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938A -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938A
KR20100088938A KR1020090008090A KR20090008090A KR20100088938A KR 20100088938 A KR20100088938 A KR 20100088938A KR 1020090008090 A KR1020090008090 A KR 1020090008090A KR 20090008090 A KR20090008090 A KR 20090008090A KR 20100088938 A KR20100088938 A KR 2010008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pipe
path
injection amount
liqui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359B1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to KR102009000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359B1/ko
Priority to CN201080006368.9A priority patent/CN102300541B/zh
Priority to CA2750899A priority patent/CA2750899A1/en
Priority to EP10736068.7A priority patent/EP2392307B1/en
Priority to US13/146,744 priority patent/US20110319836A1/en
Priority to JP2011547809A priority patent/JP5442033B2/ja
Priority to PCT/KR2010/000616 priority patent/WO2010087677A2/ko
Publication of KR2010008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7Flow controllers controlling delivery of multiple fluids, e.g. sequencing, mixing or via separate flow-p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with capillaries for restricting fl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의 투입관을 통해 투입된 약액을 복수개의 미세관을 통해 분산시키고, 그 분산된 약액을 멀티 밸브체를 통해 스위칭시킴으로써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그로인해 유속 및 유량을 정량적으로 선택되게 함으로써 선택 경로에 따라 정확한 유량으로 약물이 환자에게 투입되게 한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약액 배출수단의 종단에 결합되어, 단일의 경로전환 밸브체에 다수의 유통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의료진이나 환자가 쉽게 다양한 배출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각 배출모드별 배출량이 정량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배출량으로 약액을 주입받을 수 있어서 의료 사고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되며, 의료인이 자신의 경험으로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장치가 간단하여 경제적 이익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약액 주입량, 스위칭 경로, 멀티 제어, 유속제어.

Description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MULTI CONTROL APPARATUS FOR INJECTING A FIXED QUANTITY MEDICINE}
본 발명은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투입관을 통해 투입된 약액을 복수개의 미세관을 통해 분산시키고, 그 분산된 약액을 멀티 밸브체를 통해 스위칭시킴으로써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그로 인해 유속 및 유량을 정량적으로 선택되게 함으로써 선택 경로에 따라 정확한 유량으로 약물이 환자에게 투입되게 한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환자에게 특수의 항생제를 투여하게 되고, 수술 후 지속적으로 통증이 따르는 환자에게는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일정한 시간주기로 진통제를 투여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약액과는 달리 약의 특성상 미세한 량이 항상 일정하게 투여되어야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투여방식은 약액이 투여되는 호오스에 사용자가 임의로 량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갖추어 상기의 조절부를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이 직접 조작시켜 조절자의 육안에 의한 투여량을 조절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량이 투여되지 못하게 되었으며, 그로인해 수시로 투여량을 조절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환자의 치료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의료진이 직접적으로 투여량을 수작에 의해 조절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조절된 약액의 투여량이 정상 수치에서 높을 경우 과다한 량의 투여에 의하여 환자에게 혼수상태 및 쇼크사 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고, 이와는 반대로 투여량이 적을 경우 정확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항생제나 기타의 약액을 투여하는 도중에 진통제등과 같은 다른 약액을 함께 투여하여 주고자 할 경우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하거나 약액이 투여되는 호오스에 주사기를 꽂아 투여하도록 하고 있어,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할 경우 환자에게 많은 아픔을 주게 되어 환자의 안정을 해치게 됨은 물론, 의료 인력의 낭비가 심함은 물론, 호오스에 주사기를 꽂을 경우 잦은 투여에 의해 호오스가 손상됨에 따라 손상부위를 통해 투여되고 있는 약액이 누출되는 단점과 외부로부터의 균 침투로 인한 감염이 될 수 있으며, 그로인해 호오스 및 약액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주사기를 통해 환자에게 약을 투여할 경우 주사기를 눌러주는 힘에 따라 약의 투여량이 각기 다르게 되어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약액이 투여될 경우 환자에게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동반되었던 것이다.
