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036A -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036A
KR20100083036A KR1020090002392A KR20090002392A KR20100083036A KR 20100083036 A KR20100083036 A KR 20100083036A KR 1020090002392 A KR1020090002392 A KR 1020090002392A KR 20090002392 A KR20090002392 A KR 20090002392A KR 20100083036 A KR20100083036 A KR 2010008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put signal
window
key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조장현
김호
김소영
안영경
송민승
안성연
한지영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036A/ko
Priority to US12/685,052 priority patent/US9203947B2/en
Publication of KR2010008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036A/ko
Priority to US14/933,308 priority patent/US953834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94Address books, i.e. directories containing contact information about correspond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키패드 또는 키 맵을 가지는 터치센서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메시지 작성창을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된 쿼티 키를 메시지 작성창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메시지 작성창 생성 시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도록 조정하여 생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메시지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키패드, 키맵, 쿼티, 메시지 서비스,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Message Service Support Method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쿼티 키 입력여부에 따라 메시지 작성창을 개설하고, 이때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도록 메시지 작성창을 조정하여 보다 편리한 메시지 작성을 지원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기능 중 현재 가장 일반적이며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서비스로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이 있다. 메시지 서비스 기능은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메시지를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이다.
그런데, 종래 메시지 서비스 기능은 이용 빈도에 비하여 매우 불편함 사용상의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뉴에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선택하고,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해야 하며, 활성화된 메시지 작성창에 메시지를 작성한 이후, 해당 메시지를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상술한 각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빠른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받기가 어렵고, 과정 반복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메시지 작성을 보다 편하고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메시지 서비스에 속하는 다양한 추가 기능들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 상기 키 입력 신호 생성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 및 터치 이벤트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키 입력 신호 생성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키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와, 터치 이벤트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를 검출하는 슬라이드 센서;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생성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키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에서 키패드 또는 키 맵을 쿼티 키패드 또는 쿼티 키 맵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쿼티 키패드 및 쿼티 키 맵뿐만 아니라, 다른 키패드 또는 키 맵 예를 들면 3*4 키패드나 키 맵, 4*3 키패드나 키 맵 등도 적용 가능하며, 다른 형태의 키패드 또는 키 맵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슬라이드 센서(140), 표시부(150), 저장부(170), 카메라(18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를 슬라이드 센서(140)가 마련된 타입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바(Bar)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 센서(14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50)의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로 대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가 터치 센서로 대체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쿼 티 키 맵을 저장하고 있다가 특정 동작에 따라 표시부(150)에 출력하여 쿼티 키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에 따른 쿼티 키패드를 가지는 입력부(120)가 노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도 표시부(150)에 터치 센서를 마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쿼티 키 맵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표시부(150)에 출력하여 표시부(150)를 입력부 기능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부(120)에 마련된 쿼티 키패드로부터 키입력이 발생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171)을 참조하여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을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활용 중에도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기능과 연계하여 보다 용이한 메시지 편집 및 메시지 서비스 기능 이용이 가능하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데이터 전송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채널은 작성된 메시지 서비스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형성되었다가,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수신이 완료되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활성화된 메시지 서비스 기능에서의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슬라이드 동작 상태에 따른 동작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슬라이드 동작 상태에 따라 실행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를 알리는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센서(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1 조립체와 제2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슬라이드 센서(140)는 제1 조립체와 제2 조립체 사이에 스위치 형태의 기구적 구조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 센서(140)는 제1 조립체가 제2 조립체의 전면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경우, 스위치가 턴-온 되어 슬라이딩 개방 상태에 대하여 센싱하고, 제1 조립체의 배면이 제2 조립체의 전면과 대면되는 구조에서는 스위치가 턴-오프 되어 슬라이딩 결합 상태에 대하여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센서(140)는 제2 조립체의 전면 일측에 광센서 등으로 배치되어 제1 조립체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광의 수신여부를 기준으로 슬라이이딩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슬라이드 센서(140)는 제1 조립체와 제2 조립체의 슬라이딩 동작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 중인 상태에서, 입력부(120)의 쿼티 키패드로부터 쿼티 키 입력이 발생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가 발생하면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환경을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150)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50)의 터치스크린 지원에 따라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쿼티 키 맵을 저장할 수 있으며, 쿼티 키 맵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생성 및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에 따라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쿼티 키 맵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위하여 상기 표시부(150)는 일측에 터치가 가능한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슬라이드 센서(140)로부터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쿼티 키 맵을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슬라이드 센서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저장된 다양한 파일들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고,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항목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슬라이드 센서(140)를 운용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터치스크린에 포함된 터치센서를 운용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173), 카메라 운용을 위한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카메라.App)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환경 지원을 수행한다.