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340A -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 Google Patents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340A
KR20100131340A KR1020090099662A KR20090099662A KR20100131340A KR 20100131340 A KR20100131340 A KR 20100131340A KR 1020090099662 A KR1020090099662 A KR 1020090099662A KR 20090099662 A KR20090099662 A KR 20090099662A KR 20100131340 A KR20100131340 A KR 2010013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mopsis
longicolla
kacc93080p
strain
phomopsis longico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구
이병무
김수언
이충환
김지영
임채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ublication of KR2010013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가 개시된다.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세란드롤 A에 대한 생성능을 가지며, 이는 벼흰잎마름병원균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를 식물병 방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64114201-PAT00001
디세란드롤 A, 벼흰잎마름병,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Description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Phomopsis longicolla S1B4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에 관한 것이다.
벼흰잎마름병은 벼흰잎마름병원균(Xanthomonas oryzae pv. oryzae)에 의해 발병하는 세균병으로 주로 잎에 발생되며, 피해양상은 광합성 부족에 의한 임실률 및 등숙률 저하에 의한 수량 감소 및 품질 저하를 가져온다. 벼흰잎마름병은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호주 등 대부분의 벼 재배지역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피해가 매우 심한 병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30년 전남 해남에서 최초로 본 병이 발견된 이후 주로 남부지방에서만 발병하였으나 1960년대에는 점차 발생면적이 확대되어 1965년에는 전남지방의 극심한 피해와 함께 전국적인 발생분포를 보이게 되었으며, 그 후, 1979년에는 무려 43%가 발병이 되어 상당한 피해를 발생시켰다. 이후, 벼흰잎마름병은 1980년대를 정점으로 1990년대에는 발생이 감소하였으나 최근에 다시 증가되는 경 향을 보이고 있다.
병자각을 형성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a spp.)는 병자각내에 α와 β포자를 형성하는데, 방추형의 α포자는 무색, 단세포로 크기가 5~9×1.5~3 μm이고, 낚시 모양의 β포자는 17~36 × 0.7~1.5 μm이다. 최근 포몹시스 속(Phomopsis sp.)의 2차 대사산물에서 마이크로튜블, 항말라리아, 결핵치료 등의 활성들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포몹시스 론지콜라로부터 분리된 디세란드롤계 화합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 및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암세포에 대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의 2차 대사산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 및 동정하고, 식물병원균, 특히 벼흰잎마름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여부를 분석하여 식물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세란드롤 A를 생산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를 배양액 또는 배양액의 용매추출물 형태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기탁번호: KACC93080P)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원균은 벼흰잎마름병원균(산토모나스 오리재( X anthomonas oryza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디세란드롤 A 생성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64114201-PAT00002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는 배양액 또는 배양액의 용매추출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로부터 분리된 디세란드롤 A가 식물병원균, 특히 벼흰잎마름병원균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을 보이기 때문에 식물병 방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세란드롤 A를 생산하는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이용하여 식물병 방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균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기탁번호: KACC93080P)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원균은 벼흰잎마름병원균(산토모나스 오리재( X anthomonas oryza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디세란드롤 A 생성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64114201-PAT00003
디세란드롤 A는 2001년에 발견된 화합물로써,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 및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암세포에 대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화합물이다.
상기 디세란드롤 A는 바람직하게는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Phomopsis longicola S1B4)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로부터 디세란드롤 A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기재한다.
상기 디세란드롤 A는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벼흰잎마름병원균(Xanthomonas oryzae pv. oryzae)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진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인되었다(표 4 참조).