정리하면, 약액이 투여되는 호오스에 사용자가 임의로 량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갖추어 상기의 조절부를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이 직접 조작시켜 조절자의 육안에 의한 투여량을 조절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량이 투여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일의 투입관을 통해 투입된 약액을 복수개의 미세관을 통해 분산시키고, 그 분산된 약액을 멀티 밸브체를 통해 스위칭시킴으로써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그로인해 유속 및 유량을 정량적으로 선택되게 함으로써 선택 경로에 따라 정확한 유량으로 약물이 환자에게 투입되게 한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육각면체로 외형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 각각 투입관(14)과 배출관(18)이 결합되는 결합공(6)이 형성된 케이스(4)와; 상기 케이스(4)에 내부에 장착되며, 그 일단에 단일의 투입관(14)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투입관(14)이 복수개의 서로 다른 분배관(30)을 통해 분배되게 구성된 분배관체(12)와; 상기 케이스(4)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가 상면으로 개방되어져 있고, 외주연 소정부에 복수개의 상기 분배관(3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3)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반대편 외주연에 배출관(18)이 일체로 형성된 밸브하우징(10)과;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유통경로(40,42,43,46,48,50)가 형성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분배관(30)으로 유입된 약물을 선택 경로를 통해 상기 배출관(18)으로 전송하며, 각 경로별 직경차에 따라 유속이 조절되도록 하는 경로전환 밸브체(16)와;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상단에 결합되며, 케이스(4)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레버(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관은 미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관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된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4)는 그 내부 형상이 상기 분배관체(12)와 밸브하우징(10)이 요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로전환밸브체(16)는 그 상단 외주연에 결합돌기(28)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밸브하우징(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돌기(28)가 결합되는 결합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통경로(40)는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으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제 1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통경로(42,43)는 상기 상부관(24a)으로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지 않게 차단하며, 상기 하부관(24b)으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게 개방하는 제 2, 3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통경로(46,48)는 상기 상부관(24a)으로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게 개방하며, 상기 하부관(24b)으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제 4, 5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통경로(50)는 상기 상부관(24a)과 상기 하부관(24b)으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모두 배출되게 개방하는 제 6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3 유통경로와, 상기 제 4, 5 유통경로는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를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 경로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는 약액 배출수단의 종단에 결합되어, 단일의 경로전환 밸브체에 다수의 유통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의료진이나 환자가 쉽게 다양한 배출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각 배출모드별 배출량이 정량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배출량으로 약액을 주입받을 수 있어서 의료 사고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되며, 의료인이 자신의 경험으로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장치가 간단하여 경제적 이익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단일의 투입관을 통해 투입된 약액을 복수개의 미세관을 통해 분산시키고, 그 분산된 약액을 멀티 밸브체를 통해 스위칭시킴으로써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그로인해 유속 및 유량을 정량적으로 선택되게 함으로써 선택 경로에 따라 정확한 유량으로 약물이 환자에게 투입되게 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투입관을 통해 투입된 약물을 서로 다른 경로의 관체를 통해 분산시키면서 서로 다른 직경의 관체를 통해 어느 한 관체로만 약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하거나, 모든 관체를 통해 약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가지의 서로 다른 유속을 발생시키고, 그 유속 제어를 통해 환자로 이르는 약액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양측면에 각각 투입관(14)과 배출관(18)이 결합되는 결합공(6)이 형성된 케이스(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4)는 그 내부 형상이 분배관체(12)와 밸브하우징(10)이 요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분배관체(12)와 밸브하우징(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상기 케이스(4)에 내부에 장착되고, 그 일단에 단일의 투입관(14)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투입관(14)이 복수개의 서로 다른 분배관(30)을 통해 분배되게 구성된 분배관체(12)가 구성되는 바, 그 분배관체(12)는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투입관(14)을 통해 약물을 투입받아, 그 내부에 분기된 분배관(30)을 통해 복수개의 경로로 약물을 배출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분배관(30)은 상기 분배관체(12)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관이며, 그 분배관(30)은 내부 관로가 미세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분배관(300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된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상기 케이스(4)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가 상면으로 개방되어져 있고, 외주연 소정부에 복수개의 상기 분배관(3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3)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반대편 외주연에 배출관(18)이 일체로 형성된 밸브하우징(10)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10)은 상기 분배관체(12)의 일단에 형성된 투입관(14)으로부터 투입되는 약액을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으로 이루어진 분배관(30)을 통해 분배받아 상기 밸브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외주연 소정부에는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23)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결합부(23)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하우징(1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가 결합되기 위해 중공 상태로 구성된 중공부(20)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10)으로 유입된 약액은 상기 배출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유통경로(40,42,43,46,48,50)가 형성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분배관(30)으로 유입된 약물을 선택 경로를 통해 상기 배출관(18)으로 전송하며, 각 경로별 직경차에 따라 유속이 조절되도록 하는 경로전환 밸브체(16)가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상기 밸브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분배관(30)을 구성하는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을 통과하는 약액을 상기 배출관(18)으로 선택적 경로를 전환시키는 밸브체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유통경로(40,42,43,46,48,50)가 형성되어져 있는 바, 이때 유통경로(40,42,43,46,48,50)란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내부를 통과하여 약액이 배 출관(18)측으로 유통될 수 있는 통공을 통해 형성된 경로이다.
