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611A -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 - Google Patents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611A
KR20100087611A KR1020090033754A KR20090033754A KR20100087611A KR 20100087611 A KR20100087611 A KR 20100087611A KR 1020090033754 A KR1020090033754 A KR 1020090033754A KR 20090033754 A KR20090033754 A KR 20090033754A KR 20100087611 A KR20100087611 A KR 20100087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unit
buffer
inner plate
exercise
ma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336B1 (ko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PCT/KR2010/0004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87607A2/ko
Priority to JP2011547786A priority patent/JP2012516191A/ja
Publication of KR2010008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63B6/02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for landing, e.g. for pole vaul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약운도용 보드유닛은 평탄한 베이스판재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메인보드; 이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를 덮어씌우면서 메인보드의 벽체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리브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측하면에 보강리브가 마련된 내판; 이 내판의 상면에 마련되되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약운도용 완충다리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몸체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상단엔 서로 마주보고 한 쌍의 결착돌기가 마련되어있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유연하고 비교적 강도가 약한 상태로 주름구조의 1차완충부가 마련되고, 이 1차완충부와 접하여 1차완충부보다 강도가 강하고 큰 탄성복원력을 갖는 구조의 2차완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드유닛을 이루는 메인보드와 내판은 물론 여기에 선택적으로 상판까지도 원터치조립방식으로 조립이 이뤄지게 마련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이뤄지고, 상판의 다양한 조립 조합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완충다리의 2중 완충구조에 의해 강약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사용자층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약운동, 메인보드, 내판, 상판, 완충다리, 1차완충부, 2차완충부

Description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board unit for jumping exercise and it's damping leg}
본 발명은 도약과 착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도약운동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보드와 내판 및 상판으로 마련된 보드유닛이 원터치방식으로 조립이 이뤄지므로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됨은 물론 내판과 상판의 다양한 조립조합을 꾀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보드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며, 또한 완충다리의 2중 완충구조에 의해 강약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사용자층을 넓힐 수 있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약운동용 보드는 거실이나 방바닥에 놓고 그 위에서 사용자가 제자리걷기나 도약과 착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사용하는 운동기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도약운동용 보드는 판형의 메인보드와, 이 메인보드의 하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메인보드를 지지하고 착지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 지지대로 형성된 완충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약운동용 보드 중에서 종래 기술에 제시되었던 구조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446588에는 디딤판인 판상의 보드와, 이 보드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보드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지지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이단 이상으로 층상 배열되는 몸체를 갖는 완충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다리는 상기 보드의 하부에 삼각구도로 배치되고 몸체는 높이방향을 따라 삼단으로 복수의 단위부재가 배열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다리에 몸체 내에 수용된 완충공기를 부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조절부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약운동용 보드는 그 요부가 완충다리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완충다리는 단순히 몸체의 내부가 비어 있는 이단 이상의 단위부재로 배열된 통형구조인바,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강하고 약한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단순히 평균체중의 하중에 대해서만 제대로의 충격 흡수가 이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약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체중이 표준체중이 이상이면 그 충격하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완충다리의 단위부재는 납작하게 변형되어 서로 맞닿아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대로의 충격하중을 흡수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완충다리가 변형되는 손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844000호에는 메인보드의 상면에 상판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보드의 하면 모서리에 메인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완충다리가 구비된 도 약운동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면에 상판이 안착되면서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에 메인보드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리브가 형성되게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약운동용 보드는 메인보드 위의 상판에서 도약과 착지, 즉 도약운동이 반복적으로 장기간 동안 이루어지게 되면 소프트한 완충부재로 된 상판의 중앙부분이 움푹하게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소프트한 완충부재로 된 상판이 사용자의 발과 마찰로 인해 탈색될 수 있고 이렇게 부분적으로 탈색되게 되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메인보드는 보다 확실한 메인보드의 강도보강을 꾀하기 위해서 메인보드 상면인 보강리브 위에 열융착으로 보강시트를 일체화시켰으나, 이는 메인보드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과 착지, 등의 도약운동을 할 때 발생되는 충격하중으로 인하여 메인보드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휨 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보드의 보강리브와 보강시트의 열융착부분에서 휨 변형을 이기지 못하고 크랙 또는 박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렇게 크랙과 박리될 때 "딱"하는 굉음이 발생될 수 있어 사용자는 파손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됨은 물론 