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450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450A
KR20100086450A KR1020100063189A KR20100063189A KR20100086450A KR 20100086450 A KR20100086450 A KR 20100086450A KR 1020100063189 A KR1020100063189 A KR 1020100063189A KR 20100063189 A KR20100063189 A KR 20100063189A KR 20100086450 A KR20100086450 A KR 2010008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onsonant
character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5655B1 (en
Inventor
박세환
신근호
최우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792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80071473A/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f a terminal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rapidly and conveniently input desirable characters by enlarging the extensive keyset including characters. CONSTITUTION: A controller waits for key touch from a user(801), and confirms key input through the extensive keyset or basic keyset(803). The controller judges whether or not the inputted key is a character key(805). If so, the controller confirms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key can be combined with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inputted key(809). If so, the controller combine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key with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key.

Description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a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개인용 단말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단말을 모두 통칭하는 용어로, PDA(Personal Data Assistant), 무선통신단말,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 기기, 디지털 카메라 등이 있으며, 이하 PDA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The personal terminal is a term for all portable small terminals, and includes a PDA (Personal Data Assista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 MP3 player, a Bluetooth device,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운용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며,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근래에는 휴대폰 모듈을 탑재하여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복합기로서 발전하고 있다. Generally, PDA is equipped with various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memory, operating system (OS), and operating system that are the basis of the computer, and performs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creation, and retrieval functions. In recent years, the mobile phone module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a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통상 PDA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게 되는데, 터치스크린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와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판넬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포인터를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터치스크린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터치키보드를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한다. In general, a PDA includes a touch screen, which is composed of a display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touch panel installed thereon.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by touching a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a pointer, or touches a touch keyboard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touch screen to input characters and the like.

도 1은 종래 단말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 중 일반 키보드 배열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keyboard arrangement of the touch keyboard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단말의 터치스크린은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 영역과, 상기 터치키보드 영역을 통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키보드에는 일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의 키보드 배열방법이 적용되어 있다.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ncludes a touch keyboard area including keys for text input, and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letter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through the touch keyboard area, and the touch keyboard includes a general personal computer (Personal). The keyboard arrangement method of a computer (PC) is applied.

도 1과 같이 종래 일반 키보드 배열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한된 터치스크린의 크기로 인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보드의 크기는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터치키보드의 키 하나하나의 크기도 작아져, 보기에도 불편하고 터치하기에도 불편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어려우며 문자 입력에 따른 속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onventional general keyboard arrangement method as shown in FIG. 1, the size of the touch keyboard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is inevitably reduced due to the limited size of the touch screen. As a result, the size of each key of the touch keyboard is also reduced, and it is inconvenient to see and inconvenient to touch.

이에 따라 단말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a method for facilitating text input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s required.

본 발명은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단말의 터치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to facilitate character inpu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기본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기본 자음키들 중 선택된 제1 자음키에 해당하는 제1 자음과 연관된 문자들이 상기 제1 자음키에 인접한 기본 자음키들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제1 자음키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확장키셋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는 상기 기본키셋을 표시하는 터치키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키셋의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key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asic consonant keys, a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first consonant key selected from among the basic consonant keys through the basic key set;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n extended key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haracter keys disposed on basic consonant keys adjacent to the first consonant key, and when the first consonant key is received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display an extended key set, and receiving at least one character through the extended key set. A touch keyboard for displaying the basic key set is formed below the touch scree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by the touch keyboard is formed, a portion of the expansion keyset Characterized by a group shown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기본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기본 자음키들 중 제1 자음키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1 자음키에 해당하는 제1 자음과 연관된 문자들이 상기 제1 자음키에 인접한 문자 키들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문자 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상기 입력된 제1 자음키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상기 제2 문자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키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는 상기 기본키셋을 표시하는 터치키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키셋의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isplaying a basic key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asic consonant keys on the touch screen, and the first consonant keys of the basic consonant keys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receiving an extension keyse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haracter keys disposed on character keys adjacent to the first consonant key, wherein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consonant key are selected. And displaying at least one character key of the second character keys through the extended key set, and a touch keyboard for displaying the basic key set is formed below the touch screen.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character input by the touch keyboar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and a portion of the extension keyset 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 입력된 키에 대해 다음 입력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여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input of characters by displaying an extended key set including the next inputtable characters for a key input on the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작은 스크린의 단말에서 다음 입력 가능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편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s and displays an extended key set including the next inputtable characters in a terminal of a small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a desired character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단말의 문자 데이터 입력 과정보다 문자 입력 포인팅 과정을 줄이므로 문자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haracter input time because the character input pointing process is reduced than the character data input process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확장키셋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한 초기 입력화면에 배치되는 문자 키들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umber of character keys arranged on the initial input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by using the extended key set in the terminal.

도 1은 종래 단말의 터치키보드 배열방식 중 일반 키보드 배열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4 방식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keyboard arrangement of the touch keyboard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illustrate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ourth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문자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터치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최소의 키들을 표시하고, 상기 최소의 키들 중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와 조합가능한 키들을 표시하는 것이다. 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put characters using a touch keyboard that facilitates text input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displays the minimum keys on the touch screen to input characters, and the minimum keys. When one of the keys is inputted,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ted key are displayed.

본 명세서에서는 자음이나 모음의 키들이 포함된 터치키보드의 구체적인 예를 언급할 것이나, 각 키의 사용빈도나 목적에 따라 터치키보드 상에 배열되는 키들은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키 배열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중 한국어와,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음과 자음을 가지는 문자라면 어느 언어에라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pecific example of a touch keyboard including consonants or vowels will be referred to. However, keys arranged on the touch keyboar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r purpose of each key, and other key arrangement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Korean and English among the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will be described,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language as long as the character has a vowel and a consonant.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스크린에서 최소의 키들이 적어도 포함된 터치 키보드의 초기화면을 '기본키셋'이라 정의하고,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입력된 키와 조합 가능한 키들의 화면을 '확장키셋'이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키셋과 상기 확장키셋의 각 키들은 소정의 크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확장키셋에 대한 소정의 크기는 기본키셋을 통해 다른 키들이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이고, 상기 확장키셋의 각 키들에 대한 소정의 크기는 사용자로부터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를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확장키셋은 기본키셋을 통해 입력된 키 상에,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입력된 키의 영역과 동일한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키셋에 포함된 각 키가 상기 기본키셋에 포함된 각 키와 동일한 크기를 갖을 수도 있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initial screen of a touch keyboard including at least minimum keys on a touch screen is defined as a 'basic key set', and a screen of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key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is defined as an 'extension key set'. This will be described. Here, the extension keyset and each key of the extension keyset have a predetermined size. The predetermined size for the extension keyset is such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point other keys through the basic keyset, and the predetermined size for each key of the extension keyset should not be inconvenient for pointing from the user. It means the size of the degree. For example, the extension key set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a key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size as the area of the input key. In addition, each key included in the extension keyset may have the same size as each key included in the basic keyse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터치키보드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210)과, 입력감지부(230)와, 제어부(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touch screen 210, an input sensing unit 230, and a controller 250 including a touch keyboard area and a display area, which are not shown. Include.

