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307A -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 Google Patents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307A
KR20100090307A KR1020107015460A KR20107015460A KR20100090307A KR 20100090307 A KR20100090307 A KR 20100090307A KR 1020107015460 A KR1020107015460 A KR 1020107015460A KR 20107015460 A KR20107015460 A KR 20107015460A KR 20100090307 A KR20100090307 A KR 2010009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ecoded image
area
information
local de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키 야스다
나오후미 와다
타카시 와타나베
아키유키 타니자와
타케시 츄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9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입력 화상에 대응하는 국소 복호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112)와, 소정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영역 분할부(114)와,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계수를 설계하는 필터 설계부(115)와, 분류된 영역마다 대응하는 필터 계수에 따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 처리부(116)와, 필터 처리가 실시된 화상을 축적하는 프레임 메모리(113)와, 축적된 화상을 이용하여 예측 화상을 생성하는 예측기(117)와, 영역의 분류에 이용하는 파라미터 및 분류된 영역마다의 필터 계수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부호화기(1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DYNAMIC IMAGE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본 발명은, 동화상 복호 장치에서 행해지는 필터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 데이터에 부가된 필터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한 화상을 출력하는 기술로서,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 대상 화상과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한 화상과의 오차를 최소화하도록 필터를 설계하고, 필터의 정보를 송신하며, 복호 장치에서는 그 정보를 기초로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한 화상을 출력하는 기술이다(S.Wittmann and T.Wedi, "Post-filter SEI message for 4:4:4 coding", JVT of ISO/IEC MPEG & ITU-T VCEG, JVT-S030, April 2006(이하, S.Wittmann et al.이라 한다)). 이에 의해, 복호 장치에서는 원화(原畵)와의 오차가 작은 출력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유사한 기술로서, S.Wittmann et al.과 같은 처리에 추가해서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예측 화상 생성 시에 참조 화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고려된다. 이에 의해, 참조 화상과 부호화 대상 화상과의 오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을 예측했을 때에 예측 오차를 삭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Wittmann et al.에서는, 프레임 단위로 필터를 설계한다. 이 경우, 프레임 내의 영역에 의해 다른 화상의 성질에 맞추어 필터를 설계할 수 없다. S.Wittmann et al.의 유사 기술에 대하여도, 프레임 단위로 필터를 설계하는 것이라면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은 프레임 단위로 필터를 설계하기 때문에, 프레임 내의 영역에 의해 다른 화상의 성질에 맞추어 필터를 설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부호화 대상 화상과 참조 화상과의 오차 및 부호화 대상 화상과 출력 화상과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ㆍ복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 부호화에 임하여 프레임 내의 영역을 미리 결정된 기준으로 분류하여 분할하고, 분류된 영역마다 국소 복호 화상에 대한 필터 처리를 행한다. 또, 필터의 정보에 추가하여 영역의 분류에 이용하는 파라미터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입력 화상에 대응하는 국소 복호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소정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국소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계수를 설계하는 설계부와, 분류된 영역마다 대응하는 필터 계수에 따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와, 필터 처리가 실시된 화상을 축적하는 축적부와, 축적된 화상을 이용하여 예측 화상을 생성하는 예측부와, 영역의 분류에 이용하는 파라미터 및 분류된 영역마다의 필터 계수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부호화 대상 화상과 참조 화상과의 오차 및 부호화 대상 화상과 출력 화상과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동화상 부호화ㆍ복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신호 처리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의한 동화상 부호화를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프레임의 분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에 의한 영역 분할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영역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고역 통과 필터의 필터 계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일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의 대상이 되는 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의 계수와 분류 기준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필터 계수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인덱스와 역치를 보여주는 테이블의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신호 처리기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에 의한 동화상 복호화를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신호 처리기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 형태의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제9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필터 계수와 그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9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6은 제13 실시 형태의 영역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9는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0은 제25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1은 제25 실시 형태의 영역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는 제26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3은 제27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4는 제28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5는 필터 계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제38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7은 제39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8은 제40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9는 제41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0은 제48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1은 제50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2는 제60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3은 제61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4는 제62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5는 제63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6은 제72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7은 제74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8은 제84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9는 제85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0은 제86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1은 제87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2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화상 신호(101)가 입력되는 신호 처리기(112)는 입력 화상 신호(101)와 예측 화상 신호(109)의 잔차 신호를 생성하고, 잔차 신호를 직교 변환하고, 양자화하는 것에 의해 잔차 정보(102)를 생성하고, 잔차 정보(102)를 역양자화 및 역직교 변환하여, 예측 화상 신호와 가산하는 것에 의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3)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처리기(112)의 잔차 정보 출력단은 가변장 부호화기(118)에 접속되고, 국소 복호 신호 출력단은 프레임 메모리(113)의 기입단에 접속된다.
프레임 메모리(113)의 국소 복호 화상 신호 독출단은 영역 분할기(114)에 접속된다. 이 영역 분할기(1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분할하며,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105)를 출력한다. 영역 분할기(114)의 영역 정보 출력단은 필터 설계기(115) 및 필터 처리기(116)에 접속된다. 필터 설계기(115)는 입력 화상 신호(101), 영역 정보(105) 및 프레임 메모리(113)의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를 받아 분류 영역마다 필터 계수를 설계한다. 필터 설계기(115)의 출력단은 필터 처리기(116)에 접속된다.
필터 처리기(116)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 영역 정보(105) 및 필터 정보(106)를 받고, 영역 정보(105)에 대응하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의 화상 신호 영역에 대하여 필터 정보(106)에 응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분류 화상 영역마다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07)를 생성한다. 필터 처리기(116)의 화상 신호 출력단은 프레임 메모리(113)의 기입단에 접속된다. 프레임 메모리(113)는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07)를 기억하고, 참조 화상 신호(108)로서 예측기(117)에 독출한다. 예측기(117)는 참조 화상 신호(108)로부터 예측 화상 신호(109)를 생성한다.
상기 구성의 화상 부호화 장치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기(112)는 입력 화상 신호(101)와 예측 화상 신호(109)의 차분을 계산하여 잔차 신호(119)를 출력하는 감산기(123)와, 잔차 신호(119)를 직교 변환하고, 직교 변환 계수(예를 들어, DCT 계수)(120)를 출력하는 직교 변환기(124)와, 직교 변화 계수를 양자화하고, 양자화 변환 계수 신호, 즉 잔차 정보(102)를 출력하는 양자화기(125)를 갖는다. 신호 처리기(112)는 또 잔차 정보(102)를 역양자화하여 변환 계수(121)를 출력하는 역양자화기(126)와 변환 계수(121)를 역직교 변환하여 잔차 신호(122)를 재생하는 역직교 변환기(127)와, 재생 잔차 신호(122)와 예측 화상 신호(109)를 가산하여 국소 복호 신호(103)를 생성하는 가산기(128)를 갖는다.
도 3의 플로우 챠트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입력 화상 신호(101)가 화상 신호 처리부(112)에 입력되면(S11), 감산기(123)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101)와 예측 화상 신호(109)의 차분을 취하는 것에 의해 잔차 신호(119)가 생성된다(S12). 직교 변환기(124)에서는, 잔차 신호(119)에 직교 변환이 실시되고, 변환 계수가 생성되며(S13), 이 변환 계수가 양자화기(125)에 의해 양자화된다(S14).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한 쪽에서 잔차 정보(102)로서 가변장 부호화기에 입력되고, 다른 쪽에서 역양자화기(126)에 의해 역양자화된 후, 역직교 변환기(127)에서 역직교 변환된다. 가산기(128)에서는, 재생된 잔차 신호(122)와 예측 화상 신호(109)가 가산되는 것에 의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3)가 생성된다(S15).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3)는 프레임 메모리(113)에 기억된다(S16). 프레임 메모리(113)로부터 독출되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는, 영역 분할기(114), 필터 설계기(115) 및 필터 처리기(116)에 입력된다.
영역 분할기(114)에서는 입력된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의 영역이 미리 결정된 기준(이하, 분류 기준)으로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분류되고,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105)가 생성된다(S17). 영역 분할기(114)로부터는 분류 기준의 계산 및 그 기준에 의한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111) 및 영역 정보(105)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111)는 가변장 부호화기(118)에 입력되고, 영역 정보(105)는 필터 설계기(115) 및 필터 처리기(116)에 입력된다.
영역 분할기(114)에서의 분류 처리(S17)에 대하여 도 5의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분류의 대상은 복호 화상상의 위치(x,y)의 화소(이하 S(x,y))로하고, 화소값의 변화가 매끄러운 평탄부 및 화소값의 변화가 격심한 비평탄부의 2개로 분류하는 것으로 한다. 분류 대상이 되는 영역이 각 화소인 것에 주의한다. 가장 세밀하게 영역을 분류한 경우, 영역은 화소 단위가 된다. 스텝 101에서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분류 기준 C(x,y)를 계산한다. 스텝 102에서는, 분류 기준 C(x,y)가 역치 T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분류 기준 C(x,y)가 미리 결정된 역치 T보다 작은 경우, 스텝 103에서 위치(x,y)는 평탄부로 분류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스텝 104에서 위치(x,y)는 비평탄부로 분류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로서 도 6에 나타나는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영역 분할기(114)로부터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113)로서 역치 T가, 영역 정보(105)로서 도 6의 테이블의 정보가 출력된다.
분류 기준으로서는, S(x,y)와 그 주변 화소의 절대값 차분의 평균값, 즉 다음 식(1)에 의해 계산되는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다.
[수1]
Figure pct00001
여기서, N은 임의의 자연수로 한다. 식(1)의 연산을 행하는 경우, 식(1)을 미리 결정된 단수처리를 위한 오프셋값 RC를 이용하여 정수제산(整數除算)에 의해 다음 식(2)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부동 소수점 연산을 피할 수 있다.
[수2]
Figure pct00002
또, S(x,y)와 그 주변 화소의 절대값 차분의 최대값, 즉 다음 식(3)에 의해 구해지는 최대값을 분류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3]
Figure pct00003
또, 고역 통과 필터 처리 후의 값의 절대값, 즉 다음 식(4)에 의해 구해지는 절대값을 분류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4]
Figure pct00004
고역 통과 필터의 필터 계수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N=1로 하여 다음 식(5)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5]
Figure pct00005
또, 위치(x,y)를 포함하는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고, 고역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을 분류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위치(x,y)를 포함하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한 8화소에 일차원 이산 코사인 변환을 실시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변환 계수를 저역으로부터 고역의 순으로 X(0), X(1), …, X(7)로 할 때,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4번째 이후의 계수의 총합, 즉 다음 식(6)에 의해 구해지는 총합을 분류 기준으로 이용한다.
