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954A -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 - Google Patents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954A
KR20100083954A KR1020090003302A KR20090003302A KR20100083954A KR 20100083954 A KR20100083954 A KR 20100083954A KR 1020090003302 A KR1020090003302 A KR 1020090003302A KR 20090003302 A KR20090003302 A KR 20090003302A KR 20100083954 A KR20100083954 A KR 2010008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etching
edge
etched
chemical mo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950B1 (ko
Inventor
최원묵
홍병희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50B1/ko
Priority to US12/576,061 priority patent/US8398876B2/en
Publication of KR2010008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954A/ko
Priority to US13/766,876 priority patent/US99882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01B32/186Preparation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3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02Mono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125Monohydroxylic acyclic alcohols containing five to twenty-two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0Di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02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2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04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12Ketones containing more than one keto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3/00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hydrogen
    • C07C53/126Acid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 C07C53/128Acid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the carboxylic group being bound to a carbon atom bound to at least two other carbon atoms, e.g. neo-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2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04Specific amount of layers or specific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4/00Structure or properties of graphene
    • C01B2204/20Graphene characterized by its properties
    • C01B2204/32Size or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0Self-sustaining carbon mass or layer with impregnant or oth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그라펜 에지를 드라이 에칭한 후 에칭된 부분에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이 수산화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용액을 접촉하여 처리하면 해당 에지 부분에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다. 그라펜 에지에 작용기를 도입함으로써 그라펜의 전기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전기적 성질이 변화된 그라펜은 센서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소자에 응용될 수 있다.
그라펜 에지, 화학적 변형, 드라이 에칭, 작용기, 물, 알코올, 전기적 성질

Description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Method for modifying graphene edge and graphene obtained thereby}
본 명세서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래파이트(graphite)는 탄소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연결된 판상의 2차원 그라펜(graphene)이 적층 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라펜은 기존의 물질과 다른 매우 유용한 특성을 가진다. 그 중 주목할만한 특징으로는 그라펜에서 전자가 이동할 경우 마치 전자의 질량이 제로인 것처럼 흐른다는 것이다. 이는 전자가 진공 중의 빛이 이동하는 속도, 즉 광속으로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그라펜의 전자 이동도는 약 20,000 내지 50,000cm2/Vs이다. 그라펜은 전자와 정공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반정수 양자 홀 효과(half-integer quantum hall effect)를 가진다.
또한, 그라펜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두께의 그라펜의 결정 방향성에 따라서 전기적 특성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 방향으로의 전기적 특성을 발현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쉽게 소자를 디자인할 수 있다. 이러한 그라펜의 전기적 특성은 키랄성 및 직경에 따라 금속성 및 반도체성의 전기적 특성이 달라지는 탄소나노튜브(CNT)와 대비될 수 있다. CNT의 경우 특정 반도체 성질 및 금속 성질을 이용하기 위하여 해당 CNT를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은 어렵다. 또한, 그라펜은 합성 후 정제를 거치는 CNT와 대비하여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그라펜은 탄소계 전기 또는 전자기 소자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라펜 에지에 작용기를 도입하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지는 그라펜 및 이를 이용하는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그라펜의 에지 부분을 드라이 에칭하고, 에칭된 그라펜의 에지에 작용기를 도입하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따라 얻어지는 그라펜 및 이를 이용하는 소자를 제공한다.
그라펜 에지에 작용기를 도입함으로써 전기적 성질이 변화된 그라펜을 제조할 수 있다. 전기적 성질이 변화된 그라펜은 센서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소자에 응용될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라펜의 에지(edge)란 탄소환으로 이루어진 그라펜의 측면 말단부를 의미한다.
그라펜을 에지 부분에서 에칭한 후, 에칭된 그라펜 에지 부분에 작용기를 도입하여 화학적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에 의하여 전기적 성질이 화학적 변형 수행 전과 다르게 변화된 그라펜을 제조할 수 있다. 전기적 성질이 변화된 그라펜은 센서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등의 각종 소자 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그라펜의 에지 부분을 드라이 에칭하고, 에칭된 그라펜을 수산화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용액에 접촉시킴으로써 그라펜 에지에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e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사용하는 그라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에칭을 수행하기 위한 그라펜(10)을 준비한다.