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 활성화에 따른 화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표시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기능 테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기능 테이블은 쿼티 키패드 또는 쿼티 키 맵에 의해 발생하는 쿼티 키 입력 또는 휴대 단말기(1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 발생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 운용 제어를 정의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테이블은 상기 입력부(120)에 마련된 쿼티 키패드 또는 표시부(150)에 마련될 수 있는 쿼티 키 맵으로부터 쿼티 키 입력이 발생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가 발생하면,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능 테이블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환경이 다른 메시지 서비스 지원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테이블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또는 제어에 대하여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18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을 수집한다. 이러한 카메라(18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카메라(180)는 상기 수집된 영상을 프리뷰 형태 등으로 상기 표시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기능이 지원될 수 있도록 각 신호의 흐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검출부(161),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 메시지 작성부(165) 및 메시지 처리부(167)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검출부(161)는 슬라이드 센서(140)를 모니터링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센서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검출부(161)는 검출된 센서 신호를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로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입력부(120)에 마련된 쿼티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쿼티 키 맵으로부터 쿼티 키 입력이 발생하거나, 상기 센서 검출부(161)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에 따른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을 저장부로부터 읽어 와서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상기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 활성화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수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맞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쿼티 키 입력이 발생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App)을 활성화할 때,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기반으로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진 검색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쿼티 키 입력 신호 또는 슬라이딩 센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현재 검색 중인 사진을 기반으로 메시지 작성창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검색 중인 사진을 첨부파일로서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창을 개설하도록 제어하거나, 검색 중인 사진 위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개설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한편,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센서 검출부(161)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가 슬라이드 오픈 상태임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면, 쿼티 키 맵을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쿼티 키 맵으로부터 쿼티 키 입력신호가 발생할 경우, 메시지 작성창을 개설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슬라이드 결합 상태에 따른 센서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활성화된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상황에 따라 종료시킬 수 있다. 즉,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는 현재 메시지 작성창에 특정 문자 등이 입력되거나 메시지가 작성된 상태일 경우에는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며, 별도의 입력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메시지 작성창을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작성부(165)는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163)에 의해 활성화된 메시지 작성창과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문자나 숫자 입력 신호 등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작성한다. 그리 고 메시지 작성부(165)는 작성된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부(167)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작성부(165)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개설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67)는 메시지 작성부(165)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무선주파수부를 통하여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처리부(167)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여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개방 및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입력부가 쿼티 키패드 또는 3*4 키패드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 조립체(101)와 제2 조립체(103)를 포함하면, 제1 조립체(101)와 제2 조립체(103)가 서로 대면되는 면에서 슬라이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조립체(101) 및 제2 조립체(103)의 대면되는 영역에 슬라이드를 위한 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조립체(101)에는 표시부가 형성되며, 제2 조립체(103)에는 입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조립체(101)의 배면은 제2 조립체(103)의 전면에 완전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00)는 외관상 표시부만이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개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제1 조립체(101)가 제2 조립체(103)의 전면으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제2 조립체(103)의 전면에 마련된 입력부인 쿼티 키패드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제1 조립체(101) 및 제2 조립체(103)는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 영역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조립체(101) 및 제2 조립체(103)는 슬라이드 개방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체를 기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제1 조립체(101)를 미는 힘에 의해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1 조립체(101)와 제2 조립체(103)의 슬라이딩 동작 수행 시,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구조물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구조물의 슬라이딩 상태에 따른 센싱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슬라이딩 상태에 따른 단말기 제어 예를 들면 슬립 상태 해제 또는 표시부에 쿼티 키 맵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따라 노출된 쿼티 키패드 또는 표시부에 출력된 쿼티 키 맵으로부터 쿼티 키 입력이 발생하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동작 상태에서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1 조립체(101)와 제2 조립체(103)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 즉, 슬라이딩 동작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센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 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저장부에 저장된 기능 테이블을 참조하여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을 확인하고, 현재 환경에 대응하는 메시지 작성창을 개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바(Bar) 타입의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301 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의 쿼티 키 맵을 표시부에 호출할 수 있는 아이콘을 지시자 영역(Indicator)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중에 쿼티 키 입력이 필요한 경우, 지시자 영역에 마련된 쿼티 키 맵 아이콘을 활성화함으로써, 가상의 쿼티 키 맵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 맵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활성화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저장부에서 쿼티 키 맵을 검출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한편, 쿼티 키 맵 기반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센서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한편, 301 화면에서 지시자 영역에 출력된 아이콘에 대하여 사용자가 숏 탭(Short Tap)으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303 화면에서와 같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상에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입력창 즉, 간편 작성창(Mini