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210A -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210A
KR20100092210A KR1020090011487A KR20090011487A KR20100092210A KR 20100092210 A KR20100092210 A KR 20100092210A KR 1020090011487 A KR1020090011487 A KR 1020090011487A KR 20090011487 A KR20090011487 A KR 20090011487A KR 20100092210 A KR20100092210 A KR 20100092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unction
main body
memory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숙
이재선
박신열
윤관수
권봉철
정학수
Original Assignee
전은숙
이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숙, 이재선 filed Critical 전은숙
Priority to KR102009001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2210A/ko
Priority to JP2010029497A priority patent/JP2010187379A/ja
Publication of KR2010009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는,
골프를 비롯하여 테니스ㆍ탁구ㆍ양궁ㆍ사격과 같은 각종 운동을 연습할 때의 운동 동작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되 연속 또는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기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으며, 연습동작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익히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11487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디스플레이어. 카메라. 받침대수납실. 받침대. 전원포트. 비디오 인터페이스. 제어부. 중앙제어처리장치.

Description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SYSTEMS FOR A PHYSICAL SKILL AND PORTABLE TYPE DISPLAYER}
본 발명은 육체으로 운동을 연습할 때에 연습하는 동작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재생시키면서 동작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자세(동작)를 교정 및 적합화(Fitting)시키기 위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골프를 비롯하여 테니스ㆍ탁구ㆍ양궁ㆍ사격과 같은 각종 운동을 연습할 때의 운동 동작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되 연속 또는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기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 실시자의 동작을 역동적으로 보여주고(볼 수 있고), 동작 간(동작과 동작)을 단편적 및 단속적으로 보여 주며(볼 수 있으며), 실시자의 동작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근자에 소득 및 직장생활과 사회생활 등 생활 환경 및 조건이 향상되면서 스포츠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엘리트체육은 더욱 발전하고 생활체육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종목의 스포츠가 엘리트체육 및 생활(사회인 및 직장인)체육으로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보다 과학적으로 발전 및 정착시키고, 동작상태를 정확하게 익히고 교정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개발되거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모든 종목의 스포츠는 기본 자세 및 동작을 정확하게 익혀야만 신체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심신을 단련할 수 있다.
가령, 특정인의 스포츠로 인식되던 골프의 경우 급속하게 대중화되면서 그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골프를 연습할 수 있는 곳으로는 기존의 골프장과 야외 연습장을 비롯하여 실내연습장도 보급(증가)되고 있다.
특히, 골프는 각 동작(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피니쉬(finish))를 연습을 할 때에 중요 요소인 스윙각도와 궤적, 스윙타임 및 리듬, 체중 이동 등을 정확하게 습득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스포츠 종목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실전에서 각 동작과 자세들을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동작을 정확하고 명확하게 익히는(습득) 것이 바람직하며, 각 동작들을 정확하고 명확하게 습득하였더라도 반복적으로 연습하지 않으면 감각이 떨어지고 패턴(동작 및 자세)을 잃어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각종 스포츠에서 자신이 실시하는 동작을 정확하게 습득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골프를 비롯하여 사격 및 양궁과 같은 스포츠를 연습할 때에는 거의 전신을 볼 수 있는 대형 거울에 비춰지는 자신을 모습을 보면서 연습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대형을 거울에 비춰지는 자신을 모습을 보면서 연습을 하게 되면 골프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스윙을 할 때에 본인은 거울에 비춰지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 거의 어렵고, 동작을 재차 확인할 수 없으므로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을 동작 자세를 익히거나 교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캠코더를 이용하여 동작을 촬영하여 녹화하고 녹화된 동작을 캠코더 자체를 또는 노트북이나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 동작을 재생시키도록 하는 장치와, 캠코더와 노트북의 기능을 결합하여 형성한 장치(스윙분석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캠코더 등 주변기기의 조작 이 어렵고, 무거워 용이하게 휴대할 수 없으며, 장비들이 고가 이어서 구입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저장된 동작을 특정시간씩 단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없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없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종래의 장치로는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32628호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95407호 및 특허등록 제10-819564호가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32628호(육체적 기술의 동작 및 이 육체적 기술의 수행에 사용하는 장비의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는, 교습자가 실행하는 스윙 장면(동작)을 한 쌍의 디지털카메라로 캡쳐하여 시스템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시스템컴퓨터의 비디오디스플레이카드는 하드드라이브기억장치에 기억된 저장된 영상 중에서 교습자가 실행한 동작에 이상적인(우수한) 동작(이미지)을 설정하여 덧씌우며, 비디오디스플레이카드는 교습모니터에 캡쳐된 영상과 선택된 영상(이상적인 동작)과 평가결과(장비의 적합성과 동작)를 표시(디스플레이)하도록 된 것이다.
