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970A -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970A
KR20100088970A KR1020090008136A KR20090008136A KR20100088970A KR 20100088970 A KR20100088970 A KR 20100088970A KR 1020090008136 A KR1020090008136 A KR 1020090008136A KR 20090008136 A KR20090008136 A KR 20090008136A KR 20100088970 A KR20100088970 A KR 2010008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ength
sleeve
guide groove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의환
Original Assignee
고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환 filed Critical 고의환
Priority to KR102009000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970A/ko
Publication of KR2010008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Abstract

길이조절형 다기능 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배치하여 벽체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푸집 판넬 중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1차단판에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관과,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 중 나머지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2차단판에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관의 외부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내부면과 상기 내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관의 외부면과 상기 외관의 내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의 자유단으로부터 관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직선안내홈을 일정깊이 함몰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가 진입되어 상기 안내돌기의 곡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직선안내홈과 입구단이 연결되고, 상기 안내돌기가 접하는 접촉면이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나선안내홈을 관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포함한다.
슬리브, 벽체, 거푸집 판넬, 내관, 외관, 안내돌기, 나선안내홈, 직선안내홈

Description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Length Adjustable Type Sleeve}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벽체시공용 한 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관통홀을 시공하기 위한 슬리브 구조물을 설치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판넬간의 간격변화 및 오차에 관계없이 슬리브 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생산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건물들은 환기덕트나 배기덕트와 같은 덕트배관을 설치해야만 하고, 이러한 덕트배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이하, 벽체라 한다.)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필수적으로 수반해야만 한다.
상기 벽체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공정은 기초 철근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슬리브를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슬리브 사이에 관통 슬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과 더불어 관통 슬리브를 제거함으로써, 거푸집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직한 벽체 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 슬리브가 제거되는 자리에 상기 덕트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수평한 관통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벽체가 형성될 위치에 한쌍의 거푸집 판넬을 배치하고,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관통 슬리브를 설치하는 작업은 상기 한 쌍의 거푸집 판넬간의 간격에 맞추어 관통 슬리브용 파이프를 절단하고, 절단된 관통 슬리브의 양단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판을 삽입한 상태로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끼워 넣은 다음, 콘크리트 타설시 움직이지 않도록 주변 철근에 철사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한 쌍의 거푸집 판넬간의 간격에 맞추어 관통 슬리브용 파이프를 정확하게 절단하는 것이 곤란하고, 한 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의 간격에 설치된 관통 슬리브를 철사부재로서 위치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여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인건비를 상승시킴은 물론 전체 시공기간을 지연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판넬간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관통 슬리브를 절단하더라도 한쌍의 거푸집 판넬간의 간격이 벽체 전폭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아 관통 슬리브를 설치하는데 많은 작업시간을 소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체시공용 한 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관통홀을 시공하기 위한 슬리브 구조물을 설치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판넬간의 간격변화 및 오차에 관계없이 슬리브 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생산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건비를 줄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배치하여 벽체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푸집 판넬 중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1차단판에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관과,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 중 나머지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2차단판에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관의 외부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내부면과 상기 내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관의 외부면과 상기 외관의 내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의 자유단으로부터 관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직선안내홈을 일정깊이 함몰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가 진입되어 상기 안내돌기의 곡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직선안내홈과 입구단이 연결되고, 상기 안내 돌기가 접하는 접촉면이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나선안내홈을 관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포함함을 특징으로 길이조절형 관통슬리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선안내홈의 입구단 반대편에 형성되는 종료단은 상기 직선안내홈과 서로 분리되도록 밀폐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선안내홈의 입구단 반대편에 형성되는 종료단은 상기 접촉면과 이에 마주하여 대응하는 수직면간의 간격이 상기 안내돌기의 폭보다 작게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차단판은 한쌍의 거푸집 판넬에 압입고정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고정홀을 외측테두리에 복수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차단판은 한쌍의 거푸집 판넬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을 몸체중앙에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배치되는 내관의 외부면과 외관의 내부면 중 어느 하나에 안내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외관의 내부면과 내관의 외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 직선안내홈과 이에 연결되는 나선안내홈을 함몰형성함으로써, 직선안내홈에 배치되는 안내돌기의 직선이동에 의해서 관통슬리브의 전체길이를 벽체의 두께와 대응하는 판넬간의 간격에 맞추어 수평방향으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고, 길이조절된 상태에서 나선안내홈에 배치되는 안내돌기의 나선이동에 의해서 관통슬리브의 양단을 판넬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한 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관통 슬리브를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판넬간의 간격변화 및 오차에 관계없이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생산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하고 인건비를 줄여 전체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관통 슬리브(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벽체에 양단이 개구된 일정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사이에 배치되는 내관(110)과 외관(130)을 포함한다.
