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63B1 -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963B1
KR101973963B1 KR1020190026664A KR20190026664A KR101973963B1 KR 101973963 B1 KR101973963 B1 KR 101973963B1 KR 1020190026664 A KR1020190026664 A KR 1020190026664A KR 20190026664 A KR20190026664 A KR 20190026664A KR 101973963 B1 KR101973963 B1 KR 10197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oe
end portion
sulpo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철 filed Critical 김정철
Priority to KR102019002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63B1/ko
Priority to PCT/KR2019/018304 priority patent/WO20201848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포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 및 상기 설포 고정장치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며, 신발끈이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설포 고정장치는 상기 신발끈 일부분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신발끈의 양측이 고정되되, 상기 고정유닛을 당겨 신발에 결속된 신발끈이 조여지면, 상기 고정유닛이 설포 고정장치에 걸림되어 단속됨으로써, 신발끈의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SHOES FOR TONGUE FIXING}
본 발명은 신발에 구비되는 설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설포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 및 신발끈이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설포 고정장치에 고정유닛이 선택적으로 단속됨으로써, 설포가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가죽, 고무, 직물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발의 보호와 장식의 역할을 하고, 때로는 바닥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발은 안감 및 겉가죽, 뒷굽, 갑피, 인솔, 설포 및 신발끈 등으로 구성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작된 신발은 사용자가 신발을 용이하게 신을 수 있도록 발이 들어가는 부분의 공간 확장 및 수축을 위하여 설포가 유동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설포가 시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외관상으로 심미적 효과를 저해하고, 발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호의 목적이 감소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신발을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중력에 의해 설포가 신발의 바닥측으로 처지게되어 신발을 신을때 마다 설포의 상단을 들어올려줘야 하므로 사용자가 매번 신발의 설포를 잡아 당기는 등 착용에 매우 불편한 담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신발에 구비되는 설포의 유동을 방지하여 설포가 제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20-0153756호(1999.05.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포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 및 신발끈이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설포 고정장치에 고정유닛이 선택적으로 단속됨으로써, 설포가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발끈이 단속된 고정유닛을 설포 고정장치에 걸림되도록 고정함으로써, 고정유닛에 묶여져 단속된 신발끈을 풀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신발끈을 조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은 설포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 및 설포 고정장치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며, 신발끈이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설포 고정장치는 신발끈 일부분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고정유닛은 신발끈의 양측이 고정되되, 고정유닛을 당겨 신발에 결속된 신발끈이 조여지면, 고정유닛이 설포 고정장치에 걸림되어 단속됨으로써, 신발끈의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설포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를 통해 신발끈을 가압하여 움직임을 단속함으로써, 신발에 형성되는 설포가 설포 고정장치에 의해 신발끈에 단속되어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을 단속하기 위한 하단부와 상단부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잠금되는 잠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해제한 후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신발끈의 단속을 해제하고, 반대로, 상단부를 하단부 측으로 회동시켜 잠금부를 잠금함으로써, 쉬운 조작을 통해 설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이 단속된 고정유닛을 설포 고정장치에 걸림되도록 고정함으로써, 고정유닛에 묶여져 단속된 신발끈을 풀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신발끈을 조여 신발(10)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상단부가 회동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설포 고정장치에 신발끈이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상단부가 회동되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에 신발끈이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이 설포 고정장치에 단속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결속부재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결속부재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은 설포(20)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40) 및 신발끈(30)이 고정되는 고정유닛(50)을 포함하되, 상기 설포 고정장치(40)에 고정유닛(50)이 선택적으로 단속됨으로써, 설포(20)가 신발(1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신발(10)은 설포(20)와 신발끈(30)이 구비된 일반적인 신발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신발(10) 이외에도 설포와 신발끈이 구비되는 스니커즈(sneakers), 부츠(boots), 구두(dress sgoes) 또는 등산화, 트레킹화 등과 같이 특정 스포츠에 활용되는 신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포 고정장치(4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되,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설포 고정장치(40)의 제조는 사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포 고정장치(40)는 설포(20)에 실을 꿰매어 바느질하여 고정되거나 또는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설포(2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설포 고정장치(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설포(20)의 일부분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일부분은 설포 고정장치(40)와 동일한 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정유닛(50)은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된 상태에서 걸림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실리콘, 우레탄 또는 내구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TPU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20)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신발끈(30) 결속을 위한 걸림부재(11)가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11)를 통해 신발끈(30)을 조임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신발(10)에 설포(20)가 구비되고, 상기 설포(20)에 설포 고정장치(40)가 구비되어 설포(20)의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신발끈(30)이 고정된 고정유닛(50)이 선택적으로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신발끈(30)을 조여 사용자가 신발(10)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신발(10)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40) 및 고정유닛(5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포 고정유닛(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상단부가 회동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설포 고정장치에 신발끈이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상단부가 