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884A - 신발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884A
KR20100087884A KR1020090006927A KR20090006927A KR20100087884A KR 20100087884 A KR20100087884 A KR 20100087884A KR 1020090006927 A KR1020090006927 A KR 1020090006927A KR 20090006927 A KR20090006927 A KR 20090006927A KR 20100087884 A KR20100087884 A KR 20100087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opening
tightening
handl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251B1 (ko
Inventor
정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즈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즈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즈런
Priority to KR102009000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251B1/ko
Priority to PCT/KR2009/000440 priority patent/WO2010087534A1/ko
Publication of KR2010008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0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Equipment therefor
    • A43C11/142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hoe, e.g. rack
    • A43C11/142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hoe, e.g. rack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rack to the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측을 마감하는 설포가 배치된 신발몸체;와, 상기 설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설포와 이동체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버가 형성된 조임수단; 및,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과 상기 조임수단의 이동체를 연결하는 신발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이 한번에 조임 또는 조임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조임, 신발끈, 레버,

Description

신발끈 조임장치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조작을 통해 신발끈을 한번에 조임 또는 조임해제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신발의 조임구조로서는, 신발몸체의 발등부분으로부터 신발의 입구에 걸쳐 형성되는 개구부의 양측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신발끈을 교차로 통과시키면서 서로 엇갈리도록 하는 것을 반복하여 연결한 뒤, 신발 착용자의 발에 맞추어 신발끈을 적당히 당겨 조인 후 신발끈의 말단부를 매듭지어 신발을 착용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발의 조임구조는 발목의 길이여부와 상관없이 발목의 길이가 짧거나 없는 운동화나 등산화, 그리고 발목의 길이가 긴 부츠나 군화 등에 이르기까지 신발끈에 의한 조임구조는 대부분의 신발에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임구조는 발등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조여가지만, 스노우보드용 부츠와 같이 발목 위쪽의 길이가 정강이부분에 까지 이르는 신발에 있어서는 발등으로부터 정강이부분까지 조여가는 것에 강한 힘이 필요한 뿐만 아니라, 착 용에 필요한 시간도 오려 걸리며, 정강이부분까지 신발끈을 조여가는 과정에서 발등부분이 느슨해져버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신발을 착용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매듭이 저절로 풀어지는 폐단이 발생하는 단점과, 신발을 벗거나 신을 경우 반드시 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교차된 끈을 반복하여 동시에 당겨서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의 조작을 통해 신발끈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조임해제시 개구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신발끈이 균등하게 풀어지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간편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동체의 양측에서 신발끈을 각각 잡아당기게 되므로 우수한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체의 이동거리를 짧게 설계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레버의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임의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손잡이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손잡이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렛대 효과에 의해 작은 힘으로 레버의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손잡이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연장되고,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수축되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동체의 상부영역을 양측으로 분기시켜 "Y"자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 동체의 양측에 제1가이드를 인접배치하고, 분기된 이동체의 사이영역에 제2가이드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신발끈의 조임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측을 마감하는 설포가 배치된 신발몸체;와, 상기 설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설포와 이동체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버가 형성된 조임수단; 및,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과 상기 조임수단의 이동체를 연결하는 신발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이 한번에 조임 또는 조임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 각각 인접배치되도록 상기 설포에 고정되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과 이동체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단부가 분기(分岐)되어 "Y"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 인접배치되는 제1가이드와, 상기 이동체의 분기된 상단부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끈은 개구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조임수단의 가이드와 이동체를 관통하여 개구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며,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설포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이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신축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구속하는 스토퍼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끈은 조임수단의 가이드와 이동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며, 일단부에 신발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신발끈의 외측을 파지하여 신발끈을 구속하는 조절몸체와, 상기 조절몸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발끈의 구속 및 구속해제를 선택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끈은 말단부에 구(球)형의 신발끈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몸체는 개구부의 양측에 신발끈이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이 각각 마련되며, 인접한 한 쌍의 통공은 중공의 튜브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조작을 통해 조임 또는 조임해제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임해제시 개구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신발끈이 균등하게 풀어지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간편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동체의 양측에서 신발끈을 각각 잡아당기게 되므로 우수한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체의 이동거리를 짧게 설계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레버의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임의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손잡이의 길이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렛대 효과에 의해 작은 힘으로 레버의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연장되고,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손잡이의 길이가 자동으로 수축되도록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동체의 상부영역을 양측으로 분기시켜 "Y"자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동체의 양측에 제1가이드를 인접배치하고, 분기된 이동체의 사이영역에 제2가이드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신발끈의 조임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몸체(110)와, 설포(120)와, 신발끈(130)과, 조임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발몸체(110)는 내부로 발을 넣거나 빼기 용이하도록 일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의 양측에 신발끈(130)이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112)이 각각 형성되며, 상단 일측부에는 후술하는 신발끈(130)의 길이조절수단(131) 및 신발끈손잡이(132)가 수용되는 수용홈(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112)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통공(112)들이 중공의 튜브(113)로 연결되며, 상기 튜브(113)를 통과하는 신발끈(130)이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111)의 양측을 수회 연결할 수 있도록 대향측의 튜브(113)와 서로 교호배치된다.