견고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충다리의 구조 역시 단순히 내부가 비어 있는 다단의 통형구조, 즉 외측으로 볼록한 동일사이즈의 반원호형으로 연속 적층한 통형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강하고 약한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단순히 평균체중의 하중에 대해서만 제대로의 충격 흡수가 이뤄지는 것이어서 사용 자의 체중이 약간 가벼우면 통통 튀는 느낌의 반력으로 운동효과의 반감을 불러일으키며,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체중이 무거우면 충격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단부가 서로 맞닿아 걸리므로 제대로의 충격하중을 흡수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완충다리가 변형되는 손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드유닛을 이루는 메인보드와 내판은 물론 여기에 선택적으로 상판까지도 원터치조립방식으로 마련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상판의 다양한 조립조합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중에 싫증이 나면 상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그 사용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충다리에 강약의 1차완충부와 2차완충부로 2중 완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강약의 충격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체중이 크게 변화더라도 효과적인 충격흡수를 꾀할 수 있어 사용자층을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도록 한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완충부를 2차완충부의 하부에 마련함으로써 메 인보드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운동을 할 때 1차적으로 반발력이 약한 1차완충부가 충격을 흡수하고 2차완충부의 반발력으로 인해 신장되더라도 실내의 바닥과 접한 1차완충부 바닥이 접지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메인보드와 함께 완충다리가 이동되지 않아 안정적인 도약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은 평탄한 베이스판재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메인보드; 이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를 덮어씌우면서 메인보드의 벽체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리브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측하면에 보강리브가 마련된 내판; 이 내판의 상면에 마련되되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내측하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는 내판의 하면전체에 걸쳐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리브 중 내판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보강리브는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테두리부의 보강리브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상면은 평탄한 평면으로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판도 저면이 평탄한 평면으로 마련하 여 서로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으로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내판과 조립식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식으로 상판을 마련하는 경우 여러 개의 조각상판으로 마련하여 내판의 상면에 퍼즐방식으로 조립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이 퍼즐조립방식인 경우, 내판은 그 상면 전체를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되고 각각의 격자모눈에 해당되는 단위격자의 중앙 및 테두리에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조각상판은 내판의 단위격자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중앙의 저면 및 테두리에 내판의 결합홀로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와 내판을 조립하였을 때 서로 분리 해체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해체방지수단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체방지수단은 베이스판재와 벽체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록킹홀과, 상기 내판 외측에 상기 록킹홀로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록킹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해체방지수단은 상기 메인보드의 벽체 상단부분에 그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판의 상단모서리부분을 누리도록 형성된 누름돌기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해체방지수단이 누름돌기로 마련하는 경우, 상기 내판의 외측상단에는 상기 메인보드의 누름돌기가 내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단턱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몸체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상단엔 서로 마주보고 한 쌍의 결착돌기가 마련되어있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유연하고 비교적 강도가 약한 상태로 주름구조의 1차완충부가 마련되고, 상기 1차완충부와 접하여 1차완충부보다 강도가 강하고 큰 탄성복원력을 갖는 구조의 2차완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완충부와 2차완충부는 상부엔 1차완충부가 마련하고 하부엔 2차완충부를 마련할 수 있으나, 이와 반대로 위치를 서로 바꾸어 2차완충부의 하단에 1차완충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2차완충부는 외측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기둥구조로 마련되며, 이 경우 상기 2차완충부의 급격한 접힘을 방지하도록 내측주면의 상하위치에 일정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있는 2개의 접힘 방지돌기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1,2차완충부는 구조상 탄성복원력이 좋은 파형이나 삼각나사산형이나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호형을 연속 적층한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1차완충부의 중간부분은 1차완충부가 외측으로 불규칙하게 튀어나오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 및 2차완충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는 메인보드와 내판은 물론 여기에 선택적으로 상판까지도 원터치조립방식으로 마 련함으로써 조립 공정이 간편하게 이뤄지며, 상판의 다양한 조립 조합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중에 싫증이 나면 상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그 사용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다리에 강약의 1차완충부와 2차완충부로 2중 완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강약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체중이 크게 변화더라도 효과적인 충격흡수를 꾀할 수 있어 사용자층을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특히, 1차완충부가 2차완충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 메인보드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운동을 할 때 1차적으로 반발력이 약한 1차완충부가 충격을 흡수하고 2차완충부의 반발력으로 인해 신장되더라도 실내의 바닥과 접한 1차완충부 바닥이 접지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메인보드와 함께 완충다리가 이동되지 않아 안정적인 도약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보드유닛과 완충다리의 결합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는 메인보드(110)의 상 면에 내판(120) 및 상판(130)이 끼워져 결합 고정된 보드유닛(100)과, 이 보드유닛(100)의 네 귀퉁이 저면에 각각 체결되어 외부가압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다리(200)로 구성된다.