상기 터치스크린(210)은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기본키셋 혹은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의 조합을 표시하며, 상기 기본키셋 혹은 확장키셋을 통해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한다. The touch screen 210 displays a basic key set or a combination of the basic key set and the extended key s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and displays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or the extended key set on the display area.

상기 입력 감지부(230)는 상기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특정 키의 터치 및 드래그 앤드 드롭(터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일 예로, 상기 입력 감지부(230)는 상기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상기 특정키가 포인터로 터치되었는지, 혹은 상기 포인터로 터치된 후 소정 시간 동안 떼어지지 않았는지, 혹은 상기 포인터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는지, 혹은 상기 포인터가 소정 시간 동안 떼어지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드래그 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 및 드래드 앤드 드롭(터치 이동)을 감지한다.The input detector 230 detects a touch and drag and drop (touch movement) of a specific key through the touch screen 2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50. Here, as an example, the input detection unit 230 is whether the specific key is touched by the pointer or the touch is not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being touched by the pointer, or the pointer is dragged. The touch and the drag and drop (touch movement) are detected by detecting whether the end is dropped or whether the pointer is dragg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being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입력감지부(230)을 통해 감지된 특정 키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능(예를 들어, space, <-(Back)) 또는 그 조합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기본키셋 또는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의 조합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50 may display a character or a function (eg, space, <-(Back)) or a combination thereof corresponding to a specific key detected through the input detector 230 on the touch screen 2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asic key set or a combination of the basic key set and the extended key set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수행되는 제1 내지 제5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은 아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2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210)에, 초성으로 입력 가능한 모든 자음키가 포함된 기본키셋을 표시하고,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이 포함된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확장키셋에 포함되는 모음키들은 천지인 한글 입력방식에 따른 모음구성요소 키들이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basic key set including all consonant keys that can be initially inputted on the touch screen 210 for character input, and one consonant key through the basic key set. When is input, the extended consonant key including the input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s combinable with the input consonant key is displayed. Here, the vowel keys included in the extended key set are vowel component keys according to the Korean input metho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의 초기에 단말의 터치스크린(210)에는 PC의 키보드 배열방식으로 배열된 터치키보드가 구성되어 있으며, 문자를 입력하고자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상의 특정키(혹은 임의의 지점)를 터치하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모든 자음키들이 포함된 기본키셋(300)과 자음키 이외의 기능키들이 포함된 기능 입력 영역(310)이 상기 터치키보드 상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키보드 상의 특정키를 터치하면, 기본키셋(300)과 기능 입력 영역(310)이 터치스크린(210) 상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210) 상에서 상기 기본키셋(300) 및 기능 입력 영역(310)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붙어 있을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A, a touch keyboard arranged in a keyboard arrangement method of a PC is configured on a touch screen 210 of a terminal at the beginning of text input, and a user inputs a specific key (or an arbitrary point) on a touch keyboard to input text. ), The basic key set 300 including all the consonant keys and the function input area 310 including the function keys other than the consonant keys ar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to input characters.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input Korean, when a specific key on the touch keyboard is touched, the basic key set 300 and the function input area 310 ar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Here, the positions of the basic keyset 300 and the function input area 310 on the touch screen 210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may be attached or separated.

상기 기본키셋(300)는 스페이스 바의 역할을 하는 키인 '

Figure pat00001
'키를 자음키들과 함께 포함하여 사용자가 기본키셋(300)을 터치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띄어쓰기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imary key set 300 is a key serving as a space bar '
Figure pat00001
Including the 'key together with the consonant keys,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touch the basic keyset 300 to enter a desired character or to enter a space.

그리고 상기 터치키보드는 상기 기본키셋(300)만으로 구성되어질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기능 입력 영역(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입력 영역(310)은 한글 이외의 특수문자들('.', ',', '?', '!' 등)이나 기능키들(숫자키, 특수키, 엔터키, 문자 변환키 등)이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글과 같이 상기 특수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 가능하다. The touch keyboard may be configured of only the basic key set 300, and may further include the function input area 310. The function input area 310 may include special characters other than Korean ('.', ',', '?', '!', Etc.) or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enter keys, character conversion keys, etc.).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special characters, symbols or functions, such as Hangul.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PC의 키보드 배열방식으로 배열된 터치키보드를 초기에 표시하는 대신에, 상기 기본키셋(300)과 상기 기능 입력 영역(310)이 상기 단말의 터치스크린(210)에 바로 표시되어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stead of initially displaying the touch keyboard arranged by the keyboard arrangement of the PC, the basic keyset 300 and the function input area 310 are direc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of the terminal. You can receive text.

도 3b를 참조하면, 기본키셋(300)은 초성으로 입력 가능한 모든 자음키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기본키셋(300)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을 찾아 해당 키를 포인트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키 상에 확장키셋(330)이 표시된다. 즉, 한글 입력을 위한 기본키셋(30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ㅃ, ㅉ, ㄸ, ㄲ, ㅆ, ㅂ, ㅈ, ㄷ, ㄱ, ㅅ, ㅁ, ㄴ, ㅇ, ㄹ, ㅎ, ㅋ, ㅌ, ㅊ, ㅍ,

Figure pat00002
키들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B, the basic key set 300 is composed of all consonant keys that can be input by initial consonant, and the user finds a consonant to be input in the basic key set 300 and touches or touches the corresponding key with a point. If the pointer is not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sonant to be input is input, and the expansion key set 330 is displayed on the input key. That is, the basic key set 300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s 도, ㅉ, ㄸ, ㄲ, ㅆ, ㅂ, ,, ㅆ, ,, ㅅ, ㅁ,, ㅇ, ㄹ, ㅎ, ㅋ, ㅌ, ,, ,,
Figure pat00002
Contains the keys.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확장키셋(330)은 터치키보드 영역 상의 다른 위치 혹은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확장키셋(300)은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조합 가능한 모음구성요소 키들로, 천지인입력 방식에서 사용되는 'ㅣ', 'ㅡ', 'ㆍ' 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본키셋(300)을 통해 'ㅁ'키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한 'ㅁ'키 상에 'ㅁ', 'ㅣ', 'ㅡ', 'ㆍ' 키들이 포함된 확장키셋(330)이 표시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xpansion key set 330 may be displayed on another location on the touch keyboard area or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The extended key set 300 is a vowel component key that can be combined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used as a ',', '-', '· 'Contains keys.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ㅁ' key through the basic key set 300, the extension includes the 'ㅁ', 'ㅣ', 'ㅡ', '·' keys on the touched 'ㅁ' key. Keyset 330 is displayed.