상기 설포(Tungue, 120)는 상기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마감하는 것으로, 하단부가 상기 개구부(111)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조임수단(140)은 상기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이 관통하는 제1통공(142a)들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설포(120)상에서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142)와, 상기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이 관통하는 제2통공(141a)들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142)의 양측에 각각 인접배치되는 가이드(141)와, 중앙에 상기 이동체(142)의 이동방향을 따라 개구공(143a)이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141)에 고정되는 커버(143)와, 일단이 상기 설포(120)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143)의 개구공(143a)을 통해 노출된 상기 이동체(142)에 고정되는 레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150)는 상기 커버(143)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152)와, 상기 손잡이(152)와 이동체(14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53) 및, 상기 손잡이(152)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52)를 구속하는 스토퍼(15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52)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 퍼에 걸려지는 걸림턱(미도시)이 일측에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장공(152c)이 형성된 회동부재(152a)와, 상기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장공(152c)으로 삽입되는 삽입축(152e)이 형성되어 회동부재(15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신축되는 슬라이딩부재(152d)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손잡이(15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부(153a)와, 상기 가이드(141)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153b)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부(153a)와 제2고정부(153b)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153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토퍼(154)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손잡이(152)를 구속하는 방향을 향해 베이스로부터 탄성지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142)는 발등부분으로부터 발목 또는 정강이 부분에 이르는 곡선의 형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구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구부러지는 방향에 대하여 내측에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끈(Shoelace, 130)은 일단이 개구부(111)의 일측 하단부에 형성된 통공(1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수단(140)의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의 통공(112)으로 삽입된 뒤, 튜브(113)를 통해 연통되는 인접한 통공(112)으로 빠져나와 다시 상기 조임수단(140)의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의 통공(112)으로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개구부(111)의 양측을 지그재그형태로 연결한 뒤, 개구부(111)의 상단부에 마련된 통공(112)으로 삽입된 타단 부가 신발몸체(110)의 상단부 내측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타단부에는 구(球)형의 신발끈손잡이(132)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끈손잡이(132)와 통공(112) 사이에는 신발끈(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131)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수단(131)은 상기 신발끈(130)의 외측을 파지하여 신발끈(130)을 구속하는 조절몸체(131a)와, 상기 조절몸체(131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발끈(130)의 구속 및 구속해제를 선택하는 캡(1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신발끈 조임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 작용단면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상태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임수단(140)이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내측에 배치된 설포(120)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임수단(140)의 레버(150)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설포(120)가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신발몸체(110)의 내측으로 발을 넣기가 용이한 상태가 된다.
