방법을 나타냈으나, Idle 상태인 경우의, 인접 셀의 측정에 관해서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Idle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셀 리셀렉션(셀 재선택)을 위해서, 인접 셀의 측정이 수행된다.
<유저장치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유저장치(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유저장치(10)는, 측정대역 관리부(101)와, 수신부(103)와, FFT 처리부(105)와, 평균화부(107)를 가진다.
측정대역 관리부(101)는,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결정한다. 측정대역 관리부(101)는, 소정의 측정패턴을 저장해도 좋으며, 랜덤으로 측정패턴을 결정해도 좋다.
수신부(103)는, 인접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 수신신호에는, 신호전력 측정에 이용되는 레퍼런스 신호가 포함된다.
FFT 처리부(105)는, 측정대역 관리부(101)에서 결정된 측정대역에서, 인접 셀로부터의 수신신호에 대해서 FFT 처리를 수행하고, FFT 처리 후의 신호에 포함되는, 인접 셀로부터의 레퍼런스 신호의 신호전력을 측정한다. 이 신호전력에는 레일리 페이딩의 영향이나 잡음의 영향이 포함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신호전력 순시값(instantaneous value of signal power)이라 부른다.
평균화부(107)는, FFT 처리부(105)에서 측정된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하고,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구한다. 예를 들어, 평균화부(107)는, Layer 1에 있어서의 평균화로서, 200ms의 평균화 구간에서, FFT 처리부(105)에서 측정된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해도 좋다. 또한, 평균화부(107)는, 상기 Layer 1에 있어서의 평균화가 수행된 평균값에 대해서, 이하의 식에 나타나는 Layer 3에 있어서의 평균화를 수행해도 좋다.
Fn=(1―a)·Fn ―1+a·Mn
여기서, a는, Layer 3에 있어서의 평균화를 위한 계수이며, Mn이, 시간 n에 있어서의 Layer 1에 있어서의 평균화가 수행된 값이며, Fn이, 시간 n에 있어서의 Layer 3에 있어서의 평균화가 수행된 값이다.
유저장치(10)는,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인접 셀의 신호전력과, 서빙 셀의 신호전력을 비교하고, 핸드오버의 판정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부(103)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알림정보나 유저장치에 대해서 개별로 송신되는 RRC 메시지 등을 통해서,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측정대역폭을 수신해도 좋다. 이 경우, FFT 처리부(105)는, 수신한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 안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한다.
상기 네트워크(기지국)로부터 통지된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measurementBandwidth라는 파라미터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상기 measurementBandwidth의 구체적인 값으로서, 리소스블록 수 6, 리소스블록 수 15, 리소스블록 수 25, 리소스블록 수 50, 리소스블록 수 75, 리소스블록 수 100이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measurementBandwidth라는 파라미터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서빙 셀의 하향링크의 시스템대역폭과 동일하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measurement Bandwidth라는 파라미터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미리 결정된 디폴트값과 동일하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측정하는 대상이 RSRP인 경우를 나타냈으나, 동일한 측정을, RSRP 이외의 측정항목에 대해서 수행해도 좋다. 예를 들어, RSRP 이외의 측정항목으로서, RSRQ나 RSSI, RS-SIR 등이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네트워크(기지국)와 통신중인 경우의, 즉, RRC connected 상태인 경우의, 핸드오버를 위한 인접 셀의 측정에 있어서의 측정방법을 나타냈으나, Idle 상태인 경우의, 인접 셀의 측정에 관해서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Idle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셀 리셀렉션(셀 재선택)을 위해서, 인접 셀의 측정이 수행된다.
<신호전력 측정방법 및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신호전력 측정방법 및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유저장치는,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결정한다(S101). 측정대역이 결정되면, 그 측정대역에서, 유저장치는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한다(S103). 유저장치는,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하고,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구한다(S105).
다음으로, 유저장치는, 평균화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이 이하의 식을 만족시키는지 확인한다.
인접 셀의 신호전력+오프셋>서빙 셀의 신호전력
상기 식을 만족시킨 경우에, 유저장치는 그 이벤트(Event A1)를 네트워크(기지국)에 보고한다(S107). 네트워크는, 이벤트(Event A1)를 수신하면, 유저장치가, 상기 이벤트가 보고된 셀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결정하고, 핸드오버 수순을 실행한다(S109). 또한, 상술한 이벤트는, Event A1으로 정의되어 있으나, 대신에, Event A3로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부(103)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알림정보나 유저장치에 대해서 개별로 송신되는 RRC 메시지 등을 통해서,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을 수신해도 좋다.
상기 네트워크(기지국)로부터 통지된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measurementBandwidth라는 파라미터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상기 measurementBandwidth의 구체적인 값으로서, 리소스블록 수 6, 리소스블록 수 15, 리소스블록 수 25, 리소스블록 수 50, 리소스블록 수 75, 리소스블록 수 100이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measurementBandwidth라는 파라미터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서빙 셀의 하향링크의 시스템대역폭과 동일하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measurement Bandwidth라는 파라미터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인접 셀의 Measurement를 위한 측정대역폭은, 미리 결정된 디폴트값과 동일하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측정하는 대상이 RSRP인 경우를 나타냈으나, 동일한 측정방법은, RSRP 이외의 측정항목에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RSRP 이외의 측정항목으로서, RSRQ나 RSSI, RS-SIR 등이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네트워크(기지국)와 통신중인 경우의, 즉, RRC connected 상태인 경우의, 핸드오버를 위한 인접 셀의 측정에 있어서의 측정방법을 나타냈으나, Idle 상태인 경우의, 인접 셀의 측정에 관해서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Idle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셀 리셀렉션(셀 재선택)을 위해서, 인접 셀의 측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유저장치의 처리를 저감하면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LTE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중심주파수가 셀간에 서로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주파수가 다른 경우의 이주파수 측정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셀에 의해 무선 액세스 기술(RAT:Radio Access Technology)이 다른 경우의 이(異) RAT 측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10월 30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282440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7-282440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 유저장치
101 측정대역 관리부
103 수신부
105 FFT 처리부
107 평균화부