Composer)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301 화면에서 지시자 영역에 출력된 아이콘에 대하여 사용자가 롱 탭(Long Tap)으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305 화면에서와 같 이 쿼티 키 맵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이전에 활성화되어 있던 응용 프로그램을 일시정지 또는 종료하고, 가상 쿼티 키패드를 통하여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쿼티 키 맵을 터치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입력된 문자를 쿼티 키 맵 상부에 위치한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하여 어떠한 문자가 입력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에 따라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메시지 작성창 활성화 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절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S1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부팅 과정을 수행한 이후, 각 구성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는 S103 단계에서 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대기 화면 출력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카메라 운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사진 검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활성화하 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S105 단계에서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타입인 경우 제1 조립체와 제2 조립체가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된 슬라이드 타입의 구조물에서 사용자는 제1 조립체를 제2 조립체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물리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슬라이드 센서가 슬라이드 개방 상태에 따른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의 센서 검출부는 상기 슬라이드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슬라이드 개방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상태 변화 예를 들면 슬립 상태 해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드 개방에 따라 입력부에 마련된 쿼티 키 패드가 노출되며, 사용자가 쿼티 키 패드의 특정 키를 클릭할 경우 제어부는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개방에 따라 쿼티 키 맵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에 출력된 쿼티 키 맵에 대하여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바 타입으로 형성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특정 키 활성화에 따라 쿼티 키 맵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도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는 별도의 쿼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S103 단계 이전으로 복귀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05 단계에서 제어부는 쿼티 키 입력 신호를 검출하면, S107 단계에 서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메시지 App)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화면 출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화면 예시도와 함께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S109 단계에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메시지 작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는 쿼티 키패드에 마련된 각 키 또는 쿼티 키 맵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 또는 특수 문자 등이 될 수 있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가 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문자나 숫자 등에 따른 입력신호를 표시부의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컨텐츠에 해당하는 화면을 메시지 작성창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컨텐츠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메시지 작성창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할 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가 링크된 이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9 단계에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S111 단계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된 타 휴대 단말기 전화번호에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주파수부를 활성화하고, 해당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 여부에 따라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도록 메시지 작성창을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설명에서는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을 기반으로 메시지 작성창을 개설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쿼티 키 입력 신호 대신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상태에 따른 메시지 작성창 개설도 유사한 방식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동작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센서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센서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이하 동작 즉, S107 단계 이하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는 쿼티 키 입력 신호 및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센서 신호 생성 중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하 설명에서는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에 따라 메시지 작성창이 개설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 발생 시에도 메시지 작성창이 개설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키 입력 신호 및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생에 따라 메시지 작성창이 개설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201 화면에서와 같이 사진 검색에 따른 특정 사진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진 검색을 위한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진 검색 메뉴를 활성화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해당 사진 검색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사진들을 멀티 뷰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사진을 표시부의 전체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는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202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른 메시지 작성창을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즉, 사진 검색 응용 프로그램에 맞도록 출력한다. 즉, 메시지 작성창은 표시부의 하단 일측 영역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문자키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This is my picture"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특정 사진이 표시부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고 있을 때, 메시지 작성창 이외에 메시지를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숏키 예를 들면 "Send Msg"키와 텍스트 입력 숏키에 대응하는 "Insert Text"를 표시부 하단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숏키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기인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Insert Text"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는 203 화면에서와 같이 사진 내부 일측에 메시지 작성창에 기입된 문장을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입된 문장은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드래그 이벤트에 따라 선 택되어 자리 이동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작성된 문장을 포함하는 사진은 하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end Msg"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는 204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에 출력된 사진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메시지 작성창에 입력된 문장과 함께 추가로 작성한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텍스트를 추가로 기입할 수 있다.
