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43Y1 -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43Y1
KR200158943Y1 KR2019970015902U KR19970015902U KR200158943Y1 KR 200158943 Y1 KR200158943 Y1 KR 200158943Y1 KR 2019970015902 U KR2019970015902 U KR 2019970015902U KR 19970015902 U KR19970015902 U KR 19970015902U KR 200158943 Y1 KR200158943 Y1 KR 200158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hole
pin
lever
shoe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342U (ko
Inventor
유부열
Original Assignee
유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부열 filed Critical 유부열
Priority to KR2019970015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끈의 매듭부를 풀지않고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부설한 신발을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갑피(8) 상측에 서로 대향하여 천공된 다수개의 결속공(10)에 신발끈(9)을 교호로 삽입결속하여 매듭부(9a)를 형성한 통상의 신발(1)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갑피(8) 일측에 축공(3b)을 갖는 지지돌기(3a)를 입설한 고정판(3)을 결합핀(11)으로 부착고정하고, 일측에 축공(4b)을 천설하고 타측에는 핀공(4c)이 천설된 회동레버(4)를 형성하되 상기 회동레버(4) 단부에는 파지부(4a)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3)의 지지돌기(3a)의 축공(3b)과 회동레버(4)의 축공(4b)으로 축핀(6)을 삽입하여 상기 축핀(6)을 중심으로 회동레버(4)가 회동가능토록 하고, 일측에 조임공(5b)이 천설된 조임돌기(5a)를 형성하고 이의 타측에 핀공(5c)이 천설된 조임레버(5)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레버(4)의 핀공(4c)과 조임레버(5)의 핀공(5c)으로 회동핀(7)을 삽입하여 조임장치(2)를 구성하되, 상기 조임레버(5)의 조임공(5b)에 신발끈(9)을 삽입하여서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일반적으로 운동화, 작업화 등의 각종 신발을 착용할 시 신발끈을 조여 매듭한 후 보행을 하게 되는 바, 상기 신발끈을 이용한 신발은 보행전후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신발끈을 조이고 매듭을 하고 또 풀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특히 레져시나 작업장 등에서 발을 다쳐 긴급히 신발을 벗어야 할 경우는 일일이 매듭을 풀어 주어야 하므로 신속히 상처를 치료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신발측면에 슬라이드파스너를 부설한 신발이 선행되었으나 이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슬라이드파스너와 신발갑피의 봉제부로 물이 스며들어 방수효과가 떨어지며 특히 신발의 사용수명보다 슬라이드파스너의 사용수명이 짧고 파손시 교체가 어려운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신발끈을 이용하는 종래의 신발이 갖는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신발의 갑피일측에 신발끈 조임장치를 부설하여 신발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2 : 조임장치
3 : 고정판 3a : 지지돌기
3b : 축공 4 : 회동레버
4a : 파지부 4b : 축공
4c : 핀공 5 : 조임레버
5a : 조임돌기 5b : 조임공
5c : 핀공 6 : 축핀
7 : 회동핀 8 : 갑피
9 : 신발끈 9a : 매듭부
10 : 결속공 11 : 결합핀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갑피(8)상측에 서로 대향하여 천공된 다수개의 결속공(10)으로 신발끈(9)을 교호로 삽입결속하여 매듭부(9a)를 형성한 통상의 신발(1)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갑피(8)일측에 축공(3b)을 갖는 지지돌기(3a)를 입설한 고정판(3)을 결합핀(11)으로 부착고정한다.
일측에 축공(4b)을 천설하고 타측에는 핀공(4c)이 천설된 회동레버(4)를 형성하되 상기 회동레버(4)단부에는 파지부(4a)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3)의 지지돌기(3a)의 축공(3b)과 회동레버(4)의 축공(4b)으로 축핀(6)을 삽입하여 상기 축핀(6)을 중심으로 회동레버(4)가 회동가능토록 한다.
일측에 조임공(5b)이 천설된 조임돌기(5a)를 형성하고 이의 타측에 핀공(5c)이 천설된 조임레버(5)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레버(4)의 핀공(4c)과 조임레버(5)의 핀공(5c)으로 회동핀(7)을 삽입하여 조임장치(2)를 구성하되, 상기 조임레버(5)의 조임공(5b)에 신발끈(9)을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발끈(9) 조임장치(2)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신발끈(9)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속공(10)에 교호로 삽입을 진행하면서 조임돌기(5a)에 천설된 조임공(5b)으로 신발끈(9)의 일측단부를 삽입하고 다른 한쪽의 신발끈(9)단부는 타측의 조임돌기(5a)에 형성된 조임공(5b)으로 삽입하여 신발(1) 상측의 결속공(10)으로 삽입을 진행완료하고 신발끈(9)의 양측단부를 결속하여 매듭부(9a)를 형성하면 신발끈(9)을 매는 과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상기한 신발끈(9)을 결속공(10)에 삽입하거나 결속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것이며 착용자의 발크기에 따라 신발끈(9)의 장력을 조절하여 매듭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행전에 신발끈(9)을 매는 작업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레버(4)의 파지부(4a)를 잡고 하측으로 가볍게 밀어주면 고정판(3)의 지지돌기(3a)에 축설된 회동레버(4)는 축핀(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동레버(4)에 축설된 조임레버(5)가 회동핀(7)을 중심으로 동시에 당겨지면서 조임돌기(5a)에 결속된 신발끈(9)을 당겨 주어 신발(1)의 착용이 완료되고 보행을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보행후 신발(1)을 벗을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4)의 파지부(4a)을 잡고 상측으로 가볍게 당겨주면 고정판(3)의 지지돌기(3a)에 축설된 회동레버(4)는 축핀(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동레버(4)에 축설된 조임레버(5)가 회동핀(7)을 중심으로 동시에 밀려지면서 조임돌기(5a)에 결속된 신발끈(9)을 느슨하게 밀어 주므로 신발(1)을 간단히 벗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임장치(2)의 회동레버(4)를 손으로 가볍게 밀고 당김으로서 신발끈(9)의 매듭부(9a)를 풀지 않고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발(1)을 신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서 각종 운동화나 작업화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신발끈의 매듭부를 풀지않고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부설한 신발을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Claims (1)