상기 보드유닛(100)은 메인보드(110)의 상면에 내판(120)이 빈틈없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고, 상기 내판(120) 위에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13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보드(110)는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되되, 네 귀퉁이가 라운딩 처리된 평탄한 사각형의 베이스판재(111)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재(111)의 테두리 전체에는 적어도 내판(120) 및 상판(130)을 수용하는 깊이로 벽체(112)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110)를 이루는 베이스판재(111)의 네 귀퉁이에는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를 각각 결착시키기 위한 결착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홀(113)은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가 상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완충다리(200)의 회전조작에 의해 서로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착홀(113)은 평면형상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호형의 한쪽은 결착돌기(203)가 관통될 정도로 넓게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결착돌기(203)의 목부(204)에 끼워져 걸리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홀(113)에서 좁은 부위의 중간부분에는 결착돌기(203)의 목부(20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05)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홀(113)의 동일원주 상에는 완충다리(200)를 체결하였을 때 상기 완충다리(200)의 소음제거부재(210)와 일치하는 위치에 에어유통공(115)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유통공(115)은 메인보드(110) 위에서 도약운동을 할 때 완충다리(200)내의 에어가 배출되고 유입되는 통로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재(111)와 벽체(112)의 경계부분에는 내판(120) 외측에 형성된 록킹돌기(123)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복수개의 록킹홀(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홀(116)은 해체방지수단의 하나로서 내판(120)이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안쪽으로 빈틈없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었을 때 메인보드(110)에서 내판(120)이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벽체(112)는 그 단면이 하부로 개방된 캡 형(cap type)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벽체보강리브(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판(120)은 메인보드(110)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벽체(112) 내면과 밀착되는 형상, 즉 평면상 베이스판재(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되 그 테두리 전체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밀착리브(121)가 형성되어 있고 네 귀퉁이 또한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재(111)와 상응하는 곡선을 갖는 사각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밀착리브(121)의 외면은 메인보드(110)의 벽체(112)와 접촉되는 표면이므로 그 외면에는 베이스판재(111)와 벽체(112)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116)로 끼워져 걸리는 록킹돌기(1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판(120)은 그 하면전체에 걸쳐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상의 보강리브(122)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리브(122) 중에서 중앙부분의 보 강리브(122)는 테두리부분의 보강리브(12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중앙부분의 보강리브(122)를 테두리부분의 보강리브(122)보다 짧게 마련하는 이유는 메인보드(110)의 내측인 베이스판재(111)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약시 메인보드(110)의 내측상면과 접촉됨에 따른 소음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내판(120)의 네 귀퉁이부분은 곡선형상에 맞추어 원형이나 호형리브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상판(130)은 사용자의 발과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면은 내판(120)의 상면과 별도의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어야 하므로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면은 촉감이나 디자인을 고려하여 엠보싱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다리(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몸체로 마련되되 그 상단엔 메인보드(110)를 이루는 베이스판재(111)의 네 귀퉁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홀(113)을 관통하여 각각 결착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결착돌기(20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다리(200)는 강도 및 탄성계수가 상이한 1차 및 2차완충부(201,20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1차완충부(201)는 상단부에 상하로 조밀하게 다단으로 연속되는 삼각나사산형의 주름구조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2차완충부(202)는 1차완충부(201)의 하부에 외측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기둥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1차완충부(201)는 2차완충부(202)보다 강도가 약하고 유연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먼저 