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016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016A
KR20100083016A KR1020090002365A KR20090002365A KR20100083016A KR 20100083016 A KR20100083016 A KR 20100083016A KR 1020090002365 A KR1020090002365 A KR 1020090002365A KR 20090002365 A KR20090002365 A KR 20090002365A KR 20100083016 A KR20100083016 A KR 20100083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put image
signal
input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641B1 (ko
Inventor
나오아키 코미야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6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05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Abstract

복수의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저장하고, 저장한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하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일부 화소가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동일한 모드이며, 다른 하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다른 모드이다.
티어링(tearing) 현상, 프레임 메모리, 포트레이트(portrait),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DRIVING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가 이동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 표시 장치를 90도 회전하여 표시 장치의 화면을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와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 장치의 기본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된 경우, 포트레이트 모드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는 순서와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저장한 입력 영상 신호를 읽어 내는 순서가 동일하다. 반면,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는 순서와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저장한 입력 영상 신호를 읽어 내는 순서가 다르다.
이와 같이 포트레이트 모드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서 읽어서 출력하는 순서가 다르므로, 표시 장치의 화면이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 되는 경우 표시하려는 영상에 티어링(tea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 메모리를 여러 개 사용하면 티어링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프레임 메모리의 가격의 상승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면의 변경 시 발생하는 티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복수의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저장하고, 저장한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하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일부 화소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동일한 모드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다른 모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의 화면이 회전되는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일부 화소에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차례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하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일부 화소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동일한 모드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다른 모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변경 시 발생하는 티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티어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던 프레임 메모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예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계조전압 생성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신호선(S1-Sn, D1-Dm), 복수의 전압선(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110)를 포함한다.
신호선(S1-Sn, D1-Dm)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며,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이때, 데이터 신호는 화소(110)의 유형에 따라 전압 신호(이하, "데이터 전압"이라 함) 또는 전류 신호(이하, "데이터 전류"라 함)가 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각 화소(110), 예를 들면 i번째(i=1, 2,..., n) 주사선(Si)과 j번째(j=1, 2,.., m)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110)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LD), 구동 트랜지스터(Qd), 커패시터(표시 패널(100))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주사선(Si)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Dj)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Qd)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주사선(Si)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티선(Dj)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즉 데이터 전압을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 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LD)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전류(ILD)를 흘린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턴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및 공통 전압(Vss)과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IL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의 빛을 낼 수 있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삼원색의 공간적 합 또는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 일부가 유기 발광 소자(LD)는 백색의 빛을 낼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휘도가 높아진다. 이와는 달리, 모든 화소(110)의 유기 발광 소자(LD)가 백색의 빛을 낼 수 있으며, 일부 화소(110)는 유기 발광 소자(LD)에서 나오는 백색광을 기본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바꿔주는 색필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및 구동 트랜지스터(Qd)는 비정질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로 만들어진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dffect transistor, FET)이다. 이 경우,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각각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에 해당한다. 그러나,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구동 트랜지스터(Qd) 중 적어도 하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s, Qd),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소자(L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화소(11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한 예이며, 적어도 두 개의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데이터 전류를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는 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계조 전압 생성부(400)는 화소(110)의 휘도와 관련된 전체 계조 전압 또는 한정된 수효의 계조 전압(이하, "기준 계조 전압"이라 함)을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사선(S1-Sn)에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한다. 주사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턴온시킬 수 있는 게이트 온 전압(Von)과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턴오프시킬 수 있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경우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각각 저전압과 고전압이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표시 패널(10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조전압 생성부(400)로부터의 계조 전압을 선택하고 이를 데이터 전압으로서 신호로서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그러나, 계조 전압 생성부(400)가 계조 전압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수효의 기준 계조 전압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데이터 구동부(300)는 기준 계조 전압을 분압하여 원하는 데이터 전압을 생성한다.
제어부(500)는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계조 전압 생성부(4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영상 신호(R, G, B)는 각 화소(110)의 휘도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의 예로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 신호 등이 있다.
제어부(5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와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표시 패널(1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여 주사 제어 신호(Ss) 및 데이터 제어 신호(Sd)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주사 제어 신호(Ss)를 주사 구동부(200)로 전달하며, 데이터 제어 신호(Sd)를 데이터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 성분(200,300, 400, 5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직접 회로 칩의 형태로 표시 패널(1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용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표시 패널(1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이들 구동 성분(200,300, 400, 500)은 신호선(S1-Sn, D1-Dm) 및 트랜지스터(Qs, Qd) 따위와 함께 표시 패널(1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성분(200,300, 400, 500)은 단일 칩으로 집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가 단일 칩 바깥에 있을 수 있다.