상기 내관(110)은 한 쌍의 거푸집 판넬(P1,P2) 중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1차단판(11)에 일측단인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중공 원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관(120)은 한 쌍의 거푸집 판넬(P1,P2) 중 어느 나머지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2차단판(13)에 일측단인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내관의 외주면으로 삽입되는 중공원통형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관(110)과 외관(130)은 서로 같은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형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외관(130)의 내부면에는 관중심으로 향하여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131)를 구비한다.
상기 외관(130)과 결합되는 내관(110)의 외부면에는 직선안내홈(112)과, 나선안내홈(114)을 포함하는바, 상기 직선안내홈(112)은 상기 내관(110)과 외관(130)의 결합시 상기 외관의 선단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안내돌기(131)의 직선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외관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내관의 자유단으로부터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관길이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요홈으로 구비된다.
상기 나선안내홈(114)은 상기 안내돌기(131)가 배치되어 직선안내되는 직선안내홈과 입구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내관의 외부면에 관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함몰형성되고, 이러한 나선 안내홈(114)은 상기 안내돌기(131)의 진입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직선안내홈(112)의 바닥면과 일치되도록 함몰형성된다.
상기 직선안내홈(112)과 입구단이 연결되는 나선안내홈(11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관에 대하여 외관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될 때 안내돌기(131)의 곡선이동을 외관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돌기(131)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면(115)이 나선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내돌기가 접촉면을 따라 나선이동되면서 상기 내관과 결합된 외관은 화살표 B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슬리브의 전체길이(L)를 길게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나선안내홈(114)을 형성하는 접촉면(115)과 이에 마주하는 수직면(116)간의 간격(W)은 상기 나선안내홈(114)의 입구단으로부터 종료단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선안내홈(114)의 입구단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종료단은 상기 나선안내홈의 접촉면을 따라 나선이동되는 안내돌기가 상기 직선안내홈으로 넘어가지 않게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직선안내홈과 서로 분리되도록 밀폐되거나 상기 종료단이 직선안내홈과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종료단에서의 간격(W)은 상기 안내돌기(131)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형 관통 슬리브(100a)는 제1실시예에 개시된 관통슬리브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사이에 배치되는 내관(110a)과 외관(130a)을 포함한다.
상기 외관(130a)은 한 쌍의 거푸집 판넬(P1,P2) 중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2차단판(13)에 일측단인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중공 원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관(110a)은 한 쌍의 거푸집 판넬(P1,P2) 중 어느 나머지 하나의 외부 면에 고정설치된 제1차단판(11)에 일측단인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외관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중공원통형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관(110a)의 외부면에는 외측으로 향하여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111a)를 구비한다.
상기 내관(110a)과 결합되는 외관(130a)의 내부면에는 직선안내홈(132a)과, 나선안내홈(134a)을 포함하는바, 상기 직선안내홈(132a)은 상기 내관(110a)과 외관(130a)의 결합시 상기 내관의 선단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안내돌기(111a)의 직선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내관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외관의 자유단으로부터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 관길이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요홈으로 구비된다.
상기 나선안내홈(134a)은 상기 안내돌기(111a)가 배치되어 직선안내되는 직선안내홈과 입구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외관의 내부면에 관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함몰형성되고, 이러한 나선안내홈(134a)은 상기 안내돌기(111a)의 진입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직선안내홈(132a)의 바닥면과 일치되도록 함몰형성된다.