회동되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설포 고정유닛(50)은 설포(20)에 구비되어 신발끈(30)을 가압함으로써, 설포(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단부(100), 상단부(200), 기둥부(300) 및 잠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단부(100)는 설포(20)에 고정되며, 후술되는 상단부(200)가 기둥부(300)로부터 회동됨에 따라,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30)이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단부(1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날개(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110)는 설포 고정장치(40)가 설포(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단부(100)와 연결된 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부(111)를 통해 날개(110)가 설포(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일 들어, 설포 고정장치(40)를 설포(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 바느질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되, 두께가 얇은 홈부(111)를 통해 바늘을 통과시켜 설포(20)와 함께 실을 꿰매어 고정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날개(110)에 하나 이상의 관통된 홈(도면에 미표시)을 형성하고, 리벳에 의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날개(110)아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홈을 설포(20)에 형성한 후, 리벳에 의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홈부(111)는 하단부(100) 또는 날개(1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날개(110)는 홈부(111)를 중심으로 설포(20) 측으로 플렉시블하게 회동됨에 따라, 하단부(100)와 날개(110)는 설포(20) 겉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단부(100) 양측에 각각 구비된 날개(110)는 홈부(111)를 중심으로 바닥면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하단부(100)와 날개(110)가 설포(20)의 겉면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설포 고정장치(4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단부(200)는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기둥부(300)에 의해 하단부(1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가압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단부(200)는 상측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해당 신발의 브랜브, 로고 또는 다양한 디자인이나 문구 등 다양한 이미지가 프린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로 하여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시켜주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신발의 브랜드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부(2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단부(200)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압부(210)는 상단부(200)의 하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하단부(100) 측으로 상단부(200)가 회동되면,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30)을 가압하여 신발끈(30)을 고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설포(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한 쌍의 가압부(210)가 형성되는 것은, 한 쌍의 가압부(2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30)이 위치하는 경우, 신발끈(30)이 'X'자 형태로 교차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신발끈(30)이 교차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압부(210)는 해당 부분을 가압하는 것이 아닌 신발끈(30)이 교차되는 부분과 소정 간격 이격된 일부분을 가압함으로써, 교차하는 두 가닥의 신발끈(30) 모두를 견고하게 가압하여 설포(20)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가압부(2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의 가압돌기(211)가 형성되어,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진 가압부(210)의 탄성력에 의해 신발끈(30)을 가압함으로써, 설포(20)와 신발끈(30)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설포(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돌기(21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10)의 끝단에 형성되되, 나사산 형태, 뾰족한 형태 또는 물결 형태 등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 다수의 요철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신발끈(3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신발끈(30)을 가압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신발끈(3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단부(100)는 한 쌍의 가압부(210)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조가압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가압부(120)는 하단부(100)의 상측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신발끈(30)이 위치한 후, 하단부(100) 측으로 상단부(200)가 회동되면, 가압부(210)의 가압돌기(211)와 보조가압부(120)는 상기 신발끈(30)을 가압함으로써, 신발끈(30)이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조가압부(120)는 정면과 배면측으로 길게 형성된 삼각형 단면을 갖는 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다수 개의 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된 요철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상,하측 단면이 물결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보조가압부(120)는 가압부(210)에 대응되되, 상기 가압부(210)의 가압돌기(211)와 더불어 신발끈(30)을 가압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에는 가압부(210)의 구성을 상단부(200)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명시 및 도시하였고, 보조가압부(120)를 하단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명시 및 도시하였으나, 서로 반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압부(210)가 하단부(100)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조가압부(120)가 상단부(200)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부(30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정면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와 상단부(200)가 상기 기둥부(300)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30)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연장부(310) 및 회동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기둥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기둥부(300)를 보강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리브(3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301)는 기둥부(300) 정면측에 형성된 제1리브(301a) 또는 배면측에 형성된 제2리브(301b)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제1리브(301a)와 제2리브(301b)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제1리브(301a) 또는 제2리브(301b)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리브(301b)는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상단부(200)에 구비된 가압부(21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압부(21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리브(301b)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한 쌍의 제2리브(301b)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가압부(210)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310)는 기둥부(300)의 상단에 정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장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300)와 'ㄱ'자 형태를 이루어, 상기 연장부(310)에 신발끈(30)이 고정된 고정유닛(50)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한다.
