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174A -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174A
KR20100085174A KR1020107013133A KR20107013133A KR20100085174A KR 20100085174 A KR20100085174 A KR 20100085174A KR 1020107013133 A KR1020107013133 A KR 1020107013133A KR 20107013133 A KR20107013133 A KR 20107013133A KR 20100085174 A KR20100085174 A KR 2010008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tation
mobile
reconnec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488B1 (ko
Inventor
미나미 이시이
미키오 이와무라
카츠토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8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4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100)은,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한 후, 소정기간, 셀 재선택 처리를 수행하는 셀 선택부(106)와, 재선택된 제2 셀이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2 셀을 관리하는 제2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재접속 요구신호 송신부(102)와,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재접속 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재접속을 거부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혹은, 제2 셀이 제1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2 무선기지국을 관리하는 이동교환국에 대한 재발신 수순을 개시하는 재발신 수순 개시부(11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MOBILE STATION, MOBILE EXCHANG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이동국과 이동교환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방법, 이동국 및 이동교환국에 관한 것이다.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로서 검토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소정 셀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소정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Radio Link Failure)한 후, 소정기간 내에, 소요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Cell Reselection)한 경우는, 재선택한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과 같이,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재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한 무선기지국은, 해당 이동국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를 보유하고 있으면, 해당 재접속 요구신호에 따라서, 해당 이동국에 의한 통신을 계속하나, 해당 이동국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해당 재접속 요구신호를 거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한 후, 일정기간 내에 재선택된 셀이, 상술한 소정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Inter-RAT 셀)뿐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Inter-RAT 셀'에서는, 해당 이동국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가 보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이동국은, 해당 이동국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를 삭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과 같이, 이동국이, 해당 이동국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한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에 의해 해당 재접속 요구신호가 거부되므로, 해당 이동국에 의한 통신용 무선 커넥션이 절단되어, 유저 자신이 수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할 필요가 생겨, 서비스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술한 '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한 후, 일정기간 내에 재선택된 셀이 'Inter-RAT 셀'뿐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저 자신이 수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할 필요가 생겨, 서비스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동국이 소정 셀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 'Radio Link Failure'가 검출된 후, 재선택된 셀이 해당 이동국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 자신이 수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이동국이 자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이동교환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한 후, 소정기간, 셀 재선택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셀 선택부와, 상기 셀 선택부에 의해 재선택된 제2 셀이 상기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셀을 관리하는 제2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접속 요구신호 송신부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접속 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재접속을 거부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혹은, 상기 제2 셀이 상기 제1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을 관리하는 이동교환국에 대한 재발신 수순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발신 수순 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재발신 수순 개시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에 대해서, 재발신 수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교환국에 대한 재발신 수순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재발신 수순 개시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에 대해서, 서비스 요구신호 또는 이동관리 에어리어 갱신신호의 적어도 일방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교환국에 대한 재발신 수순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셀 선택부는, 상기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 및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셀, 상기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 및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는 셀, 상기 제1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의 순으로, 셀 재선택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교환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제1 신호가 재발신 수순용 신호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재발신신호 판단부와, 상기 재발신 신호 판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재발신 수순용 신호라고 판단된 