따라서, 상기 디세란드롤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살균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물질, 예컨대, 통 상의 충전제, 증량제, 계면활성제 등을 혼합하여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세란드롤 A를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1)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Phomopsis longicola S1B4)를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배양물을 여과 및 농축하여 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농축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추출물에 대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로부터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디세란드롤 A를 분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분획을 수집하는 단계 후에, (5) 상기 수집된 물질에 대해 질량분석을 수행하여 디세란드롤 A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1)는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를 접종하여 바람직하게는 PDB(potato dextrose broth)에 진탕 배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를 PDA(potato dextrose agar) 플레이트에 배양한 후 배양된 균주의 아가 플러그를 PDB 배지에 접종하여 25에서 진탕 배양을 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2)는, 배양된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의 균사덩어리를 용해 및 여과시킨 후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양된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를 여과기에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균사덩어리를 얻어 80% 아세톤에 균사덩어리를 용해시키고, 용해된 균사덩어리를 여과 후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3)는, 상기 농축물을 증류수에 현 탁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스테르계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에틸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수집하는 단계(4)는, 상기 추출물을 알코올에 용해시키고, 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추출 및 감압농축된 유기용매 가용부를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겔컬럼여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얻고, 상기 활성분획을 다시 감압농축한 후 농축된 분말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일 순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방법을 통하여,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로부터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디세란드롤 A를 용이하게 단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는 배양액 또는 배양액의 용매추출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병원균, 특히 벼흰잎마름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디세란드롤 A를 생산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주 또는 그 배양 여액에서 디세란드롤 A를 단리하지 않고 이를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균주 또는 배양 여액은 단독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 등을 혼합하여 살균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벼흰잎마름병균의 내성균인 포몹시스 론지콜라 S1B4( Phomopsis longicolla S1B4)의 분리 및 동정
1) 벼흰잎마름병균에 대한 내성진균의 분리
1x107 cfu의 벼흰잎마름병균을 직경 9 cm의 PDA (Potato dextrose agar) 평판배지에 도말하고 28℃에서 1일간 배양한 후, 경남지역 해안 및 벼 재배지 근처 수목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평판배지에서 배양된 식물 내생 진균들을 획선도말 (streaking)하여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획선도말된 식물 내생 진균 중에서 벼흰잎마름병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진균을 분리하였다.
2) 내성진균의 동정(identification)
(1) 균주의 ITS 염기서열 및 28S rDNA (D1-D2 region) 염기서열 분석
분리된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28S rRNA 및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s)의 염기서열을 분자계통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들 염기서열과 확률적으로 유의적인 수준에서 근연관계를 갖는 종들의 해당 염기서열과 비교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28S 리보좀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Phomopsis longicolla, Diaporthe melonis 와 525bp 중에 2bp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Diaporthe phaseolorum, Diaporthe angelicae 와도 3-4bp가 상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Phomopsis longicolla와는 99%(547bp 중 4bp 상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Diaporthe phaseolorum 과는 97%(12bp 상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8S rRNA와 ITS에서의 2bp(99.62% 유사), 4bp(99.27% 유사)의 차이는 단일염기다형증(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등과 같은 유전자상의 변이 현상에 의해 단일종에서도 충분히 나타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염기서열 분석상으로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에 해당된다. 분리된 진균과 동종 유사성 분석을 위해 사용된 여러 종 간의 비교결과를 아래 표에 정리하였으며, ITS 및 28SrRNA 염기서열은 서열목록으로 첨부하였다. 표1은 28S rRNA(D1-D2 region)의 염기서열 유사성 비교결과를 나타낸다.
종류(Strain) 기탁번호
(Accession No)
동일성
(%Similarity)
염기서열 차이
(nt differences)
Phomopsis sp. FAU453 AF439629 99.62 2/525
Diaporthe melonis MAFF 410445 AB104640 99.62 2/525
Phomopsis longicolla MAFF 305853 AB107259 99.62 2/525
Diaporthe phaseolorum FAU458 AY346279 99.46 3/557
Diaporthe angelicae AR3776 AY196781 99.24 4/525
하기 표2는 ITS 의 염기서열 유사성 비교결과를 나타낸다.