1차완충부(201)가 어린이나 이와 같은 작은 체구 의 충격하중에 의해서도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 다음, 2차완충부(202)가 큰 충격하중에 의해 탄성변형 내에서 수축되면서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완충다리(200) 상단의 결착돌기(203)는 메인보드(110)의 결착홀(113)의 넓은 부분으로 관통된 후 회전시키면 상기 결착홀(113)의 좁은 부분에 걸리도록 하부에 목부(204)를 갖는 한글 자음의 기역(ㄱ) 형상 단면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돌기(203) 하부의 목부(204)와 접하는 하면에는 좁은 부분의 결착홀(113)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걸림돌기(114)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20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들과 서로 직교되는 상단부에는 완충다리(200)가 압축되었다가 신장될 때 그 내부의 에어가 흡입되고 배출되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이고 완충다리(200)의 내측으로 개방된 홈 형상의 통기구(20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구(206)에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소음제거부재(2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소음제거부재(210)는 통기구(206)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며, 이는 한글자음 디귿자형상으로 케이싱(2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211) 내에 다공성소재인 스펀지(212)가 끼워져 있다. 상기 케이싱(211)은 한글자음 디귿자형상의 사출물 또는 판재를 한글자음 디귿자형상으로 접은 것이며 적어도 완충다리(200)의 내측과 상방을 향해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는, 먼저 내판(120)을 사출에 의해 마련하되, 사출금형에서 소정시간동안 냉각타입을 주고 인출하여 충분한 시간동안 대기 중에서 냉각시킨 다수의 내판(120)을 마련한다. 이때, 내판(120)은 대기 중에서 충분히 냉각되기 때문에 후수축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설계치대로의 공차를 얻게 된다.
이렇게 내판(120)을 마련한 다음, 메인보드(110)의 사출금형에서 소정시간동안 냉각타임을 주고 인출하여 메인보드(110)를 얻는다. 이때, 소재에 따라 다양하나 메인보드(110)는 복합폴리프로필렌수지를 채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출금형에서 인출하였을 때의 온도가 대기온도보다 높은 60~70℃이다. 다시 말해서, 메인보드(110) 소재의 후수축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보드(110)를 사출금형에서 꺼내자마자, 곧바로 상기 메인보드(110)를 이루는 베이스판재(111)의 테두리인 벽체(112) 내면에 내판(120)의 테두리인 밀착리브(121)가 밀착되면서 메인보드(110)의 록킹홀(116)에 상기 밀착리브(121)상의 록킹돌기(123)가 끼워져 걸리도록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렇게 메인보드(110)에 내판(120)을 조립하여 대기 중에서 냉각시키면, 메인보드(110)가 냉각됨에 따라 발생되는 메인보드(110)의 수축(일명, 후수축이라고도 한다)되면서 내판(120)의 밀착리브(121)에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내면이 견고하게 밀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메인보드(110)와 내판(120)이 하나의 사출금형에서 사출 성형한 것처럼 일체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보드(110)에 내판(120)을 조립한 후, 상기 내판(120)의 상면에 상판(130)을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로 접착하고, 상기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 재(111)에 천공되어있는 각각의 결착홀(113)마다 완충다리(200)의 결착돌기(203)를 끼워 체결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메인보드(110)에 완충다리(200)를 체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완충다리(200) 상단의 결착돌기(203)가 메인보드(110)의 결착홀(113)의 넓은 부분으로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결착홀(113)의 좁은 부분에 목부(204)가 걸리게 되며, 상기 결착돌기(113) 하면의 걸림홈(205)에 결착홀(113) 주위의 걸림돌기(114)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를 거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그 완충다리(200)의 하면이 놓이도록 하여 설치하고, 사용자가 보드유닛(100)의 상판(130) 위에 올라서서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드유닛(100)의 상판(130) 위에서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 등을 할 때, 상기 완충다리(200)는 압축되었다가 팽창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지주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완충다리(200)의 1차완충부(201)는 사용자가 상판(130)에 올라서거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탄성범위 내에서 접힘 내지 변형이 이뤄지는 것이며, 사용자가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완충다리(200) 상부의 1차완충부(201)에서 1차적인 완충이 이루어진 이후에 강도 및 탄성계수가 큰 2차완충부(202)가 탄성범위 내에서 접힘 내지 변형이 이뤄지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 1차완충부(201)가 2차완충부(202)보다 강도가 약하고 유연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충격하중에 의해서도 1차완충부(201)가 먼저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 후, 강도 및 탄성계수가 큰 2차완충부(202)가 탄성변형의 범위 내에서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완충다리(200)의 1,2차완충부(201,202)에 의해 순차적이고 효과적으로 완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과 무관하게 어린이나 성인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를 설치한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충격 또한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완충다리(200)의 