한편,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상단에는 조작레버(8)가 결합되어져 있는 바, 상기 조작레버(8)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4)의 외부로 노출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그 상단 외주연에 결합돌기(28)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밸브하우징(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돌기(28)가 결합되는 결합홈(26)이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를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부로 가압하면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결합돌기(28)가 결합홈(26)에 결합되게 되고, 그로인해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그 내부에 길이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유통경로(40,42,43,46,48,50)를 통해 총 4개의 경로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는 바, 첫 번째 모드는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을 통과하는 약액을 상기 배출관(18)으로 배출시키지 않게 폐쇄시키는 폐쇄모드이며, 두 번째 모드는 상기 상부관(24a)을 통과한 약액만을 배출관(18)을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하부관(24b)을 통과하는 약액은 차단하는 상부관(24a) 배출모드이다.
또한, 세 번째 모드는 상부관(24a)을 통과한 약액은 차단시키고, 상기 하부관(24b)을 통과하는 약액을 상기 배출관(18)을 통해 배출시키는 하부관(24b) 매출모드이며, 네 번째 모드는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을 통과하는 약액을 모두 상 기 배출관(18)을 통해 배출시키는 전체 배출모드이다.
이때,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의 내경이 각기 상이하므로, 상기 상부관(24a)을 통과한 약액량과 하부관(24b)을 통과한 약액량이 각기 상이하여, 상기 상부관(24a) 배출모드를 선택하느냐 또는 상기 하부관(24b) 배출모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상기 배출관(18)을 통해 환자측으로 배출되는 약액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의료진은 모드별 배출 약액량을 인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8)를 조작하여 일정한 약액량을 지속적으로 환자가 투입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각 모드별 경로 스위칭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대한 경로전환 밸브체(16)의 회전 상태에 따라, 4가지의 서로 다른 경로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a를 살펴보면, 의료진이 상기 조작레버(8)를 통해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를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시켜 폐쇄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 1 유통경로(40)는 그 일단이 상기 배출관(18)과 연통되어져 있으나 그 타단은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에 대해 연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을 통해 유통되는 약액은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몸체에 의해 더 이상의 유통이 차단되게 되므로,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내부로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을 통해 유통되는 약액이 유입되지 못한다.
도 5a 상태의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를 의료진이 상기 조작레버(8)를 통해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대해 하부관(24b) 배출모드가 선택되게 되며, 이를 도시한 것은 도 5b이다.
즉,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관(24a)과 그 일단이 연통된 제 2 경로(42)는 그 타단이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주연에 밀착됨으로 인해 폐쇄되게 되며, 상기 하부관(24b)과 그 일단이 연통된 제 3 경로(43)는 그 타단이 상기 배출관(18)과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관(24b)을 통해 유입된 약액은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제 3 경로(43)를 통해 상기 배출관(18)으로 유통되게 된다.
또한, 도 5b 상태의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를 의료진이 상기 조작레버(8)를 통해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대해 상부관(24a) 배출모드로 전환하게 되며, 이를 도시한 것은 도 5c이다.
즉,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관(24a)과 그 일단이 연통된 제 4 경로(46)는 그 타단이 상기 배출관(18)과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관(24a)을 통해 유입된 약액은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제 4 경로(46)를 통해 상기 배출관(18)으로 유통되게 되며, 상기 하부관(24b)과 그 일단이 연통된 제 5 경로(48)는 그 타단이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주연에 밀착됨으로 인해 폐 쇄되게 된다.