한편, 상기 기본키셋(300)에서 쌍자음(ㅃ, ㅉ, ㄸ, ㄲ, ㅆ)키의 영역은 다른 키의 영역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쌍자음키에 대한 확장키셋(330)은 다른키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ㅃ에 대한 확장키셋(300)은 포인팅되기에 불편함이 없는 ㅂ키상에 표시된다. 다른 예로, ㅉ에 대한 확장키셋(300)은 관련 단자음 ㅈ키상에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asic keyset 300, the area of the consonant (ㅃ, ㅉ, ㄸ, ㄲ, ㅆ) key may be configured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other key. The extended keyset 330 for the consonant key may be displayed on another key. As an example, the extension keyset 300 for ㅃ is displayed on the ㅂ key without inconvenience to point. As another example, the extended keyset 300 for ㅉ is displayed on the associated terminal tone key.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셋(330)을 통해 하나의 모음구성요소 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하면, 상기 입력된 모음구성요소 키에 해당하는 모음구성요소가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자음과 결합되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다.When a user touches or drags one vowel element key through the extension key set 330, the vowel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vowel element key is combined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 the touch screen. Is indicated at 2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대'의 초성인 자음 'ㄷ'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키보드상에 표시된 기본키셋(300)에서 'ㄷ'키를 찾아 포인트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상기 자음 'ㄷ'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고, 터치키보드에는 'ㄷ' 키에 대하여 상기 도 3b의 예와 같은 확장키셋(330)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키셋(330)은 상기 사용자의 다음 입력을 기다리게 되며, 사용자가 모음 'ㅐ'를 입력하기 위해 확장키셋에 포함된 모음구성요소 키들을 'l'->'ㆍ'->'l' 순서대로 터치하거나 혹은 포인터를 떼지 않은 채 연속적으로 드래그하면, 문자 '대'가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기본키셋(300)에서 'ㄷ'키를 포인터로 터치한 후, 확장키셋(330)에서 모음구성요소 키들만을 'l'->'ㆍ'->'l' 순서대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문자 '대'가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ㄷ'키에 대한 확장키셋(330)은 다른 자음 키가 입력되거나, 터치스크린(210)의 디스플레이영역에 표시된 'ㄷ'이 삭제되는 경우, 기본키셋(300)상에 표시되지 않는다.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input 'large', the user finds the 'c' key in the basic keyset 300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to input the consonant 'c' of the 'large' and touches the point with the point. Alternatively, if the pointer is not released after a touch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sonant 'c'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and the extended keyset 330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b with respect to the 'c' key on the touch keyboard. Is displayed. The extended key set 330 waits for the next input of the user, and inputs the vowel component keys included in the extended key set 'l'-> '·'-> 'l' for the user to input the vowel 'ㅐ'. If you touch sequentially or drag continuously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the character 'lar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In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user touches the 'c' key on the basic keyset 300 with the pointer, only the vowel component keys in the extended keyset 330 are 'l'-> '·'-> 'l' in order. When dragging and dropping, the character 'lar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The extended key set 330 for the 'c' key is not displayed on the basic keyset 300 when another consonant key is input or 'c'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210 is deleted.

다른 예로, 자음 'ㄸ'을 입력하는 경우, 기본키셋(300)을 통해 'ㄸ'키를 입력할 수 있으며, 기본키셋(300)을 통해 'ㄷ'키를 입력한 후, 확장키셋(330)을 통해 'ㄷ'키를 다시 입력하여 'ㄸ'키를 입력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sonant 'ㄸ' is input, the 'ㄸ' key may be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300, and after the 'c' key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300, the extended key set 330 may be input. You can enter the 'ㄸ' key by re-keying the 'ㄷ' key.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210)에, 초성으로 입력 가능한 모든 자음키가 포함된 기본키셋을 표시하고,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이 포함된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확장키셋에 포함되는 모음키들은 사상한글 입력방식에 따른 모음구성요소 키들이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basic key set including all consonant keys that can be input into the initial consonant on the touch screen 210 for character input, and one consonant key through the basic key set. When is input, the extended consonant key including the input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s combinable with the input consonant key is displayed. Here, the vowel keys included in the extended key set are vowel component keys according to the mapping input metho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의 터치키보드는 도 4a와 같이 문자 입력을 위한 초성으로 입력 가능한 모든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4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기본키셋(400)은 모든 자음키들을 포함하거나, 혹은 모든 단자음과, 쌍자음 입력을 위한 기능키(이하, 쌍자음키)를 포함한다. 즉, 상기 기본키셋(400)은, ㄱ, ㄴ, ㄷ, ㄹ, ㅎ, ㅂ, ㅁ, ㅇ, ㅅ, ㅍ, ㅋ, ㅌ, ㅈ, ㅊ, 쌍자음키들을 포함한다.The touch keyboard of the terminal includes a basic key set 400 including all consonant keys that can be input as consonants for character input as shown in FIG. 4A. Here, the basic key set 400 includes all consonant keys or all terminal sounds and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sonant key). That is, the basic key set 400 includes a, b, c, d, ㅎ, ㅂ, ㅁ, ㅇ, ㅅ, ッ, ㅋ, ㅌ, ㅈ, ㅁ, consonant keys.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기본키셋(400)의 특정 키를 터치하면, 도 4b와 같이 상기 입력된 키 상에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조합 가능한 모음 키들로 '

Figure pat00003
', '
Figure pat00004
', '
Figure pat00005
', '
Figure pat00006
' 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410)이 표시된다.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key of the basic key set 400 to input a desired character, as shown in FIG. 4B, the vowel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on the input key are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An expanded keyset 410 is displayed that includes the keys.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사용자가 기본키셋(400)에서 'ㅁ'키를 터치하면, 상기 입력된 'ㅁ'키를 중심으로  '

Figure pat00007
', '
Figure pat00008
', '
Figure pat00009
', '
Figure pat00010
' 에 대한 모음 구성요소 키들이 포함된 확장키셋(410)이 표시된다. 이때 터치스크린(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입력된 'ㅁ'키에 해당하는 자음 'ㅁ'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ㅁ' key in the basic key set 400 as shown in FIG. 4B, the user inputs the 'ㅁ' key based on the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An extension keyset 410 is displayed that includes vowel component keys for '. In this case, a consonant 'ㅁ' corresponding to the input 'ㅁ' key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210.

사용자는 상기 확장키셋(410)에 표시된 모음 구성요소 키들로 '

Figure pat00011
', '
Figure pat00012
', '
Figure pat00013
', '
Figure pat00014
' 키들을 조합하여 모든 모음들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may use 'collection element keys'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You can enter all the vowels by combining the keys.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 '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기본키셋(400)에서 'ㅁ'키를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ㅁ'키에서 떼지 않으면, 상기 'ㅁ' 키 상에 확장키셋(410)이 표시된다. 상기 확장키셋(41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

Figure pat00015
', '
Figure pat00016
', '
Figure pat00017
', '
Figure pat00018
' 에 대한 모음 구성요소 키들이 표시된다.When the user wants to input the character '먀' through the touch screen, find the 'ㅁ' key in the basic key set 400 and touch it with the pointer, or if the pointer is not released from the 'ㅁ'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ouch The extended key set 410 is displayed on the 'ㅁ' key. The extended key set 410 has a 'so that the user can enter the desired collection'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The vowel component keys for 'are displayed.

