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561A -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561A
KR20100087561A KR1020090006651A KR20090006651A KR20100087561A KR 20100087561 A KR20100087561 A KR 20100087561A KR 1020090006651 A KR1020090006651 A KR 1020090006651A KR 20090006651 A KR20090006651 A KR 20090006651A KR 20100087561 A KR20100087561 A KR 20100087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tag
store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997B1 (ko
Inventor
김일주
진호
손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997B1/ko
Priority to US12/571,619 priority patent/US9697294B2/en
Publication of KR20100087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1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comprising remotely distributed storage units, e.g. when movies are replicated over a plurality of video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Abstract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받은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저장하고, 또한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 후, 선택된 컨텐츠를 삭제하여 컨텐츠 저장 관리를 하는 컨텐츠 저장 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컨텐츠 태그 저장 관리 서비스 재생 네트워크

Description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anaging contents with contents tag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자의 저장장치에 콘텐츠를 계속해서 저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저장 장치, 예를 들어 HDD를 구입해서 관리해야 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은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정의 삭제 우선순위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소정의 삭제 우선순위는 서버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는 컨텐츠 아이디, 컨텐츠 저장 시작 시간, 및 컨텐츠 저장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설정 정보는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의 선택 정보,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의 저장 단계 및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컨텐츠가 상기 외부 장치에 없는 경우, 상기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삭제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태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삭제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는 컨텐츠 태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는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체 데이터 중 일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 상기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의 화질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일부 삭제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체 데이터 중 일부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 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체 데이터 중 일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콘텐츠 관리의 중요성을 더 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다. 개인 PVR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한다 하더라도 HDD와 같은 저장 메모리 용량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컨텐츠 관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효율적인 컨텐츠 관리를 위해 컨텐츠 태그를 이용하여 컨텐츠 관리를 수행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저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텐츠(111)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130)로부터 컨텐츠(111)를 받아 재생장치(1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거나, 컨텐츠(111)을 로컬에 있는 저장 장치(110)에 저장 할 수 있다. 컨텐츠(111)를 받아 로컬에 있는 저장장치(110)에 저장시 저장 장치의 용량이 부족하여 컨텐츠(111)를 저장 할 수 없다면, 로컬에 있는 저장장치(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삭제하고 웹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로컬의 저장 장치에서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
삭제할 컨텐츠를 선정하는 방법은, 로컬에 있는 저장장치(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111)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컨텐츠를 소정의 우선순위에 의해 선정하여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태그(112)를 생성한다. 생성된 컨텐츠 태그(112)는 로컬에 있는 저장 장치(110)에 저장하고, 웹서버(120)에 전송 한 후 로컬에 있는 저장 장치(110)에서 선정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웹서버(120)는 네트워크 PVR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120)이거나, VOD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서버(120),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130)와 동일하거나, 또는 P2P 환경에서는 다른 피어(Peer) 일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아니한다.
컨텐츠 삭제 후에 해당 컨텐츠를 재생시기 위해서 사용자는 로컬 저장장치(110)에 저장 되어 있는 컨텐츠 태그(112)를 이용하여 웹 서버(120)에 접속해서 웹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하여 재생 할 수 있다.
컨텐츠 태그(112)을 이용한 컨텐츠 저장 관리 방법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도 2에서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저장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는 사용자 장치, 예를 들어, 로컬 재생장치의 저장 장치, 예를 들어 HDD와 같은 저장 공간에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웹서버에 저장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저장 장치는 사용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독립적인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선택은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우선 순위는 컨텐츠 생성 혹은 저장 시점이 가장 오래된 컨텐츠 순서이거나, 서버에서 사용자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인기 순서일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에서의 재생 빈도 또는 마지막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정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는 서버의 효율을 높이도록 서버에서 정할 수도 있거나, 사용자가 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는 단계 210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태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 다운로드 받은 전체 컨텐츠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 부분의 시작 및 끝에 대한 정보,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 선택 정보, 및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의 선택 정보는 컨텐츠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를 함께 저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는 선택된 컨텐츠를 웹서버에 저장할 때 로컬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화질과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화질이 다를 경우 다른 화질의 컨텐츠를 볼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이다.