한편, 도 5a 상태의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를 의료진이 상기 조작레버(8)를 통해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는 상기 밸브 하우징(10)에 대해 전체 배출모드로 전환하게 되며, 이를 도시한 것은 도 5d이다.
즉, 도 5d를 참조하면, 제 6 경로(50)는 도 5a에 도시된 제 1 경로(40)가 좌우 대칭된 경로이며, 상기 제 6 경로(50)는 상기 상부관(24a)과 상기 하부관(24b)에 대해 그 일단이 연통되어져 있고, 그 타단이 상기 배출관(18)과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관(24a) 및 하부관(24b)을 통해 유입된 약액은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제 6 경로(50)를 통해 상기 배출관(18)으로 유통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18)을 통해 환자측으로 주입되는 약액량은 상기 상부관(24a)을 통과한 약액량과 상기 하부관(24b)을 통과한 약액량의 합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전환 밸브체(16)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6 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스(4)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4a)을 통해 조절수단(50)의 하부결합부가(56)가 삽입되고 이 하부결합부(56)는 상기 경로전환밸브체(16)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결합부(16a)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조절수단(50)은 상부중앙에 형성된 상부홈(52)에 스프링(44)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조절수단덮개판(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덮개판(40)의 양측면에는 절개부(46)가 각각 형성되어 이 절개부(46)를 통해 상기 조절수단(50)의 원주둘레에 형성된 요철면(54)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약액의 배출경로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요철면(54)을 좌우로 회전시켜 그 하부에 결합된 경로전환밸브체(16)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2)는 링거백을 포함한 약액 배출수단의 종단에 결합되어, 단일의 경로전환 밸브체에 다수의 유통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의료진이나 환자가 쉽게 다양한 배출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각 배출모드별 배출량이 정량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배출량으로 약액을 주입받을 수 있어서 의료 사고의 위험성이 대폭 감소되며, 의료인이 자신의 경험으로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장치가 간단하여 경제적 이익이 크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의 각 모드별 경로 스위칭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주입량 멀티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케이스, 6:결합공,
8:조작레버, 10:밸브하우징,
12:분배관체, 14:투입관,
16:경로전환 밸브체, 18:배출관,
23:결합부, 24a,24b:상부/하부관,
30:분배관, 40:조절수단 덮개판,
50:조절수단

Claims (11)

  1. 육각면체로 외형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 각각 투입관(14)과 배출관(18)이 결합되는 결합공(6)이 형성된 케이스(4)와;
    상기 케이스(4)에 내부에 장착되며, 그 일단에 단일의 투입관(14)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투입관(14)이 복수개의 서로 다른 분배관(30)을 통해 분배되게 구성된 분배관체(12)와;
    상기 케이스(4)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가 상면으로 개방되어져 있고, 외주연 소정부에 복수개의 상기 분배관(3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3)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반대편 외주연에 배출관(18)이 일체로 형성된 밸브하우징(10)과;
    상기 밸브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유통경로(40,42,43,46,48,50)가 형성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분배관(30)으로 유입된 약물을 선택 경로를 통해 상기 배출관(18)으로 전송하며, 각 경로별 직경차에 따라 유속이 조절되도록 하는 경로전환 밸브체(16)와;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의 상단에 결합되며, 케이스(4)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레버(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30)은 미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 입량 멀티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30)은 각각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된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는 그 내부 형상이 상기 분배관체(12)와 밸브하우징(10)이 요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밸브체(16)는 그 상단 외주연에 결합돌기(28)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밸브하우징(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결합돌기(28)가 결합되는 결합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경로(40)는 상기 상부관(24a)과 하부관(24b)으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제 1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경로(42,43)는 상기 상부관(24a)으로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지 않게 차단하며, 상기 하부관(24b)으로 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게 개방하는 제 2, 3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경로(46,48)는 상기 상부관(24a)으로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게 개방하며, 상기 하부관(24b)으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배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제 