확장키셋(410)에 모음 'ㅑ'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모음 구성요소 키들을 이용하여 모음 'ㅑ'를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셋(410)을 통해 '

Figure pat00019
'키를 터치한 후, '
Figure pat00020
'키를 터치하고, 다시 '
Figure pat00021
'키를 터치하면, 상기 자음 'ㅁ'과, '
Figure pat00022
', '
Figure pat00023
', '
Figure pat00024
'가 조합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에 문자 '먀'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키셋(410)은 다른 자음이 터치될 때 기본키셋(400)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확장키셋(410)은 상기 원하는 모음구성요소 키들에 대한 연속적인 드래그가 완료되고 포인터가 상기 확장키셋(410)에서 떼어질 때, 기본키셋(400)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터치스크린(210)의 디스플레이영역에 표시된 , 자음 'ㅁ'이 삭제되는 경우 기본키셋(400)상에 표시되지 않는다.Since the vowel 'ㅑ' does not exist in the extended keyset 410, the user inputs the vowel 'ㅑ' using the vowel component keys. In other words, the user may enter '
Figure pat00019
"After touching the key,
Figure pat00020
'Touch the key, and again'
Figure pat00021
'Touch the key, the consonant' ㅁ 'and'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
Figure pat00024
Is combined to display the letter '먀' in the display area. The extended keyset 410 is not displayed on the basic keyset 400 when another consonant is touched.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ension keyset 410 is not displayed on the basic keyset 400 when the continuous dragging of the desired vowel component keys is completed and the pointer is released from the extension keyset 410.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onsonant 'ㅁ'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210 is deleted, the main key 400 is not displayed.

아래 <표 1>은 확장키셋(410)에 존재하지 않는 모음들을, 확장키셋(410)에 존재하는 모음구성요소 키들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사상한글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mapping methods for generating vowels that do not exist in the extended keyset 410 using vowel component keys present in the extended keyset 410.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5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210)에, 초성으로 입력 가능한 모든 자음키가 포함된 기본키셋을 표시하고,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모든 모음키가 포함된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것이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basic key set including all consonant keys that can be input into a consonant on the touch screen 210 for character input, and one consonant key through the basic key set. When is input, the input consonant key and the extended key set including all the vowel keys are displayed.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의 터치스크린(210)에는 터치를 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키보드가 구비되고, 문자를 입력하고자 사용자가 상기 터치키보드 상의 기본키셋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키를 터치하면, 도 5a와 같이 상기 단말의 기본키셋상에 상기 입력된 자음키(1차 입력)를 중심으로 확장키셋(500)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단말의 기본키셋은 PC 키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도 3a와 같은 모든 자음들 혹은 도 4a와 같은 단자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키셋(500)은 모든 모음들과 함께 '~', '/', 스페이스바(Space bar) 역할을 하는 키인 '

Figure pat00026
'키를 더 포함하고, 중앙에는 기본키셋을 통해 입력된 자음키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입력된 자음을 1차입력으로 인식하여, 상기 1차입력을 중심으로 하는 확장키셋(500)과 한글 이외의 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 입력 영역(510)가 표시된다. The touch screen 210 o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ouch keyboard for inputting a character by touching, and when a user touches any one consonant key in a basic key set on the touch keyboard to input a character, as shown in FIG. On the basic key set of the terminal, the expanded key set 500 is displayed centering on the input consonant keys (primary input). In this case, the basic key set of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as the PC keyboard, or may be composed of all consonants as shown in FIG. 3A or terminal sounds as shown in FIG. 4A. The extended key set 500 is a key that acts as a '~', '/', space bar with all the collections'
Figure pat00026
'In addition to the key, the center contains the consonant keys entered through the primary keyset. That is, the input consonant is recognized as a primary input, and an extension key set 500 based on the primary input and a function input area 510 for inputting a character, a symbol, or a function other than Korean are displayed. .

상기 기능 입력 영역(510)는 한글이외의 특수문자들('.', ',', '?', '!'등)이나 기능키들(숫자키, 특수키, 엔터키, 문자 변환키 등)로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한글과 같이 상기 특수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터치스크린(210) 상에서 확장키셋(500) 및 기능 입력 영역(510)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붙어 있을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The function input area 510 may include special characters other than Korean ('.', ',', '?', '!', Etc.) or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enter keys, character conversion keys, etc.). It is implemented in,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special characters, symbols, or functions, such as Hangul. The location of the expansion key set 500 and the function input area 510 on the touch screen 210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may be attached or separated.

예를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문자 '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대'의 초성인 'ㄷ'키를 기본키셋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를 'ㄷ'키에서 떼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ㄷ' 키 상에 확장키셋(500)이 표시된다. 확장키셋(500)은 1차입력인 'ㄷ'키를 중심으로, 가능한 모든 한글 모음들의 키들을 포함한다. 확장키셋(500)을 통해 모음 'ㅐ'를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ㄷ'키를 터치한 포인터를 떼지 않고 확장키셋(500)의 'ㅐ'키까지 드래그한 후 드롭하거나, 포인터로 'ㅐ'키를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에 문자 '대'가 표시되며, 2차입력인 모음 'ㅐ'가 입력되었으므로 확장키셋(500)은 표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input the letter 'large' through the touch screen 210, find the initial key of the 'large' key on the basic key set, touch the pointer with the pointer, and touch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key is not released, the extended key set 500 is displayed on the input key. The expansion key set 500 includes keys of all possible Hangul vowels around the primary key 'c'. To input the vowel 'ㅐ' through the extended keyset 500, the user drags the 'ㄷ' key to the 'ㅐ' key of the extended keyset 500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and then drops it, or the 'ㅐ' with the pointer. When the key is touched, the letter 'lar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extended key set 500 is not displayed since the second input vowel 'ㅐ' is input.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여 문자 입력 방식 중 외국어를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외국어의 일 예로서 영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inputting English as an example of a foreign language will be described to describe a method of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among character input methods with reference to FIG. 5B.

도 5b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210)에는 터치를 하여 영어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는 터치키보드가 구비되고, 영어 문자를 입력하고자 상기 터치키보드상에서 어느 하나의 영어 문자키를 터치하면 도 5b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터치키보드상에 확장키셋(53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5B, the touch screen 210 o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ouch keyboard capable of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and when any English character keys are touched on the touch keyboard to input English characters, FIG. 5B.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pansion key set 530 is enlarged on the touch keyboard of the terminal.

상기 확장키셋(530)은 1차입력된 영어문자의 주위에 알파벳의 모음들과 스페이스바(Space bar) 역할을 하는 키인 '

Figure pat00027
' 키를 포함하고, 사용빈도나 개발자의 의도를 반영한 문자 혹은 기호 혹은 접미사에 대한 키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확장키셋(530)내의 각 키는 1차입력된 문자에 연결되어 단어를 만들 수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모음키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nded key set 530 is a key that acts as a vowel and a space bar of alphabets around the first input English letter.
Figure pat00027
'Key, and additionally include keys for letters, symbols, or suffixes that reflect usage or developer intent. Each key in the extended keyset 530 may include one or more vowel keys that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input letter to form a word.

