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199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199A
KR20100089199A KR1020090008337A KR20090008337A KR20100089199A KR 20100089199 A KR20100089199 A KR 20100089199A KR 1020090008337 A KR1020090008337 A KR 1020090008337A KR 20090008337 A KR20090008337 A KR 20090008337A KR 20100089199 A KR20100089199 A KR 20100089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creen
conversion layer
display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199A/ko
Publication of KR2010008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30Igni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에 부착되며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되는 화면변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멀티, 화면변환, 디스플레이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대형화됨에 따라 발생한 문제 중 하나는 커다란 표시면적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이 많아져 실내 인테리어를 손상시킨다는 것이다. 특히 프로젝터와 특수 목적의 액자형 스크린을 설치한 경우는 그러한 문제로 소비자의 선택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액자형 스크린이 아닌 두루말이식 스크린을 선택하는 사용자가 있지만, 특정 스크린의 경우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두루마리 방식을 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두루말이식 스크린의 경우, 오르내리는 시간을 기다리길 거부하는 사용자 또한 존재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대형화 되어가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목적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미적 감각과 편익을 등을 줄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활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다목적 디스플레이장치로 거듭나기 위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능은 물론 인테리어 기능, 화면제어 기능 또는 알림판 기능과 같이 부가적인 기능을 겸비하여 부가가치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다목적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에 부착되며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되는 화면변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에 부착되며 표시부에 나타나는 영상의 크기에 따라 연동되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가 변환되는 화면변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화면변환층은, 표시부의 전원인가 상태 또는 사용목적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변환될 수 있다.
화면변환층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따라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화면변환층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시도록 연결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면변환층은, 표시부의 외부 면 또는 내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화면변환층은, 적어도 두 개의 투명필름층 사이에 위치하는 변환층을 포함하며, 변환층은 전자종이,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콜레스테릭액정, 고분자분산액정 또는 포토크로믹소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면변환층은, 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및 반사영역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변환층은, 제1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제2확산영역층 및 반사영역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변환층은, 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반사영역층 및 기판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변환층은, 제1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제2확산영역층, 반사영역층 및 기판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표시패널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일 수 있다.
표시부가 표시패널인 경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또는 플라즈마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시부가 프로젝션 스크린인 경우, 화면변환층은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하는 층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능은 물론 인테리어 기능, 화면제어 기능 또는 알림판 기능과 같이 부가적인 기능을 겸비하여 부가가치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다목적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 정해진 특정 패턴이 나타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으로 동작하다가 디스플레이 기능이 종료되면 도 1의 (b)와 같이 정해진 특정 패턴 예컨대, 그림을 나타내어 인테리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10)와 표시부(110)에 부착되며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되는 화면변환층(150)을 포함한다.
화면변환층(150)은 도 2의 (a) 및 (b)와 같이 표시부(110)의 외부 면 또는 내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화면변환층(150)은 표시부(110)의 전원인가 상태 또는 사용목적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 느 하나 이상이 변환된다. 이를 위해, 화면변환층(150)은 표시부(1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변환층(15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이 투명한 상태가 되거나 불투명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다. 일례로, 표시부(11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전원이 인가될 경우, 화면변환층(150)은 표시부(110)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부(110)에 표시된 영상을 종료하기 위해 전원이 차단될 경우, 화면변환층(150)은 표시부(110)와 동일한 화면 상에 특정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불투명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표시부(110)의 조건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변환층(15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될 수 있는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콜레스테릭액정 또는 고분자분산액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화면변환층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면변환층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150)은 확산영역층(151), 제1투명필름층(152), 변환층(153), 제2투명필름층(154) 및 반사영역층(1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면변환층(150)은 제1확산영역층(151), 제1투명필름층(152), 변환층(153), 제2투명필름층(154), 제2확산영역층(155) 및 반사영역 층(1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변환층(150)은 확산영역층(151), 제1투명필름층(152), 변환층(153), 제2투명필름층(154), 반사영역층(157) 및 기판필름층(1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150)은 제1확산영역층(151), 제1투명필름층(152), 변환층(153), 제2투명필름층(154), 제2확산영역층(155), 반사영역층(157) 및 기판필름층(1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변환층(150)은 표시되는 특정 패턴의 표시품질이 향상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화면변환층(150)의 경우 표시부(110)의 구성과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확산영역층 또는 제1 및 제2확산영역층(151)은 빛의 확산율을 높이는 구성물로 사용자(USR)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빛의 확산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영역층 또는 제1 및 제2확산영역층(151)은 미소 크기의 안료 또는 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확산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투명필름층(152)은 변환층(153) 형성시 기반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보호필름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물로 투명한 필름 예컨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영역층(157)은 빛의 반사율을 증가시켜 휘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영역층(157)은 반사도가 높은 백색, 적색, 노랑, 파랑, 녹색 등 다양한 계열의 반사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필름층(159)은 화면변환층(150)에 포함된 구성물들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반사영역층(157)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물로서 화면변환층(150)이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변환층(153)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될 수 있는 구성물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콜레스테릭액정 또는 고분자분산액정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러한 변환층(153)은 표시부(110)의 구성 조건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의 구성에 따른 동작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110)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또는 플라즈마표시패널과 같이 자체적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패널로 구성되고, 화면변환층(150)이 표시부(110)의 외부 면에 부착된 것을 예로 한다.