컨텐츠 태그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한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웹 서버에 관한 정보 및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230에서는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사용자 장치에 저장하고, 이를 웹서버로 전송한다.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서버에 없거나, 선택된 컨텐츠의 화질과 웹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의 화질이 상이한 경우, 컨텐츠 태그와 함께 선택된 컨텐츠를 서버로 전송한다.
단계 240에서는 선택된 컨텐츠를 사용자 장치의 저장 장치에서 삭제한다. 선택된 컨텐츠가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태그 만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웹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도록 하고, 사용자 장치에는 컨텐츠 대신 컨텐츠 태그만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로컬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에는 컨텐츠 태그만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웹서버 운영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는 컨텐츠 저장 장치(310), 컨텐츠 선택부(320), 컨텐츠 태그 생성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컨텐츠 저장부(310)는 컨텐츠 관리 장치(300)의 관리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컨텐츠 선택부(320)는 컨텐츠 저장부(310)에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외부 장치(400), 예를 들어 웹서버에 저장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로컬 저장 장치 (310)는 컨텐츠 관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독립적인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컨텐츠 선택은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또는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태그 생성부(330)는 컨텐츠 선택부(320)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태그를 생성한다. 컨텐츠 태그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한 사용자 장치, 즉 컨텐츠 관리 장치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웹 서버에 관한 정보 및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340)는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컨텐츠 관리 장치(300), 예를 들어 로 컬 저장 장치(310)에 저장하고, 이를 외부 장치(400)로 전송한다. 또한, 선택된 컨텐츠를 로컬 저장 장치(310)에서 삭제한다. 선택된 컨텐츠가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태그 만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장 관리 장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저장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는 사용자 장치, 즉 컨텐츠 관리 장치는 새로운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 관리 장치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단계 420에서는 컨텐츠 관리 장치의 프로세서는 로컬의 저장장치에 상기 저장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저장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여유 공간이 있으면, 단계 480과 같이 로컬의 저장 장치에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한다.
단계 430에서는 로컬의 저장 장치에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서버에 저장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선택은 소정의 삭제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한다.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삭제 우선순위는 컨텐츠 생성 혹은 저장 시점이 가장 오래된 컨텐츠 순서일수도 있으며, 서버에서 사용자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컨텐츠 인기 순서일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에서의 재생 빈도 또는 마지막 재생 시점이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는 서버의 효율을 높이도록 서버에서 정할 수도 있거나, 사용자가 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는 단계 430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는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이며 컨텐츠 설정 정보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는 저장된 컨텐츠의 아이디, 컨텐츠 저장 시작 시간, 컨텐츠 저장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컨텐츠 아이디는 어떤 컨텐츠 인지를 알 수 있는 고유 정보이다. 컨텐츠 저장 시작 시간 및 컨텐츠 저장 종료 시간은 다운로드 받은 전체 컨텐츠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 부분의 시작 및 끝에 대한 정보이며 사용자가 로컬의 저장 장치에 컨텐츠를 저장할 때 생성된다.
컨텐츠 설정 정보는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의 선택 정보 및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 선택 정보는 컨텐츠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를 함께 저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컨텐츠를 로컬의 저장 장치에 저장시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한 제어에 따라 광고 및 컨텐츠와 관련있는 부가데이터, 예를 들어 EPG, 컨텐츠 예고 동영상, 컨텐츠 설명 데이터를 컨텐츠와 함께 저장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된 컨텐츠를 웹서버에 저장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컨텐츠와 함께 저장되었던 광고나 부가데이터를 계속 보관할지 여부를 선택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는 선택된 컨텐츠를 웹서버에 저장시 로컬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화질과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화질이 다를 경우 다른 화질의 컨텐츠를 볼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장한 컨텐츠의 화질은 HD급 이지만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화질은 SD급 일 수 있다. 따라서 HD급이 아니면 보지 않겠다는 사용자 선택이 있을 경우 웹 서버에 HD 급 컨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2P 환경이 제공될 경우 사용자는 HD급의 컨텐츠를 가진 다른 피어(Peer)를 찾을 수도 있다.