즉,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발끈(130)은 일단부가 개구부(111)의 일측 하단부에 형성된 통공(112)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 통공(112)으로 삽입된 뒤, 튜 브(113)를 통해 연통되는 인접한 통공(112)으로 빠져나와 다시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관통하여 대향측의 통공(112)으로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개구부(111)의 양측을 대략 평행하게 지그재그형태로 연결한 뒤, 개구부(111)의 상단부에 마련된 통공(112)으로 삽입된 타단부가 신발몸체(11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신발몸체(110)의 상단부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신발끈(130)의 말단부에는 구형의 신발끈손잡이(132)가 고정되어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기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발끈은 개구부의 양측에 마련된 각 통공들을 연결하는 튜브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발끈의 이동에 대하여 마찰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신발끈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끈손잡이(132)와 개구부(111)의 상단부 통공(112)의 사이에는 마련된 길이조절수단(131)에 의해 하단부 일측 통공(112)과 상단부 통공(112)까지의 연결길이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발크기에 맞게 조절된 신발끈(130)의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길이조절수단(131)의 조절몸체(131a)가 신발끈(130)의 외측을 파지하여 신발끈(130)의 외측에 고정되며, 상기 조절몸체(131a)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된 캡(131b)의 회전방향에 따라 신발끈(130)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신발끈(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발 착용자는 자신의 발에 맞추어 조임해제가 된 상태의 개구부(111)의 폭을 설정하거나 조임상태에 서의 신발끈(130)에 의한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개구부(111)의 사이를 연결하는 신발끈(130)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수단(131)를 고정해제시킨 상태에서 개구부(111)의 양측을 벌리면, 신발끈(130)이 개구부(111) 양측의 통공(112)에 마련된 튜브(113)에 삽입되어 신발끈(130)과의 마찰력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개구부(111) 사이를 연결하는 신발끈(130)의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설포(120)에 고정된 조임수단(140)의 양측 가이드(141) 사이에 위치한 이동체(142)는 레버(150)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개구부(11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인해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에 형성된 통공(112)의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130)은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이 발을 넣기 용이한 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임해제된 상태에서 조임방향으로 조임수단(140)의 레버(150)를 작용시키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조임수단(140)의 레버(150)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설포(120)의 전면에 가이드(141)가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141)의 전면에 커버(143)가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143)의 내측으로는 가이드(141)의 사이공간 하부에 이동체(142)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143)의 상단부 외측에는 레버(150)의 고정판(151)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51)에 손잡이(152)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커버(143)의 중앙에 마련된 개구공(143a)을 통해 노출된 이동체(142)가 연결부재(153)에 의해 상기 손잡이(152)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52)는 상기 고정판(15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재(152d)가 회동부재(15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손잡이(152)의 전체길이가 연장 되며, 회동부재(152a)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52c)에 슬라이딩부재(152d)의 내측에 마련된 삽입축(152e)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딩부재(152d)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슬라이딩부재(152d)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회동부재(152a)가 고정해제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 즉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재(152d)가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회동부재(152a)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이로인해 손잡이(152)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 손잡이(152)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53)는 제1고정부(153a)가 상기 손잡이(15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고정부(153b)가 커버(143)의 개구공(143a)을 통해 노출된 이동체(142)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고리(153c)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53a)와 제2고정부(153b)가 연결된다.
도 8은 조임수단(140)의 레버(150)가 조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판(15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52)를 조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연결부재(153)에 의해 손잡이(152)와 연결된 이동체(142)가 가이드(141)의 사이공간에서 커버(143)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52)의 회동부재(152a)가 고정판(151)에 설치된 스토퍼(154)의 걸림턱(152b)에 접촉하는 순간 스토퍼(154)가 하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하였다가 회동부재(152a)가 완전히 회동하게 되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걸림턱(152b)에 걸려지면서 회동부재(152a)의 회동위치를 구속하게 되므로, 상기 손잡이(152)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임의로 조임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52a)의 외측을 감싸는 슬라이딩부재(152d)는 손잡이(152)가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해제 상태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상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152d)는 중력에 의해 회동부재(152a)의 외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손잡이(152)의 전체길이가 자동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착용자의 발목 앞부분 또는 정강이 앞부분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53)의 제2고정부(153b)는, 제2고정부(153b)를 관통한 체결부재(S)에 의해 이동체(142)에 고정되어 손잡이(152)의 회동에 따라 이동체(142)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이동체(142)에는 상기 제2고정부(153b)를 관통 한 체결부재(S)가 체결되는 체결공(142b)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마련된다.
따라서, 이동체(142)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153b)의 고정위치에 따라 이동체(142)의 이동에 대하여 신발끈(130)의 조임정도가 조절되므로 신발끈(130)의 전체길이를 조절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조임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와 같이 조임수단(140)의 레버가 조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이동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레버의 회동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설포(120)의 전면 양측에 배치된 가이드(141)의 사이에서 이동체(14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신발끈(130)이 양측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을 대략 수평한 상태로 연결된 상태로부터 이동체(14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양측 가이드(141)의 사이공간에서 신발끈(130)을 상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사이의 늘어난 거리에 비례하여 가이드(141)의 제2통공(141a)과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양측 통공(112)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개구부(111)의 양측이 조여지게 된다.