4, 5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경로(50)는 상기 상부관(24a)과 상기 하부관(24b)으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배출관(18)으로 모두 배출되게 개방하는 제 6 유통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유통경로와, 상기 제 4, 5 유통경로는 상기 경로전환 밸브체(16)를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 경로가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는 그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4a)을 통해 조절수단(50)의 하부결합부가(56)가 삽입되고 이 하부결합부(56)는 상기 경로전환밸브체(16)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결합부(16a)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조절수단(50)은 상부중앙에 형성된 상부홈(52)에 스프링(44)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조절수단덮 개판(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조절수단덮개판(40)의 양측면에는 절개부(46)가 각각 형성되어 이 절개부(46)를 통해 상기 조절수단(50)의 원주둘레에 형성된 요철면(54)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약액의 배출경로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요철면(54)을 좌우로 회전시켜 그 하부에 결합된 경로전환밸브체(16)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KR1020090008090A 2009-02-02 2009-02-02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KR101065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090A KR101065359B1 (ko) 2009-02-02 2009-02-02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CN201080006368.9A CN102300541B (zh) 2009-02-02 2010-02-02 药液分配速率控制设备
CA2750899A CA2750899A1 (en) 2009-02-02 2010-02-02 Apparatus for controlling administration rate of medical fluid
EP10736068.7A EP2392307B1 (en) 2009-02-02 2010-02-02 Drug solution dose controller
US13/146,744 US20110319836A1 (en) 2009-02-02 2010-02-02 Apparatus for controlling administration rate of medical fluid
JP2011547809A JP5442033B2 (ja) 2009-02-02 2010-02-02 薬液投与量制御装置
PCT/KR2010/000616 WO2010087677A2 (ko) 2009-02-02 2010-02-02 약액 투여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090A KR101065359B1 (ko) 2009-02-02 2009-02-02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38A true KR20100088938A (ko) 2010-08-11
KR101065359B1 KR101065359B1 (ko) 2011-09-16

Family

ID=4239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090A KR101065359B1 (ko) 2009-02-02 2009-02-02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319836A1 (ko)
EP (1) EP2392307B1 (ko)
JP (1) JP5442033B2 (ko)
KR (1) KR101065359B1 (ko)
CN (1) CN102300541B (ko)
CA (1) CA2750899A1 (ko)
WO (1) WO201008767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69A3 (ko) * 2019-06-17 2021-02-11 주식회사 세비카 유체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셀렉터
KR102491812B1 (ko) * 2022-09-28 2023-01-27 운스메디칼 주식회사 미세 조정용 압력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2284B2 (en) 2009-01-28 2013-08-20 Woo Young Medical Co., Ltd. Medical fluid dispenser
EP3266873A1 (en) * 2010-11-10 2018-01-10 Nigel L. Webb Nuclions and ribocapsids
US9334970B2 (en) 2013-06-13 2016-05-10 Haven Technology Solu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control
US9302091B2 (en) 2013-07-12 2016-04-05 Carefusion 303, Inc. Check valve system
WO2016101860A1 (zh) * 2014-12-22 2016-06-30 胡绍勤 一种输液流速调节器
US10709839B2 (en) * 2015-03-04 2020-07-14 Repro-Med Systems, Inc. Precision variable flow rate infusion system and method
KR101695453B1 (ko) * 2015-07-08 2017-01-12 (주)더블유앤지 셀렉터
US20180207352A1 (en) * 2017-01-24 2018-07-26 Epic Medical Pte Ltd Fluid control apparatus
CN108042879B (zh) * 2018-02-06 2020-06-16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麻醉调节装置
US20210244878A1 (en) * 2018-11-20 2021-08-12 Cochlear Limited Selectable drug delivery rate device
CN109999257A (zh) * 2019-05-15 2019-07-12 张鹏 一种普外科手术冲洗装置
CN110038181A (zh) * 2019-05-21 2019-07-23 四川省肿瘤医院 一种用于妇科的冲洗头及冲洗器
CN110898286A (zh) * 2019-11-13 2020-03-24 袁红斌 可调流速输注泵及其流速调节器
DE102020130488A1 (de) 2019-12-16 2021-06-17 ECO Holding 1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Fluid innerhalb eines zumindest teilweise elektrisch angetriebenen Fahrzeugs
CN117482325A (zh) * 2021-07-27 2024-02-02 武汉联影智融医疗科技有限公司 胰岛素胰高血糖素注射装置及医疗器械
KR102653885B1 (ko) * 2022-03-03 2024-04-03 (주)에스엘메디케어 미세 유량 조절이 가능한 산소 발생 장치