기능 입력 영역(550)은 알파벳 이외의 특수문자들('.', ',', '?', '!'등)이나 기능키들(숫자키, 특수키, 엔터키, 문자 변환키등)로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알파벳과 같이 상기 특수문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가능 하도록 한다. The function input area 550 may include non-alphabetic special characters ('.', ',', '?', '!', Etc.) or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enter keys, character conversion keys, etc.). It is implemented so that a user can input the special character, symbol, or function like an alphabet.

예를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10)을 통해 영어 'be'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b'키를 상기 터치키보드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를 떼지 않으면 'b'키를 중심으로 하는 확장키셋(530)이 표시된다. 상기 확장키셋(530)은 1차입력인 'b'키를 중심으로, 가능한 모든 알파벳 모음키들과 사용빈도 또는 개발자의 의도에 따른 접미사들의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키셋(530)이 생성되고 모음 'e'를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e'키를 터치하거나, 상기 'b'키를 터치한 포인터를 떼지 않고 확장키셋(550)내의 'e'키까지 포인터를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터치스크린(210)에 문자 'be'가 표시된다.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input English 'be' through the touch screen 210, the user may find a 'b' key on the touch keyboard and touch it with the pointer, or if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ouch, The expansion key set 530 centered on the b 'key is displayed. The expansion key set 530 includes all possible alphabet vowel keys and keys of suffixes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 or a developer's intention, centering on a primary input key 'b'. To generate the extended keyset 530 and input the vowel 'e', the user touches the 'e' key or the 'e' key in the extended keyset 550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touched the 'b' key. When the pointer is dragged and dropped, the letter 'b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210)에, 최소의 자음키 및 모음키가 포함된 기본키셋을 표시하고,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하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 및, 상기 입력된 키와 조합가능한 문자 기능키가 포함된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본키셋은 미리 정해지는 기본 자음키들 및 단모음키들을 포함한다.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key set including a minimum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for character input, and one key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When the input key is input, the extended key set including the input key and a text function key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 key is displayed. Here, the basic key set includes predetermined basic consonant keys and short vowel keys.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4 방식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6A through 6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ourth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같이 단말의 터치키보드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최소의 자음 및 최소의 모음 키들로서, 기본 자음들 및 단모음들에 대한 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600)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기본 자음들은 ㄱ, ㄴ, ㄹ, ㅁ, ㅅ, o을 포함하며, 단모음들은 ㅏ, ㅓ, ㅗ, ㅜ, ㅡ, l를 포함한다.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사용자가 기본키셋(600)의 특정 키를 터치하면, 도 6b 내지 도 6d와 같이 상기 입력된 키와 함께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조합 가능한 문자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610, 630, 65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touch keyboard of the terminal includes a basic key set 600 including keys for basic consonants and short vowels as minimum consonants and minimum vowel keys for character input. Here the basic consonants include a, b, d, ㅁ, ㅅ, o, and short vowels include ㅏ, ㅓ, ㅗ, TT, ㅡ, l.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key of the basic key set 600 to input a desired character, an extension including character function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gether with the input key as shown in FIGS. 6B to 6D The keysets 610, 630, and 650 are enlarged and displayed.

예를들어, 도 6b와 같이 사용자가 기본키셋(600)에서 'ㅁ'키를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ㅁ'키에서 떼지 않으면, 'ㅁ'키에 대한 확장키셋(610)이 표시된다. 이때 터치스크린(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입력된 'ㅁ'키에 해당하는 자음 '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확장키셋(610)은 상기 'ㅁ'키 및, 자음 'ㅁ'과 조합 가능한 문자 기능키들로 예를 들어, 획추가키, 쌍자음키, 스페이스(SP)키를 포함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user finds the 'ㅁ' key in the basic key set 600 and touches it with the pointer, or does not release the pointer from the 'ㅁ'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ouching, the 'ㅁ' key Extended Keyset 610 is displayed. In this case, a consonant 'ㅁ' corresponding to the input 'ㅁ' key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210. The extended key set 610 includes, for example, a stroke addition key, a consonant key, and a space (SP) key as the 'ㅁ' key and the character function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sonant 'ㅁ'.

도 6b의 확장키셋(610)에 나타낸 획추가키와 쌍자음키는 도 6c의 확장키셋(63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stroke addition key and the consonant key shown in the expansion keyset 610 of FIG. 6B may be represented as the expansion keyset 630 of FIG. 6C.

또한 기본키셋(600)에서 도 6d와 같이 'ㅏ'키를 터치하면, 첫번째 영역에는 'ㅏ'키에 해당하는 모음 'ㅏ'와, 나머지 영역들에는 모음 'ㅏ'와 조합 가능한 문자 기능키들로 예를 들어, 획추가키, 쌍모음키, 스페이스(SP)키가 포함된 팝업창(650)이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ㅏ' key is touched in the basic key set 600 as shown in FIG. 6D, the first region includes vowel 'ㅏ' corresponding to the 'ㅏ' key, and the remaining region includes character function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vowel 'ㅏ'. For example, a popup window 650 including a stroke addition key, a double vowel key, and a space (SP) key is displayed.

이하, 도 6c를 참조하여 터치키보드에 표시되는 기본키셋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a user inputs text using a basic key set displayed on a touch keyboar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C.

사용자가 터치키보드에 표시된 기본키셋(600)을 통해 문자 '바'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기본키셋(600)에서 자음 'ㅂ'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자음 'ㅁ' 및 획추가키를 이용하여 자음 'ㅂ'을 입력한다. 즉, 상기 'ㅁ'키을 기본키셋(600)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포인터를 'ㅁ'키에서 떼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자음 'ㅁ'이 표시되면서 동시에 상기 'ㅁ'의 키상에 확장키셋(630)이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확장키셋(630) 내의 획추가키를 터치하면 터치스크린(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자음 'ㅁ'은 자음 'ㅂ'으로 바뀌어 표시된다. 그리고 문자 '바'를 완성하기 위해 사용자는 'ㅏ'키를 기본키셋(600)에서 찾아 포인터로 터치하거나, 터치한 포인터를 소정시간 동안 떼지 않으면 자음 'ㅂ'과 모음 'ㅏ'가 조합되어 문자 '바'가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다. If the user wants to input the character 'bar' through the basic key set 600 displayed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sonant 'ㅂ' does not exist in the basic key set 600, so the consonant ' Enter ㅂ. That is, if the 'ㅁ' key is found in the basic key set 600 and is touched with a pointer or if the pointer is not released from the 'ㅁ' ke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ouch, the consonant 'ㅁ'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the ' The extended key set 630 is displayed on the key of ㅁ '. 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stroke additional key in the extension key set 630, the consonant 'ㅁ'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 screen 210 is changed to the consonant 'ㅂ'. In order to complete the character 'bar', the user finds the 'ㅏ' key in the basic key set 600 and touches it with the pointer, or the consonant 'ㅂ' and the vowel 'ㅏ' are combined when the touched pointer is not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r'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아래 <표 2>는 상기 설명한 자음 'ㅂ'을 입력하는 경우와 같이, 터치키보드에 존재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을 터치키보드에 존재하는 자음 및 모음과 문자 기능키들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Table 2 below shows a method of generating consonants and vowels that do not exist on the touch keyboard using consonants and vowels and text function keys that do not exist on the touch keyboard as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consonant 'ㅂ' described above. to be.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8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210)에, 최소의 자음키가 포함된 기본키셋을 표시하고,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하나의 자음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천지인의 모음구성요소 키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관련된 쌍자음키 및 혼성복자음키가 포함된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것이다.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key set including a minimum consonant key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for character input, and when one consonant key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Displaying the input consonant key and the vowel keys combinable with the input consonant key (the vowel component keys of the heavenly man), and an extended key set including a double consonant key and a hybrid conjugated consonant key associated with the input consonant key. will be.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와 같이 기본키셋(700)은 미리 정해지는 최소의 자음키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최소의 자음키들은 ㄴ, ㄱ, ㄷ, ㄹ, ㅂ, ㅅ, ㅁ, ㅈ, ㅇ을 포함한다. 상기 기본키셋(700)에 표시된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터치되는 경우, 도 7(b)와 같이 상기 입력된 자음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조합가능한 모음키들(일 예로서 천지인 한글 입력방식 혹은 사상한글 입력방식에 따른 의 모음구성요소 키들) 및, 상기 입력된 자음키와 관련된 쌍소리 자음키 및 혼성복자음키가 포함된 확장키셋(710)이 상기 입력된 자음키상에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7, as shown in FIG. 7A, the basic key set 700 includes predetermined minimum consonant keys. Here the minimum consonant keys include b, a, c, d, k, k, k, k, o. When any one of the keys displayed on the basic key set 700 is touched, the input consonant key and vowel keys combinable with the input consonant key as shown in FIG. Vowel component keys according to the method or mapping Korean input method), and an expanded key set 710 including a double consonant consonant key and a hybrid consonant key associated with the input consonant key are displayed on the input consonant key.

