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772A - 팽창식 에어백 - Google Patents

팽창식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772A
KR20100085772A KR1020090005236A KR20090005236A KR20100085772A KR 20100085772 A KR20100085772 A KR 20100085772A KR 1020090005236 A KR1020090005236 A KR 1020090005236A KR 20090005236 A KR20090005236 A KR 20090005236A KR 20100085772 A KR20100085772 A KR 2010008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gas
airbag
expansion
ga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양승희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9000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5772A/ko
Publication of KR2010008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팽창식 에어백은 가스 유입로로 유입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되며 가스 유출공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위치된 가스 유출공에 정렬되어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공을 구비하는 팽창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유입된 팽창 가스 중 일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가스 유출공 및 상기 팽창 가이드부의 가스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팽창 가이드부를 팽창시킨다.
Figure P1020090005236
팽창식 에어백, 팽창 가이드부

Description

팽창식 에어백 {An inflatable airbag}
본 발명은 차량용 팽창식 에어백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식 커텐과 같은 차량용 측면 팽창식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팽창식 에어백은 대부분의 최근의 차량에서는 필수적인 장치이다. 에어백은 전형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츨 스티어링휠 및 보조석 대시보드내에 에어백 모듈을 갖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설치된다. 사고가 나면, 차량내 센서가 비정상적 감속을 계측하여 팽창기 내에 포함된 폭발 전하의 점화 장치를 발사한다. 폭발 전하로부터의 팽창 가스는 도관을 거쳐 에어백을 채우며, 그 즉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앞에서 앞에서 팽창하여 자동차 내부와의 위험한 충력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한다. 에어백 시스템은 또한 탑승자와 차량 내부의 측면 사이의 측면 충격으로부터 유사하게 보호해야할 필요에 부응하여 개발되어 왔다. 이는 차량의 측면에 다른 차량이 충돌해오는 경우, 또는 차량의 측면이 지면과 반복해서 충돌하는 차량 전복 상황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측면 충격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점유자의 머리가 창문의 개구를 통해 밖으로 나오거나 차량 측면의 반동 표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된다. 측 면 충격 에어백은 전개 면적면에서 전면 충격 에어백보다 더 적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효율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측면 팽창식 에어백 쿠션은 전형적으로 헤드 라이너 뒤의 차량의 루프 레일에 부착된다. 그러나, 측면 에어백 쿠션은 보통 특정한 차량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특정의 차량 유형에 대해서만 사용되도록 제한되었다. 이러한 제한은 에어백 시스템의 팽창식 에어백 쿠션을 차량의 지붕 레일에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공간 및 구성상의 제한 때문이다.
종래의 차량 측면 충돌용 팽창식 에어백의 경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차량의 B필러 또는 C필러 후방의 중공의 공간으로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어 에어백이 객실 내부로 팽창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식 에어백이 차량의 측면에서 전개될때, 소정의 방향으로 에어백이 가이드되어 전개될 수 있는 팽창식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은, 가스 유입로로 유입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되며 가스 유출공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위치된 가스 유출공에 정렬되어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공을 구비하는 팽창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팽창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유입된 팽창 가스 중 일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가스 유출공 및 상기 팽창 가이드부의 가스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팽창 가이드부를 팽창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가스 유출공은 상기 가스 유입로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가스 유입로와 상기 상기 가스 유출공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과 하측 중 일측에 같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가스 유출공과 상기 가스 유입공의 서로 대향하는 주변부에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주변부에서 접착제로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주변부에서 재봉되어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주변부에서 열융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은, 가스 유입로로 유입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되며 가스 유출공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위치된 가스 유출공에 정렬되어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공을 구비하며, 차량의 B 필러 또는 C 필러 중 하나를 덮는 필러 트림 후방의 중공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팽창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팽창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유입된 팽창 가스 중 일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가스 유출공 및 상기 팽창 가이드부의 가스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팽창 가이드부를 상기 중공 공간으로 팽창시켜서, 상기 팽창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이 가이드되어 전개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가스 유출공은 상기 가스 유입로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가스 유입로와 상기 상기 가스 유출공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과 하측 중 일측에 같이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가스 유출공과 상기 가스 유입공의 서로 대향하는 주변부에서 서로 고정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중공 공간에 정렬되어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의 팽창식 에어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팽창 가이드부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차량의 객실로 전개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둘째, 팽창 가이드부가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소프트 재질로 형성되므로 객실 내부에 탑승한 승객에 위험하지 않다.
