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519A -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 Google Patents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519A
KR20100089519A KR1020090008809A KR20090008809A KR20100089519A KR 20100089519 A KR20100089519 A KR 20100089519A KR 1020090008809 A KR1020090008809 A KR 1020090008809A KR 20090008809 A KR20090008809 A KR 20090008809A KR 20100089519 A KR20100089519 A KR 20100089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type well
type region
protection circuit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용서
손정만
원종일
Original Assignee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519A/ko
Publication of KR2010008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92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9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01L27/0262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including a PNP transistor and a NPN transistor, wherein each of said transistors has its base coupled to the collector of the other transistor, e.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66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ggNMOSFET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다운에 의해 턴온된 기생 NPN 트랜지스터가 트리거링되고, ggNMOSFET로 인가된 ESD 펄스를 트리거링 포텐셜로 하는 사이리스터를 턴-온함으로써 소자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제1 ggNMOSFET의 패드에 연결된 드레인으로 인가된 ESD 펄스를 제1 p형 웰에 접속된 소스를 통해 상기 제1 p형 웰로 도통시키는 제1 전류 경로; 및 상기 제1 전류 경로를 통해 도통된 상기 ESD 펄스를 트리거링 포텐셜로 하며, 상기 패드에 연결된 제1 p형 영역과 n형 웰, 상기 제1 p형 웰 및 제2 n형 영역으로 구성되는 사이리스터를 통해 상기 제1 p형 영역으로 인가된 ESD 펄스를 상기 제2 n형 영역으로 도통시키는 제2 전류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ING GROUNDED-GATE NMOSFET AND THYRISTOR}
본 발명은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ggNMOSFET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다운에 의해 턴온된 기생 NPN 트랜지스터가 트리거링되고, ggNMOSFET로 인가된 ESD 펄스를 트리거링 포텐셜로 하는 사이리스터를 턴-온함으로써 소자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 부품 및 전자 제품의 생산 과정이나 사용 중에는 정전기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이 발생할 수 있다. 정전기 방전은 고전압의 정전기가 순간적으로 방전되는 현상으로서 집적 회로 내부의 반도체 소자와 금속 배선의 파괴하고 회로의 오동작 등을 유발한다.
반도체 제조 기술이 미세공정(DSM: Deep Sub-Micron) 기술에서 극미세공정(VDSM: Very Deep Sub-Micron) 기술로 발전함에 따라 게이트 산화막(Gate oxide)의 두께가 약 0.1㎛ 이하로 감소하는 등 반도체 칩의 소형화 및 집적화가 달성되었 다.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펄스(pulse)의 전기적 레벨(level)은 수 kV(kilo volt), 수 암페어(Ampere)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정전기 방전은 집적 회로 내부의 반도체 소자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집적 회로의 동작과 수율(yield)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정전기 방전에 의해 파괴되는 집적 회로는 대략 25%~30% 정도로서 잡적 회로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정전기 방전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사이리스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애노드 전압의 변화에 따른 SCR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ESD 보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Vc보다 커지면 pnp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베이스(Emitter-Base) 접합이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 상태가 되어, pnp 트랜지스터(Q1)가 턴-온(Turn-on)된다. pnp 트랜지스터(Q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p형 웰(70)로 흐르게 되며, npn 트랜지스터(Q2)를 턴-온한다. n형 웰(20)에서 캐쏘드로 흐르는 npn 트랜지스터(Q2)의 전류는 pnp 트랜지스터(Q1)의 순방향 바이어스를 유지한다. 따라서, 턴-온된 pnp 트랜지스터(Q1) 및 npn 트랜지스터(Q2)에 의해 사이리스터가 트리거된다(도 3의 트리거 전압). pnp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상태와 무관하게 도 1의 사이리스터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D 보호 회로는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사이리스터는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트리거 포인트 이상이 되면,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홀딩 영역의 전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ESD 전류를 방전한다.
도 1에 도시된 ESD 보호 회로는 적은 면적으로 원하는 ESD 보호 능력을 얻을 수 있으며, ESD 보호회로가 갖는 기생 캐패시턴스 성분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용 아날로그 및 RF 회로에 적합하다. 그러나 도 1의 사이리스터는 트리거 전압이 약 20V 정도로 매우 높아서 ESD 보호 회로가 동작하기 전에 집적 회로의 코어 회로로 ESD 전류가 유입된다. 따라서, 집적 회로의 MOSFET의 게이트 산화막이 파괴되거나 내부 선로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ESD 보호 회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4의 ESD 보호 회로가 제안되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애노드 전압의 변화에 따른 SCR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의 ESD 보호 회로는 도 1의 ESD 보호 회로에 NMOS를 결합한 구조를 가지는 LVTSCR(Low Voltage Triggered Silicon Controlled Rectifier)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LVTSCR은 P형 영역(30), N형 웰(20), P형 기판(10) 및 N형 영역(60)을 포함한다. 도 4의 LVTSCR은 n형 웰(20)과 p형 기판(10)의 경계 에 구비된 n+(18)과 p-형 기판(13)의 정션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다운에 의해 트리거된다.