203 화면 및 204 화면에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타 휴대 단말기 전화번호 기입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202 화면에서 제어부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타이머를 동작시키거나 별도의 메시지 전송을 취소할 수 있는 숏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취소 메뉴를 선택하거나, 타이머가 완료되기 이전까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문장을 사진에 적용하는 편집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표시부는 205 화면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메인 메뉴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쿼티 키 입력 신호 가 생성되면, 206 화면에서와 같이 입력된 쿼티 키 입력 신호 및 이후 입력되는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미니 텍스트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쿼티 키패드로부터 더 많은 텍스트 입력이 발생하여 207 화면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텍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미니 텍스트 작성창의 크기를 크게 확장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쿼티 키패드로부터 "This is my picture. Doesn`t look so fun."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되고, 표시부는 상기 입력된 문자를 한 줄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기입된 텍스트를 207 화면에서와 같이 두 줄로 나누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추가적인 텍스트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는 S208 화면에서와 같이 입력된 문장 즉, "I hope you like it"을 세 번째 줄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는 새롭게 입력되는 문자 또는 문장을 제일 하단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작성이 가장 오래된 문장은 제일 윗단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211 화면에서와 같이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화면 중앙에 출력하는 한편, 카메라 제어를 위한 메뉴들을 화면 양측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하여 특정 피사체에 대한 정지 화면 또는 동영상을 수집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화면 영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해당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는 서비스 지원을 위한 숏키 예를 들면 해당 영상을 온라인을 통하여 업로드할 수 있는 "Send to My Album online" 서비스 선택을 위한 숏키, 해당 영상과 함께 녹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ecord Voice" 서비스 선택을 위한 숏키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숏키들을 활성화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로 직접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촬영된 영상이 표시부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쿼티 키 패드를 이용하여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는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213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른 메시지 작성창을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즉, 카메라 검색 응용 프로그램에 맞도록 출력한다. 즉, 메시지 작성창은 표시부의 중앙 일측 영역에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메시지에 첨부 파일로 첨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영상의 첨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해당 아이콘을 메시지 작성창 일측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추가적인 텍스트 입력을 위하여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추가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쿼티 키패드로부터 문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를 아이콘이 출력된 영역 다음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있고, 영상을 촬영한 상태에서 쿼티 키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 송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부팅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22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대기 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나 동영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대기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는 223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쿼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기반으로 폰북을 검색하여 동일한 문자를 가지는 폰북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해당 문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폰북 정보를 별도의 팝업창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폰북 정보에 "Iris"를 이름으로 하는 폰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쿼티 키패드로부터 "I", "R"이 입력되면, "Ir"을 포함하는 "Ir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Iris"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폰북 정보 내에서 "Iris" 다음으로 등록되어 있는 "Green"을 팝업창에 동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한편, 223 화면에서 "Iris"가 선택되는 터치 이벤트 또는 쿼티 키패드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는 225 화면에서와 같이 "Iris"에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메시지 작성창에는 223 화면에서 선택된 "Iris"에 해당하는 수신자 이름이 별도의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쿼티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제어부는 입력되는 킷값에 대응하는 문자들을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부팅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23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대기 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나 동영상이 될 수 있으며, 설정 영상이 없는 경우 디폴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대기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는 233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제어부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할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 지원을 위한 메시지 작성창은 새 메시지 작성을 알리는 색인 값 "New Message"와, 메시지를 수신한 타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그에 대응하는 이름 등이 기재되는 영역과, 쿼티 키패드로부터의 텍스트가 입력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사전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제어부는 상술한 설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 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종류 특성을 지정할 수 있는 메뉴 또는 환경 설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단말기가 상기 메뉴 또는 환경 설정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모드에서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 시 수행할 응용 프로그램 설정하기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 시, 이메일 전송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 수행되도록 설정해 놓은 경우, 235 화면에서 같이, 휴대 단말기는 이메일 작성창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메일 작성창은 이메일 작성임을 알리는 색인 값 "Mobile Email" 표시 영역과, 이메일 작성을 위한 작성창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이메일 작성을 위하여 서버 접속을 시도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런치하는 중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Launch Mobile Email Client"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 수행되도록 설정해 놓은 경우, 237 화면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대의 이름을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하는 영역과, 해당 이름을 가진 상대와 송수신한 인스턴트 메시지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 영역, 상대에게 전송할 인스턴트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창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름을 출력하는 영역에는 현재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한 "AIM"과 "Alex"가 각각 출력될 수 있으며, 이 중 "AIM"이 선택되면, "AIM"과 송수신한 메시지 "Hey!", "What`s up?" 등이 출력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Hey!"는 "AIM"에게 전송한 인스턴트 메시지가 될 수 있고, "What`s up?"은 "AIM" 으로부터 수신한 인스턴트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성창 영역에 "AIM"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완료 후, "send" 영역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확인에 대응하는 쿼티 키패드의 엔터키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 제어부는 작성창 영역에 작성된 인스턴트 메시지가 "AIM"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름이 출력된 영역에서 "Alex"가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는 "Alex"에게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작성창 및 송수신한 인스턴트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 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이름 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이름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거나, 추가로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Manage Buddy" 숏키를 이용하여 이름 영역을 정리하거나, 폰북 정보를 검색하여 다른 상대를 검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기타 메뉴 지원을 위하여 "More" 키를 마련할 수 있다.
