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541A -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541A
KR20100087541A KR1020090006610A KR20090006610A KR20100087541A KR 20100087541 A KR20100087541 A KR 20100087541A KR 1020090006610 A KR1020090006610 A KR 1020090006610A KR 20090006610 A KR20090006610 A KR 20090006610A KR 20100087541 A KR20100087541 A KR 2010008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segments
image
switching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733B1 (ko
Inventor
세르게이 세스닥
김대식
차경훈
박상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733B1/ko
Priority to US12/693,493 priority patent/US8908009B2/en
Publication of KR2010008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Scrolling of light from the illumination source over the display in combination with the scanning of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3 차원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기술된다. 표시 방법은 3 차원 이미지 구현을 위한 양안용 좌우 이미지들을, 시순차적 복수의 이미지 라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번적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양안용 좌우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시기에 모든 세그먼트의 발광을 중지시켜 양안용 이미지가 동시에 가시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3 dimensional image diplay methode and device adopting the method}
시간-다중화 입체영상 장치(time-multiplexed stereoscopic system)에 관해 기술되며, 상세히는 좌우 교호적 광을 제어하는 셔터-안경을 이용한 시분할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기술된다.
셔터-안경을 이용하는 시간-다중화 입체영상장치는 처음에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에 기초하여 도입되었으며, 지금은 대부분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대체되었다.
입체영상 장치에서 영상 발생원이 LCD로 대체되면서 한 쪽의 영상이 다른 쪽 영상으로 누설(leakage)되는 크로스토오크(crosstalk) 현상을 겪게 되었다. 높은 수준의 크로스-토크는 입체영상의 이미지의 품위를 현저하게 떨어뜨린다.
이러한 LCD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장치의 크로스토오크는 이미지 갱신(image update) 시의 스캔-홀드 방법(scan and hold method) 및 액정 셀의 불충분한(낮은) 스위칭 속도에 기인한다.
스캐닝 백라이트 방법에서는, 백라이트 패널이 개별적으로 스위칭이 가능한 분할된 다수의 세그먼트를 갖는다. 백라이트의 세그먼트들은 이미지 라인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이들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백라이트의 각 세그먼트들은 패널의 각 이미지 라인별(line by line) 리플레쉬에 동기하여 온-오프 된다. 이는 백라이트 세그먼트의 스위칭이 같은 위치에 있는 이미지 라인에 동기함을 의미한다. 특정 세그먼트가 온(on)되었을 때의 시간 간격은 프레임 주기에 비해 짧고, 따라서 스캔-홀드 타입의 LCD는 마치 CRT와 같은 임펄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처럼 작동한다. 이러한 스캐닝 백라이트를 갖춘 LCD 패널은 셔터-안경 입체영상 장치에서 스크린의 면적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스크린의 특정 부분은 현저한 크로스토오크을 여전히 가지면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 및 대안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는 좌우 영상간의 크로스토오크를 감소시키는 3 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를 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은;
3 차원 이미지 구현을 위한 양안용 좌우 이미지들을, 시순차적 복수의 이미지 라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번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라인들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동기하여 발광하는 복수 발광 세그먼트를 가지는 백라이트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양안용 좌우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동시에 표시되 는 시기에 상기 백라이트의 모든 세그먼트의 발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대해, 각 대응 세그먼트의 스위치-온 타이밍을 소정 시간 지연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온 타이밍 지연 시간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방향으로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연 시간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일정하게 순차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그먼트들은 적어도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의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스위칭-온 유지 시간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이에 속행되는 해당 이미지 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증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그먼트 중 적어도 마지막 세그먼트가 스위칭-오프 상태가 된 후 첫 번째 세그먼트가 스위칭-온 상태가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그먼트 중 마지막 세그먼트가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첫 번째 세그먼트가 스위칭-온 타이밍이 일치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3 차원 이미지 구현을 위한 양안용 좌우 이미지들을, 시순차적 복수의 이미지 라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상기 이미지 라인들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동기하여 발광하는 복수 발광 세그먼트를 가지는 백라이트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좌우 이미지에 각각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좌우 셔터 필터를 가지는 셔터 안경;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양안용 좌우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시기에 상기 백라이트의 모든 세그먼트의 발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대해, 각 대응 세그먼트의 스위치-온 타이밍을 소정 시간 지연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온 타이밍 지연 시간을 이미지 라인의 주사방향으로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지연 시간은 일정하게 순차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들이 적어도 서로 다른 두개의 지연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가지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온 유지 시간을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이에 속행되는 해당 이미지 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을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증가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마지막 세그먼트가 스위칭-오프 타이밍에 대해 그 이후의 첫 번째 세그먼트의 스위칭-온 타이밍을 지연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 중 마지막 세그먼트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첫 번째 세그먼트의 스위칭-온 타이밍이 일치시킨다.