표시부(110)와 화면변환층(150)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110)의 전원인가 상태 또는 사용목적 중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상태 신호(SN)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화면변환층(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110)로부터 받은 상태신호(SN)에 따라 화면변환층(15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CN)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110), 화면변환층(150) 및 제어부(170)가 위와 같이 구성되었을 때, 사용자가 표시부(110)를 통해 뉴스나 드라마 등과 같은 영상물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110)에 전원을 인가할 경우, 화면변환층(150)은 표시부(110)가 영상물을 표시하도록 투명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사용자가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물 시청을 완료한 후 표시부(110)에 전원을 차단할 경우, 화면변환층(150)은 정해진 특정 패턴이 표시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변환층(150)에 의해 표시된 특정 패턴은 표시부(110)와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는 것과 같게 된다.
이상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110) 구동시 영상물을 나타내지만, 표시부(110) 미구동시 정해진 특정 패턴을 타나낼 수 있어 디스플레이 기능은 물론 인테리어 기능을 겸비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 사용시 사용목 적에 따라 부화면의 크기를 제어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8의 (a)와 같이 대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으로 동작하다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소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10)와 표시부(210)에 부착되며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되는 화면변환층(250)을 포함한다.
화면변환층(250)은 도 9의 (a), (b) 및 (c)와 같이 표시부(210)의 외부 면, 내부 면 또는 외부 면과 내부 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10)는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로서 화면변환층(250)은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하는 층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음을 설명한 것이다.
화면변환층(250)은 표시부(210)의 전원인가 상태 또는 사용목적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된다. 이를 위해, 화면변환층(250)은 표시부(2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변환층(25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이 투명한 상태가 되거나 불투명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다. 일례로, 대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이 요구될 경우, 화면변환층(250)은 전체 영역을 불투명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부(210)가 소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이 요구될 경우, 화면변환층(25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불투명한 상태로 유지하고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을 투명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표시부(210)의 조건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변환층(25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될 수 있는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콜레스테릭액정 또는 고분자분산액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화면변환층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화면변환층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250)은 확산영역층(251), 제1투명필름층(252), 변환층(253), 제2투명필름층(254) 및 반사영역층(2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250)은 제1확산영역층(251), 제1투명필름층(252), 변환층(253), 제2투명필름층(254), 제2확산영역층(255) 및 반사영역층(2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변환층(250)은 확산영역층(251), 제1투명필름층(252), 변환층(253), 제2투명필름층(254), 반사영역층(257) 및 기판필름층(2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250)은 제1확산영역층(251), 제1투명필름층(252), 변환층(253), 제2투명필름층(254), 제2확산영역층(255), 반사영역층(257) 및 기판필름층(2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변환층(250)은 표시되는 특정 패턴의 표시품질이 향상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화면변환층(250)의 경우 표시부(210)의 구성과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확산영역층 또는 제1 및 제2확산영역층(251)은 빛의 확산율을 높이는 구성물로 사용자(USR)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빛의 확산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영역층 또는 제1 및 제2확산영역층(251)은 미소 크기의 안료 또는 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확산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투명필름층(252)은 변환층(253) 형성시 기반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보호필름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물로 투명한 필름 예컨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영역층(257)은 빛의 반사율을 증가시켜 휘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영역층(257)은 반사도가 높은 백색, 적색, 노랑, 파랑, 녹색 등 다양한 계열의 반사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필름층(259)은 화면변환층(250)에 포함된 구성물들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반사영역층(257)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물로서 화면변환층(250)이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변환층(253)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될 수 있는 구성물로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콜레스테릭액정 또는 고분자분산액정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러한 변환층(253)은 표시부(210)의 구성 조건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의 구성에 따른 동작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210)가 프로젝터 등에 의해 전달받은 영상물을 투영하는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화면변환층(250)이 표시부(210)의 외부 면에 부착된 것을 예로 한다.