도 11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텍스트 편집 도구인 "Note"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Note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른 텍스트 편집 도구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241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문서나 노트 파일을 상기 텍스트 편집 도구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텍스트 중 일정 영역에 대하여 드래깅을 수행하여 텍스트 일부를 선택하거나, 특정 지점을 길게 누르는 경우, 243 화면에서 와 같이 해당 텍스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는 드래깅에 대하여 드래그하면서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에 표시된 텍스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특정 지점을 길게 누르는 경우, 특정 지점을 포함하는 하나의 문장 또는 문단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영역 부근에서 선택 텍스트를 복사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팝업창에서 복사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선택된 텍스트를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텍스트 영역을 선택한 이후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복사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선택 영역 주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덧붙여 제어부는 팝업창에 붙여넣기(Paste)를 위한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이전에 선택된 텍스트가 존재하며, 사용자가 붙여넣기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영역은 이전에 선택된 텍스트로 교체될 수 있다. 별도로 저장된 텍스트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붙여넣기를 선택하면 제어부는 저장된 텍스트가 없음을 알리는 팝업창을 띄우거나 알람음을 출력하거나, 진동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된 텍스트는 별도로 마련된 클립보드(Clip Board)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중에 그래픽 이모티콘을 특수 문자에 대체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메시지 서비스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들을 251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252 화면에서와 같이 쿼티 키패드로부터 특수 문자 ":)"이 입력된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수 문자에 매핑되어 있는 그래픽 이모티콘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특수 문자와 그래픽 이모티콘을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부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수 문자에 매핑된 그래픽 이모티콘을 검출하면, 25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그래픽 이모티콘인 "
Figure 112009001813152-PAT00001
"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특정 단어에 대한 그래픽 이모티콘 대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4 화면에서와 같이 일반 문자들이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255 화면에서와 같이 "Sushi"라는 단어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는 "Sushi"에 해당하는 그래픽 이모티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특정 단어들에 그래픽 이모티콘을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부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특정 문자에 매핑된 그래픽 이모티콘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면, 256 화면에서 같이 해당 그래픽 이모티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 활성화에 따라 261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작성창은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방에 대한 이름 등을 입력하는 영역과 메시지를 작성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수신자가 입력되는 영역에는 전화번호가 출력될 수 있으나, 폰북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인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름 예를 들면 "Jane; Pay My Bill"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를 작성하는 영역은 쿼티 키패드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 "Hey there how are you"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262 화면에서와 같이 입력된 단어 "Cathy"가 폰북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해당 단어를 다른 문자들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작성창에 입력된 문자들이 특정 단어를 형성하는 경우, 해당 단어와 매핑되는 이름이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검색된 단어인 경우, 해당 단어에 밑줄을 표시하거나, 해당 단어를 다른 단어보다 크게 또는 굵게 표시함으로써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단어 "Cathy"에 커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머무르는 경우, 263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단어에 포함된 다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팝업창은 상기 단어에 포함된 폰북에서의 전화번호를 복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화번호 복사 버튼(Copy number)과 상기 단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화 버 튼(Call)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263 화면에서 전화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65 화면에서와 같이 상기 단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상기 "Cathy"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화 연결에 해당하는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 작성창을 임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통화 연결이 종료되면 임시 저장되었던 메시지 작성창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263 화면에서 사용자가 전화번호 복사 버튼을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67 화면에서와 같이 "Cathy"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메시지 작성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입력된 단어 "Cathy"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도 다른 문자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복사된 전화번호에 "Cathy"에 적용한 밑줄 적용 등의 효과를 지원할 수 있다.
전화번호가 메시지 작성 영역에 출력된 이후, 해당 전화번호에 커서가 위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68 화면에서와 같이 전화번호 복사 번트 및 전화 버튼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서비스 이용을 위 한 용이한 메뉴 선택을 위하여 271 화면에서와 같은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메시지 서비스 카테고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Create message", "Create Talk", "Talk box", "Inbox" 및 "Outbox"를 포함할 수 있다. "Create message"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새 메시지 작성창 개설을 위한 항목이며, "Create Talk"는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 개설을 위한 항목이다. 그리고 "Talk box"는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박스이며, "Inbox" 및 "Outbox"는 메시지 작성창을 기반으로 송수신되는 단문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들 중 송신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박스들이다. 271 화면에서 사용자가 다수개의 카테고리 중 "Create Talk"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72 화면에서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검색창은 단어 입력을 위한 검색 영역과 검색 영역에 입력된 단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역은 별도의 검색어 입력이 없는 경우, 디폴트로서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목록들을 기 설정된 기준 예를 들면 알파벳순으로 출력할 수 있다.
272 화면에서 "Dan"이 선택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 단말기는 273 화면에서와 같이 "Dan"과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은 선택된 이름 및 이름과 관련된 전화번호 정보인 "Dan(1-214-566-7815)" 등이 출력되는 영역과, 메시지 입력을 위한 입력창 및 기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숏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72 화면에서 "Dan"이 선택되는 터치 이벤트 발생 대신에,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개방되고, "Dan"이 지정되는 쿼티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73 화면과 같은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273 화면에서 쿼티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는 입력된 문자 "Hi Dan, r u ready?"를 입력창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273 화면에서 "Send" 키를 활성화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입력한 인스턴트 메시지를 상기 "Dan"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274 화면에서와 같이 송수신 메시지 출력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메시지 출력창은 입력창에 입력한 메시지가 기록되는 영역과, 해당 메시지가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sent" 또는 전송 중인지를 알리는 "sending..."