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468A -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468A
KR20100090468A KR1020090009760A KR20090009760A KR20100090468A KR 20100090468 A KR20100090468 A KR 20100090468A KR 1020090009760 A KR1020090009760 A KR 1020090009760A KR 20090009760 A KR20090009760 A KR 20090009760A KR 20100090468 A KR20100090468 A KR 20100090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rectifier
power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남
Original Assignee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0468A/ko
Publication of KR2010009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을 내장하도록 하여, 정전이나 전원공급 차단 시 수배전반의 각종 기기에 임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상기 수배전반과 연계되는 주변장치의 전원공급이나, PC 또는 기타 무정전을 필요로하는 장치에 전원을 임시적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종래 별도로 설치되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가 필요 없게 되어, 초기 시설비의 절감과, 별도 USP 설치에 따른 배터리 유지보수비용을 없앤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정류기반에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내장하여, 정전시 이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수배전반에 임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주변장치인 RTU에도 임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부는, 입력교류전원이 제1차단기를 거쳐 정류기로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정류기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이 제2차단기를 거쳐 축전지에 충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3차단기를 거쳐 수배전반의 각종 기기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정류기의 출력 직류전압이 인버터에 입력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인버터를 통해 다시 변환되어 출력된 교류전압이 RTU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배전반, UPS, 정류기, 인버터, 무정전, 전원

