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347A - 펀치 - Google Patents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347A
KR20100084347A KR1020090003784A KR20090003784A KR20100084347A KR 20100084347 A KR20100084347 A KR 20100084347A KR 1020090003784 A KR1020090003784 A KR 1020090003784A KR 20090003784 A KR20090003784 A KR 20090003784A KR 20100084347 A KR20100084347 A KR 2010008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hole
pin
punc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7799B1 (ko
Inventor
이석부
Original Assignee
이석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부 filed Critical 이석부
Priority to KR102009000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7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들이 흩어지지 않아 구멍을 일정하게 형성하고, 누름판의 연장을 통해 힘을 적게 들여 구멍을 간편하게 천공하며, 일자 형상의 바인더 클립에 문서들을 쉽고 깔끔하게 철할 수 있도록 한 펀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펀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일측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홀 및 누름홀과; 외주면 일부에 고정된 고정링이 지지프레임 내측에 걸려져 가이드홀에 관통 구비되는 누름케이스와; 누름케이스 하단에 형성된 끼움홀에 상단 일부가 걸려져 누름홀에 관통 구비되는 누름핀과; 누름케이스에 내장되어 누름핀을 가압하는 누름스프링과; 고정링과 지지프레임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로 가압 이동된 누름케이스를 복귀 이동시키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누름핀의 가압작용을 통해 문서들을 흐트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 문서들에 일정하게 구멍을 천공할 수 있고, 누름연장판의 연장 설치를 통해 지렛대 효과를 배가시켜 적은 힘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으며, 직사각의 구멍 형성을 통해 바인더의 금속 클립에 쉽고 간편하게 문서를 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펀치, 누름스프링, 누름핀, 누름연장판, 펀칭드릴.

Description

펀치{Punch}
본 발명은 펀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펀치를 통해 천공되는 문서들이 흩어지지 않아 구멍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형성하고, 누름판 길이의 연장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구멍을 쉽고 간편하게 천공하며, 일자 형상의 바인더 클립에 문서들을 쉽고 깔끔하게 철할 수 있도록 한 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펀치는 종이와 같은 각종 문서를 끈이나 바인더 등을 사용하여 철하기 위해 문서 일측에 구멍을 뚫는 기구를 일컫는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펀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받침판(10) 일측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펀칭홀(13)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10) 상면 양측에는 지지프레임(20)을 설치하되, 상기 받침판(10)과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천공하고자 하는 문서가 끼워지는 삽입공간(12)을 조성할 수 있도록 받침판 후방 양측을 돌출 형성하여 이격부(11)를 조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펀칭홀(13)과 대응하는 지지프레임(20)의 내부 위치에 펀칭드릴(21)을 장착하여 삽입공간(12)에 끼워지는 종이를 천공하고, 상기 펀칭드릴(21)에 리턴스프링(22)을 구비하여 천공을 마친 펀칭드릴(21)을 리턴스프링(22) 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 상부 일측에는 누름판(30)을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상기 누름판(30) 내측에는 상기 누름판(30)의 누름 작용시 펀칭드릴(21)이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핀(31)을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10) 일측 또는 양측에는 삽입공간(12)에 끼워지는 문서들을 지지하거나 혹은 문서들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천공시키기 위해 눈금 또는 문서 용지의 크기 등이 표시된 간격조절자(부호 생략)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삽입공간(12)에 천공하고자 하는 문서를 끼운 상태에서 누름판(30)을 하부로 누르게 되면, 가압핀(31)이 펀칭드릴(21)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서 펀칭드릴(21)을 통해 문서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고, 천공된 구멍에 끈이나 바인더의 클립을 끼우게 됨으로써, 문서를 철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종래에 공지된 펀치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194930호 "사무용 펀치"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35728호 "사무용 펀치"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43815호 "사무용 펀치"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53165호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405435호 "북마크용 펀치" 등 펀치와 관련된 다수의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펀치들 모두는 펀칭드릴이 하부로 가압될 때, 삽입공간에 끼워진 문서들이 펀칭드릴의 가압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흔들려 견고한 고정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문서들에 천공된 구멍이 일정하고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펀치들은 누름판의 가압작용에 따른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누름판의 길이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삽입공간에 끼워지는 문서가 두꺼운 경우에는 문서들의 천공 작업이 쉽지 않아 지렛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문서를 천공하는 펀칭드릴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형의 구멍이 천공 형성됨으로써, 일자 형태로 형성된 금속 바인더 클립에 문서를 철하는 경우 문서들을 깔끔하게 철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펀치에 끼워지는 문서들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다량의 문서들에 일정하고 균일하게 구멍을 