그러면,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포트레이트 모드 및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의 프레임 메모리의 쓰기/읽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의 프레임 메모리의 쓰기/읽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5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프레임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차례로 기입한다.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모두 프레임 메모리에 기입된 후,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제어부(500)는 기입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한다. 도 3에서는 프레임 메모리의 각 어드레스가 표시 패널(100)의 각 화소(110)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으로 가 정하였다. 이 경우 한 행의 화소(110)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프레임 메모리의 한 행에 차례로 저장된 후, 다음 행의 화소(110)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프레임 메모리의 다음 행에 차례로 기입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프레임 메모리에서 한 행에서 차례로 입력 영상 신호를 읽은 후에, 다음 행에서 차례로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다.
이때, 제어부(500)는 프레임 메모리에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쓰기 전 또는 프레임 메모리에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읽어 온 후에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표시 패널(1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주사 제어 신호(Ss) 및 데이터 제어 신호(Sd)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주사 제어 신호(Ss)를 주사 구동부(200)로 출력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Sd)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구동부(300)로 출력한다.
제어부(50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Sd)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300)는 한 행의 화소(110)에 대한 영상 신호(DAT)를 수신하고, 각 영상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제어부(500)로부터의 주사 제어 신호(Ss)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주사선(S1-Sn)에 인가하여 이 주사선(S1-Sn)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데이터선(D1-D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은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통하여 해당 화소(110)에 전달된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통하여 데이터 전압을 받고 이에 해당하는 출력 전류(ILD)에 해당하는 세기의 빛을 발광한다.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와 동일함]를 단위로 하여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모든 주사선(S1-S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모든 화소(110)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여 한 프레임(frame)의 영상을 표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모두 프레임 메모리에 기입된 후,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제어부(500)는 기입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한다.
즉, 프레임 메모리에 한 행의 화소(110)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프레임 메모리의 한 행에 차례로 저장된다. 이때,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는 도 1의 왼쪽이 화면의 위쪽에 해당하도록 표시 장치가 회전한다. 그러면, 첫번째 주사선(S1)이 화면의 가장 오른쪽 열에 해당하고 되고, 마지막 주사선(Sn)이 화면의 가장 왼쪽 열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화면의 가장 오른쪽 열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에서 먼저 읽어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제어부(500)는 프레임 메모리의 한 열에서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은 후에 다음 열의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포트레이트 모드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는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프레임 메모리서 읽어서 출력하는 순서가 다르므로, 포트레이 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표시하려는 영상에 티어링(tea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티어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표시 패널(100)에 5행 5열의 화소(110)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메모리(510)도 5행 5열의 화소(110)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프레임 메모리(510) 및 검출부(520)를 포함한다.
프레임 메모리(510)의 첫 번째 행부터 다섯 번째 행까지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차례로 저장되며, 이러한 동작이 프레임 단위로 반복된다. 검출부(520)는 프레임 메모리(510)를 제어하여 프레임 메모리(5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읽어서 출력한다. 표시 장치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면, 검출부(520)는 표시하려는 영상의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프레임 메모리(510)에 저장되는 기간 동안에는 프레임 메모리(5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영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화면은 밝은 화면의 정지 영상에서 어두운 화면의 정지 영상으로 바 뀌는 것으로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6a을 보면, 프레임 메모리(510)의 i번째 행에 입력 영상 신호가 저장되면,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검출부(520)는 원칙적으로 프레임 메모리의 (5-i)번째 열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를 읽어서 출력한다. 이때, (5-i)번째 열의 첫 번째 행부터 i번째 행에는 새로 입력되는 어우둔 화면의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저장되는 반면, (i+1)번째부터 다섯 번째 행에는 밝은 화면의 정지 영상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티어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520)는 프레임 메모리의 (5-i)번째 열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를 읽어서 출력하지 않고, 데이터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5-i)번째 열에 해당하는 화소(11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i번째 주사선(Si)에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가지는 주사 신호가 인가될 때, 검출부(520)는 데이터 구동부(300)가 검은색 계조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선(D1-Dm)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검출부(520)는 프레임 메모리(510)에 새로운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저장되는 기간 동안에는 프레임 메모리(5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R, G, B)에 상관없이 검은색 계조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출력한다. 그러면, 표시 패널(100)에는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출력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검은색 계조에 대응하는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510)에 새로운 입력 영상 신 호(R, G, B)가 모두 저장되면, 검출부(520)는 프레임 메모리(5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한다. 그러면,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은 밝은 화면의 정지 영상에서 표시하려는 어두운 화면의 정지 영상으로 바뀌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을 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제어선(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며, 화소(110')는 도 2에 도시한 화소(110)와 달리 발광 트랜지스터(Qe)를 더 포함한다.