소음제거부재(210)에 의해 제자리걷기나 도약에 따른 완충다리(200) 내부의 공기가 베이스판재(111)의 에어유통공(115)을 통해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재(111)와 내판(120)의 보강리브(122) 사이인 밀폐공간으로만 배출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완충다리(200) 내의 공기가 통기구(206)와 에어유통공(115)을 통과하는 유통소음을 최소화 내지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자리걷기나 도약운동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보드유닛(100)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그 중앙부분이 하부로 볼록하게 휘게 되는데, 이렇게 보드유닛(100)을 이루는 메인보드(110)와 내판(120) 및 상판(130)의 중앙부분이 하부로 볼록하게 휘되더라도 메인보드(110)의 베이스판재(111)와 내판(120)의 보강리브(122)가 이격되어 있어 접촉될 염려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메인보드(110)와 내판(120)의 접촉에 의한 마찰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판(120)의 저면에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보강리브(122)에 의해 메인보드(110)가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하여 메인보드(110) 위에서 도 약과 착지를 반복할 때 발생되는 반복하중에 대한 별다른 손상 없이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서 해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상단부분에 그 내측으로 결합되는 내판(120)의 상단모서리부분을 누리도록 형성된 누름돌기(118)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 메인보드(110)의 벽체(112)에 누름돌기(118)가 마련되는 경우, 상기 내판(120)의 외측상단에는 상기 메인보드(110)의 누름돌기(118)가 내판(12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단턱(126)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해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보드(110)의 벽체(112) 상단부에 마련되는 누름돌기(118)가 내판(120)의 상단모서리를 움직임 없이 견고하게 누르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드유닛 위에서 도약운동 등을 하더라도 메인보드(110)에서 내판(120)이 이탈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판(120)의 상면에 상판(130)을 설치할 때 누름돌기(118)가 내판(120)의 걸림단턱(126)과 일치하는 형상이므로 상기 내판(12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아 아무런 제약 없이 설치할 수 있고 상판(130)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운동을 할 때에도 걸릴 염려 또한 없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에서, 메인보드(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고 내판(120)은 하면에 밀착리브(121)와 보강리브(122)가 형성된 것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내판(120)의 상면 또한 그 전체가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되되 각각의 격자모눈에 해당되는 사각형상의 중앙 및 테두리에 복수의 결합홀(125)이 더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판(130)은 내판(120)의 상면전체를 덮어씌우도록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된 내판(120)의 각 격자모눈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분할되고 각각 분할된 형상의 중앙 및 테두리에 내판(120)의 결합홀(125)과 상응하여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33)가 형성된 복수의 조각상판(131,132)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각상판(131,132)의 결합돌기(133)에는 그 내면에 내판(120)의 결합홀(125)에 삽입되고 나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는 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은, 내판(120)의 결합홀(125)에 상판(130)을 이루는 다수개의 조각상판(131,132)이 조립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메인보드(110)와 내판(120)은 물론 상판(130)로 된 보드유닛(100) 전체를 원터치조립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의 자재비가 줄어들고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이뤄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완충다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선, 완충다리(200)의 2차완충부(202) 내측주면에 상하위치에 일정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있는 2개의 접힘 방지돌기(207)가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약운동용 보드는 보드유닛의 상판 위에서 제자리 걷기나 도약운동을 할 때, 강도가 약하고 유연한 1차완충부(201)가 1차적으로 완충된 다음, 이어서 강도 및 탄성계수가 큰 2차완충부(202)가 탄성변형의 범위 내에서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되기 시작한다.
상기 2차완충부(202)가 어느 정도 수축되면 그 내면의 접힘 방지돌기(207)가 서로 접촉되어 지지되게 되므로 강도보강이 이뤄지고 이로 인하여 2차완충부(202)가 급격하게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변화나 점핑강도에 따른 강약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이 크게 변화더라도 효과적인 충격흡수를 꾀할 수 있어 사용자층을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완충다리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완충다리(200)에서 1차완충부(201)하부의 2차완충부(202)를 구조상 탄성복원력이 양호한 파형으로 마련한 것이고, 도 13은 완충다리(200)에서 1차완충부(201)와 2차완충부(202)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2차완충부(202)의 하단에 1차완충부(201)를 마련한 것이다.
