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360A -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360A
KR20100084360A KR1020090003803A KR20090003803A KR20100084360A KR 20100084360 A KR20100084360 A KR 20100084360A KR 1020090003803 A KR1020090003803 A KR 1020090003803A KR 20090003803 A KR20090003803 A KR 20090003803A KR 20100084360 A KR20100084360 A KR 2010008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ight
data
irradiat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272B1 (ko
Inventor
서영광
조성일
강정민
정기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0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272B1/ko
Priority to EP09178014A priority patent/EP2211253A3/en
Priority to US12/644,819 priority patent/US20100182229A1/en
Publication of KR2010008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단말기는 데이터 송신명령 또는 데이터 수신명령이 입력되면,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는 직접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데이터,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e data}
본 발명은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가 점차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강의용 또는 광고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가 강의용으로 사용될 경우, 강사는 강의에 필요한 영상을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강의를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강사는 과제나 강의자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강사는 관련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의 URL을 알려주거나, 게시판에 파일을 업로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광고용으로 사용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광고와 관련된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의 URL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추후 집에서 광고와 관련된 사이트를 접속하여 자료를 다운받아야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된 특정 자료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 사용자는 별도의 컴퓨터를 이용한 관련 사이트 접속 과정을 거쳐 자료를 다운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자료를 다운로드 받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송신명령 또는 데이터 수신명령이 입력되면,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출부에서 검출된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가능한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특정 지점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광원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다운로드 명령 또는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복수개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빛이 조사되는 상기 특정지점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 광원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조사된 빛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저장공간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주소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가능한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특정 지점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다운로드 요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복수개의 아이 템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업로드 요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빛이 조사되는 상기 특정지점은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빛은, 적외선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복수개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면에 조사된 빛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저장공간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인 경우, 상기 주소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신명령 또는 데이터 수신명령이 입력되면,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기가 직접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단말기로 데이터를 바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파일에 대한 아이템을 선택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단말기(10)는 휴대폰, MP3, PMP, PDA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CD, PDP, OLED, 프로젝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광원부(11), 제1 통신부(13), 카메라부(15), 입력부(17) 및 제1 제어부(19)를 포함한다.
광원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특정 지점에 빛을 조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단말기(10)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10)가 무엇인지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나타낸다. 식별 정보는 단말기(10)의 종류, 모델명, 시리얼 넘버, 식별 ID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1)는 다양한 패턴으로 빛을 발광함으로써,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빛을 이용해 제공한다. 광원부(11)는 특정 패턴의 빛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조사함으로써, 단말기(1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광원부(11)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발광소자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광원부(11)는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가 많아진다. 하지만, 발광소자 의 개수가 많아지면, 광원부(11)가 차지하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광원부(11)의 발광소자는 빛을 조사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적외선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제1 통신부(1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무선 통신은 IEEE 802.1x 무선랜, 블루투스, UWB, ZigBee 및 60-GHz link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부(15)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또한, 카메라부(15)는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을 촬영될 영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5)는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미도시)를 포함하고, 모니터 화면에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되는 지점을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추후 도 5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부(15)는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뷰파인더(미도시)를 포함하고, 뷰파인더에 십자가 형태로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되는 지점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가 카메라부(15)를 포함하면, 광원부(11)가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조사하더라도, 사용자는 적외선이 조사되는 지점을 카메라부(15)의 모니터 화면 또는 뷰파인더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원부(11)가 눈에 안보이는 적외선 광원이더라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의 원하는 지점을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쉽게 포인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강의용 칠판으로 사용되기 위해 원거리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단말기(10)의 카메라부(15)를 이용하여 쉽게 선택 및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입력부(17)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9)로 전달한다. 입력부(17)는 다운로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운로드 버튼 및 업로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업로드 버튼을 포함한다.
제1 저장부(18)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제1 저장부(18)는 HDD,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19)는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1 제어부(19)는 입력부(17)를 통해 다운로드 명령 또는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광원부(17)의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부(13)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복수개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1 제어부(19)는,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개의 아이템 중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부(13)를 통해 수신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file 2' 아이템에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된 상태에서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file 2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제1 제어부(19)는,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도록 데이터를 제1 통신부(13) 를 통해 송신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folder 1' 아이템에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된 상태에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제1 제어부(19)가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제어부(19)는 데이터 파일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파일을 제1 저장부(18)에 저장한다. 반면, 제1 제어부(19)는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를 수신한 경우, 해당 주소에서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빛으로 제공하도록, 광원부(11)의 발광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발광 상태는 광원부(11)의 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빛의 밝기, 온/오프 상태, 점멸 상태 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9)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코드를 광원부(11) 구동을 위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광원부(11)의 발광상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 제어부(19)는 광원부(11)의 빛을 이용하여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검출부(120), 제2 통신부(130), 제2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에 영상 및 복수개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아이템은 각각 특정 파일에 대응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특정 파일에 관한 아이템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젝션 방식, OLED 방식, PDP 방식, LCD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상에 빛을 조사하게 된다.