천공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펀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판 길이의 연장을 통해 지렛대 효과를 배가시켜 구멍을 쉽고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한 펀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펀칭드릴을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일자 형상의 바인더 클립에 쉽고 깔끔하게 철할 수 있도록 한 펀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받침판 상면 양측에 삽입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을 각각 결합하고, 각각의 지지프레임 내부에 펀칭드릴을 구비하며, 지지프레임에 누름판을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누름판의 가압에 의해 가압핀이 펀칭드릴을 눌러 삽입공간에 끼워진 문서들을 천공하는 펀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일측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 및 누름홀과; 외주면 일부에 고정된 고정링이 지지프레임 내측에 걸려져 가이드홀에 관통 구비되는 누름케이스와; 상기 누름케이스 하단에 형성된 끼움홀에 상단 일부가 걸려져 누름홀에 관통 구비되는 누름핀과; 상기 누름케이스에 내장되어 누름핀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누름스프링과; 상기 고정링과 지지프레임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로 가압 이동된 누름케이스를 복귀 이동시키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에는 누름판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누름판연장수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연장수단이, 중앙에 이탈방지홀을 형성하고, 가압핀 일측에 가이드핀을 결합한 누름판과; 상기 가이드핀과 가압핀과 힌지핀 상단에 조성된 공간부에 끼워 슬라이딩 이송하되, 이탈방지홀에 끼워져 이송될 수 있게 이탈방지핀을 장착한 누름연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연장판 상면 양측에 볼홈을 형성하고, 상기 볼홈 내부에 구름 가능하게 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누름판연장수단이, 양측 상면에 슬라이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 중앙에 이탈방지홀을 형성한 누름판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송하되, 이탈방지홀에 끼워질 수 있게 단부에 이탈방지핀을 장착한 누름연장판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끼워진 누름연장판을 커버할 수 있도록 누름판 양측 상면에 결합된 지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면 일부를 절곡하여 삽입공간 내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종이스토퍼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펀칭드릴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누름스프링에 의한 누름핀의 가압작용을 통해 문서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 문서들의 흔들림이나 흐트러짐을 근 본적으로 차단하여 일정하고 균일하게 구멍을 천공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누름판에 누름연장판을 연장 설치하여 지렛대 효과를 배가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문서들에 더욱 쉽고 간편하게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펀칭드릴을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천공되는 구멍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자 형태의 금속 클립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문서를 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펀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받침판(100)과, 지지프레임(200)과, 누름판(300)(300') 및 누름연장판(330)(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4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받침판(100)은 테두리를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하여 하부가 개구된 수용공간(140)을 조성하고, 상기 받침판(100) 하부에는 수용공간(140)을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캡(130)을 결합하여 펀칭드릴(210)을 통해 천공되는 문서조각들을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0) 상면 양측에는 하부펀칭홀(125)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펀칭홀(125)과 근접된 받침판(100) 선단의 상면 양측에는 이격부재(110)를 고정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00)과 사이에 문서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간(120)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100) 일측 또는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간격조절 자(150)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절자(150) 표면에 길이가 표시된 눈금이나 종이의 규격을 표시하여 삽입공간(120)에 끼워지는 문서를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양측 이격부재(110) 상면에는 고정구(280)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200)을 각각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구(280)는 각각의 지지프레임(200) 내부 양측이나 전, 후에 각각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지지프레임(20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280)를 적어도 3개 이상 즉, 좌, 우 양측과 후방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200) 하면 중앙 일부를 하부를 향하여 절곡하여 종이스토퍼(270)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 형성된 종이스토퍼(270)는 삽입공간(120) 내측면 중 후방 단부에 근접 위치시킨다. 즉, 이격부재(110) 전면에 절곡 형성된 종이스토퍼(270)를 위치시키므로, 삽입공간(120)에 문서들을 삽입하는 경우, 지지프레임(200)과 이격부재(110) 사이의 틈으로 문서들이 끼워지게 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삽입공간(120)에 끼워지는 문서들이 수직 형태로 형성된 종이스토퍼(270) 일면에 접촉되어 문서를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도 4b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0) 상면 일부에는 가이드홀(21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0) 하면 일부에 상부펀칭홀(216)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홀(214)과 상부펀칭홀(216)에 펀칭드릴(210)을 관통 구비하여 상기 펀칭드릴(210)을 상, 하로 이동시킨다.