을 출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Dan"으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는 275 화면에서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를 송수신 메시지 출력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지시자 영역(Indicator)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 메시지 출력창에 출력하는 과정에서, 송신한 인스턴트 메시지 다음에 위치하도록 하고, 해당 인스턴트 메시지가 새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색인 예를 들면 "New"를 해당 인스턴트 메시지인 "hey~ what`s up"과 동일 선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Dan"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확인 후, 276 화면에서와 같이 새로운 메시지 "I got a new touch phone now!"를 작성하여 "Dan"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작성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 메시지 출력창에 출력하도록 하되 수신된 메시지 다음에 위치하도록 하여 대화의 진행을 쉽게 파악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새로운 인스턴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경우, 이전에 수신된 메시지에 표기되었던 "New" 색인은 삭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용이한 메뉴 선택을 위하여 271 화면에서와 같은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71 화면은 대기 화면과 같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출력되도록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디폴트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서비스 카테고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Create message", "Create Talk", "Talk box", "Inbox" 및 "Outbox"를 포함할 수 있다. 281 화면에서 사용자가 다수개의 카테고리 중 "Talk box"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83 화면에서와 같이 "Talk box" 하부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하부 메뉴 화면은 현재 화면이 어떠한 메뉴인지를 나타내는 색인 "Talk box"가 출력되는 영역과, 지금까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한 기록을 이름별로 나열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현 재 인스턴트 메시지가 송수신되고 있는 항목은 다른 항목과 구별되도록 해당 목록 앞에 일정한 색인을 두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283 화면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현재 인스턴트 메시지가 송수신되고 있는 특정 사용자 예를 들면 "Dan"를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85 화면에서와 같이 진행 중인 인스턴트 메시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진행 중의 여부 판단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채널의 유지 또는 해제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진행 중인 인스턴트 메시지 화면은 기타 메뉴 항목이 인스턴트 메시지 지원을 위한 항목들 즉 "Save, Minimize, Close" 등을 포함한다. 한편, 283 화면에서 진행이 완료된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287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항목에 따른 사람과 송수신한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인스턴트 메시지 삭제 및 재 연결을 위한 기타 메뉴 항목 "Re-talk, Delete, Mo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서의 "Talk box" 하부 메뉴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태는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Talk box" 하부 메뉴 화면은 291 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화면이 어떠한 화면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나타낸 색인 "Talk box"가 출력되는 영역과, 휴대 단말기 사용자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거나,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 했던 사람들의 목록을 출력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목록 출력 영역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 한 사용자들의 사진 파일을 해당 목록의 좌측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이름 및 사용자들의 전화번 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목록 출력 영역은 현재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다르게 예를 들면 굵은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Talk box" 하부 메뉴 화면은 293 화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화면을 지시하는 "Talk box"가 출력되는 영역과,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는 또는 송수신 했던 각 사용자들을 일정 이미지에 대응시켜 출력하는 아이콘 출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 출력 영역에서 각 아이콘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의미하는 이미지와, 상대방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이름이 아이콘의 길이보다 긴 경우 이름의 일부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현재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는 상대방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는 이미지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Dan"이 현재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는 사람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Dan"의 아이콘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는 이미지 예를 들면 편지의 덮개가 개봉된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아이콘들의 크기를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 했던 시간 또는 횟수, 송수신한 데이터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가장 최근에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한 사람, 송수신한 인스턴트 메시지가 많은 사람, 송수신한 인스턴트 메시지의 데이터 양 예를 들면 사진 첨부 등이 많은 사람을 다른 사람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보다 크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미지 파일 검색 기능 활성화 요청에 따라 311 화면에서와 같이 다양한 이미지 파일을 멀티 뷰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311 화면에 출력된 이미지 파일은 사진이나 그림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입력부의 방향키 입력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이벤트 생성 등을 수행하여 멀티 뷰 화면에서 특정 이미지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313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간편 작성창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패드 입력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 "This is my picture"를 메시지 간편 작성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313 화면에서 사용자 메시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핫키 "[MSG] hot key"를 활성화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315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313 화면에서 지정되었던 이미지 파일을 첨부 파일로서 기재하고, 이를 메시지 작성창의 일정 영역에 나타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다수개의 이미지 파일을 멀티 뷰 형태로 검색하는 과정 중에 메시지 작성창을 간편하게 생성하도록 지원하며, 검색된 이미지 파일의 확인 과정 없이, 멀티 뷰 화면에서 지정한 이미지 파일을 기반으로 메시지 작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321 화면에서와 같이 사진 검색 기능 중 폴라로이드 기능 활성화에 따라 사진을 표시부 전체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폴라로이드 기능에 의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진의 뒷면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사진 일부 영역에 일정 표시 예를 들면, 접기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슬라이드를 개방하고, 그에 따라 노출된 쿼티 키패드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텍스트를 현재 출력 중인 사진에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표시부에 출력된 사진의 모서리에 설정된 접기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진의 뒷면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접기 이미지를 누른 상태에서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상측 사선 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진의 뒷면 일부 영역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쿼티 키패드를 기반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입력된 텍스트 "This is my picture"를 사진 뒷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핫키 "[MSG] Hot key" 또는 메시지 전송 버튼 "Send as MSG"가 선택되면, 325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323 화면에서 출력 중이던 사진을 첨부일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323 화면에서 사진 뒷면에 기재한 텍스트 "This is my picture"를 텍스트 입력창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케줄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331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월에 해당하는 달력을 포함하는 스케줄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달력에서 특정 날이 지정되면, 해당 날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스케줄을 달력 하단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러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를 개방하여 쿼티 키패드를 노출시킨 후, 해당 쿼티 키패드를 이용하여 쿼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332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일정 영역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간편 작성창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들의 조합 "This is my schedule"을 상기 간편 작성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간편 작성창을 스케줄이 출력된 영역 상부에 출력할 수 있다. 332 화면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활성화를 위한 핫 키인 "[MSG] hot key"를 입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333 화면에서와 같이 지정된 날짜에 포함된 스케줄을 메시지 작성의 내용을 자동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332 화면에서 입력되던 문장을 메시지 작성창에 바로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331 화면에서 쿼티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될 때, 지정되고 있는 날에 대하여 별도의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334 화면을 출력 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스케줄 입력을 위한 스케줄 입력창을 출력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스케줄이 있는 날짜를 지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쿼티 키 입력 신호가 생성 되는 경우, 추가적인 문장 입력을 위한 작성창을 개설할 수 있으며,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날짜에 포함된 스케줄 정보 및 작성창에 입력된 문장을 함께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지정된 날짜에 스케줄이 없는 상태에서 쿼티 키 입력 신호가 생성 되는 경우에는 스케줄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341 화면에서와 같이 메인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Bubble" 기능을 턴-온 및 턴-오프할 수 있는 숏키를 제공할 수 있다. 