검출부(120)는 단말기(10)의 광원부(11)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검출한다. 광원부(11)에서 발광되는 빛이 적외선인 경우, 검출부(120)에는 적외선 패스 필터가 배치되어 적외선만 감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검출부(120)는 복수개의 화소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120)는 빛을 검출할 수 있는 광센서이면 어떤 것이든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광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광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통신부(130)는 단말기(10)와 통신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무선 통신은 IEEE 802.1x 무선랜, 블루투스, UWB, ZigBee 및 60-GHz link 등을 포함한다.
제2 저장부(150)는 단말기(10) 또는 외부서버(18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제2 저장부(150)는 HDD,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140)는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와 단말기(10)의 식별정보를 인식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140)는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 통신부(130)를 통해 단말기(10)로 송신 또는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140)는 단말기(10)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아이템 중 빛이 조사되는 특정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제2 통신부(130)를 통해 단말기(1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들 중 file 2 아이템에 빛이 조사된 상태에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140)는 제2 통신부(130)를 통해 file 2를 단말기(10)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제2 제어부(140)는 단말기(10)로부터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제2 통신부(130)를 통해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제2 저장부(150)의 저장공간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들 중 folder 1 아이템에 빛이 조사된 상태에서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제2 제어부(140)는 제2 통신부(130)를 통해 단말기(10)로부터 file 2를 수신하여, folder 1에 대응되는 제2 저장부(150)의 저장공간에 저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송신 또는 수신하는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제어부(140)는 데이터 파일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파일을 제2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반면, 제2 제어부(140)는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를 수신한 경우, 해당 주소에서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단말기(10)로부터 외부 서버(18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주소를 수신한 경우, 제2 제어부(140)는 주소에 대응되는 파일을 외부 서버(18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한편, 제2 제어부(140)는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빛에 기초하여 단말기(10)의 식별정보를 인식한다. 여기에서 단말기(10)의 식별정보는 단말기(10)가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식별 정보는 단말기(10)의 종류(예를 들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등), 모델명, 시리얼 넘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제2 제어부(140)는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빛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상에서 빛이 조사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단말기(10)의 광원부(11)의 빛이 화면상에서 조사된 위치의 좌표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140)는 검출된 빛의 밝기 변화 패턴을 기초로 물체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제어부(230)는 제2 광센서(220)에 포함된 화소들 중 어느 화소에 의해 빛이 검출되었는지에 기초하여, 물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a에 개시된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예에 대해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은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므로, 모든 구성이 도시된 것은 아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광원부(11)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젝터(112), 제1 반사거울(114), 제2 반사거울(116), 스크린(118), 검출부(120) 및 제2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프로젝터(112), 제1 반사거울(114), 제2 반사거울(116) 및 스크린(118)은 도 1a의 디스플레이부(110)를 구성한다.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118) 화면 상에 놓여진다. 그리고, 단말기(10)의 광원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118)에 빛을 조사한다. 하지만,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스크린(118)에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크린(118)에 조사된 광원부(11)의 빛은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광원부(11)는 다양한 종류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을 발광할 수도 있다.
단말기(10)는 광원부(11)에서 발광되는 빛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여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1)에서 발광된 빛은 스크린(118)을 통과하여 검출부(120)에 조사된다. 따라서, 단말기(10)는 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프로젝터(112)는 디스플레이될 영상에 대한 빛을 투사한다. 그리고, 프로젝터(112)에서 조사된 빛은 제1 반사거울(114) 및 제2 반사거울(116)에서 반사되어, 스크린(118)에 투영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크린(118)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검출부(120)는 단말기(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출함으 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10)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가 프로젝션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어떤 디스플레이 방식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 방식 대신에 LC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단말기(10)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특정 지점에 빛을 조사한다(S210). 빛이 조사되는 지점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하기 위한 지점에 빛이 조사되도록 단말기(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 때, 사용자는 카메라부(15)의 뷰파인더 또는 모니터 화면을 이용하여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되는 지점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220). 그리고,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다(S230). 구체적으로, 단말기(10)의 제1 통신부(1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통신부(130)와 서로 IP 주소를 주고 받음으로써 서로의 연결을 세팅하게 된다.