도 1은 3 차원 이미지 구현을 위한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좌안용 이미지(영상)와 우안용 이미지을 매우 빠른 시간 주기로 화면 전체에 번갈아 디스플레이 하는 비능동 발광형 디스플레이인 LCD(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LCD(200)의 전방에는 좌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좌안용 이미지의 광을 통과시킴과 동시에 우안용 이미지의 광은 차단하며, 반대로 우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우안용 이미지의 광은 통과킴과 동시에 좌안용 이미지는 차단하는 일반적인 구조의 셔터 안경(30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셔터 안경(300)은 좌안용 이미지의 광을 제어(온-오프)하는 좌측 필터(300L)와 우안용 이미지의 광을 제어(온-오프)하는 우측 필터(300R)을 구비한다.
상기 LCD(200)의 후방에 LCD(200)의 화상표시에 동기하여 발광 제어되는 복수의 세그먼트(S1, S2, S3, S4, S5, S6, S7)를 가지는 백라이트 장치(100)가 위치한다. 즉, 상기 백라이트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7 개의 세그먼트(S1, S2, S3, S4, S5, S6, S7)를 가지며 LCD(200) 역시 이들에 대응하는 이미지 라인(I1, I2, I3, I4, I5, I6, I7)을 가진다. 각 이미지 라인(I1, I2, I3, I4, I5, I6, I7)들은 복수의 주사라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전체 화면의 일부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백라이트 장치(100)의 각 세그먼트(S1, S2, S3, S4, S5, S6, S7)들은 각각에 일대일 대응하는 LCD(200)의 이미지 라인(I1, I2, I3, I4, I5, I6, I7)의 리플레쉬에 동기하여 적정히 시간 지연된 후, 온-오프 되며, 셔터 안경(300)은 첫 번째 세그먼트의 스위칭-온 타이밍에 동기하여 스위칭된다.
상기 LCD(200)와 백라이트(10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400)는 후술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미지 표시 및 백라이트 제어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7 세그먼트 백라이트 장치를 이용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명되나 세그먼트의 수는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수로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그 수는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2는 우안용 이미지(R)와 좌안용 이미지(L)가 주기(T) 별로 LCD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LCD(100)는 한 프레임(우안용 이미지 또는 좌안용 이미지) 의 영상을 화면의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주사하며, 화면의 아래쪽에서 이전 프레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동안, 화면의 위쪽에서는 다음 프레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예컨대, 한 프레임이 완전히 주사되는 시간을 T 라고 할 때, 시간 0에서는 우안용 영상이 화면 전체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시간 T에서는 좌안용 영상이 화면 전체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시간 0과 T 사이에서는 우안 용 영상이 좌안용 영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화면의 위쪽에는 좌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화면의 아래쪽에는 우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 결과,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화면을 공유하는 시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공유 시간 내에서 기존과 같이 백라이트가 온-상태를 유지한다면 시청자의 일측 눈에는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섞여서 보이는 크로스토오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LCD(200)의 화면 표시를 가시화하는 백라이트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이러한 크로스토오크를 억제한다.
도 3은 LCD(200)에서의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의 주사를 보이는 타이밍도이다. 도3에서 수직 축은 주사 방향으로서 LCD의 화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며, 수평축은 시간축을 나타낸다.