회동부(320)는 연장부(310) 끝단에 형성되어 연장부(310)와 상단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320)의 두께가 얇은 부분을 중심으로 플렉시블하게 회동되도록 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 측으로 상단부(20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회동부(320)의 두께가 얇은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잠금부(40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배면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를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단속함으로써, 잠금 상태에서 신발끈(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잠금부재(410) 및 제2잠금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잠금부재(410)는 하단부(100)의 배면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잠금홈(411) 및 잠금턱(4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잠금홈(41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잠금부재(410)의 하측에 전,후방 측으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제2잠금부재(420)의 잠금돌기(421)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잠금턱(412)은 제1잠금부재(410)의 상측에 배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잠금홈(411)으로 끼워진 잠금돌기(421)가 걸림되어 상단부(200)의 잠금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잠금턱(412)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잠금부재(410)의 상단에 배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 측으로 상단부(200)가 회동되어 닫힌 상태가 되면, 제2잠금부재(420)의 잠금턱(412) 상단 일부분은 상단부(200)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a)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잠금부(4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돌출된 돌기(a)를 배면측으로 밀면, 제2잠금부재(420)의 잠금돌기(421)는 잠금턱(412)에 걸려 있는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잠금부재(420)는 상단부(200) 배면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잠금부재(410)에 걸림되어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잠금돌기(4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잠금돌기(421)는 잠금홈(411)에 대응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되어 설포 고정장치(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잠금부재(420)의 배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잠금홈(411)에 끼워져 잠금턱(412)에 걸림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잠금부재(410)의 잠금턱(412) 하단면은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b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부재(420)의 잠금돌기(421) 상단면 또한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b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잠금돌기(421)가 잠금홈(411)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잠금돌기(421)에 형성된 경사면(b2)은 잠금턱(412)의 경사면(b1)에 인접 또는 접촉되되, 상기 경사면(b1, b2)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서는 잠금돌기(421)가 잠금홈(4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설포 고정장치(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00)가 열린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30)이 위치하도록 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켜 제2잠금부재(420)의 잠금돌기(421)가 잠금홈(411)에 끼워져 잠금턱(412)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단부(20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 채 가압부(210)가 신발끈(30)을 가압하게 되어 설포(2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고정유닛(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에 신발끈이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이 설포 고정장치에 단속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고정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유닛(50)은 신발(10)에 결속된 신발끈(30)의 양측이 고정되되, 상기 고정유닛(50)을 당겨 신발(10)에 결속된 신발끈(30)이 조여지면서 신발(10)을 착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신발끈(30)이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유닛(50)을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어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설포(20)의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신발끈(30)의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발(10)을 쉽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걸림바(500) 및 사이드바(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바(500)는 중간에 형성되어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설포 고정장치(40)의 연장부(310)에 걸림된다.
사이드바(600)는 걸림바(500)의 양측에 각각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신발끈(30)의 양 끝단 각각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통공(610) 및 제2통공(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바(500)와 사이드바(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긴 형태로 이루어지되, 걸림바(500)는 연장부(310)에 용이하게 걸림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이드바(600)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신발끈(30)이 제1통공(610)과 제2통공(620)을 통해 원활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통공(610)은 신발끈(30)의 양 끝단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통공(610)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상측과 하측 각각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재(6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재(630)는 한 쌍의 제1통공(610)을 통과하는 신발끈(30)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신발끈(30)이 제1통공(610)으로부터 밀려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한 쌍의 제1통공(610) 사이 뿐만 아니라, 제1통공(610)과 후술되는 제2통공(620) 사이 또는 제2통공(620)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경우, 다수 개의 제2통공(620) 사이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통공(620)은 한 쌍의 제1통공(6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신발끈(30)의 끝단이 통과되도록 한다.