상기 직선안내홈(132a)과 입구단이 연결되는 나선안내홈(134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관에 대하여 외관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될 때 안내돌기(111a)의 곡선이동을 외관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돌기(111a)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면(135a)이 나선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내돌기가 접촉면 을 따라 나선이동되면서 상기 내관과 결합된 외관은 화살표 B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슬리브의 전체길이(L)를 길게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나선안내홈(134a)을 형성하는 접촉면(135a)과 이에 마주하는 수직면(136a)간의 간격(W)은 상기 나선안내홈(114)의 입구단으로부터 종료단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선안내홈(134a)의 입구단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종료단은 상기 나선안내홈(134)의 접촉면을 따라 나선이동되는 안내돌기(111a)가 상기 직선안내홈(132a)으로 넘어가지 않게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직선안내홈과 서로 분리되도록 밀폐되거나 상기 종료단이 직선안내홈과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종료단에서의 간격(W)은 상기 안내돌기(131)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2실시예에 따른 내,외관의 고정단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차단판(11,13)은 상기 내,외관의 각 고정단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원반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1,2차단판(11,13)은 외측테두리에 복수개의 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고정홀(11,13)을 형성함으로써,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홀(11a,13a)을 통해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에 압입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제1,2차단판을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차단판(11,13)은 몸체 중앙에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11,13)을 형성함으로써,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이 강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2고정홀(11b,13b)과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 해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나사에 의해서 제1,2차단판을 위치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에 개시되는 내관(110)의 외부면 또는 상기 제2실시예에 개시되는 외관(130a)의 내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안내홈(114,134a)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가 배치된 직선안내홈(112,132a)의 일측과 입구단이 연결되어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안내홈(114,134a)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기가 배치된 직선안내홈(112,132a)의 양측과 각 입구단이 연결되어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안내홈(114,134a)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안내돌기가 배치된 한쌍의 직선안내홈(112,132a)의 각 일측과 입구단이 연결되어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관통 슬리브를 이용하여 벽체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작업은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 또는 강재로 이루어진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이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한 다음, 서로 마주하는 거푸집 판넬의 내면에는 관통홀을 형성하고자 하는 높이에 맞추어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3)을 각각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에 제1,2차단판을 고정설치하는 작업은 상기 거푸집 판넬의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바, 상기 거푸집 판넬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2차단판(11,13)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된 제1고정 홀(11a,13a)을 통해 거푸집 판넬(P1,P2)에 강제로 압입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핀에 의해서 상기 제1,2차단판(11,13)을 각각 위치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판넬이 강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2차단판(11,13)의 몸체중앙에 형성된 제2고정홀(11b,13b)과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P1,P2)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나사에 의해서 제1,2차단판(11,13)을 각각 위치고정할 수 있다.
연속하여, 상기 제1,2차단판이 거푸집 판넬에 각각 위치고정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관(110)의 외부면에 형성된 직선안내홈(112)과, 상기 외관(130)의 내부면에 형성된 안내돌기(131)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관의 내부면으로 상기 외관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내,외관이 서로 결합된 관통 슬리브(100)를 준비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형성되는 간격(T)으로 상기 관통슬리브(10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슬리브(100)의 전체길이(L1)는 상기 벽체(200)의 두께에 대응하는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의 간격(T)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갖춤으로써 상기 간격(T)내로 작업자가 진입하는 작업을 걸림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 슬리브(100)의 일단인 내관(110)의 고정단을 상기 제1차단판(11)에 삽입하여 1차 고정한 다음, 상기 내관(110)에 대하여 외관(130)을 제2차단판(13)으로 당기면, 상기 내관(110)의 직선안내홈에 상기 외관(130)의 안내돌기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관은 수평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면서 상기 외관의 고정단을 상기 제2차단판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관통슬리브(100)의 전체길이를 벽체의 두께에 맞추어 확장하는 작업은 상기 직선안내홈(112)과 안내돌기(131)간의 안내작용에 의한 상기 외관의 직선이동에 의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한쌍의 거푸집 판넬간의 간격변화 및 오차에 관계없이 관통슬리브를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작업자가 상기 제2차단판(13)에 고정단이 삽입된 외관(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직선안내홈(112)에 배치되어 있던 안내돌기(131)가 상기 직선안내홈(112)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안내홈(114)의 접촉면(115)와 접촉되면서 상기 접촉면을 따라 안내돌기가 나선형으로 안내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내관에 대하여 상기 외관은 회전운동을 하면서 제2차단판측으로 일정량 이동되면서 강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차단판(11,13)사이에 양단이 가조립된 관통슬리브(100)를 철사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의 필요없이 직하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판넬사이에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는 한편, 콘트리트 타설시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서 관통 슬리브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는 작업은 외부면에 안내돌기(111a)를 형성한 내관(110a)과, 내부면에 직선안내홈(132a)과 나선안내홈(134a)을 형성한 외관(130a)이 서로 결합된 관통슬리브(100a)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차단판(13)에 외관(130,130a)의 고 정단을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내관(110,110a)을 수평이동시키고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슬리브(100)를 제1,2차단판(11,13)사이에 고정하는 작업이 모두 종료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의 간격으로 콘크르트를 타설하여 채운 다음 일정시간동안 양생하여 벽체(200)를 성형한 다음,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과 더불어 상기 관통슬리브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벽체에는 관통슬리브가 제거된 자리에 일정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5(a)(b)(c)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에서 다양한 헝태의 직선안내홈과 나선안내홈이 적용된 내,외관의 전개도이다.