상기 2차완충부(202)의 단면형상은 1차완충부(201)와 동일한 형상의 삼각나사산형이나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호형을 연속 적층한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실시 예의 완충다리에 의하면, 2차완충부(202)의 단면형상을 파형으로 마련되어 구조적인 특성상 탄성복원력이 탁월하고, 이로 인한 효과적인 완충으로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를 설치한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완충다리(200)의 바닥과 접하는 부분인 1차완충부(201) 또는 2차완충부(202)의 하단부분은 서로 맞닿지 않고 정도에 알맞게 하는 규칙적인 한도로 이뤄지는 절도(節度)감을 갖도록 호형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1차완충부(201)가 2차완충부(202)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 바닥부분은 두껍고 그 상부로 갈수록 1차완충부(201)의 두께로 얇아지게 마련하여야만 보다 부드러운 절도감을 갖는 상태로 수축되고 신장되게 된다.
특히, 상기 1차완충부(201)가 2차완충부(202)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 예를 들어, 메인보드(110) 위에서 사용자가 도약운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충격을 흡수할 때는 1차적으로 반발력이 약한 1차완충부(201)가 흡수하고 이후에 2차완충부(202)가 흡수하므로 효과적인 충격하중을 감쇄시킨다. 이와 반대로 반발력이 작용할 때는 강도 및 탄성력이 큰 2차완충부(202)가 신장된 후 반발력이 약한 1차완충부(201)가 신장되게 된다. 따라서 완충다리(200)의 사이즈로 복원하려하는 복원력, 즉 반발력이 효과적으로 감쇄되므로 실내의 바닥과 접한 1차완충부(201) 바닥이 떨어지지 않고 접지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 때문에 메인보드(110)와 함께 완충다리(200)가 이동되지 않아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에서 안정적인 도약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는 보드유닛과 완충다리의 형상이라든가 내판의 보강리브형상 등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실내의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서 주위 사람에게 소음에 따라 피해를 끼치지 않고 도약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넓은 판재 위에서 도약과 착지를 반복하는 도약운동기구에 유용하게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약운동용 보드유닛과 그 완충다리가 체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보드유닛에 완충다리가 체결되었을 때 그 결합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보드유닛에 완충다리가 체결되었을 때 그 통기구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에서 해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내판과 상판을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드유닛 110: 메인보드 111: 베이스판재
112: 벽체 113: 결착홀 114: 걸림돌기
115: 에어유통공 116: 록킹홀 117: 벽체보강리브
118: 누름돌기 120: 내판 121: 밀착리브
122: 보강리브 123: 록킹돌기 125: 결합홀
126: 걸림단턱 130: 상판 131,132: 조각상판
133: 결합돌기 134: 걸림턱 200: 완충다리
201: 1차완충부 202: 2차완충부 203: 결착돌기
204: 목부 205: 걸림홈 206: 통기구
207: 접힘 방지돌기 210: 소음제거부재 211: 케이싱
212: 스펀지

Claims (16)

  1. 평탄한 베이스판재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메인보드;
    이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를 덮어씌우면서 메인보드의 벽체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리브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그 내측하면에 보강리브가 마련된 내판;
    이 내판의 상면에 마련되되 소프트한 촉감을 갖는 유연한 소재로 마련된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보강리브는 내판의 하면전체에 걸쳐 서로 교차되는 격자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리브 중 내판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보강리브는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테두리부의 보강리브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상면은 평탄한 평면으로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판도 저면이 평탄한 평면으로 마련하여 서로 접착제나 양면테이프의 접착수단으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내판과 조립식으로 마련되고 여러 개의 조각상판으로 마련되어 내판의 상면에 퍼즐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은 그 상면 전체를 격자형상으로 균일하게 구획되고 각각의 격자모눈에 해당되는 단위격자의 중앙 및 테두리에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조각상판은 내판의 단위격자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중앙의 저면 및 테두리에 내판의 결합홀로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의 베이스판재와 벽체의 경계부분에 복수개의 록킹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판 외측엔 상기 메인보드의 각 록킹홀로 삽입되어 걸리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의 벽체 상단부분에는 그 내측에 결합되는 내판의 상단모서리부분을 누리는 누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외측상단에는 상기 메인보드의 누름돌기가 내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걸림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9.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몸체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상단엔 서로 마주보고 한 쌍의 결착돌기가 마련되어있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유연하고 비교적 강도가 약한 상태로 주름구조의 1차완충부가 마련되고, 이 1차완충부와 접하여 1차완충부보다 강도가 강하고 큰 탄성복원력을 갖는 주름구조의 2차완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완충부가 2차완충부의 하단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완충부는 외측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기둥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완충부는 급격한 접힘을 방지하도록 그 내측주면의 상하위치에 일정 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있는 2개의 접힘 방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완충부는 삼각나사산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차완충부의 중간부분이 1차 및 2차완충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완충부는 구조상 탄성복원력이 양호한 파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완충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호형을 연속 적층한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약운동용 보드유닛의 완충다리.