[수6]
Figure pct00006
계수의 총합을 취하는 범위를 4번째의 계수 이후로 고정했지만, 몇 번째 이후의 계수의 총합을 취할지를, 역치 T와 맞추어 영역 분할 파라미터로서 출력하여도 된다. 일차원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차원의 경우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또,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한 화상과 국소 복호 화상과의 차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의 화소값의 절대값을 이용할 수 있다. 필터 처리를 행한 화상은 다음 식(7)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7]
Figure pct00007
필터 계수는, 예를 들어 N=2로 하여 도 3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면 된다.
차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의 화소값의 절대값은 다음 식(8)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8]
Figure pct00008
미리 준비된 복수의 분할 기준에서 하나의 분류 기준을 선택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 선택한 분류 기준을 지정하는 정보를 영역 분할 파라미터에 부가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역 통과 필터를 준비하고, 어느 쪽인가를 선택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역 통과 필터에는 각각 인덱스가 대응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인덱스(1)의 고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는 경우,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필터를 지정하기 위한 인덱스와 영역 분류를 행하기 위한 역치 T의 정보가 영역 분류 파라미터로서 출력된다.
영역 분류가 행해지면, 필터 계수의 설계가 행해진다(S18). 즉, 필터 설계기(115)에서는, 영역 정보(105), 입력 화상 신호(1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마다 필터(필터 계수)가 설계된다. 설계된 필터에 관한 필터 정보(106)는 필터 처리기(116) 및 가변장 부호화기(118)에 입력된다.
도 12를 이용하여 필터 설계기(1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영역 분할기(114)의 예와 같이 영역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2분류하는 경우의 필터 설계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역 정보(105)는 전환 제어기(131)에,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 전환기(133)에, 입력 화상 신호(101)는 입력 화상 신호 전환기(133)에 입력된다. 전환 제어기(131)는 영역 정보(105)를 기초로 국소 복호 화상 신호 전환기(132), 입력 화상 신호 전환기(133), 평탄부 필터 설계기(134) 및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35)를 제어한다. 영역 정보(105)에 의해 영역이 평탄부이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 및 입력 화상 신호(101)는 함께 평탄부 필터 설계기(134)에, 비평탄부이면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35)에 입력된다.
평탄부 필터 설계기(134)에서는, 평탄부로 분류된 입력 화상 신호(1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필터가 설계된다.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35)에서는, 비평탄부로 분류된 입력 화상 신호(1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필터가 설계된다. 평탄부 필터 설계기(134) 또는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35)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입력 화상 신호(101)와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Wiener-Hopf 방정식을 구성하여 해를 구하는 것에 의해, 입력 화상 신호(101)와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 신호와의 이승오차(二乘誤差)를 최소로 하는 필터를 설계할 수 있다. 평탄부 필터 설계기(134) 및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35)로부터 각각 평탄부의 필터 계수(129) 및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30)가 출력되고, 양자는 필터 정보 다중화기(136)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 다중화기(136)에서는, 평탄부의 필터 계수(129) 및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30)가 다중화되고, 필터 정보(106)로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필터 계수가 설계되면, 필터 처리가 행해진다(S19). 즉, 필터 처리기(116)에 있어서, 영역 정보(105)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9)를 생성한다.
필터 처리기(116)에 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영역 분할기(114)의 예와 같이 영역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경우의 필터 처리기(116)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역 정보(105)는 전환 제어기(142)에,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는 평탄부 필터 처리기(143) 및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44)에 입력되고, 필터 정보(106)는 필터 정보 분리기(141)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 분리기(141)는 필터 정보(106)를 평탄부의 필터 계수(137) 및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38)로 분리한다. 평탄부의 필터 계수(137) 및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38)는 각각 평탄부 필터 처리기(143) 및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44)에 입력된다.
전환 제어기(142)는 영역 정보(105)를 기초로 평탄부 필터 처리기(143),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44) 및 신호 전환기(145)를 제어한다. 영역 정보(105)가 평탄부 영역을 나타내고 있으면, 평탄부 필터 처리기(143)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평탄부의 필터 계수(137)로 필터 처리를 행하고,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39)를 생성한다.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39)는 평탄부 필터 처리기(143)로부터 출력되고, 신호 전환기(145)를 통하여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영역 정보(105)가 비평탄부 영역을 나타내고 있으면,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44)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38)로 필터 처리를 행하고,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40)를 생성한다.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40)는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44)로부터 출력되고, 신호 전환기(145)를 통하여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필터 처리에 대하여는, 위치(x,y)가 평탄부의 경우, 필터 계수 h(i,j)(-N≤i≤N, -N≤j≤N)에 대하여 평탄부의 필터 계수(137)를 설정하고, 다음 식(9)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
[수9]
Figure pct00009
비평탄부의 경우, 필터 계수 h(i,j)(-N≤i≤N, -N≤j≤N)에 대하여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38)를 설정하고, 식(6)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 식(6)의 연산을 행하는 경우, 필터 계수로서 정수값 hint(i,j)(-N≤i≤N, -N≤j≤N)을 준비하고, 미리 결정된 단수처리를 위한 오프셋값 R 및 정수값 D를 이용하여 정수제산에 의해 다음 식(10)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면, 부동 소수점 연산을 피할 수 있다.
[수10]
Figure pct00010
화상 신호(103)는 프레임 메모리(113)에 축적된다. 프레임 메모리(113)에 축적된 화상 신호가 참조 화상 신호로서 독출되고, 예측기(117)에 입력된다. 예측기(117)에서는, 참조 화상 신호(108)를 이용하여 예측이 행해지고, 예측 화상 신호(109)가 생성된다. 예측 화상 신호(109)는 신호 처리기(112)에 입력된다. 가변장 부호화기(118)에서는, 잔차 정보(102), 영역 분할 파라미터(111) 및 필터 정보(106)가 가변장 부호화되고, 그들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110)가 생성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4를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동화상 복호 장치는 복호 대상 데이터로서의 부호화 데이터(201)가 입력되는 가변장 복호기(211)를 갖는다. 이 가변장 복호기(211)는 부호화 데이터(201)를 가변장 복호화하고, 잔차 정보(202), 영역 분할 파라미터(209) 및 필터 정보(210)를 출력한다. 가변장 복호기(211)의 잔차 정보 출력단은 잔차 정보(202)와 예측 화상 신호(208)로부터 복호 화상 신호(203)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기(212)에 접속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 출력단 및 필터 정보 출력단은 영역 분할 파라미터(209)에 의해 복호 화상 신호(204)의 영역을 제1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14)와 같이 분류하고, 영역 정보(205)를 생성하는 영역 분할기(214) 및 제1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16)와 같이 영역 정보(205), 필터 정보(210)를 이용하여 복호 화상 신호(2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06)를 생성하는 필터 처리기(215)에 각각 접속된다.
신호 치리기(212)의 출력단은 프레임 메모리(213)에 접속되고, 영역 분할기(214) 및 필터 처리기(215)의 출력단은 필터 처리기(215) 및 프레임 메모리(213)에 접속된다. 프레임 메모리(213)의 복호 화상 신호 독출단은 영역 분할기(214) 및 필터 처리기(215)에 접속되고, 그 참조 화상 신호 출력단은 참조 화상 신호(207)를 이용하여 예측 화상 신호(208)를 생성하는 예측기(216)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의 동화상 복호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동화상 복호에 대하여 도 16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호 대상의 부호화 데이터(201)로서, 도 1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110)가 축적계 또는 전송계를 거쳐 입력된다(S31). 복호 대상의 부호화 데이터(201)에 포함되는 잔차 정보, 영역 분할 파라미터 및 필터 정보의 부호가 가변장 복호화기(211)에 의해 복호되고(S32), 잔차 정보(202), 영역 분할 파라미터(209) 및 필터 정보(210)가 생성된다. 잔차 정보(202)는 신호 처리기(212)에, 영역 분할 파라미터(209)는 영역 분할기(214)에, 필터 정보(210)는 필터 처리기(215)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기(212)에서는, 잔차 정보(202)를 기초로 잔차가 재생되고, 예측 화상 신호(208)와 재생된 잔차로부터 복호 화상 신호(203)가 생성된다. 즉,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잔차 정보(202)로서 양자화된 직교 변환 계수가 역양자화기(219)에 의해 역양자화된다(S33). 역양자화된 직교 변환 계수는 역직교 변환기(220)에 의해 역직교 변환되는 것에 의해, 잔차 신호(218)가 생성된다(S34). 가산기(221)에서는 잔차 신호(218)에 예측 화상 신호(208)가 가산되는 것에 의해, 복호 화상 신호(203)가 얻어진다(S35).
복호 화상 신호(203)는 프레임 메모리(213)에 축적되고(S36), 프레임 메모리(213)로부터 독출되는 복호 화상 신호(204)는 영역 분할기(214) 및 필터 처리기(215)에 입력된다. 영역 분할기(214)에서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209)에 의해 복호 화상 신호(204)의 영역이 제1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14)와 같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205)가 생성된다(S37). 영역 정보(205)는 필터 처리기(215)에 입력된다. 필터 처리기(215)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16)와 같이 영역 정보(205) 및 필터 정보(210)를 이용하여 복호 화상 신호(204)에 대하여 필터 처리가 행해지고, 화상 신호(206)가 생성된다(S38). 화상 신호(206)는 출력 화상 신호로서 출력되고(S39), 프레임 메모리(213)에 축적된다(S40). 프레임 메모리(213)에 축적된 화상 신호가 참조 화상 신호로서 독출되고, 예측기(216)에 입력된다. 예측기(216)에서는 참조 화상 신호(207)를 이용하여 예측이 행해지고, 예측 화상 신호(208)가 생성된다(S41). 예측 화상 신호(208)는 복호 화상 신호(203)를 생성하기 위해 신호 처리기(212)에 입력된다. 부호화 데이터의 입력이 확인되고, 부호화 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 처리는 스텝 S32로 되돌아가고, 부호화 데이터의 입력이 없으면, 처리는 종료한다(S42).
(제3 실시 형태)
도 1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화상 신호(301)는 신호 처리기(310)에 입력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310)에서는, 예측 화상 신호(305)와 입력 화상 신호(301)의 잔차 신호가 생성되고, 잔차 신호를 (예를 들어 DCT 계수로) 변환한 잔차 정보(302)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또, 예측 화상 신호(305)와 잔차 신호(302)로부터 국소 복호 화상 신호(303)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잔차 정보(302)는 가변장 부호화기(315)에 입력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303)는 프레임 메모리(311)에 축적된다. 신호 처리기(310)의 내부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예와 같이 하면 된다.