또, 상기 펀칭드릴(210) 중간 일부에는 고정링(212)을 고정시켜, 상기 고정링(212)이 가이드홀(214) 하단 내측면에 걸려질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 링(212) 하면과 상부펀칭홀(216) 상면 테두리 사이에는 하부로 이동된 펀칭드릴(210)을 상부로 복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턴스프링(220)을 장착 구비한다.
여기서, 도 7과 같이 상기 펀칭드릴(210)은 문서에 천공되는 구멍이 직사각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통상의 바인더에 구비된 일자 형태의 클립에 문서를 용이하게 철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펀칭드릴(210)이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도 6과 같이 펀칭드릴(210)이 관통되는 상부펀칭홀(216)과 하부펀칭홀(125) 역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지지프레임(2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펀칭드릴(210) 일측에는 삽입공간(120)에 끼워진 문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더 마련한다.
도 4a와 도 4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펀칭드릴(210) 일측에 위치한 지지프레임(200) 상면 일부에 가이드홀(234)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234) 직하방에 위치한 지지프레임(200) 하면 일부에 누름홀(23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234)에 끼워져 상, 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누름케이스(230)를 관통 구비하고, 상기 누름케이스(230) 외주면 중간 일부에는 고정링(232)을 고정시켜 상기 고정링(232)이 가이드홀(234) 하단 내측면 테두리에 걸려질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고정링(232) 하면과 누름홀(236) 상면 테두리 사이에는 하부로 이동된 누름케이스(230)를 상부로 복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턴스프링(260)을 장착 구비한다.
또한, 상기 누름케이스(230) 하단에는 끼움홀(238)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 홀(238) 하단에는 누름핀(240)의 상단 일부가 걸려지게 구성하되, 상기 누름핀(240)의 하단부는 누름케이스(230)에 끼워져 상, 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구비하며, 상기 누름케이스(230) 내부에는 누름스프링(250)을 내장 구비하여 하단의 누름핀(240)을 하방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구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양측 지지프레임(200) 상단 일측에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누름판(300)(300')을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360)에 의해 축 결합하고, 상기 누름판(300)(300') 양 내측에는 상기한 펀칭드릴(210)과 누름케이스(230)의 상단을 하부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핀(37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300)(300')에는 상기 누름판(300)(30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연장하여 지렛대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누름판연장수단을 구비한다.
상기한 누름판연장수단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 8 내지 도 1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되는 누름연장판(3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누름판(300) 상단 전방을 개방 형성하고, 상기 누름판(300) 중앙에는 전, 후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방지홀(320)을 형성하며, 양측 가압핀(370)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핀(380)을 각각 결합하여 가이드핀(380)과 가압핀(370)과 힌지핀(360) 상단으로 소정의 공간부를 조성한다.
즉, 상기 가이드핀(380)과 가압핀(370)과 힌지핀(360)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 누름판(300)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한 가이드핀(380), 가압핀(370), 힌지핀(370) 상단과 누름판(300) 저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를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380)과 가압핀(370)과 힌지핀(360) 상단의 공간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ㄷ' 형상으로 누름연장판(330)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연장판(330) 중앙에는 상기 이탈방지홀(320)에 끼워져 이탈방지홀(320)의 구간만큼만 이송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핀(340)을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300) 상면 양측에는 전, 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볼홈(332)을 각각 함몰 형성하고, 상기 볼홈(332)에는 볼(334)을 내장 구비하여 누름판(300) 상부에 구비되는 누름연장판(330)이 볼(334)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볼홈(332)은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하나, 누름연장판(3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 특성으로 인해 누름연장판(330)의 휘어짐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대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12 내지 도 14b는 상기한 누름판연장수단의 제2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슬라이딩홈(310')을 각각 함몰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310') 중앙에는 슬라이딩홈(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탈방지홀(3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31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ㄷ' 형상의 누름연장판(330')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연장판(330') 양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홀(320')에 끼워져 이송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핀(340')을 각각 장착한다.
또한, 상기 누름연장판(330')과 함께 슬라이딩홈(310')을 상면에서 커버함과 아울러 누름판(300')에 안착된 누름연장판(3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판(30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홈(310') 상면 테두리에 지지커버(35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펀치를 사용하여 철하기 위한 문서들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받침판(100)과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조성된 삽입공간(120) 내부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문서들을 끼운다.