경우는, 상기 이동국에 관한 구 설정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이동국에 관한 신 설정정보를 새롭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설정정보 갱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재발신 신호 판단부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요소, 또는, 상기 이동국의 통신상태의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재발신 수순용 신호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갱신부는, 상기 구 설정정보가 상기 이동교환국과는 다른 장치에서 관리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장치 내의 상기 구 설정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이동교환국 내에 상기 신 설정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이동국과 이동교환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한 후, 소정기간, 셀 재선택 처리를 수행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재선택한 제2 셀이 상기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셀을 관리하는 제2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접속 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재접속을 거부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혹은, 상기 제2 셀이 상기 제1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을 관리하는 이동교환국에 대한 재발신 수순을 개시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제1 신호가 재발신 수순용 신호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재발신 수순용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는, 상기 이동국에 관한 구 설정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이동국에 관한 신 설정정보를 새롭게 설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교환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교환국에 있어서의 이동국 관리정보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국(100)과, 복수의 무선기지국(200A 내지 200F)과, 이동교환국(300A 및 300B)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교환국(300A)은, 무선기지국(200A)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에어리어(셀 또는 섹터)(1A)와, 무선기지국(200B)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에어리어(셀 또는 섹터)(1B)와, 무선기지국(200C)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에어리어(셀 또는 섹터)(1C)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관리 에어리어 1을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동교환국(300B)은, 무선기지국(200D)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에어리어(셀 또는 섹터)(2A)와, 무선기지국(200E)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에어리어(셀 또는 섹터)(2B)와, 무선기지국(200F)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에어리어(셀 또는 섹터)(2C)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관리 에어리어 2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교환국(300A)은, 무선기지국(200A 내지 200C)의 어느 하나를 통해서, 이동관리 에어리어 1(제2 이동관리 에어리어)에 재권하는 각 이동국(1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동교환국(300B)은, 무선기지국(200D 내지 200F)의 어느 하나를 통해서, 이동관리 에어리어 2(제1 이동관리 에어리어)에 재권하는 각 이동국(1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교환국(300A)의 구성 및 이동교환국(300B)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이동교환국(300)으로서, 양자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교환국(300)은, 신호 송수신부(302)와, 해당 신호 송수신부(302)와 접속되어 있는 재발신 신호 판단부(304)와, 해당 재발신 신호 판단부(304)와 접속되어 있는 설정정보 갱신부(306)를 구비한다.
신호 송수신부(302)는,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 송수신부(302)는, 예를 들면, 이동국으로부터, 해당 이동국의 이동관리 에어리어가 바뀐 것을 보고하기 위한 이동관리 에어리어 갱신신호(Tracking Area Update)나 서비스 요구신호(Service Reques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발신 신호 판단부(304)는, 이동국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제1 신호가 재발신 수순용 신호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란, 해당 이동국에 의해 NAS 신호로서 송신된 신호, 혹은, 무선기지국에 의해 해당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이동교환국 앞으로의 신호로서 재구성된 신호이어도 좋다.
재발신 신호 판단부(304)는, 수신한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요소, 또는, 해당 이동국의 통신상태의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수신한 제1 신호가 재발신 수순용 신호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재발신 신호 판단부(304)는, 상기 정보요소로서, 예를 들면, 발신이유(Establishment cause) 또는 재발신 식별자의 적어도 일방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재발신 신호 판단부(304)는, 도 3과 같이, 'Permanent ID'와 'Terminal ID'와 '이동국 상태'와 '제공 서비스'를 관련짓는 이동국 정보를 관리하고, 이동국의 통신상태로서, 해당 이동국의 '이동국 상태'가 '통신중'인 경우는, 수신한 제1 신호가 재발신 수순용 신호라고 판단하고, 해당 이동국의 '이동국 상태'가 '대기중'인 경우는, 수신한 제1 신호가 신규 발신용 신호라고 판단해도 좋다.
설정정보 갱신부(306)는, 재발신 신호 판단부(304)에 있어서 제1 신호가 재발신 수순용 신호라고 판단된 경우는, 해당 이동국에 관한 구 설정정보를 삭제하고, 해당 이동국에 관한 신 설정정보를 새로이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구 설정정보와 신 설정정보가 같은 경우는, 구 설정정보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해당 이동국에 관한 구 설정정보(UE Context)가, 이동교환국(300A)에서 관리되고 있고, 해당 이동국이, 이동교환국(300B)의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하여, 이동관리 에어리어 갱신신호를 이동교환국(300B)으로 송신한 경우는, 이동교환국(300B)은, 이동교환국 300A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이동교환국 300A(다른 장치) 내의 해당 이동국에 관한 구 설정정보(UE Context)를 삭제하고, 이동교환국 300B 내에 해당 이동국에 관한 신 설정정보(UE Context)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100)은, 송수신부(102)와, 해당 송수신부(102)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링크 감시부(104)와, 해당 무선링크 감시부(104)와 접속되어 있는 셀 선택부(106)와, 해당 셀 선택부(106)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액세스방식 판단부(108)와, 해당 무선액세스방식 판단부(108)와 접속되어 있는 신호 생성부(110)와, 상기 송수신부(102)와 접속되어 있는 수신신호 판단부(112)와, 해당 수신신호 판단부(112)와 접속되어 있는 재발신 통지부(114)와, 해당 재발신 통지부(114)와 접속되어 있는 재발신 수순 개시부(116)를 구비한다.