특히, 신발끈(130)이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측까지 양측 통공(112)을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가며 수회 반복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신발끈(130)의 중앙부분이 연결된 이동체(142)가 이동하는 것이므로, 신발 끈(130)을 한번에 조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개구부(111)의 양측을 잡아당기게 되는 힘이 개구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균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동체(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141)가 인접배치되어 이동체(142)의 이동에 대하여 양측에서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게 되며, 개구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개소에서 신발끈(130)의 조임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이동체(142)의 이동거리를 짧게 설계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임방향으로의 작용에 대하여 조임해제의 작용은 조임방향으로의 작용에 대하여 역순으로 진행되며, 도 8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스토퍼(154)를 고정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154)가 회동부재(152a)의 걸림턱(152b)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레버(150)의 손잡이(152)가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조임상태에서 신발끈(130)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스토퍼(154)를 조임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발끈(130)의 견인력에 의해 손잡이(152)가 자동으로 조임해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특히, 조임해제의 경우에도 조임과 마찬가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기 까지 이동체(142)의 이동에 의해 신발끈(130)이 균등하게 풀어지게 되므로 신발몸체(110)로부터 발을 꺼내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10에서와 같이 이동체(142')는 상측이 분기(分岐)되어 대략 "Y"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사이에 마련되는 설포(120)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고, 가이드(145)는 상기 이동체(142')의 양측에 인접배치되는 제1가이드(145a)와, 상기 이동체(142')의 분기된 상단부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145c)로 구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145c)는 이동체(142')의 이동구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체(142')의 분기지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체(142')와 제1가이드(145a) 및 제2가이드(145c)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구부(111) 양측의 통공(112)을 연결하는 신발끈(130)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제2통공(145b) 및 제3통공(145d)이 다수 형성되고, 이동체(142')에는 제1통공(142a)이 다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동체(142')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가이드(145)의 사이공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체(142')와 가이드(145)의 구성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조임해제된 상태로부터 레버의 조작에 의해 도 11과 같이 상기 이동체(142')가 조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체(142')의 하부영역에서는 이동 체(142')의 제1통공(142a)과 이동체(142')의 양측에 인접배치된 제1가이드(145a)의 제2통공(145b)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신발끈(130)이 잡아당겨지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하부 양측이 중앙을 향해 조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142')의 상부영역에서는 "Y"자 형태로 분기된 이동체(142')의 양측에 제1가이드(145a)가 인접 배치되고 분기된 이동체(142')의 사이영역에는 제2가이드(145c)가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체(14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체(142')의 제1통공(142a)과 제1가이드(145a)의 제2통공(145b) 및 제2가이드(145c)의 제3통공(145d)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신발끈(130)이 잡아당겨지게 되므로 신발몸체(110)의 개구부(111) 상부 양측이 중앙을 향해 조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이동체(142')의 분기된 상부영역에서는 하부영역에 비해 이동체(142')가 2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분기된 이동체(142')가 제1가이드(145a)와 제2가이드(145c)의 사이에서 각각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이동체(142')의 하부영역보다 2배만큼 신발끈(130)을 잡아당기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츠나 군화와 같이 발목이 긴 신발에서는 조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등산화나 운동화 같이 발목이 짧거나 없는 신발에서는 이동체(142')의 이동거리를 짧게 하는 대신 우수한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신발끈이 개구부의 양측을 지그재그 형 태로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2개의 신발끈을 통해 개구부의 양측으로부터 인접한 가이드를 관통하여 이동체의 측면을 연결하며, 이동체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각각 다수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해제상태의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측면 작용단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조임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신발끈 조임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면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신발몸체, 111:개구부, 112:통공, 113:튜브, 120:설포, 130:신발끈,
131:길이조절수단, 131a:조절몸체, 131b:캡, 132:신발끈손잡이,
140:조임수단, 141:가이드, 141a:제2통공, 142:이동체, 142a:제1통공,
142b:체결공, 143:커버, 143a:개구공, 150:레버, 151:고정판, 152:손잡이,
152a:회동부재, 152b:걸림턱, 152c:장공, 152d:슬라이딩부재,
152e:삽입축, 153:연결부재, 153a:제1고정부, 153b:제2고정부,
153c:연결고리, 154:스토퍼

Claims (12)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측을 마감하는 설포가 배치된 신발몸체;