그라펜(10)은 복수 개의 탄소 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통상 sp2 결합)으로 연결되어 폴리시클릭 방향족 분자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탄소원자들은 기본 반복단위로서 6원환을 형성하지만, 5원환 및/또는 7원환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라펜 내에 포함될 수 있는 5원환 및/또는 7원환의 함량에 따라 그라펜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라펜의 에지(11) 즉, 측면의 말단부는 일반적으로 수소 원자로 포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구현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라펜의 에지를 에칭한 후 에칭된 그라펜을 수산화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용액에 접촉시킴으로써 그라펜의 에지에 작용기를 도입하는 화학적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그라펜은 시트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그라펜 시트는 횡방향 및 종방향 길이가 1mm 이상 1,000m에 이르는 대면적의 그라펜 시트일 수 있다. 또한, 결함이 거의 없는 균질한 구조를 가지는 그라펜 시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그라펜 시트는 그라펜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이들이 여러 개 적층 됨으로써 복수 층(최대 300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사용하는 그라펜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탄소화 촉매 상에서 그라펜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대면적의 그라펜 시트를 얻는데 적합하다.
탄소화 촉매 막 상에서 그라펜을 형성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한 방법들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탄소화 촉매 막의 존재 하에 기상 탄소 공급원을 투입하고 열처리함으로써 그라펜을 성장시키는 화학 기상 증착(CVD)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화 촉매 (예를 들어, Ni, Co, Fe, Pt, Au, Al, Cr, Cu, Mg, Mn, Mo, Rh, Si, Ta, Ti, W, U, V, Zr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소화 촉매)를 막의 형태로 형성한 후 이를 챔버에 넣고 일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에탄올, 아세틸렌, 프로판, 부탄, 부타디엔, 펜탄, 펜텐, 사이클로펜타디엔, 헥산, 사이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등과 같은 탄소 공급원을 예컨대 약 5 내지 1000 sccm, 특히 약 10 내지 500 sccm으로, 선택적으로 질소, 헬륨,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 기체의 존재하에 기상으로 투입하면서 예컨대 300 내지 2000℃의 온도로 열처리하면 상기 탄소 공급원에 존재하는 탄소 성분들이 결합하여 6각형의 판상 구조를 형성하면서 그라펜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냉각하면 균일한 배열 상태를 가지 는 그라펜 시트가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탄소화 촉매와 액상 탄소계 물질을 접촉시킨 후, 예비 열처리에 의해 액상 탄소계 물질로부터 분해된 탄소가 탄소화 촉매 내부에 침투하는 이른바 침탄 공정을 통하여 탄소화 촉매 막 상에서 그라펜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화 촉매와 액상 탄소계 물질의 접촉 공정은 침지 등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상 탄소계 물질로서는 유기 용매를 예로 들 수 있으며, 탄소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화 촉매에 의하여 열 분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액상 탄소계 물질로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끓는점이 60 내지 400℃인 극성 또는 비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용매로서는 알코올계 유기용매, 에테르계 유기 용매, 케톤계 유기용매, 에스테르계 유기용매, 유기산 유기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소화 금속 촉매와의 흡착이 용이하고, 반응성이 좋으며, 환원력이 우수하다는 측면에서 알코올계 및 에테르계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 탄소계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비 열처리 과정에 의해 침탄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예비 열처리 과정에 의해 액상 탄소계 물질은 탄소화 촉매에 의해 열분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분해를 위한 상기 예비 열처리 과정은 액상 탄소계 물질과 촉매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반 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외에, 탄소화 촉매와 탄소 함유 폴리머를 접촉시켜 그라펜을 형성시키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소 함유 폴리머로서는 일반적인 탄소 함유 폴리머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자기 조립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촉매 표면에 자기 조립 폴리머가 수직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하기 때문에 밀도가 높은 그라펜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조립막을 형성하는 자기 조립 폴리머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양친매성 폴리머, 액정 폴리머 및 전도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기 조립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그라펜을 준비한 후 드라이 에칭을 수행한다.