프레임 메모리(311)로부터 독출되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304)는, 예측기(312), 영역 분할기(313) 및 필터 설계기(314)에 입력된다. 예측기(312)에서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304)를 이용하여 예측이 행해지고, 예측 화상 신호(305)가 생성된다. 예측 화상 신호(305)는 신호 처리기(310)에 입력된다. 영역 분할기(313)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14)와 같이, 입력된 국소 복호 화상 신호(304)의 영역이 미리 결정된 분류 기준으로 분류되고,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306)가 생성된다. 영역 분할기(313)로부터는 분류 기준의 계산 및 그 기준에 따른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307) 및 영역 정보(306)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307)는 가변장 부호화기(315)에 입력되고, 영역 정보(306)는 필터 설계기(314)에 입력된다. 필터 설계기(314)에서는, 영역 정보(306), 입력 화상 신호(3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304)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마다 필터(필터 계수)가 설계된다. 필터의 설계는, 제1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15)와 같이 하면 된다. 설계된 필터에 관한 필터 정보(308)는, 가변장 부호화기(315)에 입력된다. 가변장 부호화기(315)에서는, 잔차 정보(302), 영역 분할 파라미터(307) 및 필터 정보(308)는 가변장 부호화되고, 그들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309)가 생성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호 대상의 부호화 데이터(401)로서, 도 17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309)가 축적계 또는 전송계를 거쳐 입력된다. 복호 대상의 부호화 데이터(401)에는, 잔차 정보, 영역 분할 파라미터 및 필터 정보의 부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각 부호는 가변장 복호화기(410)에 의해 복호되는 것에 의해, 잔차 정보(402), 영역 분할 파라미터(407) 및 필터 정보(408)가 출력된다. 잔차 정보(402)는 신호 처리기(411)에, 영역 분할 파라미터(407)는 영역 분할기(414)에, 필터 정보(408)는 필터 처리기(415)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기(411)에서는 잔차 정보(402)를 기초로 잔차가 재생되고, 예측 화상 신호(405)와 재생된 잔차로부터 복호 화상 신호(403)가 생성된다. 신호 처리기의 내부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의 예와 같이 하면 된다.
복호 화상 신호(403)는 영역 분할기(414), 필터 처리기(415) 및 프레임 메모리(412)에 입력된다. 영역 분할기(414)에서는, 제3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313)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407)와 복호 화상 신호(403)로부터 영역 정보(409)가 생성된다. 영역 정보(409)는 필터 처리기(415)에 입력된다. 필터 처리기(415)는, 제1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16)와 같이 영역 정보(409) 및 필터 정보(408)를 이용하여 복호 화상 신호(403)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406)를 생성한다. 화상 신호(406)는 출력 화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프레임 메모리(412)에 축적된 복호 화상 신호는 참조 화상으로서 독출되고, 예측기(413)에 입력된다. 예측기(413)에서는 참조 화상 신호(404)를 이용하여 예측이 행해지고, 예측 화상 신호(405)가 생성된다. 예측 화상 신호(405)는 신호 처리기(411)에 입력된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105), 입력 화상 신호(101) 및 국소 복호 화상(104)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각 분류에 필터가 적용될지 여부의 정보(이하,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로서 출력된다.
도 19를 이용하여 필터 설계기(1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영역 분할기(114)의 예와 같이 영역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2분류하고, 각각에 대하여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경우의 필터 설계기(115)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영역 정보(105)는 전환 제어기(149)에 입력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기(150)에 입력되고, 입력 화상 신호(101)는 입력 화상 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기(151)에 입력된다.
전환 제어기(149)는 영역 정보(105)를 기초로 전환기(150), 전환기(151), 평탄부 필터 설계기(152) 및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53)를 제어한다. 또, 전환 제어기(149)는 평탄부, 비평탄부 각각에 대하여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고,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46)를 출력한다.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전환 제어기(149)에 있어서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 및 입력 화상 신호(101)와 함께 평탄부 필터 설계기(152)에 입력된다. 영역이 비평탄부이고, 또 전환 제어기(149)에 있어서 비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있는 경우,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 및 입력 화상 신호(101)는 함께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53)에 입력된다.
평탄부 필터 설계기(152)에서는, 평탄부에 분류된 입력 화상 신호(1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필터가 설계되고, 평탄부의 필터 계수(147)가 출력된다.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53)에서는, 비평탄부에 분류된 입력 화상 신호(1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필터가 설계되고,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48)가 출력된다. 평탄부 필터 설계기(152) 및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53) 어느 쪽에 있어서도, 입력 화상 신호(101)와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로부터 Wiener-Hopf 방정식을 구성하여 해를 구하는 것에 의해, 입력 화상 신호(101)와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 신호와의 이승오차를 최소로 하는 필터를 설계할 수 있다.
전환 제어기(149)로부터 출력된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46)는 필터 정보 다중화기(154)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 다중화기(154)에서는,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46)에 기초하여 필터 정보에 필요한 필터 계수가 선택되고,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46), 선택한 필터 계수가 다중화된 필터 정보(106)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전환 제어기(149)에 있어서 평탄부에만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지정된 경우, 도 19에 나타나는 테이블의 정보가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46)로서 필터 정보 다중화기(154)에 입력되고, 필터 정보 다중화기(154)에서는, 필터가 적용되는 평탄부의 필터 계수(147)와 도 19의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가 다중화된 필터 정보(106)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16)는, 영역 정보(105)와 필터 정보(1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7)를 생성한다.
도 21을 이용하여 필터 처리기(11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영역 분할기(114)의 예와 같이 영역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하여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경우의 필터 처리기(116)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역 정보(105)는 전환 제어기(161)에,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는 평탄부 필터 처리기(162),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63) 및 신호 전환기(164)에, 필터 정보(106)는 필터 정보 분리기(160)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 분리기(160)에서는 필터 정보(106)가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55) 및 필터 계수로 분리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55)는 전환 제어기(161)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106)에 평탄부의 필터 계수가 존재하면, 평탄부의 필터 계수(156)는 평탄부 필터 처리기(162)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106)에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가 존재하면,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57)는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63)에 입력된다.
전환 제어기(161)는 영역 정보(105)와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55)를 기초로 평탄부 필터 처리기(162),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63) 및 신호 전환기(164)를 제어한다. 영역 정보(105)로부터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55)에 의해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평탄부 필터 처리기(162)에서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평탄부의 필터 계수(156)로 필터 처리가 행해지고,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58)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58)는 평탄부 필터 처리기(162)로부터 출력되고, 신호 전환기(164)를 통하여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영역이 비평탄부이고, 또 비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63)에서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157)로 필터 처리가 행해지고,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59)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59)는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63)로부터 출력되고, 신호 전환기(164)를 통하여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가 신호 전환기(164)를 통하여,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영역이 비평탄부이고, 비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4에 나타나는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기(215)는 도 21에 나타나는 제5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16)는, 영역 정보(105)와 필터 정보(1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7)를 생성한다.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7에 나타나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의 필터 설계기(314)는 도 19에 나타나는 제5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15)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8 실시 형태)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8에 나타나는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기(415)는 도 21에 나타나는 제5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9 실시 형태)
제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105), 입력 화상 신호(101) 및 국소 복호 화상(104)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106)로서 출력된다.
필터 설계기(115)에 대하여 영역 분할기(114)의 예와 같이 영역이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영역 정보(105)는 제어기(168)에 입력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는 평탄부 필터 설계기(169) 및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70)에 입력되고, 입력 화상 신호(101)는 평탄부 필터 설계기(169) 및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70)에 입력된다. 제어기(168)는 영역 정보(105)를 기초로 평탄부 필터 설계기(169) 및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70)를 제어한다. 또, 제어기(168)는 평탄부 및 비평탄부 각각에 대하여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고,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65)를 출력한다.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제어기(168)에 있어서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평탄부 필터 설계기(169)에서는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 및 입력 화상 신호(101)로부터 미리 준비된 필터 계수에서 적용할 필터 계수가 선택되고, 선택된 필터 계수를 나타내는 인덱스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필터 계수와 그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 입력 화상 신호와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한 화상의 오차를 최소로 하는 필터 계수가 선택되고, 선택된 필터 계수와 대응하는 인덱스가 출력된다. 인덱스(166)는 필터 정보 다중화기(171)에 입력된다. 영역이 비평탄부이고, 또 제어기(168)에 있어서 비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비평탄부 필터 설계기(170)에서는 평탄부 필터 설계기(169)와 같이 필터 계수가 선택되고, 그와 대응하는 인덱스가 출력된다. 인덱스(167)는 필터 정보 다중화기(171)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 다중화기(171)에서는,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65)에 기초하여 필터 정보에 필요한 인덱스가 선택되고,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65) 및 선택한 인덱스가 다중화된 필터 정보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168)에 있어서 평탄부에만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지정되고, 평탄부 필터 설계기(169)에서 인덱스(1)의 필터 계수가 선택되어 있었던 경우, 도 20에 나타나는 테이블의 정보가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65)로서 필터 정보 다중화기(171)에 입력되고, 필터 정보 다중화기(171)에서는, 평탄부의 필터 계수의 인덱스(1)와 도 20의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가 다중화된 필터 정보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16)는, 영역 정보(105)와 필터 정보(1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7)를 생성한다.
필터 처리기(116)에 대하여 영역 분할기(114)의 예와 같이 영역이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도 2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영역 정보(105)는 전환 제어기(178)에,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는 평탄부 필터 처리(179),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80) 및 신호 전환기(181)에, 필터 정보(106)는 필터 정보 분리기(177)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 분리기(177)에서는 필터 정보(106)가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72) 및 필터 계수의 인덱스로 분리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72)는 전환 제어기(178)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106)에 평탄부의 필터 계수의 인덱스가 존재하면, 평탄부의 필터 계수의 인덱스(173)는 평탄부 필터 처리기(179)에 입력된다. 필터 정보(106)에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의 인덱스가 존재하면,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의 인덱스(174)는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80)에 입력된다.
전환 제어기(178)는 영역 정보(105)와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72)를 기초로 평탄부 필터 처리기(179),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80) 및 신호 전환기(181)를 제어한다. 영역 정보(105)로부터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172)에 의해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평탄부 필터 처리기(179)에서는 평탄부의 필터 계수의 인덱스로부터 필터 계수가 선택되고, 선택된 필터 계수에 의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필터 처리가 행해지고,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75)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75)는 평탄부 필터 처리기(179)로부터 출력되고, 신호 전환기(181)를 통하여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영역이 비평탄부이고, 또 비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80)에서는 비평탄부의 필터 계수의 인덱스로부터 필터 계수가 선택되고, 선택된 필터 계수에 의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에 대하여 필터 처리가 행해지고,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76)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된 화상 신호(176)는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80)로부터 출력되고, 신호 전환기(181)를 통하여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국소 복호 화상 신호(104)가 신호 전환기(181)를 통해, 필터 처리기(116)의 외부로 출력된다. 영역이 비평탄부이고, 비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영역이 평탄부이고, 또 평탄부에 필터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10 실시 형태)
제1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4에 나타나는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기(215)는 도 24에 나타나는 제9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11 실시 형태)
제1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7에 나타나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설계기(115)는 도 22에 나타나는 제9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12 실시 형태)
제1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8에 나타나는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기(415)는 도 24에 나타나는 제9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13 실시 형태)
도 25를 이용하여 제1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514)에 신호 처리기(512)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 신호(503)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예측기(517)로부터의 예측 모드 정보(519)가 영역 분할기(514)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514)에서는 예측 모드 정보(519)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505)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또,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511)로서 예측 모드 정보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예측 모드 정보로서 블록 단위에 화면 내 예측 모드 및 화면 간 예측 모드의 2종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영역 분할기(514)에서는, 예측 모드 정보(519)에 의해 영역이 화면 내 예측 모드인 블록(이하, 화면 내 예측 블록) 및 화면 간 예측 모드인 블록(이하, 화면 간 예측 블록)으로 분류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로서 도 26에 나타나는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영역 분할기(514)로부터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511)로서 예측 모드 정보가, 영역 정보(505)로서 도 26에 나타나는 테이블이 출력된다.