    상기 설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설포와 이동체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버가 형성된 조임수단; 및,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과 상기 조임수단의 이동체를 연결하는 신발끈;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상기 신발몸체의 개구부 양측을 연결하는 신발끈이 한번에 조임 또는 조임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양측과 상기 이동체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관통되어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 각각 인접배치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단부가 분기(分岐)되어 "Y"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 이드는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 인접배치되는 제1가이드와, 상기 이동체의 분기된 상단부의 사이영역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은 개구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조임수단의 가이드와 이동체를 관통하여 개구부의 타측으로 연결되며,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설포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이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신축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손잡이가 조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구속하는 스토퍼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은 조임수단의 가이드와 이동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개구부의 양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며, 일단부에 신발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신발끈의 외측을 파지하여 신발끈을 구속하는 조절몸체와, 상기 조절몸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신발끈의 구속 및 구속해제를 선택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은 말단부에 구(球)형의 신발끈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몸체는 개구부의 양측에 신발끈이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이 각각 마련되며, 인접한 한 쌍의 통공은 중공의 튜브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
KR1020090006927A 2009-01-29 2009-01-29 신발끈 조임장치 KR10101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27A KR101017251B1 (ko) 2009-01-29 2009-01-29 신발끈 조임장치
PCT/KR2009/000440 WO2010087534A1 (ko) 2009-01-29 2009-01-29 신발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27A KR101017251B1 (ko) 2009-01-29 2009-01-29 신발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84A true KR20100087884A (ko) 2010-08-06
KR101017251B1 KR101017251B1 (ko) 2011-02-28

Family

ID=4239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927A KR101017251B1 (ko) 2009-01-29 2009-01-29 신발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7251B1 (ko)
WO (1) WO20100875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834B1 (ko) 2019-12-30 2021-02-04 강하늘 자동차용 안전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1539B1 (en) 2012-06-29 2016-01-26 Jeffrey Keswin Shoelace tightening method and apparatus
SK6953Y1 (sk) * 2013-02-19 2014-11-04 Ivan Kolka Mechanický systém napínania šnúro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7622A (en) * 1977-09-26 1979-06-12 Carlyle Lance J Fastener for footwear
US5129130A (en) * 1991-05-20 1992-07-14 Jacques Lecouturier Shoe lace arrangement with fastener
US5157813A (en) * 1991-10-31 1992-10-27 William Carroll Shoelace tensioning device
US5572777A (en) * 1994-06-21 1996-11-12 Shelton; Billy R. Shoe lace tightening device
KR200158943Y1 (ko) * 1997-06-23 1999-10-15 유부열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IT1306678B1 (it) * 1999-06-29 2001-10-02 Bauer Italia Spa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di allacciature a stringa, in particolareper calzatura sportiva.
KR200184587Y1 (ko) * 1999-12-30 2000-06-01 백수호 신발 끈을 신속하게 묶을 수 있는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834B1 (ko) 2019-12-30 2021-02-04 강하늘 자동차용 안전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7534A1 (ko) 2010-08-05
WO2010087534A9 (ko) 2010-09-23
KR101017251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282B2 (en) Lace blocking device
US20110099843A1 (en) Device for Tightening Shoelace
US6324774B1 (en) Shoelace retaining clip and footwear closure means using same
US7073279B2 (en)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KR10150667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US5996256A (en) Footwear construction with improved closure means
EP3005895B1 (en) Footwear
US8739373B1 (en) Shoelace clasp
US20170354204A1 (en) Footwear and method of using such footwear
US20030034365A1 (en) Tight shoe lace-up device
KR20090113848A (ko) 부츠, 특히 스키 부츠 또는 스노우보드 부츠
JP2008029826A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
KR100280281B1 (ko) 신발용 신발레이싱장치
US20130298426A1 (en) Tongueless Footwear With A Canopy
KR101017251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9980068855U (ko) 신발끈 결속 장치
US20150059136A1 (en) Shoestring Lock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101003138B1 (ko) 신발 끈 결속장치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US20060042056A1 (en) Shoelace tightening device
KR101157543B1 (ko) 신발끈 장력조정 구조 신발
KR101973963B1 (ko)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KR200246554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273526Y1 (ko) 신발끈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