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539A - 복합용기 - Google Patents

복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539A
KR20100084539A KR1020107010230A KR20107010230A KR20100084539A KR 20100084539 A KR20100084539 A KR 20100084539A KR 1020107010230 A KR1020107010230 A KR 1020107010230A KR 20107010230 A KR20107010230 A KR 20107010230A KR 20100084539 A KR20100084539 A KR 2010008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e container
hollow
highly transparent
exteri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키 야마모토
가즈유키 오기
마사노부 사토
Original Assignee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07Coatings
    • B65D23/081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 B65D23/0821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consisting mainly of polymer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깥쪽의 투명 수지 외장체를 거쳐 내부의 수지 중공 성형체를 시인한 경우에, 수지 중공 성형체의 외형, 윤곽 등을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수지 중공 성형체에 의한 의장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지 중공 성형체와 바깥쪽의 투명 수지 외장체와의 조합에 의한 의장성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복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내부가 중공인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a)와, 상기 중공 성형체(a)의 바깥쪽에 일체화된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로 이루어지는 복합용기로서,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두께는, 상기 복합용기의 주요부에서의 상기 중공 성형체(a)와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를 횡단하는 수평방향의 단면에서,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최소 두께(X)가 0.1 mm 이상, 또한 최대 두께(Y)와 최소 두께(X)의 차가 2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용기{COMPOUND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수, 약품, 음료 등 유동성을 가지는 액상물, 또는 분체 등을 수용하는 복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깥쪽 층이 수지로 형성된 복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화장수, 약품, 음료 등의 액상물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로서, 내부식성, 기밀성이 우수한 뚜껑이 있는 수용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수용 용기는, 유리제의 것이 일반적이나,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합성 수지제의 수용 용기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유리제의 수용 용기는, 중후감, 고급감이 있고, 또한 투명체로 내부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화장수의 용기로서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제의 수용 용기는, 반송 중의 충격이나 사용 중의 낙하 등에 의해서, 파손되기 쉬움과 동시에, 간단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아, 가식성(加飾性)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합성 수지제의 수용 용기는, 중후감이 부족하고, 고급감을 조성하기 가 곤란하다.
또한, 금속제의 수용 용기도 알려져 있으나, 금속제의 수용 용기는, 불투명체로 내부의 모양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용도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유리제의 수용 용기의 바깥쪽에, 수지를 오버 몰딩하고, 또한, 안쪽 또는 바깥쪽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투명체로 형성함으로써, 의장성을 향상시킨 복합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표2004-527424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합용기 중, 내부의 중공체가 유리로 형성된 것이어도, 낙하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는 없다. 또 바깥쪽에 몰딩된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외장체를 거쳐 내부의 유리제 중공체를 시인(視認)한 경우에는, 내부의 유리제 중공체의 형상, 윤곽 등을 충분히 식별할 수 없어, 의장성이 충분히 발휘되어 있지 않았다.
또, 종래의 복합용기에서는, 투명성 수지 외장체를 거쳐 내부의 중공체를 시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의 중공체와 바깥쪽의 수지 외장체를 다른 형상으로 함으로써, 2개의 형상의 조합으로 생기는 의장성도 가지고 있으나, 내부의 중공체의 식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조합에 의한 의장성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바깥쪽의 투명 수지 외장체를 거쳐 내부의 수지 중공 성형체를 시인한 경우에, 수지 중공 성형체의 외형, 윤곽 등을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수지 중공 성형체에 의한 의장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지 중공 성형체와 바깥쪽의 투명 수지 외장체와의 조합에 의한 의장성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복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복합용기는,
내부가 중공인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a)[이하, 간단히 수지 중공 성형체(a)라 하는 경우가 있다]와, 상기 수지 중공 성형체(a)의 바깥쪽에 일체화된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이하, 간단히 수지 외장체(b)라 하는 경우가 있다]로 이루어지는 복합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두께는,
상기 복합용기의 주요부에서의 상기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를 횡단하는 수평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최소 두께(X)가 0.1 mm 이상, 또한 최대 두께(Y)와 최소 두께(X)의 차가 2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용기이면, 수지 외장체에 고투명성 합성 수지를 사용하면, 수지 외장체(b)를 거쳐 수지 중공 성형체(a)의 외형, 윤곽을 눈으로 볼 수 있음과 동시에, 고급감을 조성할 수 있다. 또, 전체의 외형, 윤곽을 명료하다고는 할 수 없음에도 시인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심미성,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형상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두께가 얇은 부분으로부터 내부를 시인함으로써, 전체로서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결과로서, 수지 중공 성형체(a)를 바깥쪽으로부터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복합용기는,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가,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105에 준거하고, 1 mm 두께의 시트로 측정) 80% 이상의 고투명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로서, 고투명성 합성 수지를 사용하면, 수지 외장체(b)와 수지 중공 성형체(a)와의 상승효과로 더욱 고급감을 조성할 수 있다. 또, 심미성, 미관성에 대해서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복합용기는,