이는, 디지털카메라로 캡쳐되는 영상과 하드드라이브기억장치에 기억된 저장된 이상적 영상을 중첩시켜 교습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므로 교습자의 동작을 명확하게 식별(확인)할 수 없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으며, 교습자의 동작을 산술적으로 산출하므로 교습자의 특성을 무시하고 정형화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95407호(운동동작의 분석 및 지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는, 센서가 각각 부착된 조끼와 허리벨트 및 장갑을 실행자(이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센서가 부착된 클럽(무선센서클럽)을 이용하여 비디오카메라 앞에서 스윙동작을 실행하고, 비디오카메라는 실행자의 동작을 촬영하고 저장하며, 컴퓨터시스템은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조끼와 허리벨트 및 장갑과 클럽(무선센서클럽)의 센서가 움직이는 과정을 분석하여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이는, 종래 실행자의 신체에 부착하던 센서를 조끼와 허리벨트 및 장갑과 클럽(무선센서클럽)에 부착하는 것에 불과하고, 각 센서가 움직이는 과정을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저장된 라이브러리(Library)의 수행 데이터에 의해 테스트결과를 표시하므로 실행자의 행동 분석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되는 오류를 범할 우려가 있다.
특허등록 제10-819564호(골프스윙 동작의 동영상 분석이 가능한 개인휴대용단말기 및 개인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골프스윙 동작의 동영상 분석방법 및 골프레슨 시스템)는, 개인휴대단말기 또는 개인휴대단말기가 결합된 휴대폰에서 골퍼의 스윙동작을 촬영하고, 이를 직접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재생하면서 동영상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동영상 위에 오버랩되는 적절한 표지들을 직접 그려 넣으면서 스윙동작상의 문제를 파악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통신기능ㆍ이동전화기능ㆍ골프장지리분석기능ㆍ기록관리기능 등 많은 기능이 복잡하게 구비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촬영된 동작을 개인휴대단말기 또는 개인휴대단말기가 결합된 휴대폰으로 단순하게 재생하므로 동작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재생되는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표지를 오버랩시키므로 동작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로 사용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휴대폰의 화면이 너무 작아 화상을 명확하게 파악하기가 극히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들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때에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없어 활용도가 떨어지고,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컴퓨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재생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데이터통신기능ㆍ이동전화기능ㆍ골프장지리분석기능ㆍ기록관리기능 등 복잡하게 구비된 많은 기능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데 한계가 있고, 어느 하나의 기능이 손상되면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여러 기능이 너무 복잡하게 구비되어 있어 제품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보급에 한계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 보다 개선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육체적으로 운동을 연습할 때에 연습하는 동작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재생시키 면서 동작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자세(동작)를 교정 및 적합화(Fitting)시키기 위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를 비롯하여 테니스ㆍ탁구ㆍ양궁ㆍ사격과 같은 각종 운동을 연습할 때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되 연속 또는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기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되는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하여 줌으로서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재생시켜 볼 수 있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자료를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연속 또는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일시 정지시킬 수 있으며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반복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시자의 동작을 명확하게 확인 및 분석할 수 있고, 자세를 교정할 때에 각 동작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명확하게 구현(판단 및 조언)할 수 있도록 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다른 기기에 의해서도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저장된 영상자료를 동작 분석 및 자세 교정에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하지 않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널리 보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운동 동작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디스플레이어에 의해 재생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연속 또는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선택되는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기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는,