그리고, 삽입된 문서들이 얇은 경우에는 누름판(300)(300') 가압을 통해 문서를 천공하게 되나, 삽입된 문서들이 두꺼운 경우에는 도 10b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누름판연장수단을 통해 누름판(300)(300')에 끼워진 누름연장판(330)(330')을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누름연장판(330)(330')을 길게 빼내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연장판(330)(330')에는 이탈방지핀(340)(340')이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핀(340)(340')은 이탈방지홀(320)(320')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누름연장판(330)(330')이 누름판(300)(300')과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b에서 도시한 제1실시예의 경우 가이드핀(380)과, 가압핀(370)과, 힌지핀(360)은 누름연장판(330)의 연장 조작에 따라 누름연장판(330)의 연장 이송을 가이드함은 물론, 하부에서 누름연장판(3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누름판(300)과 누름연장판(330) 사이에 구름 가능하게 볼(334)을 구비함으로써, 누름연장판(330)이 더욱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 후, 연장 구비된 누름연장판(330)을 가압하게 되면, 도 4a 및 도 4b에 도 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300) 내측에 장착된 가압핀(370)이 펀칭드릴(210)과 누름케이스(230)의 상단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는데, 펀칭드릴(210)이 문서에 닿기 전에 누름케이스(230) 하단에 구비된 누름핀(240)이 누름케이스(230)에 내장된 누름스프링(250)의 탄성에 의해 문서들을 하방으로 눌러 문서들이 흐뜨러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누름연장판(330)의 계속적인 가압작용에 의해 펀칭드릴(210) 하단의 날 부분이 문서에 닿게 되고, 더욱 강한 가압력이 가해지면서 펀칭드릴(210)을 통해 문서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천공된 문서 조각들은 하부 수용공간(140) 내부에 떨어지게 되어 간단히 수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문서 천공 작업을 마치게 되면, 가압하고 있던 누름연장판(330)에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가압핀(370)과 함께 펀칭드릴(210)과 누름케이스(23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누름연장판(330)의 가압을 통해 하부로 이동된 펀칭드릴(210)과 누름케이스(230)는 지지프레임(200)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리턴스프링(220)(260)의 탄성 작용을 통해 이동 전 상부 위치로 복귀 이동되고, 반복적으로 문서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펀치는 펀칭드릴(210)에 의한 문서들의 천공 형성 이 전에, 누름스프링(250)에 의한 누름핀(240)의 가압작용을 통해 문서들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문서 천공시 발생하는 문서들의 흔들림이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문서들에 구멍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뚫게 되어 문서들을 더욱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펀치는 누름판(300)(300')에 누름연장판(330)(330')을 연장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지렛대 효과를 배가시켜 문서들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쉽고 간편하게 문서들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펀치는 펀칭드릴(210)을 직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천공되는 구멍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자 형태의 금속 클립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펀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펀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펀치의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펀치의 지지프레임 일부분을 절개하여 펀칭드릴과 누름케이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프레임과 받침판의 결합 구조 및 종이스토퍼 형상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지지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펀칭드릴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누름판연장수단의 제1실시예의 결합 전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누름판과 누름연장판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단면도,
도 10a, 10b는 도 8에 도시한 누름연장판의 연장 조작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한 이탈방지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누름판연장수단의 제2실시예를 적용한 펀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누름판연장수단의 제2실시예의 결합 전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4a, 14b는 도 12에 도시한 누름연장판의 연장 조작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받침판 110 : 이격부재
120 : 삽입공간 125 : 하부펀칭홀
130 : 캡 140 : 수용공간
200 : 지지프레임 210 : 펀칭드릴
212 : 고정링 214 : 가이드홀
216 : 상부펀칭홀 220 : 리턴스프링
230 : 누름케이스 232 : 고정링
234 : 가이드홀 236 : 누름홀
238 : 끼움홀 240 : 누름핀
250 : 누름스프링 260 : 리턴스프링
270 : 종이스토퍼 280 : 고정구
300, 300' : 누름판 310' : 슬라이딩홈
320, 320' : 이탈방지홀 330, 330' : 누름연장판
332 : 볼홈 334 : 볼
340, 340' : 이탈방지핀 350 : 지지커버
360 : 힌지핀 370 : 가압핀
380 : 가이드핀

Claims (7)