도 3에서 R은 우안용 이미지 주사구간이며, L은 좌안용 이미지 주사구간을 예시하며, 이들 구간 사이의 기울어진 사선(RT)은 LCD의 위치별 해당 주사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이다. 도 2에 관련한 위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안과 좌안용 이미지가 동시에 표시되는 시기가 존재한다. 디스플레이의 수직 동기신호(Vsync)는 첫 번째 주사라인의 리플레싱 타이밍(RT)과 일치한다.
도 4는 상기 LCD(100)에 배경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장치의 세그먼트별 스위칭 온-오프 타이밍을 보이는 다이어그램으로서 세그먼트별 온-오프의 쉬운 이해를 위해 LCD(100)의 주사라인별 리플레쉬 타이밍(시점, RT)을 같이 표시하였으며, 시간축 상으로 연장된 빗금 친 박스는 백라이트의 세그먼트(S1~S7)들의 온-타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의 상부에 표시된 셔터 안경(300)의 좌우 필터(300L, 300R) 에서 어둡게 표시된 셔터는 광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밝게 표시된 셔터는 광을 통광시키는 부분을 나타낸다. 백라이트의 세그먼트(S1~S7)는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라인(I1~I7)에 일대일 대응하며, 이러한 백라이트 장치(100)의 각 세그먼트(S1~S7)들은 각각에 일대일 대응하는 LCD(200)의 이미지 라인(I1, I2, I3, I4, I5, I6, I7)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동기하여 적정 시간 지연(Td1~Td7) 후 스위칭-온 상태가 되며, 스위칭-오프는 다음 이미지의 리플레쉬 타이밍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세그먼트의 시간지연은 해당 이미지 라인의 마지막 주사라인의 타이밍으로 부터 시작되며, 따라서 각 이미지 라인의 모든 주사라인이 리플레쉬 된 후에 해당 세그먼트가 스위칭-온 된다. 한편, 셔터 안경(300)은 첫 번째 세그먼트(S1)의 스위칭-온 타이밍에 동기하며, 이때에 셔터 안경(300)의 좌우 필터(300L, 300R)의 스위칭-온 및 오프 상태가 교호적으로 반전, 즉 한쪽 필터(300R 또는 300L)가 온 되면, 다른 쪽 필터(300L 또는 300R)는 오프된다.
도 4에서 수직의 점선은 마지막 세그먼트(S7)의 오프-타이밍과 첫 번째 세그먼트(S1)의 온-타이밍을 나타내는 것으로 서로 일치함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지막 세그먼트(S7)의 오프-타이밍과 첫 번째 세그먼트(S1)의 온-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으며 마지막 세그먼트(S7)의 오프-타이밍과 첫 번째 세그먼트(S1)의 온-타이밍 사이에 시간 지연이 있을 수 있다. 즉,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지막 세그먼트가 스위칭-오프 됨과 동시에 첫 번째 세그먼트(S1)가 스위칭-온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지막 세그먼트(S7)가 스위칭-오프된 후에 소정 시간 지연에 이어 첫 번째 세그먼트(S1)가 스위칭-온될 수 있다. 한편, 각 세그먼트(S1~S7)의 오프 타이밍은 각 이미지 라인(I1~I7)의 첫 번째 주사라인의 리플레쉬-타이밍에 일치하거나 일부는 또는 전체는 앞설 수 있다. 즉, 세그먼트의 오프-타이밍과 이미지 라인의 리플리쉬-타이밍이 일치되거나, 세그먼트의 오프-타이밍이 이미지 라인의 오프-타이밍에 선행될 수 도 있다. 도 4에서는 첫 번째 세그먼트의 오프-타이밍과 첫 번째 이미지 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이 상호 일치하고, 그 다음부터는 세그먼트의 오프-타이밍과 리플레쉬 타이밍 간에는 주사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소정의 시간 갭, 즉 지연이 존재하는 것으로 표현이 되어 있다.