같은 화질의 컨텐츠만 볼 것인지, 다른 화질의 컨텐츠를 볼 것인지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450에서는 단계 440에서 분석 및 추출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태그를 생성한다. 생성된 컨텐츠 태그는 로컬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컨텐츠 태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5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500)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기술될 수 있으나 다른 언어로 기술 될 수 있으며, 구조화된 텍스트 문서 또 는 바이너리 파일로 생성 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아니한다.
컨텐츠 태그(500)는 크게 사용자 인증 정보(510), 웹 서버 정보(520), 컨텐츠 정보(530)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증 정보(510)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한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이다. 컨텐츠 삭제 후 사용자 장치는 해당 컨텐츠를 사용 하기 위해 로컬에 저장된 컨텐츠 태그(500)를 가지고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한다. 웹 서버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해당 컨텐츠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컨텐츠 태그의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웹서버에 저장된 경우,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웹 서버 정보(520)는 삭제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웹 서버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웹 서버의 URI 주소나 웹 서버 이름을 포함 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로컬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태그(500)의 웹 서버 정보(520)을 이용하여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를 사용 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530)은 크게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540) 및 컨텐츠 설정 정보(550)로 구성된다.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540)는 저장된 컨텐츠의 아이디(541), 컨텐츠 저장 시작 시간(542), 컨텐츠 저장 종료 시간(5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컨텐츠 설정 정보(550)는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 선택정보(551),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5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단계 460에서는 선택된 컨텐츠가 웹서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삭제를 위해 선택된 컨텐츠가 서버에 없거나, 서버에 있는 컨텐츠의 화질과 로컬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화질이 다를 수도 있다.
단계 461에서는 단계 460에서 동일 컨텐츠가 서버에 존재하지 않거나, 동일한 화질의 컨텐츠가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태그를 생성하여 로컬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웹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선택된 컨텐츠를 웹 서버에 업로드한다.
단계 462에서는 단계 460에서 동일 컨텐츠가 서버에 존재하거나, 동일한 화질의 컨텐츠가 서버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여 로컬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웹 서버로 전송한다.
단계 470에서는 선택된 컨텐츠를 로컬의 저장 장치에서 삭제한다. 선택된 컨텐츠가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태그 만을 저장한다.
단계 480에서는 로컬의 저장장치에서 저장 공간이 부족하여 다운받아 저장하지 못한 단계 410에서의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저장 관리를 위한 컨텐츠 관리 장치 및 웹 서버의 장치 구조이다.
컨텐츠 관리 장치(620)은 로컬 저장 장치(622), 로컬 관리 모듈(624), 방송정보분석 및 설정정보 관리 모듈(626), 및 컨텐츠 태그 생성 모듈(628)을 포함한다. 또한, 웹 서버(640)는 컨텐츠 태그 저장 모듈(642), 컨텐츠 저장 모듈(644), 및 싱크 및 제어 모듈(646)을 포함한다.
로컬 저장 장치(622)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로컬 관리 모듈(624)는 웹 서버(640)로부터 새로운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운로드하고, 로컬 저장 장치(622)에 다운로드된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여유 공간이 있으면, 로컬 저장 장치(622)에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한다.
확인 결과 로컬 저장 장치(622)에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현재 로컬 저장 장치(622)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웹서버(640)에 저장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선택은 소정의 삭제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방송정보분석 및 설정정보 관리 모듈(626)은 로컬 관리 모듈(624)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는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이며 컨텐츠 설정 정보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는 저장된 컨텐츠의 아이디, 컨텐츠 저장 시작 시간, 컨텐츠 저장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컨텐츠 설정 정보는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 선택 정보 및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컨텐츠 태그 생성 모듈(628) 에서는 방송정보분석 및 설정정보 관리 모 듈(626)에서 분석 및 추출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태그를 생성한다.
로컬 관리 모듈(624)는 선택된 컨텐츠가 웹서버(64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삭제를 위해 선택된 컨텐츠가 웹서버(640)에 없거나, 웹서버(640)에 있는 컨텐츠의 화질과 로컬저장장치(622)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화질이 다를 수도 있다.