도 6(a)(b)(c)(d)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를 시공하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제1차단판 13 : 제2차단판
110,110a : 내관 130,130a : 외관
112,132a : 직선안내홈 114,134a : 나선안내홈
111a,131 : 안내돌기 P1,P2 : 거푸집 판넬

Claims (5)

  1. 한 쌍의 거푸집 판넬사이에 배치하여 벽체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관통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푸집 판넬 중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1차단판에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관과, 상기 한쌍의 거푸집 판넬 중 나머지 하나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된 제2차단판에 고정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관의 외부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내부면과 상기 내관의 외부면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관의 외부면과 상기 외관의 내부면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안내돌기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의 자유단으로부터 관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직선안내홈을 일정깊이 함몰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가 진입되어 상기 안내돌기의 곡선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직선안내홈과 입구단이 연결되고, 상기 안내돌기가 접하는 접촉면이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나선안내홈을 관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포함함을 특징으로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안내홈의 입구단 반대편에 형성되는 종료단은 상기 직선안내홈과 서로 분리되도록 밀폐됨을 특징으로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안내홈의 입구단 반대편에 형성되는 종료단은 상기 접촉면과 이에 마주하여 대응하는 수직면간의 간격이 상기 안내돌기의 폭보다 작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차단판은 한쌍의 거푸집 판넬에 압입고정되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제1고정홀을 외측테두리에 복수개 구비함을 특징으로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차단판은 한쌍의 거푸집 판넬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을 몸체중앙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KR1020090008136A 2009-02-02 2009-02-02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KR20100088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36A KR20100088970A (ko) 2009-02-02 2009-02-02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36A KR20100088970A (ko) 2009-02-02 2009-02-02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70A true KR20100088970A (ko) 2010-08-11

Family

ID=4275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136A KR20100088970A (ko) 2009-02-02 2009-02-02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9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423B1 (ko) * 2015-12-04 2017-01-16 주식회사 시스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류벽용 통수유닛
JP6317493B1 (ja) * 2017-02-22 2018-04-25 健三 若林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貫通管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51345A (ko) * 2017-11-06 2019-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 푸시밸브
KR102096242B1 (ko) * 2019-05-17 2020-04-02 (주)세원 배기연통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423B1 (ko) * 2015-12-04 2017-01-16 주식회사 시스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류벽용 통수유닛
JP6317493B1 (ja) * 2017-02-22 2018-04-25 健三 若林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貫通管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51345A (ko) * 2017-11-06 2019-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 푸시밸브
KR102096242B1 (ko) * 2019-05-17 2020-04-02 (주)세원 배기연통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101048474B1 (ko) 배관 마감용 조립체
KR101585942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20100088970A (ko) 길이조절형 관통 슬리브
JP4845226B2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KR20080098756A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CN104912344A (zh) 一种用于安装轻质墙板的导向结构及安装方法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KR101247837B1 (ko)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KR100845459B1 (ko) 콘크리트 보 패널의 지지장치
JP2017048547A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及び取付工法
KR100942693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고정 및 보강구조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KR20140066489A (ko) 단열재와 거푸집이 일체화된 건설공사용 양면단열 거푸집
CN210249484U (zh) 一种装配式施工窗帘盒
EP1726728A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KR100789191B1 (ko) 코너용 콘크리트 거푸집
CN211398812U (zh) 一种新型对夹式套管
JP2014159681A (ja) 間仕切壁
KR100799176B1 (ko) 단열재가 취부되는 옹벽 교차부 폼패널
KR20050031158A (ko)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180061456A (ko)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CN212295327U (zh) 一种分段可调节组装式预制过梁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JP2018126942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コーナーパネル用の穿孔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