그리고, 다운로드 명령 또는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10)는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S240).
구체적으로,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다운로드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아이템 중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업로드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공간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한다(S31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단말기(10)로부터 화면에 조사된 빛을 검출한다(S3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된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한다(S330).
그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로드 요청이 수신 되면,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S340).
구체적으로, 단말기(10)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아이템 중 빛이 조사되는 특정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기(10)로부터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저장공간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송신 또는 수신하는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파일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파일을 제2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를 수신한 경우, 해당 주소에서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단말기(10)로부터 외부 서버(180)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주소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소에 대응되는 파일을 외부 서버(18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다운로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사용자는 단말기(10)의 카메라부(15)를 이용하여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되는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file 2 아이템에 위치시킨다(S410). 이 때, 사용자는 카메라부(15)의 뷰파인더 또는 모니터 화면을 이용하여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단말기(10)의 입력부(17)를 통해 다운로드 명령을 입력한다(S420).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file 2를 다운받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 다음,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430). 구체적으로, 단말기(10)는 광원부(11)의 빛을 이용하여 식별정보(ID가 '1'이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431).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10)의 식별정보(ID가 '1'이라는 정보) 및 빛이 조사된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S432).
그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통신부(130)를 통해 ID가 1인 단말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한다(S433). 그러면, 단말기(10)는 브로드캐스팅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IP 주소를 인식하게 된다(S434). 그리고, 단말기(10)는 자신의 ID가 1이라는 내용의 응답을 브로드캐스팅한다(S435).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의 IP 주소를 인식하게 된다(S436).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10)의 식별정보(즉, ID가 1이라는 정보)와 빛이 조사된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43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 부(13) 및 제2 통신부(130) 사이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단말기(10)는 다운로드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440).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운로드 명령을 인식하고(S450), 빛이 조사된 위치에 배치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파일(즉, file 2)을 다운로드 대상 파일로 선택하게 된다(S46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운로드 대상인 파일(즉, file 2)을 단말기(10)로 전송한다(S470). 그러면, 단말기(10)는 file 2를 수신하게 된다(S48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는 file 1 아이템(510), file 2 아이템(520) 및 file 3 아이템(530)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촬영부(540), 모니터 화면(550), 광원부(560), 다운로드 버튼(570) 및 업로드 버튼(58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촬영부(540) 및 모니터 화면(550)은 도 1a의 카메라부(15)에 포함된다. 그리고, 광원부(560)는 도 1a의 광원부(11)에 해당되며, 다운로드 버튼(570) 및 업로드 버튼(580)은 도 1a의 입력부(17)에 포함된다.
촬영부(540)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모니터 화면(550)은 촬영될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운로드 버튼(570)은 다운로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고, 업로드 버튼(580)은 업로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5에서, 단말기(10)의 광원부(560)는 file 2 아이템(520)에 빛을 조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모니터 화면(550)의 십자표시(59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십자표시(590)는 광원부(560)의 빛이 조사되는 지점을 나타낸다.
도 5와 같이, file 2 아이템(520)에 십자표시(590)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운로드 버튼(570)을 누르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file 2 아이템(520)에 대응되는 파일인 file 2를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기(10)의 광원부(560)의 빛이 조사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파일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10)의 촬영부(540)에 의해 촬영되어 모니터 화면(550)에 표시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파일들 중 다운로드 받을 파일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십자표시(590)가 모니터 화면(550)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카메라부(15)의 뷰파인더에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카메라부(15)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파일을 손쉽게 선택 및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할 필요없이 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호간의 연결만으로 원하는 파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는 더욱 빠르게 원하는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부(15)를 이용하여 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업로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업로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서 업로드하고자 하는 위치에 단말기(10)를 접촉시킨다(S610). 그 후에, 사용자는 업로드 명령을 입력한다(S620). 그러면,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호간의 연결을 설정한다(S630). 연결 설정 과정은 도 4의 S430단계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 설정 후에, 단말기(10)는 file 2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40).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업로드 명령을 인식하고(S650), 빛이 조사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폴더(즉, folder 1)를 업로드 대상 폴더로 선택한다(S655).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업로드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응답을 단말기(10)로 전송한다(S660).