Claims (4)

  1. 소정의 대역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결정하는 측정대역 관리부;
    상기 결정된 측정대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하여, 상기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구하는 평균화부;를 가지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측정대역폭을 수신하는 대역폭 수신부;를 더 가지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인접 셀의 시스템대역폭 또는 측정대역폭 안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패턴은, 측정대역의 대역폭이 클수록, 측정빈도가 적어지는 패턴인 유저장치.
  4. 유저장치가 소정의 대역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측정하는 신호전력 측정방법에 있어서,
    측정시간에 따라서 측정대역이 변화하는 측정패턴에 따라서 측정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측정대역에서 인접 셀의 신호전력 순시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신호전력 순시값을 평균화하여, 상기 인접 셀의 신호전력을 구하는 단계;를 가지는 신호전력 측정방법.
KR1020107011021A 2007-10-30 2008-10-21 유저장치 및 신호전력 측정방법 KR20100093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2440 2007-10-30
JP2007282440 2007-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053A true KR20100093053A (ko) 2010-08-24

Family

ID=4059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021A KR20100093053A (ko) 2007-10-30 2008-10-21 유저장치 및 신호전력 측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6151B2 (ko)
EP (1) EP2211474A4 (ko)
JP (1) JP5371768B2 (ko)
KR (1) KR20100093053A (ko)
CN (1) CN101911551A (ko)
WO (1) WO2009057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5060A (en) * 2007-10-29 2009-06-03 Nec Corp Channel measur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295775B2 (en) * 2008-05-01 2012-10-23 Broadcom Corporation Determining a handoff metric
JP5077708B2 (ja) * 2009-07-15 2012-11-2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そのハンドオーバ方法ならびに通信システム
JP2011155592A (ja) * 2010-01-28 2011-08-11 Ntt Docomo Inc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TW201238260A (en) * 2011-01-05 2012-09-16 Nec Casio Mobile Comm Ltd Receiver,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451675B2 (ja) * 2011-04-04 2014-03-2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機及び方法
WO2013065834A1 (ja) * 2011-11-03 2013-05-1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JP5798028B2 (ja) * 2011-12-27 2015-10-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並びに通信制御方法
JP6034574B2 (ja) * 2012-03-01 2016-11-30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通信方法
JP5966455B2 (ja) * 2012-03-08 2016-08-10 ヤマハ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
WO2013141307A1 (ja) * 2012-03-22 2013-09-2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電力測定方法
JP2014072580A (ja) * 2012-09-27 2014-04-21 Fujitsu Ltd 受信機および受信品質測定方法
JP6376745B2 (ja) * 2013-10-25 2018-08-22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端末、及び測定方法
CN107889125B (zh) * 2016-09-29 2021-07-13 联芯科技有限公司 自适应调整通信频段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23B1 (ko) * 2004-03-12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시스템
US7366475B2 (en) * 2004-06-04 2008-04-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s
JP4527067B2 (ja) * 2005-03-31 2010-08-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70027844A (ko) * 2005-08-2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품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DK1964279T3 (da) * 2005-12-22 2012-03-05 Ericsson Telefon Ab L M Tokenbaseret radiokapacitetsforvaltning
EP1987696A4 (en) * 2006-02-08 2014-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812479B2 (ja) 2006-03-20 2011-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周辺セル測定方法
US8068427B2 (en) * 2006-09-27 2011-11-2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18810B1 (en) * 2007-02-05 2012-08-15 Andrew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location estimate of mobile unit
CN103957077B (zh) * 2007-10-01 2018-01-02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接收装置、发送装置、数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06151B2 (en) 2014-04-22
CN101911551A (zh) 2010-12-08
US20100255833A1 (en) 2010-10-07
EP2211474A1 (en) 2010-07-28
WO2009057481A1 (ja) 2009-05-07
JP5371768B2 (ja) 2013-12-18
EP2211474A4 (en) 2017-03-08
JPWO2009057481A1 (ja)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1768B2 (ja) ユーザ装置及び信号電力測定方法
JP5357766B2 (ja) ユーザ装置及び信号電力測定方法
US10499267B2 (en) Configuration of mobility management measurement method
KR101140495B1 (ko) E-utran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측정 보고
US8654653B2 (en) Method of deciding radio link failure at base station
RU245209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US20190268782A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9258069B2 (en) Non-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US20090042601A1 (en) Lte measurement definitions for inter radio technology measurement with non-3gpp radio access
JP5756129B2 (ja) ユーザ装置及び測定方法
KR20120052898A (ko) 반송파 집적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 신고 방법 및 사용자 장비
EP3412071B1 (en) Cell selection and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20014943A1 (en)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JP6073569B2 (ja) 通信端末及び測定方法
JP2011155592A (ja)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