송수신부(102)는, 각 셀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나,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나, 알림정보(System Information)나,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나, 이동교환국으로부터의 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무선기지국 앞으로의 신호나, 이동교환국 앞으로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나 무선기지국 앞으로의 신호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이며, 이동교환국으로부터의 신호나 이동교환국 앞으로의 신호는, NAS 신호이어도 좋다.
또한, 송수신부(102)는, 신호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링크 감시부(104)는,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무선링크의 감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셀 선택부(106)는,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한 후, 소정기간, 셀 재선택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기간은, 이동국(100)이 통신상태(RRC_Connected 상태)로부터 대기상태(RRC_Idle 상태)로 천이할때까지 셀 선택 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셀 선택부(106)는,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 및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셀, 상기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 및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는 셀, 상기 제1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Inter-RAT 셀)의 순으로, 셀 재선택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무선액세스방식 판단부(108)는, 셀 선택부(106)에 의해 재선택(Cell Reselection)된 제2 셀이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무선액세스방식 판단부(108)는, 제1 셀 및 제2 셀에서 이용되는 무선액세스방식이, 'GSM 방식', 'UMTS 방식', 'LTE(FDD) 방식', 'LTE(TDD) 방식' 중 어느 것인지에 대해서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신호 생성부(110)는, 무선기지국 앞으로의 신호나 대(對) 이동교환국 앞으로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무선액세스방식 판단부(108)에 있어서, 셀 선택부(106)에 의해 재선택된 제2 셀이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된 경우, 신호 생성부(110)는, 재접속 요구신호(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재발신 수순 개시부(116)에 의해 재발신 수순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는, 신호 생성부(110)는, MAS의 서비스 요구신호(Service Request) 또는 이동관리 에어리어 갱신신호(Tracking Area Update)의 적어도 일방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생성부(110)는, 생성한 NAS 신호의 일부로서, 재발신 수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재발신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는, 신호송신 이유(Establishment Cause)의 일부로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재발신 식별자로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수신신호 판단부(112)는, 송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신호 판단부(112)에서, 송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신호(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재접속 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재접속을 거부하고 있는 신호(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ject)라고 판단한 경우는, 재발신 통지부(114)에 대해서 재발신 수순이 필요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발신 통지부(114)는, 무선액세스방식 판단부(108)에 있어서, 재선택된 제2 셀이 제1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재발신 수순 개시부(116)에 대해서, NAS의 재발신 수순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발신 수순 개시부(116)는, 재발신 통지부(11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NAS의 재발신 수순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tep1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중인 무선링크의 검출이 성공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한 경우, Step2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소정기간 중에, 셀 재선택 처리(Cell Reselection)가 완료됐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
상기 셀 재선택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Step3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대기상태로 천이한다.
한편, 상기 셀 재선택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Step4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재선택된 제2 셀이 제1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셀(Intra-RAT 셀)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
Intra-RAT 셀이라고 판단된 경우, Step5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상기 제2 셀을 관리하는 제2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를 송신한다.
Step6에 있어서, 이동국(100)은, 상술한 재접속 요구신호에 대한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재접속을 허가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
Step4에 있어서, Intra-RAT 셀이 아니다(Inter-RAT 셀이다)라고 판단된 경우, 및, Step6에 있어서, 재접속을 허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Step7에 있어서, NAS의 재발신 수순이 개시된다.
