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790A -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790A
KR20100091790A KR1020090011151A KR20090011151A KR20100091790A KR 20100091790 A KR20100091790 A KR 20100091790A KR 1020090011151 A KR1020090011151 A KR 1020090011151A KR 20090011151 A KR20090011151 A KR 20090011151A KR 20100091790 A KR20100091790 A KR 2010009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sserlandol
formula
derivative
phomop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환
김정구
김수언
김지영
임채성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790A/ko
Publication of KR2010009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16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 C12P17/162Hetero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Lasalo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내생 곰팡이인 포몹시스 속(Phomopsis sp.)으로부터 분리한 항효모 활성을 가지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8535004-PAT00001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포몹시스 속 균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은 효모의 활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므로 항효모성 물질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포몹시스 속, 항효모 활성, 항생제

Description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und isolated from Phomopsis sp.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식물내생 곰팡이인 포몹시스 속(Phomopsis sp.)으로부터 분리한 항효모 활성을 가지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자각을 형성하는 포몹시스 속(Phomopsis)은 병자각 내에 α와 β포자를 형성하는데, 방추형의 α포자는 무색, 단세포로 크기가 5~9 × 1.5~3 ㎛이고, 낚시모양의 β포자의 크기는 17~36 × 0.7~1.5 ㎛이다.
최근에는 포몹시스 속(Phomopsis sp.)의 2차 대사산물에서 마이크로튜블, 항말라리아, 결핵치료 등의 활성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2차 대사산물 가운데 특히 디세란드롤 A(Dicerandrol A) 제조방법 및 항효모 활성에 관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디세란드롤 A는 2001년 포몹시스 롱지콜라(Phomopsis longicolla)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Melissa M. Wagenaar and Jon Clardy, Journal of Natural Product, 2001, 64, 1006-1009). 이는 새로운 항생물질로서 몇몇 그람양성 세균과 암세포에 효과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elissa M. Wagenaar and Jon Clardy, Journal of Natural Product, 2001, 64, 1006-100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을 발굴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포몹시스 균주로부터 항효모 활성을 갖는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포몹시스 속(Phomopsis sp.)으로부터 분리한 항효모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Decerandrol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9008535004-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은 포몹시스 속(Phomopsis sp.)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합성 또는 반합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 포몹시스 속(Phomopsis sp.) 균주를 배양한 후 배양액으로부터 균사 덩어리를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균사 덩어리에 극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조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액상의 활성분획을 얻은 후 활성분획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상기 활성분획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순수한 단일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극성 유기용매는 80% 아세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세란드롤 A(Decerandrol A) 화합물은 항효모 활성 성분으로 약 제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의 공업적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Decerandrol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8535004-PAT00003
본 발명의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은 식물내생 곰팡이인 포몹시스 속(Phomopsis sp.)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포몹시스 속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1) 포몹시스 속(Phomopsis sp.) 균주를 배양한 후 배양액으로부터 균사 덩어리를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균사 덩어리에 극성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80% 아세톤을 가하여 용해한 후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조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액상의 활성분획을 얻은 후 상기 활성분획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상기 농축된 활성분획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순수한 단일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포몹시스 속 균주를 PDA(potato dextorose agar) 플레이트에 배양 후 배양된 균주의 아가 플러그를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25℃에서 진탕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 후에는 그 배양액을 여과기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균사 덩어리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균사 덩어리는 상기 (2) 단계에서 80%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용해된 균사 덩어리를 여과 후 그 여액을 채취하여 40~50℃에서 감압농축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농축된 조추출물을 과량의 물에 현탁하여 분액여두에 넣은 후 과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진탕추출한 다음 얻은 상등액을 회수하여 40~50℃에서 감압농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4) 단계에서는 상기의 농축된 에틸아세에티르 활성분획물을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한 후 세파덱스 LH-20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활성 분획을 모은 후 모아진 활성분획들을 40~50℃에서 감압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축된 활성분획들은 다시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일 순수 화합물로 얻어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포몹시스 속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통상의 방법에 의한 화학합성 또는 반합성에 의해 인공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상기 디세란드롤 A 화합물에 대하여 ESI-MS(Electron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er)을 이용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하기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ⅰ) 물질 성상: 노란 분말
ⅱ) 분자량: 666
ⅲ) 분자식: C34H34O14
ⅳ) 질량분석치[M-H]-: 665(m/z)
또한, 듀테륨 아세토니트릴을 용매로 이용하여 특정한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및 탄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분석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디세란드롤 A인 것으로 판명되었다(도 1 및 도 2 참조).
본 발명에 의한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은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로써, 현재까지 발견된 디세란드롤 A와 마찬가지로 항효모, 항진균, 항암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몹시스 속에서 활성물질의 분리
포몹시스 속(Phomopsis sp.) 균주는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 10L를 이용하여 25℃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여과기와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균사 덩어리를 얻었다. 균사 덩어리는 2L의 80% 아세톤(w/w)을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여과 후 그 여액을 채취, 40~5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농축된 추출물은 100㎖의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분액여두에서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진탕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추출하여 얻은 다음, 다 시 추출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2. 포몹시스 균사 덩어리 추출물로부터 활성화합물의 단리
상기 실시 예 1에서 얻은 추출물 536㎎을 메탄올 2㎖에 용해시킨 후 80% 메탄올을 용출용매로 세파덱스 LH-20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TM,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Sweden)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였으며, 감압건조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얻는 잔사(residue)를 고급 메탄올에 용해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odel L-2000 Series Organizer Box, HITACHI, JAPAN)를 수행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활성물질을 얻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8535004-PAT00004
실시예 3. 이화학적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활성물질의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C-ESI-MS(Liquid chromatography electron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Varian 500-MS, VARIAN, USA), 핵자기공명 스펙트럼(Varian-600MHz NMR, VARIAN, USA) 등의 방법을 수행하여 화합물의 물질 성상, 분자량, 분자식 및 질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활성물질의 물질 성상은 노란색 분말이며, 분자량은 666, 분자식은 C34H34O14로, 질량 분석치([M-H]-)는 665(m/z)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함께 듀테륨 아세토니트릴을 용매로 측정한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및 탄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분석결과, 본 발명의 활성물질은 디세란드롤 A(Decerandrol A)로 판명되었다(도 1 및 도 2 참조).
실시예 4. 활성물질의 항효모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얻는 활성물질의 항효모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활성물질을 256㎍/㎖에서 0.25㎍/㎖ 농도까지 2배 희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구성된 배양용 배지에 칸디다 알비칸스균을 접종하여 보존하였다.
구체적으로, 칸디다 알비칸스 KCTC 1940(Candida albicans KCTC 1940)을 상기 배지를 사용하여 25℃에서 2일간 배양하였으며, 최종 균농도가 2.5 × 103개/mol이 되도록 상기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배지에 접종하여 2일간 보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EL 808 Ultra Microplate reader, BIO-TEK instruments, USA)를 이용하여 6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항효모 활성은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나타내었으며, MIC는 칸디다 알비칸스균이 100% 생육되지 않은 시료의 최소농도로 결정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는 암 포테리신 B(Amphotericin B)(Amphotericin B solubilized, Sigma, USA)가 함유된 그룹과 비교하였으며, 모든 항효모 활성측정은 5회 반복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알려진 항생제인 암포테리신 B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칸디다 알비칸스균 배양용 배지 조성
성분 함량(g/ℓ)
포도당 20
효모추출물 3
펩톤 20
칸디다 알비칸스균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
MIC(㎍/㎖)
활성물질 2
암포테리신 B 128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의 수소 핵자기공명(1H-NM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의 탄소 핵자기공명(13C-NM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Dicerandrol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09008535004-PAT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세란드롤 A 화합물은 포몹시스 속(Phomopsis sp.)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화학합성 또는 반합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
  3. (1) 포몹시스 속(Phomopsis sp.) 균주를 배양한 후 배양액으로부터 균사 덩어리를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균사 덩어리에 극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용해한 후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조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액상의 활성분획을 얻은 후 상기 활성분획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상기 농축된 활성분획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순수한 단일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극성 유기용매는 80% 아세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비극성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는 세파덱스 LH-20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그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7.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한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KR1020090011151A 2009-02-11 2009-02-11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91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51A KR20100091790A (ko) 2009-02-11 2009-02-11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51A KR20100091790A (ko) 2009-02-11 2009-02-11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90A true KR20100091790A (ko) 2010-08-19