골프를 비롯하여 테니스ㆍ탁구ㆍ양궁ㆍ사격과 같은 각종 운동을 연습할 때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되 연속 또는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기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되는 영상자료를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하여 줌으로서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재생시킬 수 있고, 영상자료를 디스플레이장치(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연속 또는 느린 화면(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키거나 일시 정지 및 불특정한 단위 시간씩 지연시키면서 단속적으로 반복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시자의 동작을 명확하게 확인 및 분석할 수 있고, 자세를 교정할 때에 각 동작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명확하게 구현(판단 및 조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다른 기기에 의해서도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저장된 영상자료를 동작 분석 및 자세 교정에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복잡하지 않은 구성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저렴한 비용 생산하여 널리 보급하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할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를 보인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에 설치되는 기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3 내지 도 5는 각기 다른 동작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개별적으로 성형 제조되는 전면과 배면을 결합하고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하여 본체(2)를 형성하였고, 본체(2)의 전면에는 액정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어(3)를 크게 확보하였고, 일측 가장자리에는 전방의 동작을 촬영(캡쳐)하는 카메라(4)와 각 기능을 조정하는 컨트롤부 및 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9)를 구비하였다.
상기 본체(2)에 전면에 크게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어(3)는 화면의 크기를 적어도 6인치 이상 바람직하게는 8인치 내지 14인치 정도로 크게 하여 재생되는 화상(동작)을 충분히 식별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본체(2)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단에는 카메라(4) 바람직하게는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하여 전방에서 전개되는 실시자의 동작을 촬영(캡쳐)할 수 있도록 하였고, 중간 부분에는 각종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모드선택스위치(6)와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되는 동작을 저장(녹화)하기 위한 녹화스위치(7) 및 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스위치(8)를 구비하였으며, 하단에는 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9)를 구비하였다.
상기 본체(2)의 배면에는 받침대(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를 세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받침대(11)의 일측편에 포트단자부(15)를 형성하여 전원포트(20)를 비롯하여 NTSC포트(31)ㆍS-Video포트(32) 및 과금포트(40)ㆍ시리얼포트(50)ㆍUSB포트(60)ㆍ랜포트(70)와 같은 각종 포트(Port)를 설치하였다.
상기 본체(2)의 배면에 구비되는 받침대(11)의 개폐장치는, 본체(2)의 배면 중앙에 받침대수납실(10)을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여 받침대(11)를 수납하였고, 받침대(11)의 상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축(11-1)을 받침대수납실(10)의 내면 상단에 형성된 축공(10-1)에 각각 끼워 결합하되, 받침대(11)가 개방되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하였으며, 받침대수납실(10)의 어느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억류편(10-2)을 형성하여 받침대수납실(10)에 수납된 받침대(11)를 억류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받침대수납실(10)과 받침대(11)의 하단(밑면)을 넓게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를 세웠을 때에 본체(2)를 안전하게 세워 줄 수 있도록 하였고, 받침대수납실(10)의 내부 상단부에 너트공(12)이 구비된 지지돌부(12-1)를 형성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설치대의 지지봉과 같은 지지수단에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제어부(100)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제어부(100)는 각종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해독하고 명령이 연산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101:CPU)와, 기히 저장된 각종 정보를 비롯하여 카메라(4)에서 입력되는 