상기 고투명성 합성 수지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투명성 합성 수지를 사용하면, 두께가 두꺼운 성형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유리와 같은 중후감을 얻어 고급감을 조성할 수 있다. 또, 저렴하게 복합용기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일체화된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두께를 소정의 두께로 함으로써, 바깥쪽으로부터 내부를 시인하면, 수지 중공 성형체(a)의 외형, 윤곽 등을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의장성이 향상한다. 또한, 코어가 되는 부분이 수지제이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식성이 양호하며, 2개의 형상의 조합으로도 의장성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 파손의 우려가 전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복합용기의 세로방향의 단면도,
도 2(B)는 도 1(A)의 C-C선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복합용기의 수평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의 수평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의 수평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의 수평방향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의 수평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복합용기의 세로방향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서의 C-C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 복합용기(A)는, 예를 들면 화장수, 약품, 음료 등 유동성을 가지는 액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용기(A)는, 내용물을 넣고 빼기 위한 개구부(14)를 가지는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inner bottle)(a)와, 이 수지 중공 성형체(a)의 바깥쪽을 일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된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복합용기(A)는,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a)의 바깥 둘레측에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가 오버 몰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4)를 가지는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inner bottle)(a)는 화장수, 약품, 음료 등 유동성을 가지는 액상물이나 분체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쪽의 수지 중공 성형체(a)의 형상이 대략 원통 형상인 것에 대하여, 바깥쪽에 구성되는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형상은, 삼각형을 다면적으로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구형(球形)이다.
즉, 안쪽의 수지 중공 성형체(a)의 형상과,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형상은 다른 형상이며, 이들이 조합되어 있다.
그리고, 수지 중공 성형체(a)의 개구부(14)에 폐쇄 마개부재(18)를 장착함으로써, 개구부(14)가 봉지(封止)되고, 이에 의하여 액상물, 분체 등이 외기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진애(塵埃) 등의 침입, 바깥쪽으로의 비산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4)에 폐쇄 마개부재(18)가 나사 접합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구부(14)에 폐쇄 마개부재(18)가 끼워 맞춰지는 구조이어도 된다.
복합용기(A) 내에 수용되는 액상물로서는, 예를 들면, 화장수, 약품, 음료 등 유동성을 가지는 액상물을 예시할 수 있으나, 분체 등이어도 된다. 또, 액상물이란 페이스트 형상의 것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복합용기(A)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a)의 개구부(14)의 하측 전체가 수지 외장체(b)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용기(A)에서,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두께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용기(A)의 주요부에서의 수지 중공 성형체(a)와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를 횡단하는 C-C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수지 외장체(b)의 최소 두께(X)가 O.1 mm 이상, 또한 수지 외장체(b)의 최대 두께(Y)와 최소 두께(X)의 차가 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합용기의「주요부」란, 예를 들면 원통 또는 각기둥형의 복합용기 (A)의 수직방향에서의 용기 중앙부와 같이, 복합용기(A)의 본체부[복합용기(A)의 수평방향 단면에서의 수지 외장체(b)의 치수, 형상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영역]를 말하며, 개구부(14) 부근이나 복합용기(A) 바닥면은 제외하는 영역이다. 즉, 도 2(A)에서의 C-C선 방향의 단면인 도 2(B)에 나타내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복합용기(A)의 주요부에서의 수지 외장체(b)의 수지 두께가 설정되어 있으면, 내부를 시인한 경우에, 수지가 얇은 부분과 수지가 두꺼운 부분과의 차에 의하여, 콘트라스트가 명료하게 나타난다. 또, 최소 두께(X)로부터 최대 두께(Y)에 이르는 사이는,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재료로서 고투명성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105에 준거하고, 1 mm 두께의 시트로 측정)이 8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내지 100%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충족시키는 고투명성 합성 수지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스티렌계 수지(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이오노머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이오노머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아이오노머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본산 함량이 1∼40 중량%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 통상 0 몰%를 넘고, 또한 10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하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이오노머수지의 베이스 폴리머가 되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본산, 또한 임의로 다른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여기에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말레인산모노메틸, 말레인산모노에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특히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또 공중합성분이 될 수 있는 극성 모노머로서는, 임의로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n-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크릴산메틸, 말레인산디메틸, 말레인산디에틸과 같은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일산화탄소 등이며, 특히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는 적합한 공중합성분이다.