셋째, 팽창 가이드부는 별도로 제작하여 에어백 쿠션에 부착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에어백 쿠션 형상의 설계를 피할 수 있어서 에어백의 제작이 용이하다.
넷째, 팽창 가이드부의 가스 유입공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가스 유입공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팽창 가이드부의 팽창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섯째, 팽창 가이드부가 에어백 쿠션의 전면 또는 배면 중 일측면에 중첩되어 배치되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체 폭이 감소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의 전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1)은, 내부에 가스가 충전될 수있는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어, 가스 유입로(20)로 유입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10)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차량 내에 설치된 에어백 시스템의 일부가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센서는 차량의 급격한 측면 가속 또는 감속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를 전선 라인을 거쳐서 가압 가스 소스로 보낸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가스 소스는 화학적으로 반응성 물질 또는 저장 가스의 팽창기의 형태이며, 전기가 인가됨에 따라 팽창기 내에 급격한 압력 상승을 일으킨다. 팽창 가스는 공급관을 거쳐 운반되며, 운전자와 차량의 운전자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서와 팽창기는 가스 운반 효율 및 이용가능한 패키지 공간을 위하여 차량의 루프 레일의 내부 공간 내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모서리가 서로 고정된 전면과 배면으로 형성된다. 서로 고정된 전면과 배면 사이에는 가스가 충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전체적 형상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 1 에지(12) 및 제 2 에지(14)를 구비하며, 좌우측에 제 1 측면 에지(16) 및 제 2 측면 에지(18)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체적 형상이 반드시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백 쿠션이 장착된 공간의 형상과 팽창되어 전개된 에어백 쿠션에 의해 완충되어야 할 공간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40)을 구비한다. 상기 스트랩(40)은,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졉혀진 상태로 접혀지고 돌돌 말려진 후에, 에어백 쿠션(10)이 차량의 루프 레일에 부착될 수 있고, 에어백 쿠션(10)을 차량에 부 착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하던지 방해받지 않고 팽창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10)의 제 1 측면 에지(16)을 넘어서 연장된다. 스트랩(40)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스트랩은 일정 각도로 구부러져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스트랩(40)의 제 1 단부(42)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제 1 측면 에지(16)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랩(40)의 제 2 단부(44)는 앵커(46)를 통하여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스트랩(40)이 제 1 측면 에지(16)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이 필요한 부분을 위하여, 예를 들어 제 2 측면 에지(18)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상측의 제 1 에지(1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용 고리(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 고리(30)에는 고정홈(3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홈을 통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차량에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소프트한 재질의 전면 부재(10f)와 배면 부재(10b)의 결합으로 형성되는데, 전면 부재와 배면 부재의 결합된 내부에는 가스가 충전되는 충전 챔버(25)가 형성되고, 이음매(22: seam)에 의해 소정의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 챔버(25)와 유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 챔버(24)들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챔버(25)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상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팽창 챔버(24)는 상기 충전 챔버(25)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하측에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면 부재(10f)와 배면 부재(10b)와 완전히 접착되어 팽창 가스가 충전될 수 없는 비팽창부(26)가 소정의 형상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배면 부재(10b)에는 가스 유출공(5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 중 배면 부재(10b)에는 팽창 가이드부(50)가 부착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50)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위치된 가스 유출공(54a)에 정렬되어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공(54b)을 구비한다. 정렬된 가스 유출공(54a)과 가스 유입공(54b)는 가스 가이드공(54)을 형성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유입된 팽창 가스 중 일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가스 유출공(54a) 및 상기 팽창 가이드부의 가스 유입공(54b)을 통하여 상기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이드 팽창 챔버(52)를 팽창시키게 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50)는 차량의 내부의 B필러(pillar) 또는 C필러의 위치 구간(P)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가스 유출공(54a)은 상기 가스 유입로(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스 유입로(20)와 상기 상기 가스 유출공(54a)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과 하측 중 일측에 같이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상기 가스 유입로(20)와 상기 가스 유출공(54a)은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상측에 같이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50)는 상기 가스 유출공(54a)과 상기 가스 유입공(54b)의 서로 대향하는 주변부에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50)는 상기 주변부에서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재봉되어 고정되거나, 열융착되어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유출공(54a) 및 가스 유입공(54b)은 상기 가스 유입로(20)에 바로 연결된 충전 챔버(25)에 정렬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가스 유입로(20)를 따라 유입된 팽창 가스는 충전 챔버(25)를 충전함과 동시에 에어백 쿠션(10)의 가스 유출공(54a) 및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스 유입공(54b)을 통하여 가이드 팽창 챔버(52)를 충전하게 된다.