종류(Strain) 기탁번호 (Accession No) 동일성
(%Similarity)
염기서열 차이
(nt differences)
Phomopsis longicolla ZSU-H76 EU236702 99.27 4/547
Phomopsis sp. TSM-02 DQ235668 98.83 6/514
Phomopsis longicolla strain 628 AF000208 97.95 11/536
Phomopsis longicolla STAM-35 AY745021 97.89 11/521
Diaporthe sp. Ds96002 AF358442 97.62 12/504
Diaporthe phaseolorum E99382 AY577815 97.58 13/537
Phomopsis sojae AY050627 97.49 13/518
(2) 균주의 육안 및 현미경적 형태 관찰
균주의 동정을 위해 염기서열 관찰 이외에도 육안 및 현미경을 통해 해부학적인 형태의 관찰을 수행하였다. 상기 균주는 관찰을 위해 접종된 3종의 배지(MEA, PDA, OA)에서 모두 솜털뭉치처럼 자랐다. 도3에는 이들 균주의 육안관찰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25℃에서 7일간 배양한 결과, MEA 배지에서는 15~20mm크기의 흰 솜털모양을, PDA 배지에서는 25~35mm크기, OA 배지에서는 40mm이상 자랐다.
도4에는 균주의 분생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균사체(Mycelium), 격벽(septate)은 분지되어 있었으며, 포자 혹은 포자형성 구조는 보이지 않았다. 평판배지에서 conidiomata로 여겨지는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두꺼운 벽을 갖는 방구조가 단일 혹은 다중으로 관찰되었다. 분생자병(Conidiophores) 및 분생자(Conidia)구조의 곁가지 및 격벽구조가 관찰되었다.
Phomopsis viticola에서 관찰되는 실모양의 β-conidia(분생자)는 관찰할 수 없었다. 관찰결과 자낭(ascus) 구조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방추형 혹은 끝이 둥근 막대형의 격벽(septate) 자낭포자(2-celled)가 관찰되 Phomopsis longicolla 의 외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상기 균주의 분자계통학적인 염기서열분석 결과 및 형태학상의 구조를 고려할 때, 상기 균주는 Phomopsis longicolla 로 동정함이 타당하며, 염기서열 변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균주를 Phomopsis longicolla strain으로서 Phomopsis longicolla S1B4로 명명하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09년 07월 27일 기탁하였다. 상기 균주는 동 09월 03일 수리, 등록되었으며 수탁번호는 KACC93080P이다.
실시예 2: 포몹시스 론지콜라에서 활성 물질의 분리
식물 내생 곰팡이의 유용한 대사산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추출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포몹시스 론지콜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먼저,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Hobbs et al., 1985)) 균주 S1B4를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 10 L에 접종하고 25~28℃에서 7일간 200rpm으로 배양한 다음, 여과기와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균사덩어리를 얻었다. 균사덩어리는 2 L의 80% 아세톤을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여과 후 그 여액을 채취하여 40~50의 수조에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100 ml의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분액여두에서 동량의 아세트산에틸로 진탕 추출하여 얻은 상등액을 회수하여 아세트산에틸 가용부를 추출하여 얻은 다음, 다시 추출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 농축하여 아세트산에틸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3: 포몹시스 론지콜라 균사 추출물로부터 활성화합물의 단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추출물 536 mg을 메탄올 2 ml에 용해시킨 후 80% 메탄올을 용출용매로 이용하는 세파덱스 LH-20 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모았다. 이렇게 얻은 활성분획을 분리하고 감압건조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얻은 잔사(residue)를 고급 메탄올에 용해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활성물질 디세란드롤 A를 얻었다.
얻어진 활성물질에 대해서는 LC-ESI-MS(Liquid chromatography electron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물질성상: 황색분말
- 분자량: 666
- 분자식: C34H34O14
- 질량분석치[M-H]-: 665(m/z)
또한, 듀트륨 아세트니트릴을 용매로 이용하여 측정한 수소 핵자기공명스펙트럼 및 탄소 핵자기공명스펙트럼 분석 결과, 분리된 화합물이 디세란드롤 A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실시예 4: 분리된 화합물의 벼흰잎마름병원균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분석
실시예 3과 같이 분리된 항미생물 물질을 이용하여 식물병원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를 시험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균을 배양하고 정제함으로써 얻어진 항미생물 물질을 256 μg/ml 농도에서 0.25 μg/ml 농도까지 2배씩 단계적으로 희석시켜 각각의 농도를 함유하는 표1과 같은 액체 배지를 준비하고 여기에 벼흰잎마름병원균을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8종의 벼흰잎마름병원균주는 하기 표 3의 배지를 사용하여 28℃에서 24시간 배양하였으며, 최종균농도가 106 개/ml이 되도록 항미생물 물질 함유배지에 접종하여 24시간 보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3에는 벼흰잎마름병원균 배양용 배지의 조성을 나타냈다.