이하, 사용자가 상기 기본키셋(700)과 확장키셋(710)을 통해 '게'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user inputs 'crab' through the basic key set 700 and the expansion key set 710 will be described.

도 7(a)와 같이 기본키셋(700)은 최소의 자음키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ㄱ,ㄷ,ㅂ,ㅅ,ㅈ'은 각각 관련 문자들과 함께 해당 키에 표시되는데, 여기서 관련 문자들이란 해당 단자음과 관련된 쌍소리 자음 및 혼성복자음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ㅂ'의 경우 관련 문자들은 'ㅃ'과 'ㅍ'이 될 수 있으며, 'ㅈ'의 경우에는 'ㅉ'과 'ㅊ'이 될 수 있다. 그리고 'ㅅ'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ㅆ'와 함께 단자음 'ㅎ'이 관련 문자로 추가적으로 표시됨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7A, the basic key set 700 includes a minimum of consonant keys. Specifically, 'a, ㄷ, ㅂ, ㅅ, ㅈ'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key together with the relevant characters, where the relevant characters may be a double sound consonant and a hybrid double consonant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sound. For example, in case of 'ㅂ', the related characters may be 'ㅃ' and 'ㄷ', and in case of 'ㅈ', 'ㅉ' and 'ㅊ' may be u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ㅅ',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isplay the terminal sound 'ㅎ' as a related character along with 'ㅆ'.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된 기본키셋(700)에서 '게'를 입력하기 위하여 먼저 자음 'ㄱ'을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ㄱ,ㄲ,ㅋ'이 표시된 키(701)를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영역에 'ㄱ'이 출력됨과 동시에 도 7(b)와 같이 확장키셋(710)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키셋(710)은 기존의 키의 영역 내에서, 또는 팝업창으로, 또는 새로운 문자 영역에 표시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됨이 가능하다. 그 예로, 도 7(b)에 있어서, 'ㄱ'키(701)를 중심으로 천지인을 모두 표시하기 위하여 입력 에디터 창의 일부에까지 확장키셋(710)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자음 'ㄱ'에 이어 모음 'ㅔ'를 입력하기 위하여, 도 7(b)와 같이 확장키셋(710)의 문자 키들 중 먼저 'ㆍ'키를 터치하면, 입력된 'ㆍ'키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도록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하이라이트(Highlight) 된다. 또한 하이라이트 된 'ㆍ'키(703)에 표시된 'ㆍ'는 상기 입력된 'ㄱ'과 조합되어 표시된다. 이때 'ㄱ'과 'ㆍ'는 임시로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다. The user must first input a consonant 'a' in order to input 'crab' in the displayed basic key set 70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key 701 in which 'a, ㄲ, ㅋ' is displayed, the '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the extended key set 710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 (b). The extended keyset 710 may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such as in an existing key area, a pop-up window, or a new text area. For example, in FIG. 7B, the extended key set 710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input editor window to display all the heavens and the earths around the 'a' key 701. When the user touches the '·' key among the character keys of the expansion key set 710 as shown in FIG. 7 (b), in order to input the vowel 'ㅔ' after the consonant 'ㄱ', the input '·' key becomes the user. It is highlighted through visual effects so that it can be perceived by. In addition, '·' displayed on the highlighted '·' key 703 is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input 'b'. At this time, 'a' and '·' are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사용자가 도 7(b)의 과정에 이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ㅣ'키(705)를 터치하면, 상기 7(b)의 과정에서 입력된 자음 'ㄱ' 및 'ㆍ' 와 상기 입력된 'ㅣ'키에 해당하는 'ㅣ'가 조합되어, 터치스크린(210)에 문자 '거'가 표시된다. 이때 'ㅣ'가 표시됨과 동시에 'ㅡ'키와 'ㆍ'키(709)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더 이상 받을 수 없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 'ㅓ'가 'ㅡ' 및 'ㆍ'와 조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모음 입력의 오류를 줄이고,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를 갖게 된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ㅣ' key 705 as shown in FIG. 7 (c) following the process of FIG. 7 (b), the consonants 'a' and '·' input in the process of 7 (b) And 'ㅣ' corresponding to the input 'ㅣ' key are combined, and the character 'ger'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At this time, while the 'ㅣ' is displayed and the '-' key and the '·' key 709 may be controlled to no longer receive a user's touch input. This is because 'ㅓ'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cannot be combined with 'ㅡ' and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an error of unintended vowel input of the user and to input a desired character more accurately.

한편, 도 7(c)와 같이 확장키셋(700)에서 기본키셋(700)을 통해 입력된 키 영역, 즉 확장키셋(700)의 중앙에는 포인터의 터치에 따라 지시되는 키에 대응하여 천지인에 따른 모음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천지인 모음 구성요소들이 할당된 키들에 포인터가 터치되는 경우, 포인터의 터치에 따라 지시되는 키의 모음에 이어 입력 가능한 모음이 전체 키들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c)에서는 기본키셋(700)을 통해 입력된 'ㄱ' 대신 'ㅣ'(707)가 확장키셋(710)의 중심에 표시됨을 예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c) in the extended keyset 700, the key area input through the basic keyset 700, that is, the center of the extended keyset 700 corresponding to the key indicated by the touch of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Any one of the vowel components is displayed. This is becau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inter is touched on keys assigned to vowel elements that are strewn, the inputable vowel may be displayed on any one of the keys following the vowel of the key indicat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pointer. . In FIG. 7 (c), 'l' 707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expansion key set 710 instead of 'a'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700.