가스 유입로(20)로 유입되어 에어백 쿠션(10)을 팽창 시키는 가스가 에어백 쿠션(10)의 충전 챔버(25)를 충전하고 이어서 팽창 챔버(24)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가스 유입로(20)로 유입된 가스의 일부는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이드 팽창 챔버(52)도 충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팽창 챔버(52)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유출공(54a)의 위치는 팽창 챔버(24)보다는 가스 유입로(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이드 팽창 챔버(52)의 내부 체적은 에어백 쿠션(10)의 충전 챔버(25) 및 팽창 챔버(24)의 체적의 합보다 작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이 완전히 팽창되기 전에 우선 팽창 가이드부(50)의 팽창이 완료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챔버(25)를 통하여 각 팽창 챔버(24)로 가스가 유입되어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되는 동안에, 상기 팽창 가이드부(50)는 먼저 팽창되어 완전히 전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팽창 가이드부(50)에 가스를 공급하게 되는 에어백 쿠션(10)의 가스 유출공(54a)의 위치와 가스 유입로(20)간의 이격된 거리(d)를 조절함으로서, 팽창 가이드부(50)가 상대적으로 에어백 쿠션(10)보다 얼마나 빨리 팽창하는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유출공(54a) 및 이에 정렬되어 배치되는 가스 유입공(54b) 크기를 조절함으로서, 팽창 가이드부(50)의 팽창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팽창 가이드부(50)로 분기되는 가스의 양이 많을수록 팽창 가이드부(50)의 팽창이 빨리 일어나게 되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방향을 미리 가이드할 수있게 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이드 팽창 챔버(52) 내부가 완전히 충진하게 되면 가이드 팽창 챔버(52)로는 가스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되어, 그 이후로는 가스 유입로(20)로 유입되는 가스는 에어백 쿠션(10)만을 팽창시키게 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특히 차량의 B필러 또는 C필러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a의 에어백 쿠션의 접힘 방식은 도 3b의 에어백 쿠션의 접힘 방식과 상이하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8)은 모듈 커버(48)을 구비하며, 에어백 쿠션(10)과 이에 고정된 팽창 가이드부(50)을 포함하는 팽창식 에어백(1)은 상기 모듈 커버(48) 내에 접혀서 수납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8)은 에어백 장착부(60)에 의해 차량(2)의 루프 레일(70) 중 차량의 B필러 또는 C 필러에 대응되는 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50)는 돌돌 말려진 에어백 쿠션(10)을 외측을 부분적으 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50)는 차량의 필러 트림(pillar trim: 72)과 루프 레일(70)사이에 형성된 중공 공간(9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8)은 객실(80) 내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 헤드 라이너(74)에 의해 엄페된다.
상기 모듈 커버(48)는 에어백 쿠션(10)이 팽창될 때 파손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재료로 형성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상기 헤드 라이너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러 트림의 상단에 비고정식으로 안착되어 에어백 모듈(8)의 엄폐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이 작동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대한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서 A는 객실 내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의 머리를 나타낸다.
에어백의 센서가 차량의 측면 충격을 감지하면, 팽창기(미도시)에서 발생된 가스는 가스 유입로(도 1: 20)를 통하여 에어백 쿠션(10) 내로 유입되며, 동시에 에어백 쿠션(10)의 가스 유입로(20)로 유입된 일부의 가스는 팽창 가이드부(50)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모듈 커버(48)는 파괴되는데, 가급적 팽창 가이드부(50)에 인접한 부분이 먼저 파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팽창 가이드부(50)에 인접한 모듈 커버(48)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약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스 유입공(54b, 도 2)의 위치가 에어백 쿠션(10)의 팽창 챔버(24)보다는 가스 유입로(20, 도 2)에 가깝게 위 치하므로 팽창 가이드부(50)가 에어백 쿠션(10)보다는 우선 팽창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이드 팽창 챔버(52)가 팽창되어 전개되면 팽창 가이드부(50)는 차량 내부의 필러 트림(72)과 차량 외부의 루프 레일(70) 사이의 중공 공간(90)의 입구를 차지하여 중공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팽창 가이드부(50)가 팽창되어 중공 공간(90)을 가로막고 있는 상황에서 에어백 쿠션(10)의 충전 챔버(25, 도 1)로 팽창 가스가 계속 유입되어 에어백 쿠션(10)의 나머지 부분들이 전개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팽창 가이드부(50)가 중공의 공간(90)의 일부를 가로막고 있으므로 에어백 쿠션(10)이 중공의 공간(90)으로 잘못 도입될 가능성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중공의 공간(90)을 우회하여 헤드 라이너(74)를 밀어내고 객실(80) 내부로 팽창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에 대한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0)의 충전 챔버(25)와 이에 유체 연통된 팽창 챔버(24)에는 팽창 가스가 완전히 충전되어 에어백 쿠션(10)은 객실 내부로 완전히 전개된다. 따라서, 승객의 머리(A)가 팽창된 에어백 쿠션(10)에 접촉하게 되어 승객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의 전개도이다. 도 6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과 비교하여, 팽창 가이드부(50)가 에어백 쿠션(10)의 배면이 아닌 전방에 부착되어 있다. 그외에 팽창 가이드부(50)의 가스 유입구(54b)가 에어백 쿠션(10)의 가스 유출구(54a)와 정렬되어 고정되며, 가스 유입구와 가스 유출구는 유체 연통하는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과 비교하여 에어백 쿠션(100)의 형상이 상이하다. 에어백 쿠션(100)의 일측면 중 배면 부재에는 팽창 가이드부(150)가 부착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150)는 상기 에어백 쿠션(100)과 유체 연통한다. 상기 팽창 가이드부(150)는 차량의 내부의 B필러 또는 C필러의 위치 구간(p)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전술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이 작동하기 시작하는 순간에 대한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에 대한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식 에어백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팽창식 에어백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팽창식 에어백 2: 차량
8: 에어백 모듈 10: 에어백 쿠션
12: 제 1 에지 14: 제 2 에지
16: 제 1 측면 에지 18: 제 2 측면 에지
20: 가스 유입로 22: 이음매(seam)
24: 팽창 챔버 25: 충전 챔버
30: 고정용 고리 32: 고정홈
40: 스트랩 42: 제 1 단부
44: 제 2 단부 46: 앵커
48: 모듈 커버 50: 팽창 가이드부
54a: 가스 유출공 54b: 가스 유입공
60: 에어백 장착부 70: 루프 레일
72: 필러 트림 74: 헤드 라이너
80: 객실 90: 중공 공간
A: 승객 머리