성분 함량(g/l)
자당 5
NZ Amine 8
효모 추출물 4
제2 인산칼륨 3
한천 18
황산마그네슘 0.3
증류수 1000 ml
그 결과 아래 표와 같은 8종의 균주의 벼흰잎마름병원균에 대한 디세란드롤 A의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4는 X anthomonas oryzae 균주들에 대한 디세란드롤 A의 최소저해농도(MIC)를 나타낸다.
시험균주 Dicerandrol A
최소저해농도(MIC (μg/ml))
Xanthomonas oryzae
(KACC10331)
8
Xanthomonas oryzae
(KACC10859)
64
Xanthomonas oryzae
(KACC10874)
8
Xanthomonas oryzae
(KACC10875)
8
Xanthomonas oryzae
(KACC10876)
2
Xanthomonas oryzae
(KACC10882)
64
Xanthomonas oryzae
(KACC10884)
16
Xanthomonas oryzae
(KACC10885)
16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항균활성 물질의 수소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항균활성 물질의 탄소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이다.
도 3은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의 육안 관찰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의 분생자의 현미경 관찰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Phomopsis longicolla S1B4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130> NPF-15816 <150> KR10-2009-0050054 <151> 2009-06-05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48 <212> DNA <213> ITS region of 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 <400> 1 tcgtaacaag gtctccgttg gtgaaccagc ggagggatca ttgctggaac gcgcttcggc 60 gcacccagaa accctttgtg aacttatacc tattgttgcc tcggcgcagg ccggcctttt 120 gtgacaaagg ccccctggaa acagggagca gcccgccggc ggccaactag actcttgttt 180 ctacagtgaa tctctgagta aaaaacataa atgaatcaaa actttcaaca acggatctct 240 tggttctggc atcgatgaag aacgcagcga aatgcgataa gtaatgtgaa ttgcagaatt 300 cagtgaatca tcgaatcttt gaacgcacat tgcgccctct ggtattccgg agggcatgcc 360 tgttcgagcg tcatttcaac cctcaagcct ggcttggtga tggggcactg ccttctagcg 420 agggcaggcc ctgaaatcta gtggcgagct cgctaggacc ccgagcgtag tagttatatc 480 tcgttctgga aggccctggc ggtgccctgc cgttaaaccc ccaacttctg aaaattgacc 540 tcggatca 548 <210> 2 <211> 559 <212> DNA <213> 28S rDNA (D1-D2 region) of 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 <400> 2 tacccgctga acttaagcat atcaataagc ggaggaaaag aaaccaacag ggattgccct 60 agtaacggcg agtgaagcgg caacagctca aatttgaaat ctggcctcgg cccgagttgt 120 aatttgcaga ggatgtttct ggcgcggtgc cttccgagtt ccctggaacg ggacgccaca 180 gagggtgaga gccccgtatg gtcggacacc aagcctgtgt gaaactcctt cgacgagtcg 240 agtagtttgg gaatgctgct ctaaatggga ggtaaatctc ttctaaagct aaataccggc 300 cagagaccga tagcgcacaa gtagagtgat cgaaagatga aaagcacctt gaaaaggggg 360 ttaaatagta cgtgaaattg ttgaaaggga agcacttatg accagacttg ggccgggcgg 420 ctcatcaggg gttctcccct gtgcactccg cccggcacag gccagcatcg gttttcgcgg 480 ggggataaga ccgacgggaa cgtagcaccc tccggggtgt gttatagccc ggcggacgat 540 accctcgcgg ggaccgagg 559

Claims (5)

  1.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기탁번호: KACC93080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원균은 벼흰잎마름병원균(산토모나스 오리재( X anthomonas oryz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디세란드롤 A 생성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
    [화학식 1]
    Figure 112009064114201-PAT0000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는 배양액 또는 배양액의 용매추출물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KACC93080P).