에칭 수행 시 그라펜의 에지만을 에칭하기 위하여 에칭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에칭 마스크로 그라펜을 선택적으로 커버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펜(10)의 소정 부분을 에칭 마스크(20)로 커버하고 이를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기 위한 에칭 챔버에 놓은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은 플라즈마 에칭 등의 드라이 에칭을 수행함으로써 그라펜(10)의 에지(11) 부분에서만 에칭을 수행할 수 있다.
드라이 에칭은 플라즈마의 활성종인 라디칼, 이온을 이용하는 에칭이나 이온, 전자 빔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또는 물리적 및 화학적 에칭 방법이다. 드라이 에칭 방법은 크게 이온 빔이나 전자 빔을 조사하는 물리적 에칭 방법과 화학적 반응을 수반하는 반응 에칭(reactive etch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반응 에칭에는 플라즈마 에칭과 같은 화학적 에칭 방법뿐만 아니라 반응 이온 에칭(RIE)과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에칭을 함께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드라이 에칭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에칭 방법, 산소를 반응 가스로 사용하는 반응 이온 에칭(RIE) 방법, UV 오존을 이용한 에칭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소를 에칭 가스로 사용하는 경우 오존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그라펜의 노출 시간이 적게 소요될 수 있다. 산소나 오존 외에도 할로겐과 같은 다른 에칭 가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노출 시간의 측면에서 산소나 오존을 이용하면 노출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는 조건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산소나 오존을 사용하는 경우 기압 20~150 mmTorr 하에서 산소 또는 오존 가스 10~50 sccm에 노출시킨다. 여기서, 전력은 20~100 W로 가하고, 노출 시간은 10~200 초로 할 수 있다. 노출 시간은 상기 범위에서 그라펜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드라이 에칭을 수행한 후의 그라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에칭의 결과 마스크(20)로 커버되지 않은 부분이 에칭되어 제거되고 마스크(20)로 커버된 부분 중에 양 끝단 부분 즉 그라펜의 양측 에지(11)가 에칭에 의하여 절단된다.
도 1d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마스크를 제거한 후 에칭이 수행된 그라펜을 수산화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용액에 접촉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칭이 수행된 그라펜에서 마스크를 제거하면 에지에서 절단된 예컨대 리본 형상을 가지는 그라펜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그라펜 리본을 수산화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용액(30)에 접촉시키면 그라펜 에지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되고 이에 따라 그라펜은 에지 부분에서 화학적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용액(30)은 그라펜 에지에 수산화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비제한적인 예시로서,물 또는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e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에지 부분에 작용기가 도입된 그라펜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에지 부분의 확대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1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지 부분에는 작용기(12)가 도입되어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그라펜 에지에 도입된 작용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에칭된 그라펜 에지는 수산화 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C=O, -COOH, -C-OH, -CH=O, -COO-, -COOR 등과 같이 다양한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된 작용기 중 -C=O가 가장 많이 존재하며, 그 다음 -COOH, -C-OH, -CH=O, -COO-, -COOR (R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로서, 예컨대 CH3, C2H5 등이다) 순서로 많이 존재하게 된다.
위와 같이 그라펜의 에지 부분에서 화학적 변형을 수행하였으므로 그라펜의 전기적 성질은 원래의 그라펜의 전기적 성질과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 여 그라펜의 금속 또는 반도체성 특성, 저항, 밴드갭, 일함수 등의 전기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적 성질이 변화된 그라펜은 센서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등의 다양한 소자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예시적인 구현예 중 하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그라펜에 에칭 및 에지에 작용기 도입 처리를 모두 수행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와 에칭만을 수행한 경우(비교예 2)를 에칭 및 작용기 도입 처리를 수행한 경우(실시예)와 대비하였다.