그 후에, 단말기(10)는 file 2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665).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file 2를 folder 1에 저장한다(S67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file 2에 대한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한다(S680).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기(10)의 file 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업로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파일을 업로드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을 업로드한 후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 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는 file 1 아이템(710), folder 1 아이템(720) 및 folder 2 아이템(730)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a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folder 1 아이템(720)에 접촉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접촉면에 광원부(1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10)가 접촉된 위치에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folder 1에 광원부(11)의 빛이 조사되는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업로드 대상 폴더가 folder 1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10)의 모니터 화면(750)에 업로드 대상 파일로 file 2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file 2를 folder 1에 대응되는 저장공간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파일이 folder 1에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도 7b와 같이 folder 1 아이템(720) 내에 file 2 아이템(725)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단말기(10)에 저장된 파일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손쉽게 업로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단말기(10)를 접촉시킴으로써, 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만을 설명하였 으나, 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다운로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업로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파일을 업로드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을 업로드한 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 : 광원부 13 : 제1 통신부
15 : 카메라부 17 : 입력부
19 : 제1 제어부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검출부 130 : 제2 통신부
140 : 제2 제어부 150 : 저장부
180 : 외부 서버

Claims (24)

  1.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특정 지점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광원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다운로드 명령 또는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복수개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의 빛이 조사되는 상기 특정지점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외선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조사된 빛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저장공간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주소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가능한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특정 지점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 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다운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다운로드 요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복수개의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업로드 명령이 입력되면, 업로드 요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빛이 조사되는 상기 특정지점은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될 영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빛은,
    적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0.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면에 조사된 빛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빛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의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개의 아이템 중 상기 빛이 조사되는 특정지점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빛이 조사된 특정 지점에 대응되는 저장공간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주소인 경우,
    상기 주소로부터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90003803A 2009-01-16 2009-01-16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50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3803A KR101508272B1 (ko) 2009-01-16 2009-01-16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EP09178014A EP2211253A3 (en) 2009-01-16 2009-12-04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reof
US12/644,819 US20100182229A1 (en) 2009-01-16 2009-12-22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3803A KR101508272B1 (ko) 2009-01-16 2009-01-16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360A true KR20100084360A (ko) 2010-07-26
KR101508272B1 KR101508272B1 (ko) 2015-04-08

Family

ID=4209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3803A KR101508272B1 (ko) 2009-01-16 2009-01-16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82229A1 (ko)
EP (1) EP2211253A3 (ko)
KR (1) KR101508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1022B2 (ja) * 2011-11-24 2013-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動作制御方法
CN103186559A (zh) * 2011-12-28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在播放幻灯片时传输演示文稿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813A (ja) * 2001-02-14 2002-08-30 Sony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EP1276237A1 (en) * 2001-07-12 2003-01-15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0663513B1 (ko) * 2004-03-16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통해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EP1736003A1 (en) * 2004-04-08 2006-1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projectable gui
EP1744475B1 (en) * 2004-05-31 2017-07-26 Casio Computer Co., Ltd. Information reception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EP1897010A1 (en) 2005-06-30 2008-03-12 Nokia Corporation Camera control means to allow operating of a destine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surface of a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8471812B2 (en) * 2005-09-23 2013-06-25 Jesse C. Bunch Pointing and identification device
US8106884B2 (en) * 2006-03-20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inting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using image pattern
JP5045983B2 (ja) * 2006-06-30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08235B2 (ja) * 2006-09-11 2009-08-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共有ホワイトボード履歴再現方法、共有ホワイトボード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194673B2 (ja) 2007-09-26 2013-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及び情報の送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2229A1 (en) 2010-07-22
KR101508272B1 (ko) 2015-04-08
EP2211253A2 (en) 2010-07-28
EP2211253A3 (en)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387B2 (ja) 遠隔操作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210136667A1 (en) Method for enabling smart device to access network, network access method, apparatus and shopping system
US9524412B2 (en) Lighting apparatus,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registering lighting apparatus
JP564866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9888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09101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6035278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80781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4349054A (zh) 摄像装置、摄像方法
US20160295354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8053803A (zh) 显示模组的显示校正方法、显示校正装置和显示校正系统
CN10368639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及程序
KR101508272B1 (ko)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7786770B (zh) 图像形成设备、装置管理系统和在记录材料上形成图像的方法
US20180069975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18349B2 (ja) スマートランプを制御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ES2532590T3 (es) Método de comunicación de datos mediante superficie táctil
US20140351373A1 (en) Method for uploading data to social networking websi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method
JP5921496B2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031799B (zh) 电子装置与其数据传输方法
US2021018511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JP5620457B2 (ja)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方法及び販売支援プログラム
US1099683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JP2017028448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11129A (ko) 표시장치로의 문자입력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갖는 문자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