한편, Step6에 있어서, 재접속을 허가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Step8에 있어서, 이동국(100)에 의한 통신이 속행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이동국(100)이 제1 셀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 'Radio Link Failure'가 검출된 후, 재선택된 제2 셀이 해당 이동국(100)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 자신이 수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이동국(100)이 자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경 예)
또한, 상술한 이동국이나 이동교환국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이나 무선기지국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이나 무선기지국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이 소정 셀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 'Radio Link Failure'가 검출된 후, 재선택된 셀이 해당 이동국에 관한 설정정보(UE Context)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저 자신이 수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이동국이 자동으로 재발신 수순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이동국에 있어서,
    통신중인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한 후, 상기 통신중인 무선기지국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접속원의 셀이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셀 중, 소정의 통신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접속처의 셀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셀 선택부;
    상기 셀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재접속처의 셀이, 상기 접속원의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인 경우, 상기 재접속처의 셀을 관리하고 있는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재접속 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재접속을 거부하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 혹은, 상기 재접속처의 셀이 상기 접속원의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인 경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을 관리하고 있는 이동교환국에 대해서, 상기 이동국에 관한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상기 이동교환국에, 상기 이동국과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개시시키기 위한 재발신 수순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관한 정보는, 재발신 수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에 대해서, 상기 이동국에 관한 정보로서, 서비스 요구신호 또는 이동관리 에어리어 갱신신호의 적어도 일방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선택부는, 상기 접속원의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 및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셀, 상기 접속원의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 및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는 셀, 상기 접속원의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의 순으로, 상기 재접속처의 셀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는, 상기 이동국에 관한 구 설정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이동국에 관한 신 설정정보를 새롭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설정정보 갱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갱신부는, 상기 구 설정정보가 상기 이동교환국과는 다른 장치에서 관리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장치 내의 상기 구 설정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이동교환국 내에 상기 신 설정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
  7. 통신중인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검출에 실패한 후, 상기 통신중인 무선기지국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접속원의 셀이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셀 중, 소정의 통신품질을 만족하는 셀을, 재접속처의 셀로서 선택하도록 공정 A;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재접속처의 셀이, 상기 접속원의 셀과 동일한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인 경우, 상기 재접속처의 셀을 관리하고 있는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재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공정 B;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송신된 상기 재접속 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재접속을 거부하는 취지가 통지된 경우, 혹은, 상기 재접속처의 셀이 상기 접속원의 셀과 다른 무선액세스방식을 이용하는 셀인 경우,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을 관리하고 있는 이동교환국에 대해서, 이동국에 관한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상기 이동교환국에, 상기 이동국과 상기 재접속 후보의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개시시키기 위한 재발신 수순을 개시시키는 공정 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KR1020107013133A 2008-04-03 2009-03-26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 KR101157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7623 2008-04-03
JP2008097623A JP4355749B2 (ja) 2008-04-03 2008-04-03 移動局、移動交換局及び移動通信方法
PCT/JP2009/056086 WO2009123005A1 (ja) 2008-04-03 2009-03-26 移動局、移動交換局及び移動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174A true KR20100085174A (ko) 2010-07-28
KR101157488B1 KR101157488B1 (ko) 2012-06-20

Family

ID=4113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133A KR101157488B1 (ko) 2008-04-03 2009-03-26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70403B2 (ko)
EP (1) EP2224768B1 (ko)
JP (1) JP4355749B2 (ko)
KR (1) KR101157488B1 (ko)
CN (1) CN101940031B (ko)
AU (1) AU2009232922B2 (ko)
BR (1) BRPI0906222A8 (ko)
CA (1) CA2711816C (ko)
MX (1) MX2010007372A (ko)
PL (1) PL2224768T3 (ko)
RU (1) RU2450487C2 (ko)