먼저 그라펜 시트를 준비하였다(도 1a 참조). 그라펜 시트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5 cm X 5 cm의 크기를 갖는 실리콘 기판 위에 SiO2 300nm 두께, Ni 300nm 두께로 순차적으로 코팅시키고, 이 기판을 quartz 튜브관의 로에 장입하였다. 먼저 Ni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1100℃에서 H2/Ar=100/200sccm으로 1시간 흘려 주었다. 그 다음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CH4/H2/Ar=50/65/200sccm으로 20분간 흘려주었다. 이후 Ar=200sccm으로 흘려주면서 10℃/초의 속도로 냉각하였다. 이와 같은 CVD 방법으로 Ni 촉매 위에 그라펜 시트를 형성시켰다. 여기에서 얻은 샘플을 Si/SiO2/Ni/그라펜 시트로 표현한다. 상기 Si/SiO2/Ni/그라펜 시트 샘플을 FeCl3 1M 수용액에 담그어 Ni을 에칭시킨 후 FeCl3 수용액 위로 떠오른 그라펜 시 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그라펜 시트 중 이후의 에칭 및 에지의 화학적 변형 과정을 추가 수행하지 않는 그라펜 시트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이 그라펜 시트에 에칭 마스크를 올려놓은 후(도 1b 참조), 산소 플라즈마 에칭을 수행하였다. 챔버에 상기 에칭 마스크가 올려진 그라펜 시트를 놓은 후 기압 50mmTorr하에서 산소 가스 20 sccm에 노출시켰다. 전력 30W를 인가하고 노출 시간은 30초로 하여 에칭을 수행하였다.
에칭 후, 그라펜 상에 놓여진 마스크를 제거하여 에지가 에칭된 그라펜 리본을 얻었다(도 1c 참조). 얻어진 그라펜 중 이후의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을 수행하지 않는 그라펜을 비교예 2로 하였다.
상기 그라펜 리본을 밀폐된 공간에 놓고 수증기를 공급해 주는 방식으로 에지 부분에 물을 접촉시켜 에지에 화학적 변형이 수행된 실시예의 그라펜을 얻었다(도 1d 및 1e 참조).
[FT-IR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의 그라펜에 대하여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하였다.
도 3은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그라펜에 대하여 FT-IR 분석한 그래프이다. 해당 그라펜에서 X축은 파수(wavenumber)[단위: cm-1] 를 나타내고 Y축은 투과도(transmittance)[단위 : 임의 단위(arb. unit)]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아무런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에칭만 처 리를 한 경우(비교예 2)와 달리, 작용기를 도입하기 위한 물 접촉 처리가 수행된 경우에는 에지 부분에 다양한 작용기가 도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그라펜의 FT-IR 분석 결과, C-H 결합 이외에, O-H [파수 약 3770, 3771 cm-1], 카르복실릭(carboxylic) O-H [파수 약 2909 cm-1], 카르복실릭 C=0 (파수 약 1711 cm-1], 무수(anhydride) C=O [파수 약 1800 cm-1], C=O 또는 카르복실레이트(carboxylate) C=O(즉, -COO-)를 가지는 C-C (파수 약 1595 cm-1) 와 같이 에지 부분에서 다양한 작용 그룹(functional group)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첨부 도면이나 상기 설명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며, 또한,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 내지 1e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화학적 변형된 그라펜 에지를 화학 구조 식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에지 부분에 작용기를 도입한 그라펜을 FT-IR 분석한 그래프이다. 해당 그라펜에서 X축은 파수(cm-1) 를 나타내고 Y축은 투과도(임의 단위)를 나타낸다.