또 금속 이온으로서는, 1∼3가의 원자가를 가지는 금속 이온, 특히 원소 주기율표에서의 IA, IIA, IIIA, IVA 및 VIII족의 1∼3가의 원자가를 가지는 금속 이온이며, 구체적으로는, Na+, K+, Li+, Cs+, Ag+, Hg+, Cu+, Be++, Mg++, Ca++, Sr++, Ba++, Cu++, Cd++, Hg++, Sn++, Pb++, Fe++, Co++, Ni++, Zn++, Al+++, Sc+++, Fe+++, Y+++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질은, 투명성, 내충격성, 내찰상성(耐擦傷性)이 우수하고, 또 두께가 두꺼운 성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유리와 같은 중후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외장체(b)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a)나 폐쇄 마개부재(18)에 대해서는, 어떠한 수지재료를 사용하여도 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G, PCTG, PCT(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PCTA,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등], 아크릴수지, 스티렌계수지(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아이오노머수지, 및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한 수지 외장체(b)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외장체(b)와의 상승효과를 얻어, 복합용기(A)의 고급감이나 미관성, 심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수지 중공 성형체(a)에 대해서는, 금형 내에 수지 중공 성형체(a)를 세트한 상태에서, 외표면 상에 용융수지를 유입시켜 수지 외장체(b)를 형성하기 때문에, 고투명성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융 온도가 비교적 높은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 중공 성형체(a)에 수용되는 액상물이 약품인 경우에는, 고투명성 합성 수지 중에서도 비교적 내약품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리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몇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그것들 중의 하나가 배리어층인 수지 중공 성형체(a)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배리어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EVOH)나 폴리아미드 등이 있다.
또,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 밖의 층에 대한 배리어층의 접착성을 향상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폐쇄 마개부재(18)에 대해서도, 부분적으로 약품과 접촉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기한 수지 중공 성형체(a)와 마찬가지로, 고투명성 합성 수지 중에서도 비교적 내약품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이나 아이오노머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투명성 합성 수지는, 유색이어도 무색이어도 되고, 또한 수지 중공 성형체(a),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 폐쇄 마개부재(18)로 각각 색을 바꿀 수도 있다.
유색의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에 Heliogen Blue K6911D(BASF사 제)를 함유시킨 청색의 고투명성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을 행하면, 청색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투명성 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수지 중공 성형체(a)의 표면에 문자나 도형이 실시되어 있었다 하여도,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바깥쪽에서 확실하게 문자나 도형을 눈으로 볼 수 있다.
또, 고투명성 합성 수지에 광반사분(도시 생략)을 분산시키면, 광반사분에 광이 반사되어 반짝이고, 더욱 고급감을 조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반사분으로서는, 광반사분의 코어가 되는 마이카(운모)의 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 피복된 광반사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 중공 성형체(a)와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양쪽이 수지제이기 때문에, 폐기 시에는 서로 분리할 필요도 없고, 리사이클성이 아주 양호하다.