한편, 세그먼트(S1~S7)들의 스위칭-온 타이밍은 각 이미지 라인(I1~I7)의 리플레쉬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 지연된다. 이러한 각 세그먼트(S1~S7)들의 각 스위칭 지연 Td1~Td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여러 형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 세그먼트의 지연 Td7은 첫 번째 세그먼트의 지연 Td1에 비해 짧으며, 따라서, 한 이미지 프레임의 전체 주기(entire period)는 셔터-안경의 일측(오른쪽 또는 왼쪽) 필터의 개방 주기 내로 한정되며, 이는 LCD(200)의 프레임 주기 또는 셔터-안경(300)의 스위칭 주기의 절반과 같다. 따라서 왼쪽 이미지와 오른쪽 이미지의 겹쳐짐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각 세그먼트의 스위칭 다이어그램에 점선으로 표시된 박스 부분은 종래 방법에 따른 세그먼트의 스위칭을 보이며, 실선 박스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스위칭을 보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그먼트 타이밍 다이어그램에서 좌우 이미지가 상호 겹쳐지지 않으며, 셔터-안경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다.
이는 현저한 크로스토오크가 없는 입체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체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는 결과를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낮은 듀티의 셔터 콘트롤과는 달리 이미지의 휘도를 감소를 초래하지 않으며 셔터-안경 제어의 어떠한 수정(변화)도 요구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세그먼트의 지연은 스크린의 주사방향, 예를 들어 위로부터 아래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는 일정한 값을 가지고 하부에서는 이보다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세그먼트들(S1~S7)은 적어도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의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첫 번째 세그먼트에서 네 번째 세그먼트(S1~S5)는 동일한 지연 Td1을 가지며, 그 하부의 세그먼트 S6, S7은 이보다 짧다. 일반적으로는 세그먼트의 지연은 주사방향으로 감소한다.
한편, 도 4, 5에서는 각 세그먼트의 온-타임, 즉 켜져 있는 시간이 동일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시간의 값을 가질 수 도 있다. 그리고 화면의 하부, 마지막 세그먼트(S7)및 그 이전의 몇몇 세그먼트들의 지연은 너무 짧아서도 안되고, 또한 너무 길어서도 안 된다. 너무 짧은 경우, 액정의 낮은 동작에 의해 그 전 프레임의 이미지에 의한 크로스 토오크가 발생할 수가 있고, 너무 길 경우 좌우 이미지가 겹쳐지는 시기에서의 크로스토오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즉, 적절한 범위 내에서 지연 값이 조절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주사방향이 화면의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랜드스케이프형 LCD가 인용되었으나, 주사방향이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로 향하는 포트레이트형 LCD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3 D 영상의 구현에 있어 좌우 이미지간의 간섭이 억제되며 따라서 보다 안정된 양질의 입체적 영상의 실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3 차원 이미지 구현을 위한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우안용 이미지(R)와 좌안용 이미지(L)가 주기(T) 별로 LCD에 표시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LCD에서의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의 주사를 보이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LCD에 배경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장치의 세그먼트별 온-오프 타이밍을 보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와 종래 방법에 따른 각 세그먼트의 스위칭 타이밍을 보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LCD에 배경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장치의 세그먼트별 온-오프 타이밍을 보이는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20)

  1. 3 차원 이미지 구현을 위한 양안용 좌우 이미지들을, 시순차적 복수의 이미지 라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교번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라인들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동기하여 발광하는 복수 발광 세그먼트를 가지는 백라이트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양안용 좌우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시기에 상기 백라이트의 모든 세그먼트의 발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대해, 각 대응 세그먼트의 스위치-온 타이밍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온 타이밍 지연 시간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방향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일정하게 순차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은 적어도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의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스위칭-온 유지 시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이에 속행되는 해당 이미지 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이에 속행되는 해당 이미지 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은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중 적어도 마지막 세그먼트가 스위칭-오프 상태가 된 후 첫 번째 세그먼트가 스위칭-온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중 마지막 세그먼트가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첫 번째 세그먼트가 스위칭-온 타이밍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방법.
  11. 3 차원 이미지 구현을 위한 양안용 좌우 이미지들을, 시순차적 복수의 이미지 라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상기 이미지 라인들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동기하여 발광하는 복수 발광 세그먼트를 가지는 백라이트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좌우 이미지에 각각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좌우 셔터 필터를 가지는 셔터 안경;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양안용 좌우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시기에 상기 백라이트의 모든 세그먼트의 발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라인들의 리플레쉬 타이밍에 대해, 각 대응 세그먼트의 스위치-온 타이밍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온 타이밍 지연 시간을 이미지 라인의 주사방향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지연 시간은 일정하게 순차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들이 적어도 서로 다른 두 개의 지연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 장치.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온 유지 시간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이에 속행되는 해당 이미지 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을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 장치.