NMOS 구조를 사용하는 도 4의 LVTSCR에 따르면, N형 웰(20), P형 기판(10) 및 N형 영역(60)으로 구성되는 횡형 NPN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폭이 NM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50)으로 최소화됨으로써, 트리거 포인트를 낮출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P형 영역(30), N형 웰(20), P형 기판(10)으로 구성되는 횡형 PNP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폭(70)도 최소화한다. 따라서, 도 4의 LVTSCR은 약 6V 정도의 트리거 전압을 갖는다.
그러나,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에 사용되는 사이리스터는 ESD 전류로 인한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지만, 낮은 전원 전압을 이용하는 I/O 인터페이스 회로 및 집적 회로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ggNMOSFET에서 발생하는 브레이크다운에 의해 턴온된 기생 NPN 트랜지스터가 트리거링되고, ggNMOSFET로 인가된 ESD 펄스를 트리거링 포텐셜로 하는 사이리스터를 턴-온함으로써 소자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제1 ggNMOSFET의 패드에 연결된 드레인으로 인가된 ESD 펄스를 제1 p형 웰에 접속된 소스를 통해 상기 제1 p형 웰로 도통시키는 제1 전류 경로; 및 상기 제1 전류 경로를 통해 도통된 상기 ESD 펄스를 트리거링 포텐셜로 하며, 상기 패드에 연결된 제1 p형 영역과 n형 웰, 상기 제1 p형 웰 및 제2 n형 영역으로 구성되는 사이리스터를 통해 상기 제1 p형 영역으로 인가된 ESD 펄스를 상기 제2 n형 영역으로 도통시키는 제2 전류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애노드에 접속된 제1 p형 영역, 상기 애노드에 접속된 n형 웰 및 제2 n형 영역을 통해 캐쏘드에 접속된 제1 p형 웰을 포함하는 PNP 트랜지스터; 상기 n형 웰, 상기 제1 p형 웰 및 상기 제2 n형 영역을 포함하는 NPN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애노드에 접속되며, 소스가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된 ggNMOSF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스는 상기 제1 p형 웰에 구비된 제3 p형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기판에 형성된 제1 p형 웰, n형 웰 및 제2 p형 웰; 상기 제1 p형 웰 상부에 형성된 제2 n형 영역; 상기 n형 웰의 상부에 형성된 제1 p형 영역; 및 상기 제2 p형 웰 상부에 형성된 드레인 및 소스를 포함하는 ggNMOSFET를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 제1 n형 영역 및 제1 p형 영역은 애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소스는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되며, 제2 n형 영역은 캐쏘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상기 제1 p형 웰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캐쏘드에 접속된 제2 p형 영역; 상기 n형 웰 및 상기 제2 p형 웰의 경계면에 구비되는 제3 n형 영역; 및 상기 제1 p형 웰 상부에 구비되는 제3 p형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n형 영역 및 상기 제1 p형 영역은 상기 n형 웰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스는 상기 제3 p형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는 ggNMOSFET의 드레인으로 ESD 펄스가 인가되면 ggNMOSFET의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브레이크다운에 의해 턴온된 기생 NPN 트랜지스터가 트리거되어 접지 단자에 연결된 캐쏘드를 통해 방전시키고, ggNMOSFET의 드레인으로 인가된 ESD 펄스를 트리거링 포텐셜로 하는 사이리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ESD 펄스를 접지 단자에 연결된 캐쏘드로 방전함으로써, ESD 펄스, 고주파 노이즈 및 오버슈팅에 의한 펄스로부터 집 적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이리스터에 구비된 제2 n형 영역과 제3 p형 영역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홀딩 전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집적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9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애노드 전압의 변화에 따른 SCR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는 PNP 트랜지스터(Q1)와 NPN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는 사이리스터 및 ggNMOSFET(M1, M2)를 포함한다.
PNP 트랜지스터(Q1)는 n형 웰(300) 및 제1 p형 웰(20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n형 웰(300) 상부에 형성된 제1 p형 영역(310), n형 웰(300) 및 제1 p형 웰(200)을 포함한다. 제1 p형 영역(310)은 페드에 접속된 애노드에 접속되며, n형 웰(300)은 제1 n형 영역(320)을 통해 상기 애노드에 접속된다. 또한, 제1 p형 웰(200)은 제2 p형 영역(210)을 통해 캐쏘드에 접속된다.