Claims (12)

  1. 그라펜의 에지 부분을 드라이 에칭하고,
    에칭된 그라펜의 에지에 작용기를 도입하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된 그라펜을 수산화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용액에 접촉시키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물 또는 알코올인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에칭 방법으로서 물리적 드라이 에칭 방법 또는 물리적 및 화학적 드라이 에칭 방법을 사용하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 방법으로서 산소 플라즈마 에칭 방법, 산소 반응 이온 에칭 방법 또는 UV 오존 에칭 방법을 사용하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에칭 마스크로 그라펜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단계;
    에칭 마스크가 형성된 그라펜을 드라이 에칭한 후 에칭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에칭 마스크가 제거된 그라펜을 물 또는 알코올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는 -C=O, -COOH, -C-OH, -CH=O, -COO-, 또는 -COOR (R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이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8. 에지 부분이 에칭된 그라펜으로서, 상기 에지 부분에는 작용기가 도입된 그라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부분은 수산화 이온과의 접촉에 의하여 작용기가 도입된 그라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펜은 복수 개의 탄소 원자들이 서로 공유 결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시클릭 방향족 분자로 이루어진 그라펜 시트이고, 상기 그라펜 시트는 두께가 1층 내지 300 층이고, 횡방향 및 종방향 길이가 1mm 이상 1,000m인 그라펜.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는 -C=O, -COOH, -C-OH, -CH=O, -COO-, 또는 -COOR (R은 탄소수 1~6개의 알킬기이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그라펜.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그라펜을 이용한 소자.
KR1020090003302A 2009-01-15 2009-01-15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 KR10168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302A KR101681950B1 (ko) 2009-01-15 2009-01-15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
US12/576,061 US8398876B2 (en) 2009-01-15 2009-10-08 Method for chemical modification of a graphene edge, graphene with a chemically modified edge and devices including the graphene
US13/766,876 US9988274B2 (en) 2009-01-15 2013-02-14 Method for chemical modification of a graphene edge, graphene with a chemically modified edge and devices including the graphe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302A KR101681950B1 (ko) 2009-01-15 2009-01-15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954A true KR20100083954A (ko) 2010-07-23
KR101681950B1 KR101681950B1 (ko) 2016-12-05

Family

ID=4231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302A KR101681950B1 (ko) 2009-01-15 2009-01-15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98876B2 (ko)
KR (1) KR1016819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88B1 (ko) * 2009-03-13 2011-01-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 제어 방법
KR20150042409A (ko) * 2013-10-11 2015-04-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50142107A (ko) * 2014-06-10 2015-1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구조물의 제조 방법
CN105399049A (zh) * 2015-12-03 2016-03-16 中山大学 一种二维原子材料的微纳结构及图形化制备方法
KR20170010159A (ko) * 2015-07-15 2017-01-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면적 단층 그래핀 옥사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0529977B2 (en) 2014-08-27 2020-01-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torage battery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torage battery, electronic device, and graphe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3879B2 (en) 2010-02-17 2015-11-24 Baker Hughes Incorporated Nano-coatings for articles
CN101901869A (zh) * 2010-07-20 2010-12-01 复旦大学 基于石墨烯氧化物的电阻型存储器的制备方法
US8609458B2 (en) 2010-12-10 2013-12-1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for producing graphene oxide with tunable gap
US9257509B2 (en) 2010-12-21 2016-02-0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Electrical devices with graphene on boron nitride
US20120202047A1 (en) * 2011-02-07 2012-08-09 Baker Hughes Incorporated Nano-coatings for articles
US9676621B2 (en) 2011-02-18 2017-06-13 Uwm Research Foundation, Inc. Graphene-based field-effect transistor biosensors
WO2013018153A1 (ja) * 2011-07-29 2013-02-07 富士通株式会社 グラフェンナノメッシュ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040013B2 (en) 2011-08-04 2015-05-26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 of preparing functionalized graphene