  18.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들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이에 속행되는 해당 이미지 라인의 리플레쉬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을 이미지 라인의 주사 방향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차원 영상 표시 장치.
  19.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마지막 세그먼트가 스위칭-오프 타이밍에 대해 그 이후의 첫 번째 세그먼트의 스위칭-온 타이밍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0.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그먼트 중 마지막 세그먼트의 스위칭-오프 타이밍과
    첫 번째 세그먼트의 스위칭-온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 상 표시 장치.
KR1020090006610A 2009-01-28 2009-01-28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KR10157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610A KR101579733B1 (ko) 2009-01-28 2009-01-28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US12/693,493 US8908009B2 (en) 2009-01-28 2010-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610A KR101579733B1 (ko) 2009-01-28 2009-01-28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541A true KR20100087541A (ko) 2010-08-05
KR101579733B1 KR101579733B1 (ko) 2015-12-24

Family

ID=4235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610A KR101579733B1 (ko) 2009-01-28 2009-01-28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08009B2 (ko)
KR (1) KR101579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9311B2 (ja) * 2009-06-09 2014-09-17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WO2011142141A1 (ja) * 2010-05-13 2013-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映像視聴システム
JPWO2011155148A1 (ja) * 2010-06-08 2013-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EP2549469A4 (en) * 2010-06-28 2014-04-30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AN BACKLIGHT
WO2012031387A1 (zh) * 2010-09-08 2012-03-15 青岛海信信芯科技有限公司 一种3d图像显示方法、系统、3d电视及眼镜
KR101734458B1 (ko) * 2010-11-05 2017-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TWI506612B (zh) * 2011-05-31 2015-11-0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顯示器系統以及背光模組的驅動方法
KR20130020456A (ko) * 2011-08-19 2013-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02395038B (zh) * 2011-11-16 2013-09-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快门眼镜式3d显示器的工作方法
DE112011105951T5 (de) * 2011-12-16 2014-09-11 Intel Corporation Auflösungsverlustminderung für 3D-Anzeigen
CN103744228A (zh) * 2013-11-29 2014-04-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三维液晶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023A (ko) * 2006-02-27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070099143A (ko) * 2006-04-03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80055081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셔터 안경 및 액정셔터 제어방법
KR20100097190A (ko) * 2007-11-28 2010-09-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테레오코픽 가시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9659A2 (en) 2005-04-01 2007-1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nning backlight lcd panel with optimized lamp segmentation and tim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023A (ko) * 2006-02-27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070099143A (ko) * 2006-04-03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80055081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셔터 안경 및 액정셔터 제어방법
KR20100097190A (ko) * 2007-11-28 2010-09-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테레오코픽 가시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8399A1 (en) 2010-07-29
US8908009B2 (en) 2014-12-09
KR101579733B1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733B1 (ko) 3 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KR101535802B1 (ko) 스테레오코픽 가시화
US877351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TWI420454B (zh) 顯示裝置及顯示方法
US8823780B2 (en) Liquid crystal image display device with synchronized backlight
JP5589311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9131228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32284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009504A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20025384A (ko)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와 이 디스플레이에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TWI559730B (zh) 立體畫面顯示系統及其方法
CN103026717B (zh) 多视图显示系统及其方法
US20120120209A1 (en) Display device and video viewing system
TWI441151B (zh) 避免串擾現象之立體影像處理裝置、立體影像顯示系統以及控制電路
US9426456B2 (en) Display device and video viewing system
US942645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3D shutter glasses synchronization
WO2013047230A1 (ja) 液晶表示装置
JP6200658B2 (ja) 表示制御装置
US8842172B2 (en) Operation method of shutter glasses based 3D display device
JP2013251792A (ja) 液晶表示装置
US20150130854A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8860655B2 (en) Edge-lit backlight module and scanning method thereof
WO20130724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KR101941956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20140048662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