예측기(517)에 있어서 블록 단위로 소수 화소 정도의 움직임 보상 예측이 행해지는 경우, 예측 모드 정보(519)를 각 블록의 움직임 벡터로서, 움직임 벡터가 소수 화소 위치를 가리키는지 정수 화소 위치를 가리키는지에 의해 블록을 분류해도 된다.
(제14 실시 형태)
도 27을 이용하여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614)에 프레임 메모리(613)로부터의 복호 화상 신호(604)의 입력이 없는 점이 제2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614)에서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609)에 의해 제13 실시 형태의 영역분할기(514)와 같이 화상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605)가 생성된다.
(제15 실시 형태)
도 28을 이용하여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713)에 신호 처리기(710)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 신호(703)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예측기(712)로부터의 예측 모드 정보(716)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3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713)에서는 예측 모드 정보(716)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706)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또,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707)로서 예측 모드 정보가 출력된다. 예측 모드 정보로서는, 제13 실시 형태의 예와 같고, 화면 내ㆍ화면 간 예측 모드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16 실시 형태)
도 29를 이용하여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814)에 프레임 메모리(812)로부터의 복호 화상 신호(804)의 입력이 없는 점이 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814)에서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807)에 의해 제15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713)와 같이 화상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809)가 생성된다.
(제17 실시 형태)
제1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5에 나타나는 제1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5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505), 입력 화상 신호(5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504)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506)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516)는, 영역 정보(505)와 필터 정보(5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5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507)를 생성한다.
(제18 실시 형태)
제1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7에 나타나는 제1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기(615)는 제17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5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615)는, 영역 정보(605)와 필터 정보(6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 신호(6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507)를 생성한다.
(제19 실시 형태)
제1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8에 나타나는 제1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설계기(714)는 제17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515)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71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706), 입력 화상 신호(7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704)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708)로서 출력된다.
(제20 실시 형태)
제2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9에 나타나는 제16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기(815)는 제17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5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815)는, 영역 정보(809)와 필터 정보(808)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 신호(803)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806)를 생성한다.
(제21 실시 형태)
제2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5에 나타나는 제1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5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505), 입력 화상 신호(501), 국소 복호 화상(504)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506)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516)는, 영역 정보(505)와 필터 정보(5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국소 복호 화상 신호(5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507)를 생성한다.
(제22 실시 형태)
제2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7에 나타나는 제1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기(615)는 제21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5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615)는, 영역 정보(605)와 필터 정보(6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6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606)를 생성한다.
(제23 실시 형태)
제2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8에 나타나는 제1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714)는 제21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5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24 실시 형태)
제2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9에 나타나는 제16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815)는 제21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5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25 실시 형태)
도 30을 이용하여 제2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926)에 가산기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양자화기(918)로부터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926)에서는 양자화 파라미터(929)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914)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또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913)로서 양자화 파라미터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블록 단위에 양자화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영역 분할기(926)에서는, 양자화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각 블록을 세밀하게 양자화된 영역 및 엉성하게 양자화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로서 도 31에 나타나는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영역 분할기(926)로부터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913)로서 양자화 파라미터와 역치가, 영역 정보(914)로서 도 31에 나타나는 테이블의 정보가 출력된다.
(제26 실시 형태)
도 32를 이용하여 제2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15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017)에 프레임 메모리(1019)로부터의 복호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는 점이 다르다. 영역 분할기(1017)에서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에 의해 제25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926)와 같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1007)가 생성된다.
(제27 실시 형태)
도 33을 이용하여 제27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신호 처리부가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123)에 프레임 메모리(1108)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양자화기(1116)로부터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3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1123)에서는 미리 결정된 역치와 양자화 파라미터(1125)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1111)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또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1112)로서 양자화 파라미터와 역치가 출력된다.
(제28 실시 형태)
도 34를 이용하여 제28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신호 처리부가 도 15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218)에 프레임 메모리(1216)로부터의 복호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는 점이 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1218)에서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1209)에 의해 제27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123)와 같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1211)가 생성된다.
(제29 실시 형태)
제2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0에 나타나는 제2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928)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914), 입력 화상 신호(9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908)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928)는, 영역 정보(914)와 필터 정보(915)로부터의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908)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909)를 생성한다.
(제30 실시 형태)
제3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2에 나타나는 제26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는 제29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018)는, 영역 정보(1007)와 필터 정보(1012)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 신호(1006)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08)를 생성한다.
(제31 실시 형태)
제3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3에 나타나는 제27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는 제29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927)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112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1111), 입력 화상 신호(1101), 국소 복호 화상 신호(1108)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1113)로서 출력된다.
(제32 실시 형태)
제3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4에 나타나는 제28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는 제29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219)는, 영역 정보(1211)와 필터 정보(12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 신호(1205)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208)를 생성한다.
(제33 실시 형태)
제3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0에 나타나는 제2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927)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914), 입력 화상 신호(901) 및 국소 복호 화상(908)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915)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928)는, 영역 정보(914)와 필터 정보(915)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국소 복호 화상 신호(908)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909)를 생성한다.
(제34 실시 형태)
제3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2에 나타나는 제26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는 제33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018)는, 영역 정보(1007)와 필터 정보(1012)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1006)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08)를 생성한다.
(제35 실시 형태)
제3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3에 나타나는 제27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124)는 제33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927)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112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1111), 입력 화상 신호(1101) 및 국소 복호 화상(1108)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1113)로서 출력된다.
(제36 실시 형태)
제3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4에 나타나는 제28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는 제33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219)는, 영역 정보(1211)와 필터 정보(12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1205)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208)를 생성한다.
(제37 실시 형태)
제3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처리에 이용하는 국소 복호 화상의 화소의 범위(이하, 필터 창 사이즈로 한다)를 영역마다 다르도록 미리 복호 장치와 공통으로 설정해 놓고, 영역마다 다른 필터 창 사이즈로 필터 처리를 행한다.
영역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2분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미리 평탄부에 대하여는 큰 필터 창 사이즈, 비평탄부에 대하여는 작은 필터 창 사이즈로 설정해 둔다. 예를 들어, 평탄부의 경우, 식(9)에 있어서 N=3, 비평탄부의 경우 N=1로 한다. 필터 처리기(116)의 평탄부 필터 처리기(143) 및 비평탄부 필터 처리기(144)에서는 미리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필터 처리가 행해진다.
화상의 에지 등을 포함하는 비평탄부에 대하여는 작은 필터 창 사이즈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필터의 평활화 효과를 억제하고, 필터 처리 후의 화상의 에지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4, 6, 8 실시 형태의 복호 장치, 제5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영역마다 다른 미리 결정된 필터 창 사이즈에 의해 필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38 실시 형태)
제38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단,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가 추가되고,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319)가, 필터 설계기(1315), 필터 처리기(1316), 가변장 부호화기(1318)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에서는, 분류되는 영역마다 필터 창 사이즈가 설정되고, 설정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319)가 출력된다. 필터 창 사이즈의 설정에 대하여는, 부호화기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부호화하는 영상에 맞추어 경험적으로 설정하여도 되고, 또 사전에 어느 정도의 다른 필터 창 사이즈에서 영상의 가부호화를 행하고,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화상이 고화질인 필터 창 사이즈를 선택하여 설정하여도 된다.
필터 설계기(1315)에서는, 입력 화상(1301), 국소 복호 화상(1304), 영역 정보(1305) 및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319)를 이용하여, 영역마다 Wiener-Hopf 방정식을 구성하여 해를 구하는 것에 의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304)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과 입력 화상 신호(1301)와의 이승오차를 최소로 하는 필터를 영역마다 설계할 수 있다. 설계된 필터 계수에 관한 필터 정보(1306)가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316)에서는, 영역 정보(1305), 국소 복호 화상(1304), 필터 정보(1306)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를 이용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307)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는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에 의해 영역마다 지정된 필터 창 사이즈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화상 신호(1307)는 프레임 메모리(1313)에 기억된다. 이 프레임 메모리(1313)로부터 독출되는 화상 신호(1308)가 예측기(1317)에서 예측 신호(1309)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가변장 부호화기(1318)에서는, 잔차 정보(1302), 영역 분할 파라미터(1311), 필터 정보(1306)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가 가변장 부호화되고, 그들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가 생성된다.
(제39 실시 형태)
제39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4에 나타나는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단, 가변장 복호기(1411)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 정보(1417)가, 필터 처리기(1415)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 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8 실시 형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축적계 또는 전송계를 거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1411)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401)가 복호되고, 잔차 정보(1402), 영역 분할 파라미터(1409), 필터 정보(1410)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417)가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415)에서는, 영역 정보(1405), 복호 화상 신호(1404), 필터 정보(1410)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417)를 이용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406)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는 필터 창 사이즈 정보(1417)에 의해 영역마다 지정된 필터 창 사이즈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 신호 처리기(1412), 프레임 메모리(1413), 영역 분할기(1414) 및 예측기(1416)는 도 14의 신호 처리기(212), 프레임 메모리(213), 영역 분할기(214) 및 예측기(216)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1403, 1407 및 1408은 도 14의 신호 203, 207 및 208에 각각 대응한다.
(제40 실시 형태)
제40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7에 나타나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단,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517)가 추가되고,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517)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 정보(1516)가, 필터 설계기(1514) 및 가변장 부호화기(1515)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517)에서는, 제38 실시 형태의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와 같이 필터 창 사이즈가 설정되고, 설정된 필터 창 사이즈 정보(1516)가 출력된다.
필터 설계기(1514)에서는, 제38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315)와 같이 영역마다의 필터가 설계되고, 필터 정보(1508)가 출력된다.
가변장 부호화기(1515)에서는, 제38 실시 형태의 가변장 부호화기(1318)와 같이 부호화 데이터(1509)가 출력된다.
또, 신호 처리기(1510), 프레임 메모리(1511), 예측기(1512) 및 영역 분할기(1513)는 도 17의 신호 처리기(310), 프레임 메모리(311), 예측기(312), 영역 분리기(313)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및 1507은 도 17의 신호 301, 302, 303, 304, 305, 306 및 307에 각각 대응한다.