Claims (12)

  1. 가스 유입로로 유입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되며 가스 유출공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위치된 가스 유출공에 정렬되어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공을 구비하는 팽창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팽창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유입된 팽창 가스 중 일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가스 유출공 및 상기 팽창 가이드부의 가스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팽창 가이드부를 팽창시키는 팽창식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가스 유출공은 상기 가스 유입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로와 상기 상기 가스 유출공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과 하측 중 일측에 같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가스 유출공과 상기 가스 유입공의 서로 대향하는 주변부에서 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주변부에서 접착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주변부에서 재봉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주변부에서 열융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8. 가스 유입로로 유입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팽창되며 가스 유출공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위치된 가스 유출공에 정렬되어 유체 연통하는 가스 유입공을 구비하며, 차량의 B 필러 또는 C 필러 중 하나를 덮는 필러 트림 후방의 중공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팽창 가이드부 를 구비하는 팽창식 에어백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에 유입된 팽창 가스 중 일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가스 유출공 및 상기 팽창 가이드부의 가스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팽창 가이드부를 상기 중공 공간으로 팽창시켜서, 상기 팽창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이 가이드되어 전개되는 팽창식 에어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가스 유출공은 상기 가스 유입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로와 상기 상기 가스 유출공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측과 하측 중 일측에 같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과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가스 유출공과 상기 가스 유입공의 서로 대향하는 주변부에서 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에어백.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가이드부는 상기 중공 공간에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 창식 에어백.
KR1020090005236A 2009-01-21 2009-01-21 팽창식 에어백 KR20100085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36A KR20100085772A (ko) 2009-01-21 2009-01-21 팽창식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36A KR20100085772A (ko) 2009-01-21 2009-01-21 팽창식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72A true KR20100085772A (ko) 2010-07-29

Family

ID=4264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236A KR20100085772A (ko) 2009-01-21 2009-01-21 팽창식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57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15324B (zh) 安全气囊装置
JP6428929B2 (ja) 乗員保護装置
JP634341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一体成形織り布地の費用効果的使用
JP4285167B2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EP2988975B1 (en)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US7347444B2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CN111886160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JP6748294B2 (ja) 乗員保護装置
CN111801250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US20050029781A1 (en) Dual cushion passenger airbag
US20140265270A1 (en)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EP2617607B1 (en) Airbag arrangement
US7735858B2 (en) Airbag device
EP3169553B1 (en) Side curtain airbag for vehicle
CN111615473B (zh) 乘员保护装置
US9428134B2 (en) Side airbag apparatus
CN110893831A (zh) 车辆用气囊装置
CN114763120A (zh) 乘员约束系统
JP6330576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7832759B2 (en) Side airbag module for a motor vehicle
JP6102857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0017145B2 (en) Side airbag apparatus
KR20190066355A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US20050140122A1 (en) Airbag apparatus
US11718259B2 (en) Side airba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923

Effective date: 2016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