NPN 트랜지스터(Q2)는 n형 웰(300) 및 제1 p형 웰(200)에 형성된다. 구체적 으로는, n형 웰(300), 제1 p형 웰(200) 및 제1 p형 웰(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n형 영역(220)을 포함한다. 제2 n형 영역(220)은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된 캐쏘드에 접속된다.
ggNMOSFET(grounded-gate NMOSFET)(M2)의 게이트는 제2 p형 웰(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된 캐쏘드에 접속된다. ggNMOSFET(M2)의 드레인(410)은 제2 p형 웰(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애노드에 접속된다. ggNMOSFET(M2)의 소스(420)는 제2 p형 웰(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3 p형 영역(230)에 접속된다.
또한, ggNMOSFET(M1)의 게이트는 제2 p형 웰(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된 캐쏘드에 접속된다. ggNMOSFET(M1)의 드레인(410)은 n형 웰(300)과 제2 p형 웰(400)의 경계면 상부에 구비된다. ggNMOSFET(M1)의 소스(420)는 제2 p형 웰(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3 p형 영역(230)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기판(10)에 형성된 제1 p형 웰(200), n형 웰(300) 및 제2 p형 웰(400) 각각은 PN 접합(PN junction)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드(20)를 통해 인가된 ESD 펄스가 애노드, 즉 제1 p형 영역(310), 제1 n형 영역(320) 및 ggNMOSFET(M1, M2)의 드레인(410)에 인가되면, 드레인(410, 430) 및 제2 p형 웰(400) 사이의 애벌런치 브레이크다운(avalanche breakdown)에 의해 제2 p형 웰(400)의 포텐셜이 증가한다. 제2 p형 웰(400)이 증가하면, 기생적으로 발생되는 횡형 npn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턴-온된 npn 트랜지스터의 정궤환 동작으 로 인해 ESD 펄스는 점선으로 표시된 제1 전류 경로를 따라 제3 p형 영역(230)으로 도통된다. 도통된 ESD 펄스는 제2 p형 영역(210)을 통해 캐쏘드인 접지 단자로 방전된다.
제3 p형 영역(230)으로 도통된 ESD 펄스에 의해 사이리스터는 트리거링된다. 즉, PNP 트랜지스터(Q1)와 NPN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된다. 제1 p형 영역(310) 및 제1 n형 영역(320)으로 인가된 ESD 펄스는 PNP 트랜지스터(Q1)와 NPN 트랜지스터(Q2)의 정궤환 동작으로 인해 실선으로 표시된 제2 전류 경로를 따라 접지 단자로 방전된다.
패드(20)로 상기 ESD 펄스가 인가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트리거링은 약 9V에서 발생하며, 2차 트리거링은 약 6.7V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패드(20)에 전압이 인가되면, 약 9V에서 상기 1차 트리거링이 발생하여 ESD 보호 회로는 상기 제1 전류 경로를 따라 상기 ESD 펄스를 방전한다. 상기 1차 트리거링에 의해 사이리스터가 턴온되면, 6.7V에서 2차 트리거링이 발생하여 ESD 보호 회로는 상기 제2 전류 경로를 따라 상기 ESD 펄스를 방전한다.
도 10는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D의 변화에 따른 애노드의 V-I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D가 증가함에 따라 홀딩 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D가 증가하면, NPN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폭이 넓어지고, NPN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폭이 넓어짐에 따라 β값은 감소한다(이때,
Figure 112009006895180-PAT00001
, IC=컬렉터 전 류, IB=베이스 전류). β값이 감소하면, 제1 p형 웰(200)의 저항이 증가하므로 홀딩 전압 및 트리거 전압이 증가한다.
따라서, 고주파 노이즈 또는 갑작스런 전압의 오버슈팅(Overshooting)에 의한 펄스가 애노드에 인가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ESD 보호 회로의 설계시 적절한 D값을 선택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여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애노드 전압의 변화에 따른 SCR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도 4의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애노드 전압의 변화에 따른 SCR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9은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애노드 전압의 변화에 따른 SCR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10는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D의 변화에 따른 애노드의 V-I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Claims (5)

  1. 제1 ggNMOSFET의 패드에 연결된 드레인으로 인가된 ESD 펄스를 제1 p형 웰에 접속된 소스를 통해 상기 제1 p형 웰로 도통시키는 제1 전류 경로; 및
    상기 제1 전류 경로를 통해 도통된 상기 ESD 펄스를 트리거링 포텐셜로 하며, 상기 패드에 연결된 제1 p형 영역과 n형 웰, 상기 제1 p형 웰 및 제2 n형 영역으로 구성되는 사이리스터를 통해 상기 제1 p형 영역으로 인가된 ESD 펄스를 상기 제2 n형 영역으로 도통시키는 제2 전류 경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 회로.