(제41 실시 형태)
제4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8에 나타나는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단, 가변장 복호기(1610)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616)가, 필터 처리기(1615)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0 실시 형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축적계 또는 전송계를 거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1610)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601)가 복호되고, 잔차 정보(1602), 영역 분할 파라미터(1607), 필터 정보(1608)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616)가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615)에서는, 영역 정보(1609), 복호 화상 신호(1603), 필터 정보(1608)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616)를 이용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606)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는 영역마다 지정된 필터 창 사이즈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 신호 처리기(1611), 프레임 메모리(1612), 영역 분할기(1614) 및 예측기(1613)는 도 18의 신호 처리기(411), 프레임 메모리(412), 영역 분할기(414) 및 예측기(413)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1604 및 1605는 도 18의 신호 404 및 405에 각각 대응한다.
(제42 실시 형태)
제4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5 실시 형태와 같다. 기본 구성의 도면은, 제38 실시 형태의 도 36과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도 3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가 추가되고,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319)가, 필터 설계기(1315), 필터 처리기(1316) 및 가변장 부호화기(1318)에 입력되어 있는 것이다.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에서는, 제38 실시 형태와 같이 분류되는 영역마다 필터 창 사이즈가 설정되고, 설정된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가 출력된다.
필터 설계기(1315)에서는, 입력 화상(1301), 국소 복호 화상(1304), 영역 정보(1305)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를 이용하여, 필터가 적용되는 영역에 대하여 Wiener-Hopf 방정식을 구성하여 해를 구하는 것에 의해, 국소 복호 화상 신호(1304)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과 입력 화상 신호(1301)와의 이승오차를 최소로 하는 필터를 설계할 수 있다.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 설계된 필터 계수에 관한 필터 정보(1306)가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316)에서는, 영역 정보(1305), 국소 복호 화상(1304), 필터 정보(1306)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를 이용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307)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는, 필터 정보(1306)에 의해 필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정된 영역에 대하여,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에 의해 지정된 필터 창 사이즈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가변장 부호화기(1318)에서는, 잔차 정보(1302), 영역 분활 파라미터(1311), 필터 정보(1306)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319)가 가변장 부호화되고, 그들의 부호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가 생성된다. 단,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319)에 대하여는, 필터 정보(1306)에 의해 필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정된 영역에 대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만이 부호화된다.
(제43 실시 형태)
제4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6 실시 형태와 같다. 기본 구성의 도면은, 제39 실시 형태의 도 37과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도 3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가변장 복호기(1411)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 정보(1417)가, 필터 처리기(1415)에 입력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2 실시 형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축적계 또는 전송계를 거쳐 동화상 복호 장치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1411)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401)가 복호되고, 잔차 정보(1402), 영역 분할 파라미터(1409), 필터 정보(1410)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417)가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415)에서는, 영역 정보(1405), 복호 화상 신호(1404), 필터 정보(1410) 및 필터 창 사이즈 정보(1417)를 이용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406)가 생성된다. 필터 처리는, 필터 정보(1410)에 의해 필터 처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지정된 영역에 대하여,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417)에 의해 지정된 필터 창 사이즈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제44 실시 형태)
제4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7 실시 형태와 같다. 기본 구성의 도면은, 제40 실시 형태의 도 38과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517)가 추가되고,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517)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516)가, 필터 설계기(1514) 및 가변장 부호화기(1515)에 입력되어 있는 것이다.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517)에서는, 제38 실시 형태의 필터 창 사이즈 설정기(1320)와 같이 필터 창 사이즈가 설정되고, 설정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516)가 출력된다.
필터 설계기(1514)에서는, 제42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와 같이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되고, 필터 정보(1508)가 출력된다. 가변장 부호화기(1515)에서는, 제42 실시 형태의 가변장 부호화기(1318)와 같이 부호화 데이터(1509)가 출력된다.
(제45 실시 형태)
제4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8 실시 형태와 같다. 기본 구성의 도면은, 제41 실시 형태의 도 39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8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가변장 복호기(1610)로부터 출력된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616)가, 필터 처리기(1615)에 입력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4 실시 형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축적계 또는 전송계를 거쳐 동화상 복호 장치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1610)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601)가 복호되고, 잔차 정보(1602), 영역 분할 파라미터(1607), 필터 정보(1608) 및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1616)가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615)에서는, 제43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415)와 같이 필터 처리가 행해진다.
(제46 실시 형태)
제4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5에 나타난 제1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예측기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모드 정보(519)가 단방향 예측ㆍ쌍방향 예측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예측 모드 정보(519)로서 블록 단위에 화면 간 단방향 예측 모드 및 화면 간 쌍방향 예측 모드의 2종류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영역 분할기(514)에서는, 영역을 화면 간 단방향 예측 모드인 블록 및 화면 간 쌍방향 예측 모드인 블록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이 분류하는 것에 의해, 화면 내 쌍방향 예측의 평활화 효과에 의해 화상이 흐려져 있는 영역에 대하여는, 평활화 효과가 낮은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화면 내 쌍방향 예측의 평활화 효과와 필터의 평활화 효과에 의해 화상이 과도하게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4, 16, 18, 20, 22 및 24 실시 형태의 복호 장치 및 제15, 17, 19, 21 및 23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단방향 예측 및 쌍방향 예측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영역을 분류하여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
(제47 실시 형태)
제4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25에 나타난 제1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예측기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모드 정보(519)가 움직임 보상 예측에 이용되는 블록 사이즈의 정보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보상 예측에 이용되는 블록 사이즈가 4×4 또는 8×8인 것으로 한다. 이때 예측기로부터는 예측 모드 정보로서 움직임 보상 예측에 이용되는 블록 사이즈의 정보가 출력되고, 영역 분할기에서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4×4블록으로 움직임 보상 예측이 행해지는 영역 및 8×8블록으로 움직임 보상 예측이 행해지는 영역으로 분류된다.
제14, 16, 18, 20, 22 및 24 실시 형태의 복호 장치 및 제15, 17, 19, 21 및 23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움직임 보상 예측에 이용되는 블록 사이즈의 정보에 의해 영역을 분류하여 부호화 및 복호를 행할 수 있다.
(제48 실시 형태)
도 40을 이용하여 제4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726)에 프레임 메모리(1723)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1708)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직교 변환기(1717)로부터의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1729)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1726)에서는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1729)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1714)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또,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1713)로서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1729)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로서 4×4 및 8×8의 2종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영역 분할기(1726)에서는, 4×4블록 단위로 직교 변환이 행해지는지, 8×8블록 단위로 직교 변환이 행해지는지에 의해 영역을 2개로 분류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변환 사이즈에 의해 성질이 다른 부호화 왜곡에 응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9 실시 형태)
도 32를 이용하여 제4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15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017)에 프레임 메모리(1019)로부터의 복호 화상의 입력이 없는 점이 제2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8 실시 형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1013)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1013)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001)를 복호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1011), 필터 정보(1012)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1011)는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이다.
(제50 실시 형태)
도 41을 이용하여 제5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같은 구성의 신호 처리부를 갖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823)에 프레임 메모리(1820)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직교 변환기(1815)로부터의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1825)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3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1823)에서는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1825)에 의해,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1811)가 생성되고, 출력된다. 또 분류에 필요한 영역 분할 파라미터(1812)로서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1825)가 출력된다.
또, 감산기(1814), 양자화기(1816) 역양자화기(1817), 역직교 변환기(1818), 가산기(1819), 예측기(1821), 가변장 부호화기(1822) 및 필터 설계기(1824)는 도 2의 감산기(123), 양자화기(125), 역양자화기(126), 역직교 변환기(127) 및 가산기(128), 그리고 도 17의 예측기(312), 가변장 부호화기(315) 및 필터 설계기(314)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1801, 1802, 1803, 1804, 1805, 1806, 1807, 1808, 1809, 1810 및 1813은 도 2의 신호 101, 119, 120, 102, 121 및 122, 그리고 도 17의 신호 303, 304, 305, 309 및 308에 각각 대응한다.
(제51 실시 형태)
도 34를 이용하여 도 5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15와 같은 구성의 신호 처리부를 갖는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218)에 프레임 메모리(1216)로부터의 복호 화상의 입력이 없는 점이 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50 실시 형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1212)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1212)에서는, 부호화 데이터(1201)를 복호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1209), 필터 정보(1210)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1209)는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의 정보이다.
(제52 실시 형태)
제5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0에 나타나는 제48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727)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1714), 입력 화상 신호(17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708)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1715)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728)는, 영역 정보(1714)와 필터 정보(1715)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1708)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709)를 생성한다.
(제53 실시 형태)
제5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2에 나타나는 제49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018)는 제52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727)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080)는, 영역 정보(1011)와 필터 정보(1012)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 신호(1006)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08)를 생성한다.
(제54 실시 형태)
제5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1에 나타나는 제50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824)는 제52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727)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182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1811), 입력 화상 신호(18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808)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1813)로서 출력된다.
(제55 실시 형태)
제5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4에 나타나는 제5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219)는 제52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7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219)는, 영역 정보(1211)와 필터 정보(12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 신호(1205)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208)를 생성한다.
(제56 실시 형태)
제5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0에 나타나는 제48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727)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영역 정보(1714), 입력 화상 신호(1701), 국소 복호 화상 신호(1708)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1715)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728)는 영역 정보(1714)와 필터 정보(1715)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국소 복호 화상 신호(1708)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709)를 생성한다.
(제57 실시 형태)
제5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2에 나타나는 제49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018)는 제56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7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018)는, 영역 정보(1007)와 필터 정보(1012)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1006)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008)를 생성한다.
(제58 실시 형태)
제5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1에 나타나는 제50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824)는 제56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727)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182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1811), 입력 화상 신호(18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808)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1813)로서 출력된다.
(제59 실시 형태)
제5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34에 나타나는 제5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219)는 제56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7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1219)는, 영역 정보(1211)와 필터 정보(12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1205)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208)를 생성한다.
(제60 실시 형태)
도 42를 이용하여 도 60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1926)에 프레임 메모리(1923)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 신호(1908)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역직교 변환기로부터의 잔차 신호(1906)가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1926)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분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14)와 같다. 단, 분류 기준을 화소 단위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블록 단위로 계산하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에 대한 분류 기준을 C(i)로 할 때, 분류 기준 C(i)가 미리 결정된 역치 T보다 작은지 여부에 의해 영역을 분류한다. 역치 T에 대하여는, 도 42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의 부호화 제어기로부터 값을 부여해도 된다.
분류기준으로서는,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의 잔차 신호의 절대값화, 즉 다음 식(11)에서 구해지는 절대값화를 이용할 수 있다.
[수11]
Figure pct00011
여기서 R(x,y)는 위치 (x,y)의 잔차 신호, B(i)는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에 포함되는 좌표 (x,y)의 집합으로 한다.