영상정보와 징수포트(40)ㆍ시리얼포트(50)ㆍ USB포 트(60)와 같은 각 포트에서 추가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플레시메모리(102), 및 각 기기들 간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램(103:SDRAM)을 구비하였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1:CPU)는 일반 PC기판이 아닌 SOC 및 Embeded OS로 구현하여 소형화와 휴대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키고, 저가형으로 제조 및 운영특성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전원포트(20)는 배터리 또는 아답터(Adapter)를 통하여 전원(DC 7.2 ~ 12V)을 공급하되, DC-DC컨버터(21)에 의해 전원(DC 7.2 ~ 12V)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원을 ON시켜 대기 모드 상태일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를 저장장치 또는 네트워크(Network) 기능을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광고용 단말기로 활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어(3)는 통상의 액정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들 수 있으며, 메모리에 이미 입력(저장)된 영상자료와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을 재생시켜 주는 것으로서, 화면의 크기를 적어도 6인치 이상 크게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재생되는 화상(동작)을 충분히 식별 및 확인할 수 있도록 8인치 내지 14인치 정도의 크기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4)는 전방에서 실행하는 실시자의 행동을 촬영하여 제어부(100)의 플레시메모리(102)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각렌즈를 적용하여 1.5m이내로 근접한 상태에서도 전신을 충분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선택스위치(6)와 녹화스위치(6) 및 정지스위치(8)가 구비되는 키-인터페 이스(5: Key Interface)는 기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와는 달리 디지털 기기(골프 스윙)에 적합한 동영상을 완전한 디지털로 녹화 및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모드선택스위치(6)는 기기의 여러 가지 동작 기능(모드)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슬로우모션(Slow Motion:1/4배속 표현기능)은, 재생속도를 통상적인 재생속도의 1/4의 느린 속도로 재생하여 연습할 때에 자신의 정확한 플레이를 스스로 확인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촬영→녹화→플레이→스톱→플레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플레이→스톱→플레이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슬로우 재생 및 일시정지기능).
슬로우슬로우모션(Slow Slow Motion:1/8배속 표현기능)은, 재생속도를 통상적인 재생속도의 1/8의 아주 느린 속도로 재생하여 연습할 때에 자신의 정확한 플레이를 스스로 확인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촬영→녹화→플레이→스톱→플레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플레이→스톱→플레이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슬로우 재생 및 일시정지기능).
상기 슬로우 재생속도는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재생속도의 1/4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1/2) 하거나, 1/8의 속도보다 느리게(1/10)할 수 있다.
동영상지연재생은 카메라로 실행하는 동작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작이 선택된 시간 동안 지체된 후에 영상으로 출력(재생)되도록 하는 기능이다(동영상 지연재생기능).
예컨데, 3초 지연기능은 연습을 정확하게 실시하고 나서 자신을 연습상태(자세)가 3초 후에 재생되도록 하고, 5초 지연기능은 연습을 정확하게 실시하고 나서 자신을 연습상태(자세)가 5초 후에 재생되도록 하며, 7초 지연기능은 연습을 정확하게 실시하고 나서 자신을 연습상태(자세)가 7초 후에 재생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지연시간은 3초보다 빠르거나 7초보다 느리게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초기상태/대기 모드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초기 모드 또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골프장 시설ㆍ체육관 시설 등에 대한 광고 또는 홍보와 네트워크(Network) 기능을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녹화스위치(6)는 선택된 모드에서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정지스위치(8)는 재생(Play) 중인 동영상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재생 등을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동영상 일시정지재생기능).
스피커(9)는 전방의 실행자가 카메라(4)에 포착되면 시작신호(소리)를 발생시키고, 실행자가 카메라(4)에서 포착되지 않으면 종료신호(소리)를 발생시켜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도록 한다.
비디오인터페이스(30)에 연결되는 NTSC포트(31: NTSC Output)는, 내장된 디스플레이어(3) 외에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 즉,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와 연결하여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한 포트로서,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방식의 신호(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외부영상기기재생기능).