  1. 받침판 상면 양측에 삽입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을 각각 결합하고, 각각의 지지프레임 내부에 펀칭드릴을 구비하며, 지지프레임에 누름판을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누름판의 가압에 의해 가압핀이 펀칭드릴을 눌러 삽입공간에 끼워진 문서들을 천공하는 펀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200) 일측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234) 및 누름홀(236)과;
    외주면 일부에 고정된 고정링(232)이 지지프레임(200) 내측에 걸려져 가이드홀(234)에 관통 구비되는 누름케이스(230)와;
    상기 누름케이스(230) 하단에 형성된 끼움홀(238)에 상단 일부가 걸려져 누름홀(236)에 관통 구비되는 누름핀(240)과;
    상기 누름케이스(230)에 내장되어 누름핀(24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누름스프링(250)과;
    상기 고정링(232)과 지지프레임(200)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로 가압 이동된 누름케이스(230)를 복귀 이동시키는 리턴스프링(2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300)에는 누름판(300)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누름판연장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연장수단이,
    중앙에 이탈방지홀(320)을 형성하고, 가압핀(370) 일측에 가이드핀(380)을 결합한 누름판(300)과;
    상기 가이드핀(380)과 가압핀(370)과 힌지핀(360) 상단에 조성된 공간부에 끼워 슬라이딩 이송하되, 이탈방지홀(320)에 끼워져 이송될 수 있게 이탈방지핀(340)을 장착한 누름연장판(3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연장판(330) 상면 양측에 볼홈(332)을 형성하고, 상기 볼홈(332) 내부에 구름 가능하게 볼(33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연장수단이,
    양측 상면에 슬라이딩홈(31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310') 중앙에 이탈방지홀(320')을 형성한 누름판(300')과;
    상기 슬라이딩홈(31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송하되, 이탈방지홀(320')에 끼워질 수 있게 단부에 이탈방지핀(340')을 장착한 누름연장판(330')과;
    상기 슬라이딩홈(310')에 끼워진 누름연장판(330')을 커버할 수 있도록 누름판(300') 양측 상면에 결합된 지지커버(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하면 일부를 절곡하여 삽입공간(120) 내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종이스토퍼(27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드릴(210)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KR1020090003784A 2009-01-16 2009-01-16 펀치 KR101037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84A KR101037799B1 (ko) 2009-01-16 2009-01-16 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84A KR101037799B1 (ko) 2009-01-16 2009-01-16 펀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347A true KR20100084347A (ko) 2010-07-26
KR101037799B1 KR101037799B1 (ko) 2011-05-27

Family

ID=4264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784A KR101037799B1 (ko) 2009-01-16 2009-01-16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2334A (zh) * 2014-09-01 2014-12-10 川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烟用平张包装膜的手动切口装置
US8984998B2 (en) 2013-05-20 2015-03-24 Yong-Woo Lee Automatic electric punch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396U (ja) * 1982-01-30 1983-08-10 三菱鉛筆株式会社 綴込孔穿孔機
JPH0624898U (ja) * 1992-08-27 1994-04-05 ぺんてる株式会社 安全機構付き穿孔機
JP2001157995A (ja) * 1999-11-29 2001-06-12 Shinichi Sato ミラー付き穿孔器
KR100534695B1 (ko) * 2003-05-29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포터블 천공 펀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4998B2 (en) 2013-05-20 2015-03-24 Yong-Woo Lee Automatic electric punching apparatus
CN104192334A (zh) * 2014-09-01 2014-12-10 川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烟用平张包装膜的手动切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799B1 (ko) 201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354B2 (en) Plate clip with open handle
JP3546240B2 (ja) 機械式の書類綴じ装置
KR101037799B1 (ko) 펀치
KR960003989A (ko) 링바인더 (ring binder)용으로 구멍을 뚫고 또한 바인드(bind)할 수 있는 도구
KR100877333B1 (ko) 사무용 펀치
KR100907211B1 (ko) 천공거리조절용 받침대를 구비한 펀치
JP5864825B2 (ja) 結束および穿孔組合せアセンブリ
CN102649281B (zh) 具有减压结构的办公用打孔器
CN209240188U (zh) 一种票据整理用打孔器
KR20130055138A (ko) 고정구를 구비한 집게
KR101404483B1 (ko) 천공용 펀치
KR200389767Y1 (ko) 사무용 펀치
KR20200039546A (ko) 클립끼움형 바인더
KR200347477Y1 (ko) 스테플러
US20120039664A1 (en) Binder having structure for punching document
KR200369077Y1 (ko) 펀치 겸용 클립보오드
KR200304446Y1 (ko) 스테플러
TW200631815A (en) Clip binding device with punch
KR200389773Y1 (ko) 사무용 펀치
CN2915423Y (zh) 线圈装订机压刀片限位卡子
KR20100069022A (ko) 펀치의 펀치날
KR200388594Y1 (ko) 날클립 디스펜서가 설치된 호치키스
CN202368104U (zh) 装订机构和卷夹
JP3032024U (ja) 穴開綴込器
US2211517A (en) Post b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