US9428383B2 (en) 2011-08-19 2016-08-30 Baker Hughes Incorporated Amphiphilic nanoparticl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oil spill using amphiphilic nanoparticle
KR101294223B1 (ko) * 2011-08-22 2013-08-16 한국과학기술원 대면적 그래핀 필름의 제조방법
CN102391546B (zh) * 2011-08-25 2012-12-1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辐照交联促进剂及其制备方法
CN104303320A (zh) * 2011-10-21 2015-01-21 犹他大学研究基金会 均质多带隙装置
US9324634B2 (en) 2011-11-08 2016-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rconnect structure having a graphene-based barrier metal layer
US9441462B2 (en) 2012-01-11 2016-09-13 Baker Hughes Incorporated Nanocomposites for absorption tunable sandscreens
US8979978B2 (en) 2012-01-26 2015-03-1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Graphene membrane with regular angstrom-scale pores
US9156702B2 (en) 2012-07-25 2015-10-1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Graphene membrane repair
US9114423B2 (en) 2012-07-25 2015-08-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Repairing graphene on a porous support
US20150014853A1 (en) * 2013-07-09 2015-01-15 Harper Laboratories, LLC Semiconductor devices comprising edge doped graphen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3601178B (zh) * 2013-11-19 2015-06-17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固体有机酸合成石墨烯的方法
CN104051239A (zh) * 2014-06-26 2014-09-17 重庆墨希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薄膜的图形化方法
CA2956926C (en) 2014-08-01 2023-05-02 Uwm Research Foundation, Inc. Real-time detection of water contaminants
JP2017045726A (ja) 2015-08-27 2017-03-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蓄電池、並びに電子機器
US10514357B2 (en) 2016-03-25 2019-12-24 Honda Motor Co., Ltd. Chemical sensor based on layered nanoribbons
CN110957479A (zh) 2016-07-05 2020-04-0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正极活性物质
CN107611020B (zh) * 2016-07-12 2019-08-23 上海交通大学 利用紫外光氧化实现和调控石墨烯薄膜图案化的方法
US20180076489A1 (en) * 2016-09-12 2018-03-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de and power storage device
KR20190065324A (ko) 2016-10-12 2019-06-1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양극 활물질 입자 및 양극 활물질 입자의 제작 방법
CN106744826B (zh) * 2016-11-22 2018-12-14 长春工业大学 一种基于酯化反应制备大面积少层氧化石墨烯薄膜的方法
CN107082421A (zh) * 2017-04-07 2017-08-22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石墨烯改性材料及制备方法
KR102606545B1 (ko) 2017-05-12 2023-11-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양극 활물질 입자
CN117096337A (zh) 2017-05-19 2023-11-2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锂离子二次电池
KR102529620B1 (ko) 2017-06-26 2023-05-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양극 활물질의 제작 방법 및 이차 전지
US11913901B2 (en) * 2018-01-04 2024-02-27 Lyten, Inc. Analyte sensing device
US11988628B2 (en) * 2018-01-04 2024-05-21 Lyten, Inc. Container including analyte sensing device
US20210181146A1 (en) * 2018-01-04 2021-06-17 Lyten, Inc.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nalytes in packages
KR102443562B1 (ko) * 2020-11-11 2022-09-16 광주과학기술원 그래핀올 화합물 및 그래핀올 합성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2759A1 (en) * 2004-01-21 2008-12-11 Yuegang Zhang End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7694A1 (en) * 1999-07-21 2001-02-01 Hyperion Catalysis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oxidiz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JP3823784B2 (ja) * 2001-09-06 2006-09-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ナノワイヤ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ナノネットワーク、ナノネットワークの製造方法、炭素構造体、電子デバイス
AUPR874201A0 (en) * 2001-11-08 2001-11-29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machine display
JP4483152B2 (ja) 2001-11-27 2010-06-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中空グラフェンシート構造体及び電極構造体とそれら製造方法並びにデバイス
JP2004073651A (ja) * 2002-08-21 2004-03-11 Aruze Corp 遊技機
US20040214637A1 (en) * 2003-03-03 2004-10-28 Nobuyuki Nonaka Gaming machine
US7015142B2 (en) * 2003-06-12 2006-03-2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Patterned thin film graphite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5054896B2 (ja) 2005-03-28 2012-10-24 勝 堀 カーボンナノウォールの処理方法、カーボンナノウォール、カーボンナノウォールデバイス
US20060281306A1 (en) * 2005-06-08 2006-12-14 Florian Gstrein Carbon nanotube interconnect contacts