버블 기능이 턴-오프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해당 숏키를 회색 등으로 표시하여 턴-오프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한편, 341 화면에서 버블 기능의 숏키가 턴-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쿼티 키 입력 신호가 생성 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343 화면에서와 같이 상기 버블 기능 숏키에 해당하는 버블 창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메인 메뉴 화면과 버블 창을 각각의 레이어(Layer)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패드로부터 문자 등이 입력되면, 이를 버블 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표시부 일측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해당 영역에 매치되어 있는 메뉴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쿼티 키패드에 텍스트 "Hi, jason"이 입력된 이후, 사용자가 345 화면에서와 같이 메인 메뉴 중 특정 메뉴 예를 들면 메시지 서비스 기능에 해당하는 "Messaging" 메뉴를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는 선택된 메뉴를 활성화하는 화면을 347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345 화면에서 메뉴 선택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버블 창이 해당 메뉴로 이동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효과를 통하여 버블 창에 기재한 텍스트가 해당 메뉴에 적용됨을 예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347 화면에서와 같이 버블 창에 입력되어 있는 텍스트를 활성화된 메시지 작성창에 자동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쿼티 키 입력 신호 생성 시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각각 적응적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예의 설명에서 쿼티 키 입력 신호는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타입으로서 슬라이딩에 따라 입력부가 노출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쿼티 키패드의 키가 활성화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쿼티 키 입력 신호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거나, 쿼티 키 맵을 활성화를 위해 할당된 아이콘이 활성화됨에 따라 표시부에 쿼티 키 맵이 출력되고, 해당 키 맵 상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6은 도 15의 부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Claims (37)

  1.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와, 터치 이벤트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키 입력 신호 생성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키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작성창은
    단문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문 메시지 작성창;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창;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을 위한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 신호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서비스 지원부;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거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화면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설정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 작성창,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창,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 검색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현재 검색 중인 이미지의 뒷 여백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러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날짜가 지정되어 있고, 해당 날짜에 스케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스케줄러 화면 일측에 간편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간편 작성창에 출력하고,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 입력 시,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상기 간편 작성창에 출력된 문자와 상기 스케줄을 자동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케줄러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날짜가 지정되어 있고, 해당 날짜에 스케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스케줄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 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뉴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뉴 화면 상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하고,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작성된 문자를 상기 선택된 항목이 활성화된 화면에 자동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이 수집되어 있고, 상기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수집된 영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입력부 제어부 저장부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조립체;
    상기 제1 조립체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체에 대면되어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되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 동작 시 상기 키 맵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키 맵을 활성화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4. 키 입력 신호 및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성되는 과정;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성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작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사진 검색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성되면,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검색 중인 사진과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이미지 검색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상기 이미지의 뒷 여백으로 설정하는 과정;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뒷 여백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스케줄러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과정;
    상기 스케줄러 활성화에 따라 특정 날짜가 지정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특정 날짜에 스케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스케줄러 화면 일측에 간편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간편 작성창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상기 간편 작성창에 출력된 문자와 상기 스케줄을 자동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특정 날짜에 스케줄이 없는 경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스케줄 입력을 위한 입력창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메뉴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메뉴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선택 과정;
    상기 작성된 문자를 상기 선택된 항목이 활성화된 화면에 자동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과정은