Description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Distributing board hav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unction}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에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을 내장하도록 하여, 정전이나 전원공급 차단 시 수배전반의 각종 기기에 임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상기 수배전반과 연계되는 주변장치의 전원공급이나, PC 또는 기타 무정전을 필요로하는 장치에 전원을 임시적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종래 별도로 설치되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가 필요 없게 되어, 초기 시설비의 절감과, 별도 USP 설치에 따른 배터리 유지보수비용을 없앤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수배전반은 특고 압을 받아 강압하여 분배하여 주는 장치로서, 아파트나 공장, 빌딩 등에 사용되는 필수 전력장치이다.
또한 수배전반에는 예고 없이 정전되거나 불안정한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수배전반의 안정적인 제어전원을 확보하기 위해 정류기와 배터리로 이용하여 전원 을 임시적으로 공급하여주는 기능을 구비한다.
종래의 수배전반의 구성을 도 1을 통하여 알아본다.
제어 기능별로 다수개로 구성되는 수배전반(100)에는 정류기반(110)을 포함한다.
상기 정류기반(110)은 평상시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수배전반 의 각종 기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동시에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입력전원(AC)이 수배전반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동안 수배전반(100)의 각종 기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정류기반(110)은 도 2에서와 같이, 입력교류전원(AC1)이 제1차단기(CB1)를 거쳐 정류기(111)로 입력되면, 이 교류전원(AC1)은 정류기(111)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어 제2차단기(CB2)를 통해 축전지(배터리)(112)에 충전되고 동시에 제3차단기(CB3)를 거쳐 직류전원(DC1)을 수배전반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정류기(111)를 통해 변환된 직류전원(DC1)이 각 수배전반에 제공되다가, 정전이 발생되어 입력교류전원(AC1)이 차단되면, 축전지(112)에 충전된 직류전압(DC1)이 상기 각 수배전반에 임시적으로 제공된다. 통상 상기 직류전원(DC1)은 110V이며, 상기 축전지(112)는 12V용 셀(cell) 9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배전반(100)에는 이와 연계되는 각종 주변장치들이 있게 되는 데, 일례로, 원격단말장치(Remote Terminal Unit: RTU)(300)와 이와 유무선 통신되는 원격감시제어반(Distributed control system)(400)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배전반 관련 장치인 원격단말장치(RTU)(300)에는 무정 전 전원공급장치(UPS)(20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UPS(200)는 상용 전원에서 발생 가능한 전원 장애를 극복하여 양질의 안정된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 여기에서는 상기 RTU(300)의 원격 감시제어를 위한 무정전 제어전압(AC 220V)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수배전반에도 무정전 전원공급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또 이와 연계되는 주변장치에도 별도의 UPS(200)가 설치되어, 이에 따른 시설비 상승과, 축전지 관리 등 유지보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에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을 내장하도록 하여, 정전이나 전원공급 차단 시 수배전반의 각종 기기에 임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상기 수배전반과 연계되는 주변장치의 전원공급이나, PC 또는 기타 무정전을 필요로하는 장치에 전원을 임시적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종래 별도로 설치되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가 필요 없게 되어, 초기 시설비의 절감과, 별도 USP 설치에 따른 배터리 유지보수비용을 없앤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류기반을 포함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반에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내장하여, 정전시 이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수배전반에 임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주변장치인 RTU에도 임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부는, 입력교류전원이 제1차단기를 거쳐 정류기로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정류기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이 제2차단기를 거쳐 축전지에 충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3차단기를 거쳐 수배전반의 각종 기기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정류기의 출력 직류전압이 인버터에 입력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인버터 를 통해 다시 변환되어 출력된 교류전압이 RTU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을 내장하도록 하여, 정전이나 전원공급 차단 시 수배전반의 각종 기기에 임시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상기 수배전반과 연계되는 주변장치의 전원공급이나, PC 또는 기타 무정전을 필요로하는 장치에 전원을 임시적으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별도로 설치되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가 필요 없게 되어, 수배전반 관련 초기 시설비의 절감과, 별도 USP 설치에 따른 배터리 유지보수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기존의 UPS가 약 30분 정도의 임시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 정전보상시간의 증대로 수 시간 이상 임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은, 정류기반(110)을 포함하는 수배전반(100)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반(110)에 무정전 전원공급부(120)를 내장하여, 정전시 이 무정전 전원공급부(120)를 통하여 수배전반(100)에 임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주변장치인 RTU(300)에도 임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교류전원(AC1)이 제1차단기(CB1)를 거쳐 정류기(111)로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정류기(111)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DC1)이 제2차단기(CB2)를 거쳐 축전지(112)에 충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3차단기(CB3)를 거쳐 수배전반(100)의 각종 기기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정류기(111)의 출력 직류전압이 인버터(121)에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121)를 통해 다시 변환되어 출력된 교류전압(AC2)이 RTU(30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121)는 모듈형으로 구성하여, 필요한 용량에 따라 확장 가능하도록 제2인버터(122)를 병렬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부(120)에서 생성되는 출력교류전압(AC2)이 부하인 RTU(300)로 한정하였으나, 기타 무정전을 필요로 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PC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수배전반(100)에 정상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
정류기반(110)에 공급된 입력교류전원(AC1)은 제1차단기(CB1)를 거쳐 정류기(111)에 인가된다. 상기 정류기(111)에 인가된 전원(AC1)은 직류(DC1)로 변환되어 제2차단기(CB2)를 거쳐 축전지(112)에 충전된다.
동시에 수배전반(100)의 각종 기기에 구동전압(DC1)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류기(111)의 출력 직류전압(DC1)은 인버터(121)에 인가된다.
상기 인버터(121)에 인가된 직류전압(DC1)은 교류전압(AC2)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상기 출력 교류전압(AC2)은 RTU(300) 등 주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RTU(300)는 상기 수배전반(100)의 정류기반(110)에 설치된 무정전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되어, DCS(400)와 원격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정전 또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입력교류전원(AC1)의 공급이 차단되어, 축전기(112)에 충전된 직류전압을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축전지(112)에 충전된 직류전압은 제2차단기(CB2) 및 제3차단기(CB3)를 거쳐 수배전반(100)의 각종 기기에 구동전압(DC1)을 제공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축전지(112)에 충전된 직류전압은 인버터(121)에 인가된다.
상기 인버터(121)에 인가된 직류전압(DC1)은 교류전압(AC2)으로 변환되어 출력되고, 이 출력 교류전압(AC2)은 RTU(300) 등 주변장치에 전원을 임시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정전 시에도 일정시간동안 상기 수배전반(100)은 물론 이와 연계되는 기타 주변장치(RTU(300))에도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정전 또는 전원공급 차단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게 된다.
도 1은 종래 수배전반 및 주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정류기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류기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배전반 110: 정류기반
111: 정류기 112: 축전지
120: 무정전 전원공급부 121,122,...: 인버터
CB1~CB3:차단기