또 상기 비디오인터페이스(30)에 연결되는 S-VIDEO포트(32)는, 내장된 디스플레이어(3) 외에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 즉,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와 연결하여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한 포트로서, 휘도 정보(밝기 정보)와 색차 정보(컬러 정보)를 난어 분리 전송하여 더욱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S-VIDEO방식의 신호(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외부영상기기재생기능).
과금포트(40) 및 빌링 인터페이스(41:Billing Interface)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를 영업용으로 설치하였을 경우에, 현금(동전 및 지폐) 또는 RF카드(Radio Frequency Card:카드를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면 자동으로 리더기가 카드에 담긴 정보를 읽어 징수)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의 사용료를 징수하도록 한다(요금징수기능단계).
시리얼포트(50:Serial Port) 및 시리얼 인터페이스(51:Serial Interface)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의 각종 기능을 업 데이트 및 관리하기 위한 시리얼방식(Serial Type)의 통신 포트이다(업 데이트 기능).
USB포트(60) 및 USB인터페이스(61:USB Interface)는, 저장된 영상을 텔레비젼과 같은 다른 영상매체를 통해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인코더(Encoder) 기능을 내장하고, 녹화된 동영상을 MPEG(Motion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 엠펙)으로 압축하여 USB와 같은 각종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USB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동영상을 개인용컴퓨터(PC) 또는 노트북에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외부 보조기억장치 저장기능).
랜포트(70)와 랜인터페이스(71:Lan Interface)는, 네트워크(Network)를 이용하여 외부의 서버로부터 동영상 및 재생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한 통신포트이다(외부자료 수신저장기능).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이 구비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는 배면의 받침대(11)를 인출하여 적정한 위치에 설치하거나 너트공(12)을 카메라의 삼각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지지대의 볼트에 나사 결합하여 적정하게 설치하고, 전원포트(20)에 전원을 연결한다.
전원이 공급되는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초기화면/대기모드 동작절차가 실행되며, 디스플레이어(3)의 초기화면에서 실시간 셀프(Self) 동영상인 메인안내화면과 광고 등의 보조화면이 반복적으로 전환되면서 동작된다.
즉, 실시간 셀프(Self) 동영상인 메인안내화면이 끝나면 5초 후에 광고 등의 보조화면이 실시되고, 광고 등의 보조화면이 종료되면 5초 후에 다시 실시간 셀프(Self) 동영상인 메인안내화면이 시작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특히, 안내화면 및 광고 등의 작동은 자체저장된 콘텐츠 또는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모드선택스위치(6)를 이용한 모드 설정 및 동작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된다.
모드선택스위치(6)를 누르면 슬로우모션(1/4 배속)모드, 슬로우슬로우모션(1/8 배속)모드, 3초지연모드, 5초지연모드, 7초지연모드로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전환되며, 싱기 모드에서 모드선택스위치(6)를 재차 눌러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
모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초기상태/대기모드로 전환되어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간 셀프(Self) 동영상인 메인안내화면과 광고 등의 보조화면이 반복적으로 동작된다.
예컨데, 상기 도 4에 예시된 모드 설정 및 동작 모드에서 슬로우모션(1/4 배속)모드를 선택한 후에, 녹화스위치(7)를 누르면 대기 메시지와 시작신호(삐소리)가 스피커(9)를 통해 출력되고, 자동으로 슬로우모션(1/4 배속)모드로 전환되면서 녹화가 시작된다.
슬로우모션(1/4 배속)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에서 실시자가 육체으로 운동을 연습할 때에 연습하는 동작을 실행하는데, 골프를 연습하는 것(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골퍼가 카메라(4)에 포착되면 스피커(9)에서는 시작신호(소리)가 발생하여 카메라(4)가 작동하고 있음을 알려 준다.
골퍼가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적정한 거리 즉, 바람직하게는 1.5M의 전방에 서서 골프 스윙연습을 실행한다.