WO (1) WO2009123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1976A (ja) * 2008-03-19 2009-10-08 Nec Corp 異なる無線アクセス方式間の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TWI477167B (zh) * 2010-08-05 2015-03-11 Htc Corp 處理信令擁塞之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WO2012065646A1 (en) * 2010-11-18 2012-05-24 Nokia Siemens Networks Oy Enhanced connection recovery method for multi-rat deployments
CN102325384B (zh) * 2011-05-17 2013-12-25 深圳国威电子有限公司 基站子机锁定超标的处理方法
US8953443B2 (en) * 2011-06-01 2015-02-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gestion mana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740293B1 (en) 2011-08-04 2016-01-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proved handover robustness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US10924915B2 (en) 2011-08-09 2021-0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xchange of mobility inform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US9055560B2 (en) * 2012-01-18 2015-06-09 Mediatek Inc. Method of enhanced connection recovery and loss-less data recovery
JP5290447B2 (ja) * 2012-03-01 2013-09-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方法
CN102595561B (zh) * 2012-03-30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控制连接重建的方法及终端
JP5383854B2 (ja) * 2012-04-06 2014-01-08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通信方法
JP2014033409A (ja) * 2012-08-06 2014-02-20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88241A (ko) * 2012-11-0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관심 서비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50100839A (ko) * 2012-12-31 2015-09-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연결 장애 복구 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US20160174283A1 (en) * 2013-08-09 2016-06-1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Procedure for Connecting
WO2019192760A1 (en) * 2018-04-05 2019-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ra-rat handovers with core network change
CN115190626A (zh) * 2018-05-11 2022-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链路恢复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5312B (fi) * 1998-10-16 2000-07-14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suorittaa solun uudelleenvalinta, verkko-osa, ja tilaajapäätelaite
KR100548329B1 (ko) * 2003-02-2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프로토콜을 위한 프로시쥬어 수행방법
JP4429132B2 (ja) * 2004-09-30 2010-03-1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592883B1 (ko) * 2004-10-12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단절없는 핸드오버 제공 방법
EP1748665A1 (en) * 2005-07-27 2007-01-31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761700B1 (ko) * 2006-01-26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연결 방법
RU2433572C2 (ru) * 2007-01-15 2011-11-1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нтекст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30982A1 (en) 2010-12-30
EP2224768B1 (en) 2012-08-29
EP2224768A1 (en) 2010-09-01
RU2450487C2 (ru) 2012-05-10
JP4355749B2 (ja) 2009-11-04
AU2009232922A1 (en) 2009-10-08
BRPI0906222A2 (pt) 2015-07-07
MX2010007372A (es) 2010-08-13
CN101940031A (zh) 2011-01-05
BRPI0906222A8 (pt) 2015-09-29
CA2711816C (en) 2014-08-19
CA2711816A1 (en) 2009-10-08
WO2009123005A1 (ja) 2009-10-08
US7970403B2 (en) 2011-06-28
CN101940031B (zh) 2013-07-10
JP2009253561A (ja) 2009-10-29
EP2224768A4 (en) 2011-08-03
AU2009232922B2 (en) 2012-03-29
PL2224768T3 (pl) 2013-01-31
KR101157488B1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488B1 (ko) 이동국, 이동교환국 및 이동통신방법
CN108924962B (zh) 信息指示的方法和装置
JP2020078093A (ja) 無線端末、第1の無線局、第2の無線局、及び制御方法
US9232452B2 (en) Method of handling an inter rat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2046332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재수립을 위한 방법 및 구조
EP2135478B1 (en) Fast serving cell change
JP56601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局、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787240B2 (ja) ハンドオーバ失敗の処理方法及びユーザ装置
KR102386570B1 (ko) 채널 측정 및 측정 결과 리포팅 방법 및 장치
CN107820282B (zh) 小区切换方法、基站及用户设备
EP2468031B1 (en) Connection re-establish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9154480A1 (en) Further access attempts in conditional handover
WO2014023128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其装置
CN109155955A (zh) 用于控制无线网络中的移动性的方法和装置
KR201701218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053159A1 (ja)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CN112291803B (zh) 一种通信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25028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및 통신 시스템
WO2010137331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JP2013192095A (ja) セル関係設定装置、セル関係設定方法およびセル関係設定プログラム
JP2009284507A (ja) 移動局、移動交換局及び移動通信方法
CN116456507A (zh) 通信方法、通信装置与通信系统
CN115150905A (zh) 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