또,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의 잔차 신호의 이승화, 즉 다음 식(12)에 의해 구해지는 이승화를 분류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12]
Figure pct00012
또,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의 잔차 신호의 분산, 즉 다음 식(13)에 의해 구해지는 분산을 분류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13]
Figure pct00013
영역 분할기(1926)로부터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1913)와 영역 정보(1914)가 출력된다. 여기서 영역 분할 파라미터로서 출력되는 것은, 역치 T이다.
또, 감산기(1916), 직교 변환기(1917), 양자화기(1918), 역양자화기(1919), 역직교 변환기(1920), 가산기(1921), 예측기(1924), 가변장 부호기(1925), 필터 설계기(1927) 및 필터 처리기(1928)는 도 2의 감산기(123), 직교 변환기(124), 양자화기(125), 역양자화기(126), 역직교 변환기(127), 가산기(128), 예측기(117), 가변장 부호기(118), 필터 설계기(115) 및 필터 처리기(116)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1901, 1902, 1903, 1904, 1905, 1907, 1909, 1910, 1911, 1912 및 1915는 도 2의 신호 101, 119, 120, 102, 121, 103, 107, 108, 109, 110 및 106에 각각 대응한다.
(제61 실시 형태)
도 43을 이용하여 제6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15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2017)에 프레임 메모리(2019)로부터의 복호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고, 역직교 변환기(2015)로부터의 잔차 신호(2004)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2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60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2013)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2013)에서는, 부호화 데이터(2001)를 복호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2011), 필터 정보(2012)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2011)는 영역 분할기(2017)에 있어서 영역을 분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역치이다. 영역 분할기(2017)에서는, 잔차 신호(2004) 및 영역 분할 파라미터(2011)에 의해 제60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926)와 같이 영역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2007)가 생성된다.
또, 역양자화기(2014), 가산기(2016), 필터 처리기(2018) 및 예측기(2020)는 도 15의 역양자화기(219), 가산기(221), 필터 처리기(215) 및 예측기(216)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002, 2003, 2005, 2006, 2008, 2009 및 2010은 도 15의 신호 202, 217, 203, 204, 206, 207 및 208에 각각 대응한다.
(제62 실시 형태)
도 44를 이용하여 제6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같은 구성의 신호 처리부를 갖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2123)에 프레임 메모리(2120)로부터의 국소 복호 화상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역직교 변환기(2118)로부터의 잔차 신호(2106)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3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2123)에서는, 잔차 신호(2106)에 의해 제60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와 같이 영역이 분류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2112)와 영역 정보(2111)가 출력된다. 여기서 영역 분할 파라미터(2112)로서 출력되는 것은, 영역의 분류에 이용된 역치이다.
또, 감산기(2114), 직교 변환기(2115), 양자화기(2116), 역양자화기(2117), 역직교 변환기(2118), 가산기(2119), 예측기(2121), 가변장 부호기(2122), 필터 설계기(2124)는 도 2의 감산기(123), 직교 변환기(124), 양자화기(125), 역양자화기(126), 역직교 변환기(127) 및 가산기(128), 그리고 도 16의 예측기(312), 가변장 부호기(315) 및 필터 설계기(314)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101, 2102, 2103, 2104, 2105, 2107, 2108, 2109, 2110 및 2113은 도 2의 신호 101, 119, 120, 102 및 121, 그리고 도 16의 신호 303, 304, 305, 309 및 308에 각각 대응한다.
(제63 실시 형태)
도 45를 이용하여 제6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15와 같은 구성의 신호 처리부를 갖는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2218)에 프레임 메모리(2216)로부터의 복호 화상 신호의 입력이 없고, 역직교 변환기(2214)로부터의 잔차 신호(2204)의 입력이 있는 점이 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62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2212)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2212)에서는, 부호화 데이터(2201)를 복호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2209) 및 필터 정보(2210)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2209)는 영역 분할기(2218)에 있어서 영역을 분류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역치이다. 영역 분할기(2218)에서는, 잔차 신호(2204) 및 영역 분할 파라미터(2209)에 의해 제60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926)와 같이 영역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2211)가 생성된다.
또, 역양자화기(2213), 가산기(2215), 예측기(2217) 및 필터 처리기(2219)는 도 15의 역양자화기(219) 및 감산기(221), 그리고 도 17의 예측기(413) 및 필터 처리기(415)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202, 2203, 2205, 2206, 2207, 2208 및 2210은 도 15의 신호 202 및 217, 그리고 도 17의 신호 403, 404, 405, 406 및 408에 각각 대응한다.
(제64 실시 형태)
제6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2에 나타나는 제60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927)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1914), 입력 화상 신호(19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1908)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1915)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928)는, 영역 정보(1914)와 필터 정보(1915)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1908)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909)를 생성한다.
(제65 실시 형태)
제6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3에 나타나는 제6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018)는 제64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2018)는, 영역 정보(2007)와 필터 정보(2012)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2006)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008)를 생성한다.
(제66 실시 형태)
제6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4에 나타나는 제62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124)는 제64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927)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212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2111), 입력 화상 신호(2101) 및 국소 복호 화상(2108)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2113)로서 출력된다.
(제67 실시 형태)
제6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5에 나타나는 제6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219)는 제64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2219)는, 영역 정보(2211)와 필터 정보(22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2205)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208)를 생성한다.
(제68 실시 형태)
제6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2에 나타나는 제60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927)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1914), 입력 화상 신호(1901), 국소 복호 화상(1908)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1915)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1928)는, 영역 정보(1914)와 필터 정보(1915)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국소 복호 화상(1908)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1909)를 생성한다.
(제69 실시 형태)
제6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3에 나타나는 제6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018)는 제68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2018)는, 영역 정보(2007)와 필터 정보(2012)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2006)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008)를 생성한다.
(제70 실시 형태)
제7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4에 나타나는 제62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124)는 제68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1927)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212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2111), 입력 화상 신호(21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2108)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2113)로서 출력된다.
(제71 실시 형태)
제7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5에 나타나는 제6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219)는 제68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1928)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2219)는, 영역 정보(2211)와 필터 정보(22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2205)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208)를 생성한다.
(제72 실시 형태)
도 46을 이용하여 제7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3 실시 형태의 도 25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2314)에 예측기(2317)로부터의 예측 모드 정보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부호화 제어기(2320)로부터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2319)의 입력이 있는 점, 부호화 제어기(2320)로부터 가변장 부호화기(2318)에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의 입력이 있는 점, 및 영역 분할기(2314)로부터 가변장 부호화기(2318)에의 영역 분할 파라미터의 출력이 없는 점이 제13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2314)는, 부호화 제어기(2320)로부터 입력되는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을 잔차가 존재하는 영역 및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분류한다. 입력되는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H.264/MPEG-4AVC에 있어서, 매크로블록이 스킵 모드에서 부호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인 mb_skip_flag에 상당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나 매크로블록의 잔차가 존재하는 블록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인 coded_block_pattern에 상당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이용할 수 있다.
가변장 부호화기(2318)에서는, 잔차 정보(2302), 필터 정보(2306) 및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2319)가 부호화된다.
잔차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예측 화상이 쌍방향 예측의 평활화 효과나 소수 화소 위치의 보간 필터의 평활화 효과에 의해 흐려져 있었던 경우, 예측 화상이 그대로 국소 복호 화상에 이용되기 때문에, 예측 화상의 흐림의 영향을 받는다. 잔차의 유무에 의해 영역을 분류하는 것에 의해, 흐려지기 쉬운 잔차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평활화 효과가 낮은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상이 과도하게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기(2312), 프레임 메모리(2313), 필터 설계기(2315) 및 필터 처리기(2316)는 도 24의 신호 처리기(512), 프레임 메모리(513), 필터 설계기(515) 및 필터 처리기(516)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301, 2303, 2304, 2305, 2307, 2308, 2309 및 2310은 도 24의 신호 501, 503, 504, 505, 507, 508, 509 및 510에 각각 대응한다.
(제73 실시 형태)
제7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4 실시 형태의 도 27와 같다. 단, 영역 분할 파라미터 대신에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609)가 영역 분할기(614)에 입력되는 점이 제1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72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611)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611)에서는, 부호화 데이터(601)를 복호하고,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609) 및 필터 정보(610)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기(614)에서는,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609)에 의해 제72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2316)와 같이 영역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605)가 생성된다.
(제74 실시 형태)
도 47을 이용하여 제7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5 실시 형태의 도 28과 같다. 단, 영역 분할기(2413)에 예측기(2412)로부터의 예측 모드 정보의 입력이 없고, 대신에 부호화 제어기(2416)로부터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2407)의 입력이 있는 점, 부호화 제어기(2416)로부터 가변장 부호화기(2415)에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2407)의 입력이 있는 점, 및 영역 분할기(2413)로부터 가변장 부호화기(2415)로의 영역 분할 파라미터의 출력이 없는 점이 제15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2413)에서는,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2407)에 의해 제72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2314)와 같이 영역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2406)가 출력된다. 가변장 부호화기(2415)에서는, 잔차 정보(2402), 필터 정보(2408),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2407)가 부호화된다.
또, 신호 처리기(2410), 프레임 메모리(2411) 및 필터 설계기(2414)는 도 27의 신호 처리기(710), 프레임 메모리(711) 및 필터 설계기(714)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401, 2403, 2404, 2405 및 2409는 도 27의 신호 701, 703, 704, 705 및 709에 각각 대응한다.
(제75 실시 형태)
제7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6 실시 형태의 도 29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814)에 영역 분할 파라미터 대신에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807)가 입력되는 점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74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810)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810)에서는, 부호화 데이터(801)를 복호하고,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807) 및 필터 정보(808)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기(814)에서는, 잔차의 유무에 관한 정보(807)에 의해 제72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2314)와 같이 영역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809)가 생성된다.
(제76 실시 형태)
제7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6에 나타나는 제72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3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2305), 입력 화상 신호(23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2304)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2306)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2316)는, 영역 정보(2305)와 필터 정보(23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23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307)를 생성한다.
(제77 실시 형태)
제7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7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615)는 제76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3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615)는, 영역 정보(605)와 필터 정보(6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6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606)를 생성한다.
(제78 실시 형태)
제7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7에 나타나는 제7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414)는 제76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315)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241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2406), 입력 화상 신호(2401) 및 국소 복호 화상(2404)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2408)로서 출력된다.
(제79 실시 형태)
제7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7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815)는 제76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3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815)는, 영역 정보(809)와 필터 정보(808)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803)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806)를 생성한다.
(제80 실시 형태)
제8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6에 나타나는 제72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3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2305), 입력 화상 신호(2301) 및 국소 복호 화상(2304)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2306)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2316)는, 영역 정보(2305)와 필터 정보(239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국소 복호 화상(23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307)를 생성한다.
(제81 실시 형태)
제8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73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614)는 제80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3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614)는, 영역 정보(605)와 필터 정보(6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6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606)를 생성한다.
(제82 실시 형태)
제8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7에 나타나는 제7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414)는 제80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315)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241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2406), 입력 화상 신호(24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2404)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2408)로서 출력된다.