삭제를 위해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웹서버(640)에 존재하지 않거나, 동일한 화질의 컨텐츠가 웹서버(64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태그를 로컬저장장치(622)에 저장하고, 이를 웹서버(640)로 전송한다. 또한 로컬 관리 모듈(624)은 선택된 컨텐츠를 웹 서버(640)로 업로드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로컬 저장 장치(622)에서 삭제한다.
한편,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웹서버에 존재하거나, 동일한 화질의 컨텐츠가 웹서버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로컬 관리 모듈(624)은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태그를 로컬 저장 장치(622)에 저장하고, 컨텐츠 태그를 웹 서버(640)로 전송하며, 선택된 컨텐츠를 로컬 저장 장치(622)에서 삭제한다.
이후, 로컬 관리 모듈(624)은 새로운 컨텐츠를 로컬 저장 장치(622)에 저장한다. 선택된 컨텐츠가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태그 만을 저장한다.
웹서버(640)의 컨텐츠 태그 저장 모듈(642)은 컨텐츠 관리 장치(620)으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태그를 저장하고, 컨텐츠 저장 모듈(644)은 컨텐츠 관리 장치(62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싱크 및 제어 모듈(646)은 컨텐츠 태그 저장 모듈(642)에 저장된 컨텐츠 태그 정보와 컨텐츠 저장 모듈(644)에 저장된 컨텐츠 사이의 싱크(sync)를 담당하고, 컨텐츠 관리 장치(620)의 컨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소정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요청된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장치(620)로 전송한다.
웹서버(640)가 컨텐츠 관리 장치(620)로부터 컨텐츠 저장 모듈(644)에 저장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을 받는 경우, 싱크 및 제어 모듈(646)는 컨텐츠 관리 장치(6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태그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해당 컨텐츠를 사용, 즉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증 절차 없이 콘텐츠 태그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저장 모듈(644)에 저장된 경우,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장치(620)로 전송한다.
컨텐츠 관리 장치(620)는 컨텐츠 태그의 웹 서버 정보, 즉 웹 서버의 URL 주소나 웹 서버 이름을 이용하여 웹서버(640)에 액세스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710에서는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여유 공간이 있으면, 로컬 저장 장치에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한다.
확인 결과 로컬 저장 장치에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현재 로컬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선택은 소정의 삭제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720에서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 하여금 선택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분을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 장치들 및 이들 저장 장치들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관리 정보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와,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의 화질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단계 730에서는 서버에서 생성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전체 데이터 중 서버에서 관리되고 있는 외부 장치들에 저장되어 있어, 필요시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 부분들을 삭제한다.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에는,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만을 저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들에 저장된 컨텐츠 부분들(A, B,… N) 제외한 나머지 부분 만을 실제 저장하고, 저장하지 않은 부분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 정보를 생성하여 로컬저장장치에 저장함과 동시에,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가 이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저장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장치들에 저장된 컨텐츠 부분들을 전송받아 전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컨텐츠 태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서버에서 제공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컨텐츠 데이터를 외부 장치들로부터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P2P 방식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함으로써, 필요시 다운로드 가능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 사용자 장치의 로컬 저장 공간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장치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컨텐츠 관리 장치(920)는 로컬 저장 장치(922), 로컬 관리 모듈(924), 및 컨텐츠 태그 생성 모듈(926)을 포함한다.
또한, P2P 서버(940)는 다른 컨텐츠 저장 장치들(962, 964, 966)에 저장된 컨텐츠 들을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모듈(942)과 컨텐츠 태그를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태그 저장 모듈(944)을 포함한다.
컨텐츠 관리 장치(920)의 로컬 저장 장치(9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로컬 관리 모듈(924)는 로컬 저장 장치(922)에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여유 공간이 있으면, 로컬 저장 장치(922)에 새로운 컨텐츠를 저장한다.