KR1020090099662A 2009-06-05 2009-10-20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KR201001313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054 2009-06-05
KR20090050054 2009-06-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27A Division KR20100131339A (ko) 2009-06-05 2009-10-20 디세란드롤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340A true KR20100131340A (ko) 2010-12-15

Family

ID=435074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662A KR20100131340A (ko) 2009-06-05 2009-10-20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KR1020090099527A KR20100131339A (ko) 2009-06-05 2009-10-20 디세란드롤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27A KR20100131339A (ko) 2009-06-05 2009-10-20 디세란드롤 a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1313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204A (ko) * 2015-04-23 2016-11-0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슈덴 생산방법
KR20170007704A (ko) * 2017-01-06 2017-01-19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KR20180035025A (ko) * 2016-09-28 2018-04-05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퀴놀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2254B (zh) * 2021-12-28 2023-10-20 浙江工业大学 一种四氢氧杂蒽酮二聚体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204A (ko) * 2015-04-23 2016-11-0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슈덴 생산방법
KR20180035025A (ko) * 2016-09-28 2018-04-05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퀴놀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7704A (ko) * 2017-01-06 2017-01-19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339A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muels et al. Trichoderma theobromicola and T. paucisporum: two new species isolated from cacao in South America
Wang et al. Farming of a defensive fungal mutualist by an attelabid weevil
Nicoletti et al. Production and fungitoxic activity of Sch 642305, a secondary metabolite of Penicillium canescens
Kim et al. Nematicidal activity of kojic acid produced by Aspergillus oryzae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Linnakoski et al. Grosmannia and Leptographium spp. associated with conifer-infesting bark beetles in Finland and Russia, including Leptographium taigense sp. nov.
Kossuga et al. Evaluating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marine-derived fungal strains and production of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Jaihan et al. Sele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for biological control of chili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US8574566B2 (en) Strai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fumosorosea CCM 8367 (CCEFO.011.PF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 and mite pests
Nguyen et al. Characterization of Paecilomyces variotii and Talaromyces amestolkiae in Kore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KR20100131340A (ko) 식물병 방제능을 갖는 포몹시스 론지콜라(Phomopsis longicolla S1B4) 균주
Nigar et al.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fioriniae causing grapevine anthracnose in New York
Sibounnavong et al. In-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Emericella nidulans, a new fungal antagonist against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WO2021018145A1 (zh) 一种用于防治辣椒疫霉病的绿木霉、应用及辣椒栽培方法
US20130177596A1 (en) Endophytic Fungi from Pteromischum SP. Plant,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LU502326B1 (en) Isaria javanica strai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itrus pests and use thereof
Sun et al. Colletotrichum destructivum from cowpea infecting Arabidopsis thaliana and its identity to C. higginsianum
US6638742B1 (en) Methods for obtaining taxanes
Poursafar et al. Alternaria telliensis, a new causal agent of cabbage leaf spot disease in Iran
Sreeja et al. Characterization of insecticidal metabolite oosporein in Lecanicillium saksenae (Kushwaha) Kurihara and Sukarno, a geographically distinct isolate from Kerala, India
Lee et al. Leaf spot of rhubarb caused by Didymella rhei in Korea
KR20040034764A (ko)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8e12 및 이를 이용한제초제
Park et al. First report of Simplicillium cylindrosporum isolated from soil in Korea
Pramana et al. Sponge-associated fungi isolates from ancorina sp. Showed anti-cancer activity against hela cell lines
KR100347388B1 (ko)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식물기생성 토양선충에 대한포식능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배양방법
Anjali et al. MORPHOCULTURAL CHARACTERIZATION OF FUNGAL PATHOGEN ASSOCIATED WITH CITRUS LIMETTA RI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