  2. 애노드에 접속된 제1 p형 영역, 상기 애노드에 접속된 n형 웰 및 제2 n형 영역을 통해 캐쏘드에 접속된 제1 p형 웰을 포함하는 PNP 트랜지스터;
    상기 n형 웰, 상기 제1 p형 웰 및 상기 제2 n형 영역을 포함하는 NPN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애노드에 접속되며, 소스가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된 ggNMOSFE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상기 제1 p형 웰에 구비된 제3 p형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 회로.
  4. 기판에 형성된 제1 p형 웰, n형 웰 및 제2 p형 웰;
    상기 제1 p형 웰 상부에 형성된 제2 n형 영역;
    상기 n형 웰의 상부에 형성된 제1 p형 영역; 및
    상기 제2 p형 웰 상부에 형성된 드레인 및 소스를 포함하는 ggNMOSFET
    를 포함하되,
    상기 드레인, 제1 n형 영역 및 제1 p형 영역은 애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소스는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되며, 제2 n형 영역은 캐쏘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웰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캐쏘드에 접속된 제2 p형 영역;
    상기 n형 웰 및 상기 제2 p형 웰의 경계면에 구비되는 제3 n형 영역; 및
    상기 제1 p형 웰 상부에 구비되는 제3 p형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n형 영역 및 상기 제1 p형 영역은 상기 n형 웰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스는 상기 제3 p형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p형 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D 보호 회로.
KR1020090008809A 2009-02-04 2009-02-04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KR20100089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809A KR20100089519A (ko) 2009-02-04 2009-02-04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809A KR20100089519A (ko) 2009-02-04 2009-02-04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519A true KR20100089519A (ko) 2010-08-12

Family

ID=4275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809A KR20100089519A (ko) 2009-02-04 2009-02-04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51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9294A (zh) * 2012-02-28 2012-07-11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提高静电保护器件维持电压的方法
KR101258993B1 (ko) * 2011-08-12 2013-04-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Esd 보호소자
CN104425583A (zh) * 2013-08-20 2015-03-18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50086751A (ko) * 2014-01-20 2015-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
US9299693B2 (en) 2012-12-04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9679886B2 (en) 2013-10-11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KR101944189B1 (ko) 2017-07-20 2019-04-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 방전 보호소자
KR20220150035A (ko) 2021-05-03 2022-11-10 최해용 이동형 카메라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93B1 (ko) * 2011-08-12 2013-04-2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Esd 보호소자
CN102569294A (zh) * 2012-02-28 2012-07-11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提高静电保护器件维持电压的方法
CN102569294B (zh) * 2012-02-28 2016-01-13 北京燕东微电子有限公司 提高静电保护器件维持电压的方法
US9299693B2 (en) 2012-12-04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CN104425583A (zh) * 2013-08-20 2015-03-18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US9679886B2 (en) 2013-10-11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10186505B2 (en) 2013-10-11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KR20150086751A (ko) * 2014-01-20 2015-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
KR101944189B1 (ko) 2017-07-20 2019-04-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 방전 보호소자
KR20220150035A (ko) 2021-05-03 2022-11-10 최해용 이동형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3569A (ko)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US6850397B2 (en)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for power supply lines with powerdown mode of operation
US6194764B1 (en) Integrated semiconductor circuit with protection structure for protecting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US9129805B2 (en) Diode biased ESD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US7875902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8456785B2 (en) Semiconductor ESD device and method
CN108520875B (zh) 一种高维持电压npnpn型双向可控硅静电防护器件
KR20100089519A (ko) Ggnmosfet 및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esd 보호 회로
US6690066B1 (en) Minimization and linearization of ESD parasitic capacitance in integrated circuits
KR101944189B1 (ko) 정전기 방전 보호소자
US20070090392A1 (en) Low capacitance SCR with trigger element
US7763908B2 (en) Design of silicon-controlled rectifier by considering electrostatic discharge robustness in human-body model and charged-device model devices
US7869175B2 (en) Device for protecting semiconductor IC
EP3116026B1 (en)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JP2004031910A (ja) 静電放電防護装置
KR100942701B1 (ko)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
US11469222B2 (en) ESD-protection device and MOS-transistor having at least one integrated ESD-protection device
JP4980575B2 (ja) 静電保護回路及び該静電保護回路を含む半導体装置
KR20070061264A (ko) 3중-웰 저전압 트리거 esd 보호 소자
US10147716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9994466B (zh) 一种低触发高维持可控硅静电防护器件
KR100504203B1 (ko) 반도체장치의 보호소자
CN111725206B (zh) Pmos触发的scr器件、scr器件的制造方法及scr静电保护电路
CN111900160A (zh) 一种功率器件静电放电保护电路
CN107946298B (zh) 防瞬态闩锁的esd保护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