확인 결과 로컬 저장 장치(922)에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현재 로컬 저장 장치(922)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컨텐츠 선택은 소정의 삭제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저장하려고 하는 새로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태그 생성 모듈(926)은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940)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컨텐츠 태그 생성 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방송정보분석 및 설정정보 관리 모듈(626)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기능부를 더 포함한다.
서버(940)의 컨텐츠 관리 모듈(942)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분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 장치들(962, 964, 966)을 탐색한다. 컨텐츠 관리 모듈(942)는 외부 장치들(962, 964, 966)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관리 정보를 컨텐츠 관리 장치(920)에 제공한다. 관리 정보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와,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의 화질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로컬 관리 모듈(924)은 서버(940)로부터 전송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전체 데이터 중 외부 장치들(962, 964, 966)에 저장되어 있어, 필요시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 부분을 삭제한다. 새로운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는, 다운로드 가능한 컨텐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 부분 만을 로컬 저장 모 듈(922)에 저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들에 저장된 컨텐츠 부분들(A, B,… N) 제외한 나머지 부분 만을 실제 저장하고, 저장하지 않은 부분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 정보를 생성하여 로컬 저장 장치(922)에 저장함과 동시에, 서버(940)로 전송한다.
서버(940)의 컨텐츠 관리 모듈(942)는 수신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컨텐츠 태그 저장 장치(944)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이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컨텐츠 관리 장치(920)는 로컬 저장 장치(922)에 저장된 컨텐츠 태그 정보를 서버(940)로 전송하고, 서버(940)의 컨텐츠 관리 모듈(942)는 수신한 컨텐츠 태그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962, 964, 966)에 저장된 컨텐츠가 컨텐츠 관리 장치(9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서버(940)의 컨텐츠 관리 모듈(942)은 컨텐츠 태그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laims (20)

  1.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정의 삭제 우선순위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소정의 삭제 우선순위는 서버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는 컨텐츠 아이디, 컨텐츠 저장 시작 시간, 및컨텐츠 저장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설정 정보는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의 선택 정보,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의 저장 단계 및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컨텐츠가 상기 외부 장치에 없는 경우, 상기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태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삭제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는 컨텐츠 태그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태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소정의 삭제 우선순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소정의 삭제 우선순위는 서버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 메타데이타 정보는 컨텐츠 아이디, 컨텐츠 저장 시작 시간, 컨텐츠 저장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설정 정보는 컨텐츠 광고 또는 부가데이터의 선택 정보, 컨텐츠 화질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컨텐츠가 상기 외부 장치에 없는 경우, 상기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삭제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태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삭제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장치.
  13.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체 데이터 중 일부를 삭 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 상기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의 화질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삭제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1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와;
    상기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저장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체 데이터 중 일부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 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적어도 일부 저장하고 있는 외부 장치들에 대한 정보, 상기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들 각각에 저장된 컨텐츠의 화질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삭제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0. 제 13 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90006651A 2009-01-28 2009-01-28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95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651A KR101950997B1 (ko) 2009-01-28 2009-01-28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12/571,619 US9697294B2 (en) 2009-01-28 2009-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by using content t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651A KR101950997B1 (ko) 2009-01-28 2009-01-28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561A true KR20100087561A (ko) 2010-08-05
KR101950997B1 KR101950997B1 (ko) 2019-02-21

Family

ID=4235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651A KR101950997B1 (ko) 2009-01-28 2009-01-28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97294B2 (ko)
KR (1) KR1019509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768A1 (ko) * 2011-01-07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303236B1 (ko) * 2011-10-21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3425A1 (en) * 2009-05-29 2010-12-02 Ziwei Liu Protected Fiber Optic Assembli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8655881B2 (en) * 2010-09-16 2014-02-18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8666978B2 (en) 2010-09-16 2014-03-04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tagging and tagged content