DE102022205578A1 (de) * 2022-06-01 2023-12-07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Medizinische Fluidsteuervorrichtung
FR3139876A1 (fr) * 2022-09-16 2024-03-22 Valeo Systemes Thermiques Vanne pour fluide, notamment liquide caloporteur
FR3139874A1 (fr) * 2022-09-16 2024-03-22 Valeo Systemes Thermiques Vanne pour fluide, notamment liquide caloporteur
FR3139877A1 (fr) * 2022-09-16 2024-03-22 Valeo Systemes Thermiques Vanne pour au moins un fluide, notamment un liquide caloporteu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8388A (en) * 1932-07-11 1934-02-20 Liberson Frank Automatic displacement syringe
US2335085A (en) * 1941-03-18 1943-11-23 Colonnade Company Valve construction
US2812765A (en) * 1955-12-19 1957-11-12 Benjamin F Tofflemire Combination aspirator and fluiddelivering surgical instrument
US2964056A (en) * 1957-05-13 1960-12-13 Heinkel Ag Ernst Three-way-delivery cock with automatic ventilation, especially for fuel
US3957082A (en) * 1974-09-26 1976-05-18 Arbrook, Inc. Six-way stopcock
US4410164A (en) * 1981-12-31 1983-10-1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odular flow control system
US4593717A (en) * 1983-08-12 1986-06-10 Levasseur Joseph E Valve
US4608996A (en) * 1984-08-10 1986-09-02 Cordis Corporation External blood parameter diagnostic system
JPH0584310A (ja) * 1991-09-26 1993-04-06 Nissho Corp 多方活栓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量制御装置
JPH09225028A (ja) * 1996-02-21 1997-09-02 Daiken Iki Kk 薬液の流量切換器
JP3203636B2 (ja) * 1996-04-10 2001-08-27 ニプロ株式会社 流量制御装置
US6273133B1 (en) 1999-10-15 2001-08-14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rate switching device
FR2813592B1 (fr) * 2000-09-07 2003-03-21 Valoi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du type monodose ou bidose
US7462170B2 (en) * 2004-05-25 2008-12-09 Covidien Ag Administration feeding set and valve mechanism
CN100428965C (zh) * 2004-08-05 2008-10-29 株式会社玗荣医疗器 药液注入装置
US7690396B2 (en) * 2006-07-20 2010-04-06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rate tubing flow restrictor
US7803133B2 (en) * 2007-01-23 2010-09-28 Freddie Eng Hwee Lee Flow controll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69A3 (ko) * 2019-06-17 2021-02-11 주식회사 세비카 유체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셀렉터
KR102491812B1 (ko) * 2022-09-28 2023-01-27 운스메디칼 주식회사 미세 조정용 압력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9836A1 (en) 2011-12-29
WO2010087677A3 (ko) 2010-12-09
CA2750899A1 (en) 2010-08-05
KR101065359B1 (ko) 2011-09-16
JP2012516193A (ja) 2012-07-19
JP5442033B2 (ja) 2014-03-12
CN102300541A (zh) 2011-12-28
CN102300541B (zh) 2014-04-16
EP2392307B1 (en) 2015-03-04
EP2392307A2 (en) 2011-12-07
EP2392307A4 (en) 2012-08-01
WO2010087677A2 (ko)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359B1 (ko) 약액 주입량 멀티 제어장치
MX2009000590A (es) Restrictor de flujo de tubo con multiples velocidades.
US10716894B2 (en) Multi-type medicinal fluid flow rate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fluid injector comprising same
US69534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IV liquid medication and IV flush solutions
CA2098507C (en) Drug infusion manifold
ES2233439T3 (es) Dispositivo de conmutacion de caudales de fluidos.
RU23544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KR101404488B1 (ko) 의료용 기능성 다방향 스톱콕
KR20160029411A (ko) 주입량 및 주입방향 조절형 밸브
NZ539120A (en) Device for selectively regulating the flow rate of a fluid
US20120265139A1 (en) Bubble entrapment device
KR20100027806A (ko)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
EP3320931A1 (en) Selector
KR101348689B1 (ko) 다방향 밸브
US10137293B2 (en) Medical stopcock valve
KR20140111245A (ko) 약액 유량 제어장치
CN108339174A (zh) 流体控制装置
KR101794925B1 (ko) 다기능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20050099952A (ko) 의료용 유량 제어장치
KR20210032237A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190010977A (ko) 유속이 조절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170111287A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20220075627A (ko) 마이크로 채널을 구비한 약액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