이때, 제2통공(620)을 통과한 신발끈(30)의 끝단은 한 쌍의 제1통공(610)을 통과한 신발끈(30)의 중간 부분과 사이드바(600)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640)에 끼워짐으로써, 사이드바(600)에 신발끈(30)이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신발끈(30)이 사이드바(600)에 끼워지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7(a)에서와 같이, 신발끈(30)의 끝단을 사이드바(600)의 외측에부터 중심측을 향하도록 제1통공(610)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제2통공(620)을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도 7(b)에서와 같이, 제2통공(620)을 통과한 신발끈(30)을 도 7(a)의 반대방향으로 다시 한 쌍의 제1통공(610)을 통과시킨 후, 도 7(c)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1통공(610)을 통과하면서 형성된 고리(640), 즉 신발끈(30)과 사이드바(600) 사이에 형성된 고리(640)를 통과시킨다.
이에, 한 쌍의 제1통공(610), 제2통공(620), 한 쌍의 제1통공(610) 및 고리(6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신발끈(30)은 사이드바(6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풀리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한 쌍의 사이드바(600) 각각에 신발끈(30) 양 끝을 고정시킴으로써, 신발끈(30)과 고정유닛(50)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속된다.
이와 같이, 고정유닛(50)에 결속된 신발끈(30)은 사용자가 상기 고정유닛(50)을 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신발끈(30)을 조일 수 있어 편리하게 신발(10)을 신을 수 있으며, 신발끈(30)이 조여진 상태에서 고정유닛(50)을 설포 고정장치(40)의 연장부(31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신발(10)의 착용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신발끈(30)에 고정되는 고정유닛(50)은 상기 고정유닛(50)이 연장부(310)에 걸림되는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유닛(50)이 고정된 신발끈(30)의 위치는 상기 신발끈(30)을 조인 후, 신발(10)의 정면측으로 당겼을 때 설포 고정장치(40)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유닛(5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고정유닛(50)을 당겨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도록 하는 경우, 소정의 힘을 가하여 고정유닛(50)을 파지한 후 설포 고정장치(40)의 연장부(310)에 걸림되도록 하면, 고정유닛(50)의 걸림된 상태가 유지되어 별도로 신발끈(30)을 묶거나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신발(10) 착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한다. 반대로, 신발(10)을 벗기 위해서는 고정유닛(50)을 신발(10)의 정면측으로 당겨주면 연장부(310)로부터 걸림된 상태가 해제되어 신발(10)을 원활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2통공(6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통공(620)은 제1통공(610)을 통과한 신발끈(30)의 끝단이 한 쌍의 제2통공(620)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에, 한 쌍의 제2통공(620)을 순찬적으로 통과한 신발끈(30)은 하나의 제2통공(620)을 통과한 신발끈(30)에 비해 꼬임이 다수 반복되어 고정유닛(50)에 신발끈(30)이 보다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제2통공(6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신발끈(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640)와 동일한 형태의 제2고리(650)가 형성되고, 고리(640)를 통과한 신발끈(30)을 제2고리(650)에 한번 더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신발끈(30)과 고정유닛(50)을 보다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제1통공(610)과 제2통공(620)이 각각 다수 개 형성되되, 신발끈(30)이 통과하는 횟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다수의 고리(640) 또는 제2고리(65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신발(10)의 다양한 종류에 맞추어 서로 다른 굵기 또는 단면 형태를 갖는 신발끈(30)의 다양한 종류에 관계없이 다수 개 형성된 제1통공(610)과 제2통공(620)에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결속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통공(610)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두께가 얇고 폭이 넓은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용이하도록 전,후측으로 길이가 길고 관통된 홈의 크기가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통공(620)은 두께가 두껍거나 원형 단면을 갖는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용이하도록, 제1통공(610)에 비해 전,후측 길이가 짧고 관통된 홈의 크기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결속부재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에서 결속부재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은 신발끈(30)을 결속하는 결속부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재(7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신발(10)에 형성되어 신발끈(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부재(11) 이외에 별도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걸림부재(11)는 일반적으로 신발(10)에 형성되어 신발끈(30)을 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신발끈(30)이 관통되는 통공 형상 또는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700)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신발(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재(700)는 신발끈(30)이 관통되되, 신발끈(3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 개 형성된 걸림부재(11) 중 배면측에 위치한 한 쌍의 