시작소리가 스피커(9)에서 발생한 후에 골퍼가 스윙을 연습하게 되면 광각렌즈가 구비된 카메라(4)는 골퍼의 전신을 포착하여 소정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7초 동안 자동으로 촬영하고, 카메라(4)에 의해 포착(촬영)되는 동작(영상)은 제어부(100)의 플레시메모리(102)에 저장한다.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된 동작(영상)은 디스프레이어(3)에 의해 재생(디스플레이) 되며,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정지스위치(8)를 누르면 정지와 재생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슬로우모션(1/4 배속)모드에서 다시 녹화를 재차 실행하고자할 때에는 녹화스위치(7)를 누른 후에 7초 동안 녹화를 실행하며, 녹화된 영상은 저장 및 재생된다.
다른 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선택스위치(6)를 눌러 다른 모드를 선택한 후에 녹화 및 재생을 실행한다.
예컨데, 모드선택스위치(6)에서 3초지연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녹화스위치(7)를 누르면 대기 메시지와 시작신호(삐소리)가 스피커(9)를 통해 출력되고, 자동으로 3초지연모드로 전환되면서 녹화가 시작된다.
3초지연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방에서 실시자가 골프 연습을 실행한다.
골퍼가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적정한 거리 즉, 바람직하게는 1.5M의 전방에 서서 골프 스윙연습을 실행한다.
시작소리가 스피커(9)에서 발생한 후에 골퍼가 스윙을 연습하게 되면 광각렌즈가 구비된 카메라(4)는 골퍼의 전신을 포착하여 소정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7초 동안 자동으로 촬영하고, 카메라(4)에 의해 포착(촬영)되는 동작(영상)은 제어부(100)의 플레시메모리(102)에 저장한다.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된 동작(영상)은 3초간 지연(디레이)된 후에 디스프레이어(3)에 의해 재생(디스플레이) 되며,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정지스위치(8)를 눌러 정지와 재생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골퍼가 카메라(4)의 전방에서 포착되는 동안 사간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촬영을 하게 되고, 골퍼가 스윙을 완료하여 카메라(4)를 이탈하면 카메라(4)의 작동은 자동으로 정지되며, 동시에 스피커(9)에서는 종료신호(소리)가 촬영이 종료되었음을 알려준다.
특히, 골프 스윙을 연습할 때에 각 동작은 적합한 모드를 모드선택스위치(6)에 의해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슬로우모션(1/4 배속)모드와 슬로우슬로우모션(1/8 배속)모드는 자신의 자세를 점검하고 교정하는 자세교정용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슬로우모션 및 슬로우슬로우모션에 의해서는 영상을 재생할 때에 정지 기능을 통하여 레슨 프로가 연습자(골퍼)의 스윙자세를 교정시키는 각종 레슨에 탁월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3초지연모드는, 스윙 연습할 때에 공을 정확하게 보면서 스윙을 하고 난 후에 3초 후부터 재생되며, 자신의 스윙자세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퍼터 및 숏아이언 등으로 숏 타임(Short Time)동작을 연습하는 어프로치 및 퍼팅의 자세 교정(연습)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5초지연모드, 스윙 연습할 때에 공을 정확하게 보면서 스윙을 하고 난 후에 5초 후부터 재생되며, 자신의 스윙자세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미들아이언 등으로 미들 타임(Middle Time)동작을 연습하는 아이언의 자세 교정(연습)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7초지연모드는, 스윙 연습할 때에 공을 정확하게 보면서 스윙을 하고 난 후에 7초 후부터 재생되며, 자신의 스윙자세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드라이버 및 우드 등으로 롱 타임(Long Time)동작을 연습하는 드라이버 및 우드의 자세 교정(연습)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하여 골프 스윙을 연습할 때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첫째; 일정한 스윙 리듬을 얻을 수 있다.
자신의 스윙 자세를 반복적이면서도 일정한 템포를 유지하면서 연습할 수 있어 일정한 스윙 리듬을 구현하고 익히는 효과를 얻는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스윙자세(헤드 업)를 수정할 수 있다.