사용자는 도 7(c)와 같이 '거'가 출력된 상태에서 천지인 모음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또다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확장키셋(710)에서 천지인 모음 구성요소들이 표시된 키들 중 원하는 키를 선택한다. 도 7(d)에서는 'ㅣ'키(711)가 선택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ㅣ'키(711)를 터치한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210)에 'ㅣ'가 추가로 표시되어,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인 '게'가 도 7(e)와 같이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7C,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vowel constituent elements that are celestial again in the state of outputting 'ger'. At this time, the user selects a desired key among the keys in which the vowel elements that are strewn are displayed in the extension key set 710. In FIG. 7 (d), since the 'ㅣ' key 711 is selectable, the user touches the 'ㅣ' key 711 using a pointer. Accordingly, 'ㅣ' is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and as a result, 'crab', which is a character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 (e).

도 7의 과정에서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 문자들은 모두 터치스크린 상에 임시로 출력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보다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선택된 자음과 천지인의 조합 결과를 미리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문자들의 입력이 종료된 경우 임시로 출력된 문자들이 실제로 터치스크린(210)에 최종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합 결과를 미리 체크할 수 있으며, 원하는 조합 결과가 출력된 경우 키 입력을 종료시켜 해당 문자가 실제로(즉 최종적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원하는 문자가 터치스크린(210)에 임시로 출력되면, 해당 키의 눌림을 해제하여 임시로 표시된 문자가 실제로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도 7(d)와 같이 원하는 문자인 '게'가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었으므로, 키 입력을 종료시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가 최종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좀 더 정확히 선택하여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ocess of FIG. 7, all character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are temporarily output on the touch screen. This is to provide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and Cheonjiin to the user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a desired charac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of the characters is terminated, the characters temporarily output are actual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combination result in advance, and if the desired combination result is output, the key is termina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actually input (that is, finally). In other words, when a desired character is temporarily output on the touch screen 210 through a touch, the user releases the corresponding key so that the temporarily displayed character is actually displayed. 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rab, which is a desired letter,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as shown in FIG. 7 (d), the user ends the key input so that the crab as shown in FIG. Will cause the final outpu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input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more accurately.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801 단계에서 제어부(250)는 기본키셋 혹은 기본키셋과 확장키셋의 조합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키 터치를 대기한다. Referring to FIG. 8, in step 801,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touch screen 210 to display a basic keyset or a combination of a basic keyset and an extended keyset, and waits for a key touch from the user.

803 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입력감지부(230)에 의해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된 특정 키의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결과를 전달받아, 기본키셋 혹은 확장키셋을 통한 키 입력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감지결과는, 상기 특정 키가 포인터로 터치되었는지, 터치된 후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았는지, 상기 포인터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는지, 상기 포인터를 소정 시간 동안 떼지 않고 특정 영역에서 드래그 되었는지 등을 포함한다.In step 803, the control unit 250 receives a detection result when a touch of a specific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is detected by the input detecting unit 230, and confirms a key input through a basic key set or an extended key set. In this case, the detection result is whether the specific key has been touched by the pointer, the pointer has not been releas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being touched, the pointer has been dragged and dropped, dragg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releasing the poin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like. It includes.

805 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입력된 키가 문자키인지 판단하여, 문자키인 경우 1609 단계로 진행하고, 문자키가 아닌 경우 807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In step 805,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key is a character key, and if it is a character key, proceeds to step 1609 and if it is not a character key, proceeds to step 807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on the input key. .

상기 809 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가 이전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조합가능한지 확인하여, 조합가능한 경우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와 이전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조합하여 조합된 문자를 터치스크린(210)에 표시할 문자로 결정하고, 조합가능하지 않은 경우 혹은 이전 입력된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터치스크린(210)에 표시할 문자로 결정한다. In step 809, the controller 250 checks whether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s combinable with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input key, and if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controller 250 corresponds to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a previously input key. By combining the characters to determine the combined character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if it is not possible to combine or if the previous input key does not exist,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 the touch screen 210 Character).

811 단계에서 제어부(250)은 상기 확인된 문자가 터치스크린(2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step 811,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checked character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10.

813 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문자가 기본키셋에서 터치되었는지 판단하여, 기본키셋에서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을 표시하기 위해 815 단계로 진행하고, 기본키셋에서 터치되지 않은 경우 (즉, 확장키셋에서 입력된 경우) 상기 801 단계로 진행하여 키 입력을 대기한다.In step 813,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whether a character for the input key is touched in the basic key set, and if it is input in the basic key set, the controller 250 proceeds to step 815 to display an extended keyset for the input key. If it is not touched (ie, if it is input from the extended key 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01 to wait for key input.

그리고 상기 815 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을 상기 입력된 키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 후, 상기 801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음 키 터치를 대기한다. 이때 상기 815 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이 터치키보드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전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을 제거하여, 현재 입력된 키에 대한 확장키셋만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210)을 제어한다.In operation 815,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touch screen 210 to display an extended key set for the input key so as to overlap the input key, and then proceeds to step 801 to perform the next key touch from the user. Wait In this case, in step 815, when the extended keyset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exists on the touch keyboard, the controller 250 removes the extended keyset for the previously input key and includes only the extended keyset for the currently input key. The touch screen 21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touch keyboar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변형의 예로서 본 발명은 큰 변형없이 자음과 모음을 가지는 다른 언어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vari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languages having consonants and vowels without major modificatio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0)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기본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기본 자음키들 중 선택된 제1 자음키에 해당하는 제1 자음과 연관된 문자들이 상기 제1 자음키에 인접한 기본 자음키들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문자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제1 자음키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확장키셋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는 상기 기본키셋을 표시하는 터치키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키셋의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In the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terminal,
A basic keyset includ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asic consonant keys, and basic consonant keys adjacent to the first consonant key having characters associated with a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first consonant key selected among the basic consonant keys through the basic keyset; A touch screen displaying an extended key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haracter key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extended key set when the first consonant key is input through the basic key set, and to receive at least one character through the extended key set.
A touch keyboard for displaying the basic key set is formed below the touch scree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by the touch keyboar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and a portion of the extended key set is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문자키는,
상기 제1 자음키와 동일한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econd letter key,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consonant k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키들은,
상기 제1 자음키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 자음키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자음키의 주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letter keys,
And a first consonant key centered around the first consonant key to surround the first consonant ke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터치 이동 입력이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제2 문자키에 할당된 문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haracter assigned to a second character key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a touch movement input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extended key set is highlighted.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기본 자음키들을 포함하는 기본키셋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키셋을 통해 상기 기본 자음키들 중 제1 자음키를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1 자음키에 해당하는 제1 자음과 연관된 문자들이 상기 제1 자음키에 인접한 문자 키들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문자 키들을 포함하는 확장키셋을 상기 입력된 제1 자음키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확장키셋을 통해 상기 제2 문자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문자키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부에는 상기 기본키셋을 표시하는 터치키보드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는 상기 터치키보드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키셋의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In the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terminal,
Displaying a basic key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asic consonant keys on a touch screen;
Receiving a first consonant key among the basic consonant keys through the basic key set;
Display an extended keyset on the inputted first consonant key, the extended keyse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haracter keys disposed in the character keys adjacent to the first consonant key with the letters associated with the first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consonant key Process,
Receiving at least one character key of the second character keys through the extension key set;
A touch keyboard for displaying the basic key set is formed below the touch scree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by the touch keyboard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and a portion of the extended key set is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문자키는,
상기 제1 자음키와 동일한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ach of the second letter key,
Character input method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consonant ke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키들은,
상기 제1 자음키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 자음키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자음키의 주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letter keys,
Characterized by the first consonant key in the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round the first consonant key to surround the first consonant ke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터치 이동 입력이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제2 문자키에 할당된 문자가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character assigned to a second character key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a touch movement input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키셋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extended key set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KR1020100063189A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10856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02 2007-01-30
KR20070009602 2007-01-30
KR1020070079243 2007-08-07
KR1020070079243A KR20080071473A (en) 2007-01-30 2007-08-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KR1020070112148 2007-11-05
KR20070112148 2007-11-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37A Division KR101060222B1 (en) 2007-01-30 2008-01-30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50A true KR20100086450A (en) 2010-07-30
KR101085655B1 KR101085655B1 (en) 2011-11-22