US8533192B2 (en) 2010-09-16 2013-09-10 Alcatel Lucent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JP6600203B2 (ja) * 2015-09-15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541A (ko) * 2001-03-21 2003-01-06 (주)우리인터넷 인터넷 상의 특정 웹사이트 접속 시간 측정 방법 및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040049498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데이터씽크 웹 및 클라이언트를 활용한 실시간 통계분석 컨텐츠 제공방법
JP2004303368A (ja) * 2003-03-31 2004-10-28 Sharp Corp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記録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11472A (ja) * 2003-06-20 2005-01-13 Sharp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242774A (ja) * 2004-02-27 2005-09-08 Sony Corp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および記録管理方法
KR20060090108A (ko) * 2005-02-07 2006-08-10 (주) 엘지텔레콤 전용 캐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단말기 및 컨텐츠 관리및 재생 방법
JP2006295509A (ja) * 2005-04-08 2006-10-26 Sharp Corp 電子的情報管理装置、電子的情報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80109636A (ko) * 2007-06-12 2008-1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6686B1 (en) * 1993-07-01 1998-10-14 Leg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storage management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US7529834B1 (en) * 2000-06-02 2009-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cooperatively backing up data on computers in a network
US20010056463A1 (en) * 2000-06-20 2001-12-27 Grady James D.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al world objects to digital objects
JP4165747B2 (ja) * 2003-03-20 200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憶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
JP4426280B2 (ja) * 2003-12-25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ックアップ/リストアシステム及び方法
US7610296B2 (en) * 2004-12-17 2009-10-27 Microsoft Corporation Prioritized files
US20060293077A1 (en) * 2005-06-27 2006-12-28 Nokia Corporation System,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locating memory for storage of content
US7747574B1 (en) * 2005-09-19 2010-06-29 Quri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archiving digital media
US7512859B2 (en) * 2005-10-20 2009-03-31 Shutterfly, Inc. System and methods for image management
US8255420B2 (en) * 2006-05-23 2012-08-28 Noryan Holding Corporation Distributed storage
US8099605B1 (en) * 2006-06-05 2012-01-17 InventSec AB Intelligent storage device for backup system
US8140439B2 (en) * 2007-04-25 2012-03-2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file transfer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541A (ko) * 2001-03-21 2003-01-06 (주)우리인터넷 인터넷 상의 특정 웹사이트 접속 시간 측정 방법 및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040049498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데이터씽크 웹 및 클라이언트를 활용한 실시간 통계분석 컨텐츠 제공방법
JP2004303368A (ja) * 2003-03-31 2004-10-28 Sharp Corp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記録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11472A (ja) * 2003-06-20 2005-01-13 Sharp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242774A (ja) * 2004-02-27 2005-09-08 Sony Corp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および記録管理方法
KR20060090108A (ko) * 2005-02-07 2006-08-10 (주) 엘지텔레콤 전용 캐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단말기 및 컨텐츠 관리및 재생 방법
JP2006295509A (ja) * 2005-04-08 2006-10-26 Sharp Corp 電子的情報管理装置、電子的情報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80109636A (ko) * 2007-06-12 2008-1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768A1 (ko) * 2011-01-07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303236B1 (ko) * 2011-10-21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97294B2 (en) 2017-07-04
KR101950997B1 (ko) 2019-02-21
US20100191755A1 (en)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0046B2 (ja) 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装置
KR101950997B1 (ko) 컨텐츠 태그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667819B1 (ko) 블로그를 통해 컨텐츠를 배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43976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US8463874B2 (en) Method and system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web application operation
KR20140079775A (ko) 비디오 관리 시스템
EP2015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nic content guide
KR100888593B1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809641B1 (ko) 이종 시스템간의 컨텐츠 교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컨텐츠 관리 시스템
KR101718889B1 (ko)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에게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69636A (ja) 情報処理装置、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142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22267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66732A1 (en) Content caching device, content cach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2510752A (ja) メタデータを利用するコンテンツ消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17059B1 (ko) 홈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에분할하여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567906B2 (ja) 画面の再現を支援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511849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485645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792863B1 (ko) 컨텐츠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
JP2015049770A (ja) 端末推薦装置、端末推薦方法および端末推薦プログラム
JP5157770B2 (ja) ノード装置、プログラム及び保存指示方法
KR20080046918A (ko) 동영상 편집 처리 장치 및 방법
JP492569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5028013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5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22

Effective date: 201708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5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09

Effective date: 201812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