또한, 코어가 되는 수지 중공 성형체(a)를 수지제로 하고, 또한 수지 외장체 (b)를 고투명성 합성 수지로 하면, 고급감, 심미성, 미관성이 아주 높은 복합용기 (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지 중공 성형체(a)는,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이나, 미리 2개로 분할한 성형체를 준비하여, 진동 용착으로 용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수지 중공 성형체(a)의 바깥쪽에 수지 외장체(b)를 일체화시키기 위해서는, 1쌍의 금형 내에 수지 중공 성형체(a)를 세트하고, 폐쇄 마개부재(18)를 장착한 상태에서 오버 몰드하면 된다.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를 바깥쪽에 일체화하는 방법도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복합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복합용기(B)는, 안쪽의 수지 중공 성형체(a)가 원통형상이고, 수지 외장체(b)의 바깥 형상이, 수평방향의 단면에서 8각형을 보이고 있다. 즉,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수지 외장체(b)의 수평방향의 단면형상이 다르다.
수지 외장체(b)의 주요부에서의 최소 두께(X)는 0.1 mm 이상, 특히 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최대 두께(Y)는 50 mm 이하, 특히 3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수지 외장체(b)의 형상이 다름으로써, 최소 두께(X) 부분과, 최대 두께(Y) 부분이 명료해지기 때문에, 바깥쪽에서 안쪽의 수지 중공 성형체(a)를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수지 중공 성형체(a) 속에, 예를 들면, 청색, 유백색 등의 액체가 저류되어 있는 경우는, 그 색이 투명체를 거쳐 바깥쪽으로 드러나 보이기 때문에, 수지 중공 성형체(a)의 외형, 윤곽 등이 더욱 명료해진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용기(C)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의 복합용기(C)는, 수평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수지 중공 성형체(a)와,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수지 외장체(b)를 45°각도를 바꾸어 배치함으로써, 주요부에서의 최소 두께(X)와 최대 두께(Y)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복합용기(D)에서는, 사각형의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원통형의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이다.
도 7에 나타낸 복합용기(E)는, 사각형의 수지 중공 성형체(a)와, 8각형의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이고, 도 8에 나타낸 복합용기(F)는, 3각형의 수지 중공 성형체(a)와 원통형의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어느 쪽의 실시예에서도, 주요부에서의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최소 두께(X)가 0.1 mm 이상, 또한 주요부에서의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최대 두께(Y)와 최소 두께(X)의 차가 2 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여 왔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중공 성형체(a)와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형상은, 유저의 사용목적, 사용용도에 의하여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고, 또 어떠한 형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도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수지 중공 성형체(a)를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를 거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형상의 조합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고, 내용물의 색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통체의 수지 중공 성형체(a)에, 원통체의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를 조합시켜도 되고, 내외 용기의 중심부분을 어긋나게 하여, 한쪽에서 수지 외장체(b)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반대쪽에서 얇게 하여도 된다.
A, B, C, D, E, F : 복합용기
a :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수지 중공 성형체)
b :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수지 외장체)
14 : 개구부 18 : 폐쇄 마개부재

Claims (4)

  1. 내부가 중공인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a)와, 상기 중공 성형체(a)의 바깥쪽에 일체화된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로 이루어지는 복합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두께는,
    상기 복합용기의 주요부에서의 상기 중공 성형체(a)와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를 횡단하는 수평방향의 단면에서,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최소 두께(X)가 0.1 mm 이상, 또한 최대 두께(Y)와 최소 두께(X)의 차가 2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성형체(a)와,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의 형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투명성 수지 외장체(b)가,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105에 준거하고, 1 mm 두께의 시트로 측정) 80% 이상의 고투명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투명성 합성 수지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용기.