스윙을 연습할 때에 헤드 업 여부와 헤드의 이동 등을 자세하고 명확하게 관찰 및 확인할 수 있어 헤드 업 수정에 탁월한 효과를 얻는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스윙자세(체중이동)를 수정할 수 있다.
스윙을 연습할 때에 체중의 이동과 힙 턴의 이동(동작) 등을 자세하고 명확하게 관찰 및 확인할 수 있어 체중 이동의 수정에 탁월한 효과를 얻는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스윙자세(코-킹)를 확인할 수 있다.
슬로우 및 슬로우슬로우 모드와 정지 모드를 이용하여 코-킹 동작을 명확하게 관찰 및 확인하고, 코-킹 동작을 정확하게 익히는데 탁월한 효과를 얻는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스윙자세(백 스윙 탑)를 확인할 수 있다.
슬로우 및 슬로우슬로우 모드와 정지 모드를 이용하여 백 스윙 탑(동작 상태)을 명확하게 관찰 및 확인하고, 백 스윙 탑을 정확하게 익히는데 탁월한 효과를 얻는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스윙자세(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다.
스윙을 연습할 때에 스윙에 열중하여 실행하고, 슬로우 및 슬로우슬로우 기능과 정지 기능 및 지연 기능에 의해 어드레스를 정확하게 익히는데 탁월한 효과를 얻는데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일곱째; 레슨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지도자(소속 프로)에 의해 개별적으로 레슨을 받을 때에 자신의 자세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자세(동작)에 대하여 지도자(소속 프로)의 지도를 정확하게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슬로우 및 슬로우슬로우 모드와 정지 모드를 이용하여 각 동작을 단속적으로 재생시키면서 각 동작에 다른 문제와 해결책을 명확하게 확인 및 지도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를 보인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는 기기의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2: 본체 3: 디스플레이어
4: 카메라 10: 받침대수납실 11: 받침대
20: 전원포트 30: 비디오 인터페이스 40: 과금포트
50: 시리얼포트 60: USB포트 70: 랜포트
100: 제어부 101: 중앙제어처리장치 102: 플래시메모리
103: 램

Claims (21)

  1. 운동 동작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디스플레이어에 의해 재생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느린 화면으로 재생시키면서 일시적으로 정시킨 후에 재생시키는 슬로우 재생 및 일시정지 기능;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자료를 선택되는 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에 재생시키는 동영상 일시정지재생기능;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2. 운동 동작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디스플레이어에 의해 재생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느린 화면으로 재생시키면서 일시적으로 정시킨 후에 재생시키는 슬로우 재생 및 일시정지 기능;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자료를 선택되는 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에 재생시키는 동영상 지연재생기능;
    외부 서버로부터 동영상 및 재생정보를 수신/저장하는 외부자료 수신저장기능;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여 외부 기기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부영상기기재생기능;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외부 기기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저장메모리장치에 저장하는 외부 보조기억장치 저장기능;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기능을 업 데이트 및 관리하기 위한 업 데이트기능;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요금징수기능;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초기 또는 대기 모드일 때에 광고/홍보를 실행하는 광고콘텐츠기능;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 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자료를 선택되는 시간 동안 지연시킨 후에 재생시키는 동영상 지연재생기능은;
    지연시간이 2초 내지 1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로우 재생 및 일시정지 기능의 슬로우 재생 속도는;
    통상적 정상속도의 1/2 내지 1/10 배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외부의 동영상 및 재생정보를 수신/저장하는 외부자료 수신저장기능은;
    비디오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NTSC포트 또는 S-VIDEO포트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영상자료를 외부의 저장메모리장치에 저장하는 외부 보조기억장치 저장기능는;
    USB인터페이스가 연결되는 USB포트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12. 청구항 6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요금을 징수하는 요금징수기능은;
    현금 또는 RF카드(Radio Frequency Card)로 징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
  13. 운동 동작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디스플레이어에 의해 재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내장된 각 기기를 보호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어와 카메라 및 스위치가 설치되고, 배면에 포트단자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저장된 영상을 재생시키는 디스플레이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차례로 장착되는 카메라와 선택스위치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 중앙에는 개폐시킬 수 있는 받침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광각렌즈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본체의 배면 중앙에는 본체를 삼각대와 같은 지지대에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너트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어는;