Family

ID=4275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151A KR20100091790A (ko) 2009-02-11 2009-02-11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ai et al. Funicone-related compounds, potentiators of antifungal miconazole activity, produced by Talaromyces flavus FKI-0076
EP2261317B1 (en) Microorganism producing cyclic compound
Kang et al. Lepistatins A–C, chlorinated sesquiterpenes from the cultured basidiomycete Lepista sordida
AU2009224302C1 (en) Cyclic compound and salt thereof
Stadler et al. Antifungal Actinomycete Metabolites Discovered in a Differential Cell‐Based Screening Using a Recombinant TOPO1 Deletion Mutant Strain
KR20100131340A (ko)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KR101158503B1 (ko) 포몹시스 롱지콜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91790A (ko) 포몹시스 속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63801B1 (ko) 디부틸석시네이트의 제조방법
Tarman Biological and chemical investigations of Indonesian Marine-Derived fungi and their secondary metabolites
EP0829487B1 (de) Neue Polyenantibiotika 3874 H1 bis H6,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2431477A1 (en) Polyketide compound
KR101999273B1 (ko) 고순도 코디세핀의 제조 방법, 고함량의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동충하초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고순도 코디세핀
CN108441427B (zh) 一种节菱孢属真菌及其生产的吡啶酮生物碱类化合物
US6333305B1 (en) Antibiotic TKR2999,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microbe
CN113396214A (zh) 从链霉菌属sp.mcc-0151生产尼日利亚菌素的方法
US6730776B1 (en) WF14573 or its salt,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5840927A (en) Sesquiterpene compounds
CN102584547A (zh) 一种没药烷倍半萜二聚体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A2145204A1 (en) Antibiotic agents
Sowemimo et al. Major constituents of the predominant endophytic fungi from the Nigerian plants Bryophyllum pinnatum, Morinda lucida and Jathropha gossypiifolia
CN107129936B (zh) 一种产紫杉醇的青霉bp6t3及其应用
KR100309804B1 (ko) 키틴 합성효소 2를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케토아트로신 에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제 조성물
US20100279861A1 (en) Antifungal Agents
KR100316010B1 (ko) 키틴 합성효소 2를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페린신 에이 및 이를함유하는 항진균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