  1. 갑피(8)상측에 서로대향하여 천공된 다수개의 결속공(10)에 신발끈(9)을 교호로 삽입결속하여 매듭부(9a)를 형성한 통상의 신발(1)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갑피(8)일측에 축공(3b)을 갖는 지지돌기(3a)를 입설한 고정판(3)을 결합핀(11)으로 부착고정하고, 일측에 축공(4b)을 천설하고 타측에는 핀공(4c)이 천설된 회동레버(4)를 형성하되 상기 회동레버(4) 단부에는 파지부(4a)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3)의 지지돌기(3a)의 축공(3b)과 회동레버(4)의 축공(4b)으로 축핀(6)을 삽입하여 상기 축핀(6)을 중심으로 회동레버(4)가 회동가능토록 하고, 일측에 조임공(5b)이 천설된 조임돌기(5a)를 형성하고 이의 타측에 핀공(5c)이 천설된 조임레버(5)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레버(4) 핀공(4c)과 조임레버(5) 핀공(5c)으로 회동핀(7)을 삽입하여 조임장치(2)를 구성하되, 상기 조임레버(5)의 조임공(5b)에 신발끈(9)을 삽입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KR2019970015902U 1997-06-23 1997-06-23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KR200158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902U KR200158943Y1 (ko) 1997-06-23 1997-06-23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902U KR200158943Y1 (ko) 1997-06-23 1997-06-23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42U KR19990002342U (ko) 1999-01-25
KR200158943Y1 true KR200158943Y1 (ko) 1999-10-15

Family

ID=1950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902U KR200158943Y1 (ko) 1997-06-23 1997-06-23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534A1 (ko) * 2009-01-29 2010-08-05 Jung Sung Rok 신발끈 조임장치
KR20200113644A (ko) 2019-03-26 2020-10-07 최명국 이동식 신발끈 조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44B1 (ko) * 2007-01-02 2007-10-09 이호섭 신발끈 결속구
KR200449243Y1 (ko) * 2008-02-01 2010-06-25 이구순 신발끈 신축장치
KR101315194B1 (ko) * 2013-07-09 2013-10-07 김은규 신발끈 조임장치
KR101539648B1 (ko) * 2014-01-23 2015-07-28 김은규 의류 및 신발 결속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534A1 (ko) * 2009-01-29 2010-08-05 Jung Sung Rok 신발끈 조임장치
KR101017251B1 (ko) * 2009-01-29 2011-02-28 주식회사 버즈런 신발끈 조임장치
KR20200113644A (ko) 2019-03-26 2020-10-07 최명국 이동식 신발끈 조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42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5640785A (en) Resilient loops and mating hooks for securing footwear to a foot
US7963049B2 (en) Snowboard boot
KR200272073Y1 (ko) 신발끈조임장치
US20180228249A1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of use
KR200171552Y1 (ko) 신끈의 결속장치
KR20090036500A (ko) 신발
US5826353A (en) Closure for boot tongue
KR20120036803A (ko) 신발
KR200158943Y1 (ko) 신발끈 조임장치가 부설된 신발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US20060042056A1 (en) Shoelace tightening device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JP2819389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
KR200246554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232518Y1 (ko) 신발끈 자동조절장치
KR200316633Y1 (ko) 신발끈 고정구
KR20040049723A (ko) 신발 조임구
KR200248655Y1 (ko) 고리가 결합된 신끈
KR200301590Y1 (ko) 신발끈 조임용 버클
CN215913472U (zh) 一种方便穿鞋带的鞋子
KR200323519Y1 (ko) 신발끈 조임구
KR200273549Y1 (ko) 롤러가 부착된 신발끈 고리
KR200181527Y1 (ko) 신발끈 조절 장치를 적용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