표시부(210)와 화면변환층(250)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어부(2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화면변환층(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신호(RN)에 따라 화면변환층(25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CN)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210), 화면변환층(250) 및 제어부(270)가 위와 같이 구성되었을 때, 사용자가 대화면으로 영상물을 시청하기 위해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리모컨 등에 스크린의 영역을 리사이징(RS)하기 위한 조정신호(RN)를 입력할 경우, 화면변환층(250)은 표시부(210)가 대화면 영상물을 표시하도록 전체 영역이 불투명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사용자가 소화면으로 영상물을 시청하기 위해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리모컨 등에 스크린의 영역을 리사이징(RS)하기 위한 조정신호(RN)를 입력할 경우, 화면변환층(250)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은 불투명하게 동작하게 되고,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은 투명하게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변환층(250)은 프로젝션 스크린의 화면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준다.
이상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변환층(250)이 표시부(210)의 화면 크기를 리사이징(RS)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기능은 물론 화면제어 기능을 겸비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패턴이 나타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5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으로 동작하다가 디스플레이 기능이 종료되면 도 15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패턴을 나타내어 메모판이나 알림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10)와 표시부(310)에 부착되며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되는 화면변환층(350)을 포함한다.
화면변환층(350)은 도 16의 (a), (b) 및 (c)와 같이 표시부(310)의 외부 면, 내부 면 또는 외부 면과 내부 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10)가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화면변환층(350)은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하는 층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음으로 (a), (b) 및 (c)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반면, 표시부(310)가 패널로 구성된 경우, 화면변환층(350)은 (a) 및 (b)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화면변환층(350)은 표시부(310)가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되고, 표시부(310)가 패널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310)의 전원인가 상태 또는 사용목적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된다. 이를 위해, 화면변환층(350)은 표시부(3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변환층(35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이 투명한 상태가 되거나 불투명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는다. 일례로, 표시부(31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전원이 인가될 경우, 화면변환층(350)은 표시부(310)가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부(310)에 표시된 영상을 종료하기 위해 전원이 차단될 경우, 화면변환층(350)은 표시부(310)와 동일한 화면 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변환층(35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될 수 있는 전자종이 또는 포토크로믹소자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화면변환층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화면변환층의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350)은 확산영역층(351), 제1투명필름층(352), 변환층(353), 제2투명필름층(354) 및 반사영역층(3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350)은 제1확산영역층(351), 제1투명필름층(352), 변환층(353), 제2투명필름층(354), 제2확산영역층(355) 및 반사영역층(3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화면변환층(350)은 확산영역층(351), 제1투명필름층(352), 변환층(353), 제2투명필름층(354), 반사영역층(357) 및 기판필름층(3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화면변환층(350)은 제1확산영역층(351), 제1투명필름층(352), 변환층(353), 제2투명필름층(354), 제2확산영역층(355), 반사영역층(357) 및 기판필름층(3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변환층(350)은 표시되는 특정 패턴의 표시품질이 향상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화면변환층(350)의 경우 표시부(310)의 구성과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확산영역층 또는 제1 및 제2확산영역층(351)은 빛의 확산율을 높이는 구성물로 사용자(USR)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빛의 확산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확산영역층 또는 제1 및 제2확산영역층(351)은 미소 크기의 안료 또는 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확산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투명필름층(352)은 변환층(353) 형성시 기반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보호필름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물로 투명한 필름 예컨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영역층(357)은 빛의 반사율을 증가시켜 휘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영역층(357)은 반사도가 높은 백색, 적색, 노랑, 파랑, 녹색 등 다양한 계열의 반사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필름층(359)은 화면변환층(350)에 포함된 구성물들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반사영역층(357)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물로서 화면변환층(350)이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변환층(353)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될 수 있는 구성물로 전자종이 또는 포토크로믹소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러한 변환층(353)은 표시부(310)의 구성 조건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의 구성에 따른 동작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310)가 프로젝션 스크린 또는 패널로 구성되고, 화면변환층(350)이 표시부(310)의 외부 면에 부착된 것을 예로 한다.