걸림부재(1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걸림부재(11)에 신발끈(30)이 'X'자 형태로 매지는 경우, 배면측에 위치한 2개의 걸림부재(11) 중 정면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1)까지 신발끈(30)을 맨 후, 별도로 구비된 결속부재(700)와 나머지 배면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1) 까지 순차적으로 신발끈(30)이 매지면, 결속부재(700) 에 의해 'X'자 형태가 좁게 형성되도록 신발끈(30)이 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끈(30)을 조여 고정유닛(50)을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도록 하는 경우, 'X'자 형태가 좁게 형성되는 부분에 의해 신발끈(30)이 보다 촘촘하고 견고하게 매지게 되어 신발끈(30)의 조여진 상태가 쉽게 풀리지 않아 신발끈(30)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용이하게 설포 고정장치(40)로 당겨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결속부재(700)는 신발끈(30) 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결속부재(700)에 끼워진 신발끈(30)을 원활하게 풀러지거나 반대로 매질 수 있도록 하여 신발끈(30)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신발(10)을 쉽고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은 설포(20)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40)를 통해 신발끈(30)을 가압하여 움직임을 단속함으로써, 신발(10)에 형성되는 설포(20)가 설포 고정장치(40)에 의해 신발끈(30)에 단속되어 신발(1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30)을 단속하기 위한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잠금되는 잠금부(4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400)를 해제한 후 하단부로부터 상단부(200)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신발끈(30)의 단속을 해제하고, 반대로,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켜 잠금부(400)를 잠금함으로써, 쉬운 조작을 통해 설포(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30)이 단속된 고정유닛(50)을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도록 고정함으로써, 고정유닛(50)에 묶여져 단속된 신발끈(30)을 풀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신발끈(30)을 조여 신발(10)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신발 11 : 걸림부재
20 : 설포 30 : 신발끈
40 : 설포 고정장치 50 : 고정유닛
100 : 하단부 110 : 날개
111 : 홈부 120 : 보조가압부
200 : 상단부 210 : 가압부
211 : 가압돌기 300 : 기둥부
301 : 리브 301a : 제1리브
301b : 제2리브 310 : 연장부
320 : 회동부 400 : 잠금부
410 : 제1잠금부재 411 : 잠금홈
412 : 잠금턱 420 : 제2잠금부재
421 : 잠금돌기 500 : 걸림바
600 : 사이드바 610 : 제1통공
620 : 제2통공 630 : 돌출부재
640 : 고리 650 : 제2고리
700 : 결속부재

Claims (10)

  1. 설포(20)에 구비되는 설포 고정장치(40) 및 상기 설포 고정장치(40)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며, 신발끈(30)이 고정되는 고정유닛(50)을 포함하는 신발(10)에 있어서,
    상기 설포 고정장치(40)는
    상기 신발끈(30) 일부분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상기 고정유닛(50)은
    상기 신발끈(30)의 양측이 고정되되,
    상기 고정유닛(50)을 당겨 신발(10)에 결속된 신발끈(30)이 조여지면, 상기 고정유닛(50)이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어 단속됨으로써, 신발끈(30)의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설포 고정장치(40)는
    설포(20)에 고정되는 하단부(100);
    상기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되는 상단부(200);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정면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둥부(300); 및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배면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잠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30)의 일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되면, 신발끈(30) 일부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둥부(300)는
    상단에 정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장부(310); 및
    상기 연장부(310) 끝단에 형성되어 연장부(310)와 상단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회동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부(320)는
    상기 연장부(3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320)의 두께가 얇은 부분을 중심으로 플렉시블하게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200)는
    상기 상단부(200)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압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는
    돌출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의 가압돌기(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100)는
    상기 한 쌍의 가압부(210)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조가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돌기(211)와 보조가압부(12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3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400)는
    상기 하단부(100) 배면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잠금부재(410); 및
    상기 상단부(200) 배면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잠금부재(410)에 걸림되는 제2잠금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410)와 제2잠금부재(420)가 상호 걸림되면,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재(410)는