    표시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동작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에 매치되는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이 수집되어 있고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상기 수집된 영상을 첨부 파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키패드가 노출되는 과정;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특정 키가 선택되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키 맵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키 맵 상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특정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키 맵 활성화를 위한 아이콘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키 맵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키 맵 상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특정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8.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와, 터치 이벤트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슬라이딩 센서 신호를 검출하는 슬라이드 센서;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생성에 따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키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 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대기화면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설정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 작성창,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창, 인스턴트 메시지 작성창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며,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이미지 검색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현재 검색 중인 이미지의 뒷 여백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스케줄러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특정 날짜가 지정되어 있고, 해당 날짜에 스케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스케줄러 화면 일측에 간편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간편 작성창에 출력하고,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 입력 시, 메시지 작성창을 활성화하고,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상기 간편 작성창에 출력된 문자와 상기 스케줄을 자동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스케줄러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특정 날짜가 지정되어 있고, 해당 날짜에 스케줄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신호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스케줄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메뉴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키 입력 신호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메뉴 화면 상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 출력하고,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작성된 문자를 상기 선택된 항목이 활성화된 화면에 자동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카메라 응용 프로그램인 경우, 피사체에 대한 영상이 수집되어 있고, 상기 키 입력 신호및 상기 슬라이딩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수집된 영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작성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키 맵을 활성화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02392A 2009-01-12 2009-01-12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83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92A KR20100083036A (ko) 2009-01-12 2009-01-12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2/685,052 US9203947B2 (en) 2009-01-12 2010-01-11 Message service support method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US14/933,308 US9538346B2 (en) 2009-01-12 2015-11-05 Message service support method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92A KR20100083036A (ko) 2009-01-12 2009-01-12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36A true KR20100083036A (ko) 2010-07-21

Family

ID=4231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392A KR20100083036A (ko) 2009-01-12 2009-01-12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203947B2 (ko)
KR (1) KR20100083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5981A1 (ko) * 2015-02-02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5212B2 (en) * 2011-07-08 2014-03-04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n electronic devic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489657B2 (en) * 2012-02-21 2016-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ion and visualization of multiple chat room information
CN103514165A (zh) * 2012-06-15 2014-01-15 佳能株式会社 用于识别对话中所提及的人的方法和装置
US20140164981A1 (en) * 2012-12-11 2014-06-12 Nokia Corporation Text entry
US10228819B2 (en) * 2013-02-04 2019-03-12 602531 British Cilumbia Lt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n action related to user selection
US9612664B2 (en) * 2014-12-01 2017-04-04 Logitech Europe S.A. Keyboard with touch sensitive element
CN105138259B (zh) * 2015-07-24 2018-07-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操作执行方法及装置
US10284503B2 (en) * 2015-09-25 2019-05-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220573A1 (en) 2016-01-05 2017-08-03 William McMichael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searches within a text input application
US10359924B2 (en) 2016-04-28 2019-07-23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keyboard moveable relative to the display
US9794202B1 (en) * 2016-08-25 2017-10-17 Amojee, Inc. Messaging including standard and custom characters
US10298522B2 (en) * 2017-04-10 2019-05-21 Amojee, Inc. Messaging including custom characters with tags localized to language of user receiving messa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3660A (en) * 2001-11-02 2003-07-02 Superscape Ltd System for graphic/text messaging
US20060041627A1 (en) * 2004-08-20 2006-02-2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exchanging photo data in an instant messaging environment
KR101143642B1 (ko) 2006-03-28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EP1758345B1 (en) 2005-08-26 2016-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TWI399671B (zh) * 2007-01-19 2013-06-21 Lg Electronics Inc 透過觸碰輸入裝置之資訊輸入
KR101335771B1 (ko) 2007-01-19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방법
US8711102B2 (en) * 2007-06-15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with graphical position user input mechanism for selecting a display image
US9954996B2 (en) * 2007-06-28 2018-04-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versation management for incoming instant messages
KR101558210B1 (ko) * 2008-08-05 2015-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처리 방법
US8805450B2 (en) * 2008-09-05 2014-08-12 Microsoft Corp. Intelligent contact mana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5981A1 (ko) * 2015-02-02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8451A1 (en) 2016-03-24
US9538346B2 (en) 2017-01-03
US20100178947A1 (en) 2010-07-15
US9203947B2 (en)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3036A (ko)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1039283B2 (en) User interfaces for a messaging application
US9639222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KR100595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942308B1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810688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AU2009100722B4 (en)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touch screen display
CN103914261B (zh) 用于显示电子列表和文档的便携式电子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RU2412463C2 (ru)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го меню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EP176836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ssage display method therein
US20090244023A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MX2013001676A (es) Protocolo de enlace multimedia/voz e interfaces de usuario relacionadas.
US20140007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ed user inputs
JP2005295549A (ja) 通信デバイスの主要ディスプレイと補助ディスプレイ間のシナリオ同期
US2010008141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CN111459688B (zh) 信息处理的方法、装置及介质
JP5280289B2 (ja) 携帯通信端末、受信メール表示方法及び受信メール表示プログラム
Schwartz My Samsung Galaxy S 4
CN114035881A (zh) 应用的多账号登录方法、装置及存储介质
Sadun et al. Taking Your IPhone 4 to the Max
JP6174956B2 (ja) 通話機能を有する機器、通話機能を有する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ande et al. Taking Your IPhone 4 to the Max
JP2015129979A (ja) 音声録音添付機能付き電子メール作成プログラム及びチャットメッセージ作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28

Effective date: 2016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