(제83 실시 형태)
제8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7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815)는 제80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3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815)는, 영역 정보(809)와 필터 정보(808)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803)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806)를 생성한다.
(제84 실시 형태)
도 48을 이용하여 제8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2714)에 입력 화상 신호(2701)가 입력되어 있는 점, 및 영역 분할 파라미터로서 영역 정보(2705)가 가변장 부호화기(2718)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2714)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분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114)와 같다. 단, 분류 기준을 화소 단위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블록 단위로 계산하는 점, 및 영역 분할기(2714)에 의해 분류 기준이 입력 화상 신호(2701)와 국소 복호 화상 신호(2704)로부터 계산되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에 대한 분류 기준을 C'(i)로 할 때, 분류 기준 C'(i)가 미리 결정된 역치 T보다 작은지 여부에 의해 영역을 분류한다. 역치 T에 대하여는, 도 48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의 부호화 제어기로부터 부여해도 된다.
분류 기준으로서는,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의 부호화 오차의 절대값화, 즉 다음 식(14)에 의해 구해지는 절대값화를 이용할 수 있다.
[수14]
Figure pct00014
여기서 Sorg(x,y)는 위치 (x,y)의 입력 화상 신호의 화소이다.
또,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의 부호화 오차의 이승화, 즉 다음 식(15)에 의해 구해지는 이승화를 분류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15]
Figure pct00015
또, 래스터 스캔 순으로 위치 i에 있는 블록의 부호화 오차의 분산, 즉 다음 식(16)에 의해 구해지는 분산을 분류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16]
Figure pct00016
영역 분할기(2714)로부터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2705)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C'SSD(i)<T일 때 「부호화 오차가 작은 블록」, 그 이외일 때 「부호화 오차가 큰 블록」으로서 영역을 분류하는 경우,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는 도 52와 같이 나타낸다. 출력된 영역 정보(2705)는 필터 설계기(2715), 필터 처리기(2716) 및 가변장 부호화기(2718)에 입력된다.
본 실시 형태처럼 영역 분할 파라미터로서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를 복호 장치에 송신하면, 부호화 장치가 입력 화상, 부호화 왜곡 등 복호 장치쪽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을 분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복호 장치는 영역 정보에 의해 부호화 장치와 같이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기(2712), 프레임 메모리(2713) 및 예측기(2717)는 도 2의 신호 처리기(112), 프레임 메모리(113) 및 예측기(117)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702, 2703, 2706, 2707, 2708, 2709 및 2710은 도 2의 신호 102, 103, 106, 107, 108, 109 및 110에 각각 대응한다.
(제85 실시 형태)
도 49를 이용하여 제8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5의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필터 처리기에 영역 분할 파라미터가 직접 입력되어 있는 점이 제2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84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2811)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2811)는, 부호화 데이터(2801)를 복호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2809) 및 필터 정보(2810)를 출력한다. 필터 처리기(2815)에서는, 필터 계수(2810) 및 영역 분할 파라미터(2809)를 이용하여 복호 화상(2804)에 필터 처리가 행해지고, 화상 신호(2806)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2809)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이므로, 제2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14)와 같이 필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기(2812), 프레임 메모리(2813) 및 예측기(2816)는 도 15의 신호 처리기(212), 프레임 메모리(213) 및 예측기(216)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802, 2803, 2804, 2807 및 2808은 도 15의 202, 203, 204, 207 및 208에 각각 대응한다.
(제86 실시 형태)
도 50을 이용하여 제8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7의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2913)에 입력 화상 신호(2901)가 입력되어 있는 점, 및 영역 분할 파라미터로서 영역 정보(2906)가 가변장 부호화기(2915)에 입력되어 있는 점이 제3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영역 분할기(2913)에서는, 제84 실시 형태의 영역 분할기(2714)와 같이 영역이 분류되고, 영역 정보(2906)가 출력된다.
또, 신호 처리기(2910), 프레임 메모리(2911) 및 예측기(2912)는 신호 처리기(310), 프레임 메모리(113) 및 예측기(312)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2902, 2903, 2904, 2905, 2907, 2908 및 2909는 도 16의 신호 302, 303, 304, 305, 307, 308 및 309에 각각 대응한다.
(제87 실시 형태)
도 51를 이용하여 제8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18의 제4 실시 형태와 같다. 단, 영역 분할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필터 처리기(3015)에 영역 분할 파라미터(3007)가 직접 입력되어 있는 점이 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86 실시 형태의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가변장 복호기(3010)에 입력된다. 가변장 복호기(3010)는, 부호화 데이터(3001)를 복호하고, 영역 분할 파라미터(3007) 및 필터 정보(3008)를 출력한다. 필터 처리기(3015)에서는, 필터 계수(3008) 및 영역 분할 파라미터(3007)를 이용하여 복호 화상(3003)에 필터 처리가 행해지고, 화상 신호(3006)가 출력된다. 영역 분할 파라미터(3007)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이므로, 제2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14)와 같이 행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기(3011), 프레임 메모리(3012) 및 예측기(3013)는 도 17의 신호 처리기(411), 프레임 메모리(412) 및 예측기(413)에 각각 대응한다. 또, 신호 3002, 3003, 3004, 3005 및 3006은 도 18의 신호 402, 403, 404, 405 및 406에 각각 대응한다.
(제88 실시 형태)
제8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8에 나타나는 제8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7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2705), 입력 화상 신호(27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2704)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2706)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2716)는, 영역 정보(2705)와 필터 정보(27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국소 복호 화상 신호(27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716)를 생성한다.
(제89 실시 형태)
제8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9에 나타나는 제8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815)는 제88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7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2815)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2809)로서 얻어지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와 필터 정보(28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28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806)를 생성한다.
(제90 실시 형태)
제9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50에 나타나는 제86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914)는 제88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715)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2914)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영역 정보(2906), 입력 화상 신호(2901) 및 국소 복호 화상(2904)에 의해,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 필터가 설계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가 필터 정보(2908)로서 출력된다.
(제91 실시 형태)
제9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51에 나타나는 제87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3015)는 제88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715)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3015)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3007)로서 얻어지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와 필터 정보(3008)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복호 화상(3003)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3006)를 생성한다.
(제92 실시 형태)
제9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7에 나타나는 제84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7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2705), 입력 화상 신호(2701) 및 국소 복호 화상(2704)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2706)로서 출력된다.
필터 처리기(2716)는, 영역 정보(2705)와 필터 정보(2706)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국소 복호 화상(27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716)를 생성한다.
(제93 실시 형태)
제9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49에 나타나는 제85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815)는 제92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7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2815)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2809)로서 얻어지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와 필터 정보(2810)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2804)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2806)를 생성한다.
(제94 실시 형태)
제9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50에 나타나는 제86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914)는 제92 실시 형태의 필터 설계기(2715)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설계기(2715)에서는, 영역의 분류마다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지정되고, 필터를 적용하는 분류에 대하여는 영역 정보(2906), 입력 화상 신호(2901) 및 국소 복호 화상 신호(2904)에 의해,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가 선택된다. 필터 적용ㆍ비적용 정보와 적용하는 분류의 필터 계수를 지정하는 정보가 필터 정보(2908)로서 출력된다.
(제95 실시 형태)
제9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51에 나타나는 제87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3015)는 제92 실시 형태의 필터 처리기(2716)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필터 처리기(2619)는, 영역 분할 파라미터(3007)로서 얻어지는, 영역과 분류의 대응을 나타내는 영역 정보와 필터 정보(3008)로부터 영역과 대응하는 분류에 응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 및 적용하지 않는 영역을 판정하고, 필터를 적용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미리 준비된 필터에서 적용할 필터를 선택하여 복호 화상 신호(3003)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고, 화상 신호(3006)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내의 영역을 미리 결정된 기준으로 분류하여 영역 분할을 행하고,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설계를 행하는 것에 의해, 부호화 대상 화상과 참조 화상의 오차 및 부호화 대상 화상과 출력 화상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한 본 발명의 수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고, 또,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자기 디스크(플렉셔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 디스크(CD-ROM, DVD 등),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반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보여지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는 다양한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 있어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서 나타나는 전 구성 요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고, 발명의 효과의 적어도 하나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을 발명으로 추출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는, 통신 미디어, 축적 미디어 및 방송 미디어 등에 있어서 화상 압축 처리에 사용된다.

Claims (52)

  1. 예측 화상을 생성하는 예측부와,
    예측 화상과 입력 화상의 예측 잔차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여 변환 계수를 생성하는 직교 변환부와,
    상기 변환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와,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하여 역직교 변환을 행하고, 상기 예측 잔차에 대응하는 국소 복호 잔차를 구하는 역직교 변환부와,
    상기 국소 복호 잔차와 상기 예측 화상을 가산하여 국소 복호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부와,
    소정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분류된 영역마다의 필터 계수를 설계하는 설계부와,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분류된 영역마다의 상기 필터 계수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류된 영역마다의 상기 필터 계수에 따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측부는, 필터 처리가 실시된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예측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부는,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것과 함께, 필터를 적용해야 하는 영역에 대한 필터를 설계하고,
    상기 필터링부는,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전환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부는,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것과 함께, 필터를 적용해야 하는 영역에 대한 필터를 설계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영역의 분류에 이용하는 상기 파라미터,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 및 필터 처리가 적용되는 영역에 대한 필터 계수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화소값에 응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부호화 파라미터에 응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예측 잔차에 대응하는 국소 복호 잔차에 응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미리 준비된 복수의 분류 기준 중 하나의 분류 기준을 이용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고, 영역 분류에 이용한 분류 기준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소정의 역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에 응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고, 상기 역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화소와 그 주변의 화소의 절대값 차분의 평균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화소와 그 주변의 화소의 절대값 차분의 최대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화소의 주변의 영역의 화상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고, 미리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성분의 양을 나타내는 값을 구하여, 그 값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화소의 주변의 영역의 화상 신호에 고역 통과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각 화소의 화소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차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의 화소값의 절대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대하여 적용된 예측이 화면 내 예측인지 화면 간 예측인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예측에 이용된 움직임 벡터가 가리키는 화소 위치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과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의 값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8. 제 3 항에 있어서,
    분류된 영역마다 다르도록 미리 설정된 필터 창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분류된 영역마다 필터 창 사이즈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분류된 영역마다 설정된 상기 필터 창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와,
    분류된 영역마다의 상기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를 부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 예측이 단방향 예측인지 쌍방향 예측인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움직임 보상 예측에 이용된 블록 사이즈에 따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에 따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소정의 역치를 이용하여 상기 국소 복호 잔차에 응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고,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역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잔차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1 영역, 상기 잔차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잔차의 분산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영역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잔차의 크기가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영역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
  27.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 데이터로부터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영역마다의 필터 계수의 정보를 취득하는 복호부와,
    예측 화상을 생성하는 예측부와,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와,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하여 역직교 변환을 행하고, 잔차를 생성하는 역직교 변환부와,
    상기 잔차와 상기 예측 화상을 가산하여 복호 화상을 생성하는 가산부와,
    소정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분류된 영역마다 상기 필터 계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를 구비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분류된 영역마다 상기 필터 계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예측부는 필터 처리가 실시된 화상을 이용하여 예측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분류된 상기 영역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와 필터 처리가 적용되는 영역에 대한 필터 계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분류된 영역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적용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 및 필터 처리가 적용되는 영역에 대한 필터 계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복호 화상의 화소값에 응하여 상기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영역의 분류에 이용하는 부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잔차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영역의 분류에 이용하는 상기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영역 분류에 이용한 분류 기준을 지정하는 정보를 기초로, 미리 준비된 복수의 분류 기준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영역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역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파라미터에 응하여 영역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화소와 그 주변의 화소의 절대값 차분의 평균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소를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화소와 그 주변의 화소의 절대값 차분의 최대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화소의 주변의 영역의 화상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고, 미리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성분의 양을 나타내는 값을 구하여, 그 값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화소의 주변의 영역의 화상 신호에 고역 통과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각 화소의 화소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과 상기 국소 복호 화상과의 차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의 화소값의 절대값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평탄부와 비평탄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1.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에 대하여 적용된 예측이 화면 내 예측인지 화면 간 예측인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2.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예측에 이용된 움직임 벡터가 가리키는 화소 위치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과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값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4. 제 29 항에 있어서,
    분류된 영역마다 다르도록 미리 설정된 필터 창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5. 제 29 항에 있어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 데이터로부터 분류된 영역마다의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를 취득하는 복호부와,
    상기 필터 창 사이즈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호 화상에 필터 처리를 행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 예측이 단방향 예측인지 쌍방향 예측인지에 의해,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움직임 보상 예측에 이용된 블록 사이즈에 따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직교 변환의 블록 사이즈에 따라, 상기 국소 복호 화상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4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역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잔차에 응하여 영역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5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잔차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1 영역, 상기 잔차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51.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잔차의 분산이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영역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52.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국소 복호 잔차의 크기가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 영역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복호 장치.