    전,후방 측으로 관통된 형태의 잠금홈(411); 및
    상단에 배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잠금턱(4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재(420)는
    상기 잠금홈(411)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잠금돌기(42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돌기(421)는
    상기 잠금턱(412)에 걸림되어 잠금홈(411)에 끼워짐으로써,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50)은
    상기 설포 고정장치(40)에 걸림되는 걸림바(500); 및
    상기 걸림바(500)의 양측에 각각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신발끈(30)의 양 끝단 각각이 고정되는 사이드바(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600)는
    상기 신발끈(30)의 양 끝단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한 쌍의 제1통공(610);
    상기 제1통공(610)을 통과한 신발끈(30)의 끝단이 통과하는 제2통공(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통공(620)을 통과한 신발끈(30)의 끝단은 한 쌍의 제1통공(610)을 통과한 신발끈(30)의 중간 부분과 사이드바(600)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64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KR1020190026664A 2019-03-08 2019-03-08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KR10197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64A KR101973963B1 (ko) 2019-03-08 2019-03-08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PCT/KR2019/018304 WO2020184820A1 (ko) 2019-03-08 2019-12-23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64A KR101973963B1 (ko) 2019-03-08 2019-03-08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963B1 true KR101973963B1 (ko) 2019-04-30

Family

ID=6628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664A KR101973963B1 (ko) 2019-03-08 2019-03-08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3963B1 (ko)
WO (1) WO2020184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20A1 (ko) * 2019-03-08 2020-09-17 김정철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756Y1 (ko) 1997-07-30 1999-08-02 예병덕 신발 혀의 고정구조
KR20120139220A (ko) * 2011-06-17 2012-12-27 정태석 신발끈 조임장치
KR20150102882A (ko) * 2014-09-01 2015-09-09 이인규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KR101774857B1 (ko) * 2017-04-20 2017-09-05 김정철 설포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4773B1 (en) * 1999-04-08 2001-12-04 David E. Gaither Internally laced shoe
KR20080074257A (ko) * 2007-02-08 2008-08-13 이호섭 신발끈 결속구
KR101973963B1 (ko) * 2019-03-08 2019-04-30 김정철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756Y1 (ko) 1997-07-30 1999-08-02 예병덕 신발 혀의 고정구조
KR20120139220A (ko) * 2011-06-17 2012-12-27 정태석 신발끈 조임장치
KR20150102882A (ko) * 2014-09-01 2015-09-09 이인규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KR101774857B1 (ko) * 2017-04-20 2017-09-05 김정철 설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20A1 (ko) * 2019-03-08 2020-09-17 김정철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820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3028B2 (en) Guides and components for closure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CN110381764B (zh) 带有允许轻松穿脱的闭合机构的鞋类
US9414640B2 (en) Cycling shoe
US4107856A (en) Fast closing athletic boot
US4414761A (en) Footwear article with adjustable closure
US7428787B2 (en) Removable shoe coverings
US776572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movable eyelet portion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US20060288610A1 (en) Convertible sandal
US8739373B1 (en) Shoelace clasp
US9888744B2 (en) Slip resistant shoelace
JPH0581241B2 (ko)
US85339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ening footwear having releasably locking device(s)
US10299542B2 (en) Articles of footwear with an alternate fastening system
US20160081432A1 (en) Decorative locking device for a shoelace
EP0153399A1 (en) LACE MOUNTING FOR SHOES.
US20080086910A1 (en) Footwear with removable closure
US20050252036A1 (en) Convertible sandal
US10561196B2 (en) Shoe with exchangeable upper
US9706812B2 (en) Footwear lac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088067A (en) Laced boot or shoe.
KR101973963B1 (ko)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EP3902434B1 (en) Pulley for a wearable article
US20110289742A1 (en) Shoelace fastener
US20180116341A1 (en) Slip resistant shoelace and co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