Family

ID=39882242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37A KR101060222B1 (en) 2007-01-30 2008-01-30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KR1020080009735A KR101009883B1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8A KR101449781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9A KR101350088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189A KR101085655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193A KR101085662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347A KR101227300B1 (en) 2007-01-30 2010-07-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108759A KR101331697B1 (en) 2007-01-30 2010-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37A KR101060222B1 (en) 2007-01-30 2008-01-30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KR1020080009735A KR101009883B1 (en) 2007-01-30 2008-01-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8A KR101449781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008789A KR101350088B1 (en) 2007-01-30 201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93A KR101085662B1 (en) 2007-01-30 2010-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20100063347A KR101227300B1 (en) 2007-01-30 2010-07-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KR1020100108759A KR101331697B1 (en) 2007-01-30 2010-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823100B2 (en)
KR (8) KR101060222B1 (en)
CN (2) CN1040079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8486B2 (en) 2013-11-19 2015-12-01 Earring Support, Llc Left and right earring support back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36B1 (en) * 2009-01-22 2011-09-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560372B1 (en) * 2009-08-23 2015-10-19 (주)티피다시아이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word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629711B1 (en) * 2009-09-16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O2011043574A2 (en) * 2009-10-08 2011-04-14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same
KR101046914B1 (en) * 2010-11-03 2011-07-07 우순조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039284B1 (en) * 2010-08-25 2011-06-07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WO2012077845A1 (en) * 2010-12-10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KR101231206B1 (en) * 2010-12-15 2013-02-07 박치원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touch and drag
KR101242210B1 (en) * 2011-06-02 2013-04-03 주식회사 참글 A letter input method of chinese with function of intonation choice for touch screen
JP5661000B2 (en) * 2011-08-23 2015-01-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Multi-function inform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328554B1 (en) * 2011-10-06 2013-11-13 김진수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6087949B2 (en) 2011-12-12 2017-03-01 グーグ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echniques for translating multiple consonants or vowels consisting of multiple characters into another language using a touch computing device
CN102520874B (en) * 2011-12-30 2013-10-16 楚博纯 Pinyin input method based on touch screen and device
KR101216867B1 (en) * 2012-02-06 2012-12-28 허우영 Language input system for mobile device
KR101216881B1 (en) * 2012-02-23 2013-01-09 허우영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chinese language in mobile device
KR101371661B1 (en) * 2012-05-10 2014-03-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hangul inputting on cyber keyboard
KR101370834B1 (en) *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JP5966963B2 (en) 2013-02-15 2016-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1296590B1 (en) * 2013-03-22 2013-08-14 주식회사 네오패드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2157264B1 (en) 2013-10-30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4090669B (en) * 2014-07-16 2017-03-0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Input method edit methods and device
KR101940490B1 (en) * 2016-03-07 2019-01-21 우순조 Character input method and comput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ing extended keypad comprising target character and subsequent character
CN106896938A (en) * 2017-03-09 2017-06-27 北京新美互通科技有限公司 Dard input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CN108803889A (en) * 2017-04-26 2018-11-13 北京新美互通科技有限公司 Tamil input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608A (en) * 1998-12-17 2000-06-30 Sharp Corp Virtual input device
JP2002108543A (en) * 2000-09-21 2002-04-1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inputting kana character
KR20030008873A (en) * 2001-07-20 2003-01-29 (주)네이스텍 Word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0477852B1 (en) * 2002-08-16 2005-03-22 강훈기 character input device for touch screen
US20070052682A1 (en) * 2002-08-16 2007-03-08 Yun-Kee Kang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software keyboard
JP3995093B2 (en) * 2002-09-20 2007-10-24 富士通株式会社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Hangul character input device, Hangul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651396B1 (en) * 2003-09-0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93993B1 (en) * 2003-10-22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JP2005182487A (en) * 2003-12-19 2005-07-07 Nec Software Chubu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0506231B1 (en) * 2004-01-12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7554529B2 (en) 2005-12-15 2009-06-30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oft key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8486B2 (en) 2013-11-19 2015-12-01 Earring Support, Llc Left and right earring support backings
US9462858B2 (en) 2013-11-19 2016-10-11 Earring Support, Llc Left and right earring support back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522A (en) 2008-08-04
CN101840304A (en) 2010-09-22
JP2010198646A (en) 2010-09-09
KR101449781B1 (en) 2014-10-13
KR101227300B1 (en) 2013-01-29
JP5701522B2 (en) 2015-04-15
JP5823100B2 (en) 2015-11-25
JP2010198645A (en) 2010-09-09
KR20100028076A (en) 2010-03-11
KR20100020018A (en) 2010-02-19
KR20100133928A (en) 2010-12-22
KR101060222B1 (en) 2011-08-29
KR20100089807A (en) 2010-08-12
KR20100086451A (en) 2010-07-30
CN104007931A (en) 2014-08-27
KR101085655B1 (en) 2011-11-22
KR101331697B1 (en) 2013-11-20
KR101085662B1 (en) 2011-11-22
KR101009883B1 (en) 2011-01-19
KR101350088B1 (en) 2014-01-08
KR20080071523A (en)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JP4981701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KR101167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TWI233041B (en) Touchscreen user interface
KR1011027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200800714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keyboard of terminal
KR20120006503A (en) Improved text input
KR20110014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KR200400678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20110103265A (en) Text input method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KR101347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20240081804A (en) Character input device implemented in software
KR10139915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KR1011291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KR200600332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umber inputting of computer device
KR20080091594A (en) 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 of portable terminal
CA2296961A1 (en) Alphanumeric input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