KR1020107015460A 2008-03-07 2009-03-05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KR20100090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8374 2008-03-07
JPJP-P-2008-058374 2008-03-07
JPJP-P-2008-119300 2008-04-30
JP2008119300 2008-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307A true KR20100090307A (ko) 2010-08-13

Family

ID=4105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460A KR20100090307A (ko) 2008-03-07 2009-03-05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00303149A1 (ko)
EP (1) EP2252063A4 (ko)
JP (1) JPWO2009110559A1 (ko)
KR (1) KR20100090307A (ko)
CN (1) CN101926177A (ko)
AU (1) AU2009220567A1 (ko)
BR (1) BRPI0907753A2 (ko)
CA (1) CA2714691A1 (ko)
MX (1) MX2010008978A (ko)
RU (1) RU2010132916A (ko)
TW (1) TW200948082A (ko)
WO (1) WO20091105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7961A (ko) * 2009-12-25 2012-10-04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623739B2 (en) 2011-03-24 2020-04-14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7680A (zh) * 2008-07-04 2011-05-11 株式会社东芝 运动图像编码/解码方法和装置
CN102282850A (zh) * 2009-01-05 2011-12-14 株式会社东芝 运动图像编码方法以及运动图像解码方法
JP2011049740A (ja) 2009-08-26 2011-03-10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5556996B2 (ja) * 2010-01-06 2014-07-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WO2011086836A1 (ja) * 2010-01-12 2013-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符号化装置、復号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JP2014060744A (ja) * 2010-01-13 2014-04-03 Toshiba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装置
JP2013232974A (ja) * 2010-01-13 2013-11-14 Toshiba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装置
WO2011089865A1 (ja) * 2010-01-21 2011-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それらの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CN102792690B (zh) * 2010-03-09 2016-06-15 汤姆森特许公司 基于分类环路滤波器的方法和装置
WO2011113282A1 (en) * 2010-03-15 2011-09-22 Mediatek Singapore Pte. Ltd. Localized in-loop filtering with multiple filters in hybrid video coding
JP5464435B2 (ja) * 2010-04-09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復号装置および方法
JP2011223337A (ja) * 2010-04-09 2011-11-0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06454356B (zh) * 2010-06-17 2019-11-08 夏普株式会社 解码装置及编码装置
WO2012035766A1 (ja) * 2010-09-16 2012-03-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復号化方法、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US9674526B2 (en) 2010-09-20 2017-06-0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and decoding a digital image signal
WO2012049876A1 (ja) * 2010-10-12 2012-04-19 株式会社 東芝 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方法
KR20120045369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쿼드 트리 기반으로 블록 필터 정보를 부호화/복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WO2012081609A1 (ja) * 2010-12-14 2012-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フィルタ装置、復号装置、符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WO2012081706A1 (ja) * 2010-12-17 2012-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フィルタ装置、フィルタ装置、復号装置、符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JP5627507B2 (ja) * 2011-01-12 2014-11-19 Kddi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097376A1 (en) 2011-01-14 2012-07-1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patial block merge mode
US9930366B2 (en) * 2011-01-28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Pixel level adaptive intra-smoothing
JPWO2012120908A1 (ja) * 2011-03-09 2014-07-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方法
WO2012120909A1 (ja) 2011-03-09 2012-09-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US8923613B2 (en) 2011-04-15 2014-12-30 Panasonic Corporation Image compression device, image compress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program, and picture display apparatus
KR20120118782A (ko) * 2011-04-19 2012-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필터링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3001720A1 (ja) * 2011-06-30 2013-01-0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方法
JP5812806B2 (ja) * 2011-10-31 2015-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方法
CN103907348A (zh) * 2011-10-31 2014-07-02 三菱电机株式会社 运动图像编码装置、运动图像解码装置、运动图像编码方法以及运动图像解码方法
KR101462052B1 (ko) * 2011-11-09 2014-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변환을 이용한 주파수 도메인 상의 적응적 루프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531990B1 (en) 2012-01-21 2016-12-27 Google Inc. Compound prediction using multiple sources or prediction modes
US8737824B1 (en) 2012-03-09 2014-05-27 Google Inc. Adaptively encoding a media stream with compound prediction
US9185414B1 (en) * 2012-06-29 2015-11-10 Google Inc. Video encoding using variance
US9628790B1 (en) 2013-01-03 2017-04-18 Google Inc. Adaptive composite intra prediction for image and video compression
US9374578B1 (en) 2013-05-23 2016-06-21 Google Inc. Video coding using combined inter and intra predictors
JP6087739B2 (ja) * 2013-06-07 2017-03-01 Kddi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システム、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09343B1 (en) 2013-12-20 2017-03-28 Google Inc. Video coding using compound prediction
KR102119882B1 (ko) * 2014-02-26 2020-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6061743A1 (en) * 2014-10-21 2016-04-28 Mediatek Singapore Pte. Ltd. Segmental prediction for video coding
US11575896B2 (en) * 2019-12-16 2023-02-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ncoder, decoder, encoding method, and decoding method
US20230156343A1 (en) * 2020-04-03 2023-05-1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Blind local reshaping in hdr imag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8109B2 (ja) * 1988-08-22 1997-08-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ループ内フィルタ
JP2844619B2 (ja) * 1988-11-15 1999-01-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用ディジタルフィルタ
JP3495766B2 (ja) * 1993-10-01 2004-02-09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画像処理方法
JP3523719B2 (ja) * 1995-04-04 2004-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3297293B2 (ja) * 1996-03-07 2002-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動画像復号方法および動画像復号装置
US6909745B1 (en) * 2001-06-05 2005-06-21 At&T Corp. Content adaptive video encoder
BR0304545A (pt) * 2002-01-14 2004-11-03 Nokia Corp Método de codificação das imagens em uma sequência de vìdeo digital para fornecer os dados de vìdeo codificados, codificador de vìdeo, método de decodificação dos dados indicativos de uma sequência de vìdeo digital, decodificador de vìdeo, e, sistema de decodificação de vìdeo
JP3861698B2 (ja) * 2002-01-23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情報符号化装置及び方法、画像情報復号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248124A (ja) * 2003-02-17 2004-09-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階層的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階層的画像復号装置
JP3997171B2 (ja) * 2003-03-27 2007-10-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及び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
CN1846444B (zh) * 2003-09-17 2011-01-26 汤姆森许可贸易公司 自适应参考画面产生
JP2005123732A (ja) * 2003-10-14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ブロックフィルタ処理装置およびデブロックフィルタ処理方法
JP4449430B2 (ja) * 2003-11-19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5191865A (ja) * 2003-12-25 2005-07-14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5295074A (ja) *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符号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57481A (ja) * 2004-11-30 2006-06-15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166103A (ja) * 2004-12-08 2006-06-22 Canon Inc 動画像符号化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記憶媒体
JP2006229411A (ja) * 2005-02-16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方法
JP4784188B2 (ja) * 2005-07-25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36468A (ja) * 2006-06-19 2007-12-27 Sharp Corp 再符号化装置、再符号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7961A (ko) * 2009-12-25 2012-10-04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623739B2 (en) 2011-03-24 2020-04-14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1095889B2 (en) 2011-03-24 2021-08-17 Sony Group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10559A1 (ja) 2011-07-14
BRPI0907753A2 (pt) 2015-07-21
CN101926177A (zh) 2010-12-22
EP2252063A4 (en) 2012-09-12
TW200948082A (en) 2009-11-16
CA2714691A1 (en) 2009-09-11
AU2009220567A1 (en) 2009-09-11
MX2010008978A (es) 2010-09-07
RU2010132916A (ru) 2012-04-20
WO2009110559A1 (ja) 2009-09-11
EP2252063A1 (en) 2010-11-17
US20100303149A1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0307A (ko) 동화상 부호화 및 복호 장치
JP672633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10602181B2 (en) Apparatus for decoding an image
JP4146444B2 (ja) 動画像符号化の方法及び装置
KR101435095B1 (ko)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복호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영상 복호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
TWI558212B (zh) 一種後期處理重建畫面的方法
KR20130051443A (ko) 인트라 예측 복호화 방법
KR20130106342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60109290A (ko)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복호 방법과 화상 복호 프로그램
JP7320064B2 (ja) エンコーダ、デコーダ、および、フレキシブルにサイズ化された画像パーティションのための複雑な処理を伴う符号化方法と復号化方法
WO2009133845A1 (ja) 動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4768779B2 (ja) 動画像符号化/復号化の方法及び装置
JP5937926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画像復号プログラム
KR102550503B1 (ko) 부호화 장치, 복호 장치, 및 프로그램
KR100958342B1 (ko)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6874844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JP6154588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1031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及び動画像復号方法ならびに動画像復号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82031B2 (ja)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JP2011139511A (ja)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JP2013059106A (ja)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