KR1020090033754A 2009-01-28 2009-04-17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KR10118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0465 WO2010087607A2 (ko) 2009-01-28 2010-01-26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
JP2011547786A JP2012516191A (ja) 2009-01-28 2010-01-26 跳躍運動用ボードユニットおよびその緩衝脚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522 2009-01-28
KR20090006522 2009-01-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743A Division KR101180339B1 (ko) 2011-06-13 2011-06-13 도약운동용 보드의 완충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611A true KR20100087611A (ko) 2010-08-05
KR101180336B1 KR101180336B1 (ko) 2012-09-06

Family

ID=4275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754A KR101180336B1 (ko) 2009-01-28 2009-04-17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516191A (ko)
KR (1) KR101180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506B1 (ko) * 2010-11-15 2013-10-01 (주)케이제이이노베이션 운동용 보드지지대
KR200482827Y1 (ko) * 2015-11-17 2017-03-07 육홍청 발목 펌프용 방진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1283B (zh) * 2014-06-10 2017-04-19 侯荣华 一种高空落物承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076A (en) 1980-06-30 1984-01-17 Leonard Palmer Tumbling board and spring assembly
KR100609496B1 (ko) 2005-01-04 2006-08-08 김용회 조립식 식물 식재용 상자
KR100844000B1 (ko) * 2007-01-16 2008-07-04 김종선 운동용 에어발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506B1 (ko) * 2010-11-15 2013-10-01 (주)케이제이이노베이션 운동용 보드지지대
KR200482827Y1 (ko) * 2015-11-17 2017-03-07 육홍청 발목 펌프용 방진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6191A (ja) 2012-07-19
KR101180336B1 (ko)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336B1 (ko)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JP2010515525A (ja) 運動用エア踏板
JP4169695B2 (ja) 運動用空気入り踏み板及び空気入り踏み板用緩衝材
KR101280223B1 (ko) 다기능 에어 보드
KR100844000B1 (ko) 운동용 에어발판
KR101180339B1 (ko) 도약운동용 보드의 완충다리
US20080028642A1 (en) Multiple Structure Shock Absorbing Members
WO2010087607A2 (ko) 도약운동용 보드유닛 및 그 완충다리
KR101124535B1 (ko) 도약운동용 완충지지대
CN103859690B (zh) 一种具有剪切减震功能的运动鞋
KR101093617B1 (ko) 도약운동용 에어보드
KR20110098028A (ko) 도약운동보드
KR200481993Y1 (ko) 매트 조립체
KR100877908B1 (ko) 운동용 에어발판
KR20110008737U (ko) 도약운동용 보드의 소음방지장치
KR101665293B1 (ko) 실내 운동용 보드
KR200385431Y1 (ko) 운동용 에어발판
KR20110084000A (ko) 도약운동보드용 완충다리
KR101312506B1 (ko) 운동용 보드지지대
KR200312971Y1 (ko) 유희용 시소
KR200178699Y1 (ko) 유희구조물
US20180195307A1 (en) Modular fence tent
KR20100019608A (ko) 도약운동용 에어보드
EP3247476B1 (en) Basket swing comprising a seat section having a double/single walled impact surface
KR200368358Y1 (ko) 충격흡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