Claims (2)

  1. 정류기반(110)을 포함하는 수배전반(100)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반(110)에 무정전 전원공급부(120)를 내장하여, 정전시 이 무정전 전원공급부(120)를 통하여 수배전반(100)에 임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주변장치인 RTU(300)에도 임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부(120)는,
    입력교류전원(AC1)이 제1차단기(CB1)를 거쳐 정류기(111)로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정류기(111)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DC1)이 제2차단기(CB2)를 거쳐 축전지(112)에 충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3차단기(CB3)를 거쳐 수배전반(100)의 각종 기기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정류기(111)의 출력 직류전압이 인버터(121)에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121)를 통해 다시 변환되어 출력된 교류전압(AC2)이 RTU(30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121)는 모듈형으로 구성하여, 필요한 용량에 따라 확장 가능하도록 제2인버터(122)를 병렬 운전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KR1020090009760A 2009-02-06 2009-02-06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KR20100090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760A KR20100090468A (ko) 2009-02-06 2009-02-06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760A KR20100090468A (ko) 2009-02-06 2009-02-06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68A true KR20100090468A (ko) 2010-08-16

Family

ID=4275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760A KR20100090468A (ko) 2009-02-06 2009-02-06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04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51B1 (ko) * 2012-01-03 2013-04-17 이승철 스마트 배전반
KR20210023358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배터리 방전 방지회로가 내장된 정류기반
KR20230127643A (ko) 2022-02-25 2023-09-01 ㈜태강테크원 배터리 내장형 분전반용 화재사고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분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51B1 (ko) * 2012-01-03 2013-04-17 이승철 스마트 배전반
KR20210023358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에너지로드 배터리 방전 방지회로가 내장된 정류기반
KR20230127643A (ko) 2022-02-25 2023-09-01 ㈜태강테크원 배터리 내장형 분전반용 화재사고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3200B2 (en) Decentralized module-based DC data center
US7224131B2 (en) High efficiency lighting system
KR101264142B1 (ko) 가정과 마이크로그리드에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시스템
JP2011205871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US2013025871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equipment during a low voltage event
KR20110039532A (ko) 고유한 평형 직류 무정전 전원
KR20140137545A (ko) 에너지 저장 모듈을 구비한 지능형 배전반 시스템
US20050225914A1 (en) Power supply
US20140035376A1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855197B2 (en) Power supply system
JP529616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3512650A (ja) 無停電電源供給システム及び無停電電源装置
JP2004104851A (ja) 発電機連系機能付系統連系形システム
KR101038156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20100090468A (ko)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내장된 수배전반
JP2000102196A (ja) 無停電電源装置
KR101203148B1 (ko) 예비전원설비와 연동한 최대수요전력제어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200101074A (ko) 무정전 전원공급기능 내장 수배전반
KR101319257B1 (ko) 다기능 무정전 전원공급 시스템
KR20180022055A (ko) 3상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246648A (ja) 電源系統連系システム
KR100981792B1 (ko) 3상 전원 유피에스 및 그의 밧데리 충전제어방법
KR101230855B1 (ko) 단상 에프이티 인버터 모듈을 이용한 통신용 무정전 전원공급시스템
KR20110004389U (ko) 고속 절체형 무정전 인버터 장치
US20230420979A1 (en) Increasing immunity of variable frequency drives against power quality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