KR1020107010230A 2007-11-13 2008-11-11 복합용기 KR20100084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94891 2007-11-13
JP2007294891 2007-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539A true KR20100084539A (ko) 2010-07-26

Family

ID=4063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30A KR20100084539A (ko) 2007-11-13 2008-11-11 복합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52477A1 (ko)
EP (1) EP2216257A4 (ko)
JP (2) JP4865040B2 (ko)
KR (1) KR20100084539A (ko)
CN (1) CN101855143A (ko)
BR (1) BRPI0820446A2 (ko)
WO (1) WO2009063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5337B2 (ja) * 2009-02-27 2014-03-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ボトルとその成形方法
JP2010246810A (ja) * 2009-04-17 2010-11-04 Shiseido Co Ltd 内外二重の形状が重畳して表出する化粧料容器
IT1402048B1 (it) 2010-10-19 2013-08-28 Bormioli Luigi Spa Articolo in materiale composito sovrastampato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JP6245747B2 (ja) * 2014-02-10 2017-12-13 ライオン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96504B2 (ja) * 2014-06-06 2018-09-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ファセット容器
US20150353222A1 (en) 2014-06-06 2015-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ceted container
US20150353221A1 (en) 2014-06-06 2015-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ceted container
USD939356S1 (en) * 2017-06-16 2021-12-28 Joseph-Marie Pividal Perfume bottle
USD931107S1 (en) 2017-09-08 2021-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ttle
WO2020116453A1 (ja) * 2018-12-04 2020-06-11 デンカ株式会社 毛状体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成形品
JP1688406S (ko) 2020-08-14 2021-06-28
USD995299S1 (en) * 2021-04-16 2023-08-15 Tomilson Andrew Bynoe Fragrance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3905A (en) * 1936-03-11 1937-09-21 S & G Gump Company Liquid container
BE544761A (ko) * 1955-02-07
NL215804A (ko) * 1956-03-28
US3663259A (en) * 1970-03-30 1972-05-16 Courreges Parfums Soc Coated bottles
CA1007184A (en) * 1972-11-24 1977-03-22 Emery I. Valyi Multilayered hollow plastic container
JPS4987493A (ko) * 1972-12-27 1974-08-21
JPS5062287A (ko) * 1973-10-02 1975-05-28
US4078508A (en) * 1973-10-02 1978-03-14 Alter Licensing Establishment Method of making a metallic container overlaid with plastic
JPS52159860U (ko) * 1976-05-26 1977-12-05
JPS5526095Y2 (ko) * 1979-03-12 1980-06-24
JPS58169036A (ja) * 1982-03-31 1983-10-05 Fujitsu Ltd 光半導体モジユ−ル構体
JPS58169036U (ja) * 1982-05-06 1983-11-11 紀伊産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容器
JP2001122952A (ja) * 1999-10-26 2001-05-08 Unitika Ltd ガラス製品の保護被膜形成用ポリアリレート樹脂及び保護被覆を有するガラス製品
JP2001295454A (ja) * 2000-04-07 2001-10-26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シートおよび床面被覆構造体
US6461699B1 (en) * 2000-10-06 2002-10-08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having a carbon-treated internal surface for non-carbonated food products
US20020175136A1 (en) * 2001-05-23 2002-11-28 Bouix Herve F. Plastic over-molded bottle
JP4361263B2 (ja) * 2002-02-07 2009-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2004083820A (ja) * 2002-08-29 2004-03-18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射出成形体
JP2005035575A (ja) * 2003-05-19 2005-02-10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容器
USD522240S1 (en) * 2005-03-21 2006-06-06 Joan Laval Decorative container
EP2046569B1 (en) * 2006-07-19 2011-08-31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Synthetic resin hollow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9746B2 (ja) 2014-07-23
JP4865040B2 (ja) 2012-02-01
EP2216257A4 (en) 2010-12-22
EP2216257A1 (en) 2010-08-11
BRPI0820446A2 (pt) 2015-05-26
JPWO2009063865A1 (ja) 2011-03-31
WO2009063865A1 (ja) 2009-05-22
CN101855143A (zh) 2010-10-06
US20100252477A1 (en) 2010-10-07
JP2011201318A (ja)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4539A (ko) 복합용기
KR101105750B1 (ko) 합성 수지 중공체
US20120325810A1 (en) Synthetic resin hollow body
US8579129B2 (en) Water bottle with dosage on bottom
KR100955337B1 (ko) 합성 수지 중공체의 제조 방법
US7712620B2 (en) Packaging container with finger receiving portion
CN101291850A (zh) 一种很轻质的饮料容器
JP2007512188A5 (ko)
JP2007302316A (ja) カバー容器および容器ユニット
US20040161558A1 (en) Retortable light excluding container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22007221A (ja) 液体注出具および紙容器
JP5002879B2 (ja) 多層ブロー成形ボトル
JPH0732554A (ja) 多層中空プラスチック容器
JP2016008073A (ja) 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