WO2007011717A2 (en) * 2005-07-15 2007-01-25 Wms Gaming Inc. Wagering game machine with transmissive lcd object blocking
US9991391B2 (en) * 2008-07-25 2018-06-0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Pristine and functionalized graphene materi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2759A1 (en) * 2004-01-21 2008-12-11 Yuegang Zhang End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88B1 (ko) * 2009-03-13 2011-01-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 제어 방법
KR20150042409A (ko) * 2013-10-11 2015-04-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50142107A (ko) * 2014-06-10 2015-1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구조물의 제조 방법
US10529977B2 (en) 2014-08-27 2020-01-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torage battery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torage battery, electronic device, and graphene
US11251415B2 (en) 2014-08-27 2022-02-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torage battery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torage battery, electronic device, and graphene
US11961994B2 (en) 2014-08-27 2024-04-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torage battery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torage battery, electronic device, and graphene
KR20170010159A (ko) * 2015-07-15 2017-01-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면적 단층 그래핀 옥사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399049A (zh) * 2015-12-03 2016-03-16 中山大学 一种二维原子材料的微纳结构及图形化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88274B2 (en) 2018-06-05
US20130157034A1 (en) 2013-06-20
US8398876B2 (en) 2013-03-19
US20100178464A1 (en) 2010-07-15
KR101681950B1 (ko)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950B1 (ko) 그라펜 에지의 화학적 변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그라펜
KR101501599B1 (ko) 그라펜 시트로부터 탄소화 촉매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라펜시트의 전사 방법
Che et al. Selective synthesis and device applications of semiconduct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using isopropyl alcohol as feedstock
Wang et al. A review of graphene synthesisatlow temperatures by CVD methods
Van Khai et al. Influence of N-doping on the structural and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graphene oxide films
Islam et al. Recent Progress in Obtaining Semiconduct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Transistor Applications
Son et al. Low-temperature synthesis of graphen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its applications
Zhuo et al. Transfer-free synthesis of doped and patterned graphene films
Dai et al. High-quality single-layer graphene via reparativ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KR101622306B1 (ko) 그라펜 시트, 이를 포함하는 그라펜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Maitra et al. Strategies for the synthesis of graphene, graphene nanoribbons, nanoscrolls and related materials
Bhaumik et al. Reduced graphene oxide thin films with very large charge carrier mobility using pulsed laser deposition
Zhu et al. Healing of reduced graphene oxide with methane+ hydrogen plasma
KR20090029621A (ko) 그라펜 패턴 및 그의 형성방법
US20090214816A1 (en) Aligned Carbon Nanotube Bulk Structure Having Portions Different in Density,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JP2009298683A (ja) グラフェンシートから炭素化触媒を除去する方法、炭素化触媒が除去されたグラフェンシートを素子に転写する方法、及び該方法によるグラフェンシート及び素子
KR20110014446A (ko) 그라펜 기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9518B1 (ko) 그래핀의 전사 장치 및 전사 방법
Asif et al. Thickness controlled water vapors assisted growth of multilayer graphene by ambient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Heya et al. Graphene oxide film reduction using atomic hydrogen annealing
Nasir et al. Wafer-scale growth of 3D graphene on SiO2 by remote metal catalyst-assisted MOCVD and its application as a NO2 gas sensor
KR101121164B1 (ko) 그래핀 나노리본의 제조방법
Park et al. Growth and properties of chemically modified graphene
US20100092369A1 (en) Method for enhancing growth of carbon nanotubes
Mahmoodi et al. Various temperature effects on the growth of carbon nanotubes (CNTs)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CV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