    화면의 크기가 6인치 내지 14인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본체의 배면 중앙에 설치되는 받침대는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받침대수납실에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받침대수납실에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수납실의 상단 양측과 받침대의 상단 양측에는 축공과 축봉을 대 응되게 형성한 것과;
    상기 축봉을 축공에 결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본체의 배면 중앙에 형성되는 너트공은;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받침대수납실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돌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받침대수납실과 이 받침대수납실에 설치되는 받침대는; 상부는 좁고 하측은 넓은 상협하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용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011487A 2009-02-12 2009-02-12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KR20100092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87A KR20100092210A (ko) 2009-02-12 2009-02-12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JP2010029497A JP2010187379A (ja) 2009-02-12 2010-02-12 携帯型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87A KR20100092210A (ko) 2009-02-12 2009-02-12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10A true KR20100092210A (ko) 2010-08-20

Family

ID=4275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487A KR20100092210A (ko) 2009-02-12 2009-02-12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87379A (ko)
KR (1) KR201000922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5868B2 (en) 2017-09-05 2021-06-01 Sony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1936A4 (en) * 2012-09-28 2016-05-25 Hitachi Aloka Medical Ltd PORTABLE ULTRASONIC IMAGING DEVICE
JP6222148B2 (ja) * 2015-03-19 2017-11-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0173B1 (ja) * 2017-11-09 2018-10-03 株式会社セミナル 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007A (ja) * 1988-07-28 1990-02-08 Canon Inc 流し撮り機能付き防振カメラ
JPH0836704A (ja) * 1994-07-25 1996-02-06 Victor Co Of Japan Ltd 時間差磁気記録再生装置
JPH10210416A (ja) * 1996-11-21 1998-08-07 Taimu World:Kk スポーツ動作撮影・再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5868B2 (en) 2017-09-05 2021-06-01 Sony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87379A (ja)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29341A1 (en) Sport training equipment
US8020098B2 (en) Video analysis system of swing motion
US20060252018A1 (en) Golf swing analysis
WO2006098096A9 (ja) インターネットレッスンシステム
WO2011002225A2 (en)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9352206B2 (en) Video-based system for tennis training incorporating mats
CN103203097B (zh) 高尔夫球挥杆过程分析方法、相关装置及分析系统
KR20100092210A (ko) 육체적 운동 동작의 영상녹화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디스플레이장치
CN207458369U (zh) 一种体育馆内的智能培训设备
KR20100033205A (ko) 골프연습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34360A (ja) 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用装置
US20180369678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ports Training
Ezhov et al. Modern Light Sport Training Systems: Critical Analysis of Their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Features.
CN215609219U (zh) 乒乓球训练装置及训练系统
CN207520574U (zh) 一种乒乓球鹰眼装置
US10751572B2 (en) Dual monitoring i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124445A1 (en) Video-based system for tennis training
KR102385648B1 (ko) 스마트미러를 이용한 골프 레슨 시스템
JPH07289676A (ja) アナログ波形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収集装置
KR20120030181A (ko) 골프스윙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09011467A (zh) 智能冰球及系统、电子设备及监测冰球击打信息的方法
KR101247794B1 (ko) 골프 레슨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N113534943A (zh) 一种健身场地的判断方法及设备
KR100816364B1 (ko) 골프용 스윙모션 기록장치
JP2006231045A (ja) インターネットレッス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