표시부(310)와 화면변환층(350)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어부(3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화면변환층(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DN)에 따라 화면변환층(35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화면변환층(350)에 제어신호(CN)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310)의 구성에 따라 표시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310)의 전원인가 상태 또는 사용목적 중 하나 이상의 조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상태신호(SN)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70)에 공급할 입력신호(DN)를 생성하는 입력장치로는 리모컨을 사용할 수 있지만, 표시부(310) 상에 터치스크린을 부착하고 이를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등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표시부(310), 화면변환층(350) 및 제어부(370)가 위와 같이 구성되었을 때, 사용자가 표시부(310)를 통해 뉴스나 드라마 등과 같은 영상물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310)에 전원을 인가할 경우, 화면변환층(350)은 표시부(310)가 영상물을 표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사용자가 표시부(31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물 시청을 완료한 후 표시부(310)에 전원을 차단할 경우, 화면변환층(350)은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패턴이 표시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변환층(350)은 표시부(310) 화면에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준다.
이상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310) 구동시 영상물을 나타내지만, 표시부(310) 미구동시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패턴을 나타낼 수 있어 디스플레이 기능은 물론 메모판이나 알림판 기능을 겸비한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능은 물론 인테리어 기능, 화면제어 기능 또는 알림판 기능과 같이 부가적인 기능을 겸비하여 부가가치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다목적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면변환층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도 10 내지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화면변환층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화면변환층의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표시부 150, 250, 350: 화면변환층
170, 270, 370: 제어부

Claims (14)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부착되며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모양 또는 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환되는 화면변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부착되며
    상기 표시부에 나타나는 영상의 크기에 따라 연동되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가 변환되는 화면변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상기 표시부의 전원인가 상태 또는 사용목적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따라 투명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시도록 연결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상기 표시부의 외부 면 또는 내부 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적어도 두 개의 투명필름층 사이에 위치하는 변환층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층은 전자종이,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콜레스테릭액정, 고분자분산액정 또는 포토크로믹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및 반사영역층을 포함하 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제1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제2확산영역층 및 반사영역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반사영역층 및 기판필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변환층은,
    제1확산영역층, 제1투명필름층, 변환층, 제2투명필름층, 제2확산영역층, 반사영역층 및 기판필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패널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또는 플라즈마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화면변환층은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하는 층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008337A 2009-02-03 2009-02-03 디스플레이장치 KR20100089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337A KR20100089199A (ko) 2009-02-03 2009-02-03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337A KR20100089199A (ko) 2009-02-03 2009-02-03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99A true KR20100089199A (ko) 2010-08-12

Family

ID=4275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337A KR20100089199A (ko) 2009-02-03 2009-02-03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1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430A (ko) * 2012-12-29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KR20140127695A (ko) * 2013-04-25 2014-1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430A (ko) * 2012-12-29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KR20140127695A (ko) * 2013-04-25 2014-1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4150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899001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28769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RU2449493C2 (ru) Прибор отображения с генерацией окружающего освещения с помощью переключаемой панели
JP4831729B2 (ja) 視野角可変液晶表示装置、方法及び端末機
KR201500579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92378A1 (zh) 一种智能终端和智能终端设置方法及显示方法
US10948750B2 (en) Anti-peeping device, anti-peeping display and control method
US10048919B2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JP2000310949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と利用可能な整合した光学シャッタおよびバックライト・セルを具備するディスプレイ
KR102089974B1 (ko) 외광 반사를 이용한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8792069B2 (en) Chang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JPWO2007083540A1 (ja) 携帯端末
KR101852429B1 (ko) 액체 미세 셔터 표시장치
CN108897169A (zh) 发光模组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JP416127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調光装置
JP2011075823A (ja) 表示装置
JP2013218057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00089199A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110175817A1 (en) Mobile terminal
KR100565629B1 (ko) 양방향 표시형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JP2014215331A (ja) 両面表示装置
KR20170064639A (ko) 미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1059215A (ja) 表示装置
JP2008275984A (ja) 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