발광 트랜지스터(Qe)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발광 제어선(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LD)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발광 트랜지스터(Qe)의 발광 제어선(도시하지 않음)에는 발광 제어 신호가 인가된다. 발광 제어 신호는 발광 트랜지스터(Qe)를 턴온시킬 수 있는 발광 온 전압과 발광 트랜지스터(Qe)를 턴오프시킬 수 있는 발광 오프 전압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다. 도 7과 같이, 발광 트랜지스터(Qe)가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동일한 채널 유형의 트랜지스터인 경우, 발광 온 전압 및 발광 오프 전압은 각각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화면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 경우, 프레임 메모리(510)의 i번째 행에 입력 영상 신호가 저장되면, 검출부(520)는 프레임 메모리의 (5-i)번째 열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를 읽어서 출력하지 않도록 주사 구동부(200)를 제어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i번째 주사선(Si)에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가지는 주사 신호가 인가될 때, (5-i)번째 열에 위치하는 발광 트랜지스터(Qe)의 발광 제어선(도시하지 않음)에 발광 오프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발광 트랜지스터(Qe)는 턴오프되어 화소(110')의 유기 발광 소자(LD)에는 전류(ILD)가 인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검출부(520)는 프레임 메모리(510)에 새로운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저장되는 기간 동안에는 발광 트랜지스터(Qe)의 발광 제어선(도시하지 않음)에 발광 오프 전압이 차례로 인가될 수 있도록 주사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유기 발광 소자(LD)가 발광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표시 패널(100)에는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출력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검은색 계조에 대응하는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510)에 새로운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모두 저장되면, 검출부(520)는 주사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발광 트랜지스터(Qe)의 발광 제어선(도시하지 않음)에 발광 온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발광 트랜지스터(Qe)는 턴온되며, 검출부(520)는 프레임 메모리(5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한다. 그러면, 화소(110')의 유기 발광 소자(LD)에는 프레임 메모리(510)에 저장된 새로운 입력 영상 신호(R, G, B)에 대응하는 전류(ILD)가 인가되어 유기 발광 소자(LD)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에 대응하여 발광한다. 그러면,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은 밝은 화면의 정지 영상에서 표시하려는 어두운 화면의 정지 영상으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발생하는 티어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메모리(510)에 새로운 입력 영상 신호(R, G, B)가 저장되는 기간 동안에는 검은색 계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 패널(100)에 표시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순서가 바뀌거나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순서가 바뀌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의 예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layer), 전계 발광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의 프레임 메모리의 쓰기/읽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의 프레임 메모리의 쓰기/읽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Claims (16)

  1. 복수의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 및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저장하고, 저장한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하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일부 화소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동일한 모드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다른 모드인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은 상기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가 저장되는 기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은 검은색 계조에 해당하는 영상인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은 상기 화소가 발광되지 않아서 생성되는 영상인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출력하는 프레임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레임 메모리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지 않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일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를 읽어서 출력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 동안, 검은색 계조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턴온 시에 상기 각 화소는 발광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턴오프 시에 상기 각 화소는 발광하지 않으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트랜지스터를 턴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차례로 출력하는 주사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드에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의 화면이 회전되는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일부 화소에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은 상기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가 저장되는 기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은 검은색 계조에 해당하는 영상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은 상기 화소가 발광되지 않아서 생성되는 영상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화소가 발광되지 않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순서가 동일한 모드이며,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순서가 다른 모드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한 프레임의 입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차례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영상 신호를 차례로 읽어서 출력하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일부 화소가 상기 입력 영상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동일한 모드이며,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순서와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읽는 순서가 다른 모드인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은 상기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신호가 저장되는 기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20090002365A 2009-01-12 2009-01-1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1009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65A KR101009641B1 (ko) 2009-01-12 2009-01-1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65A KR101009641B1 (ko) 2009-01-12 2009-01-1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16A true KR20100083016A (ko) 2010-07-21
KR101009641B1 KR101009641B1 (ko) 2011-01-19

Family

ID=4264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365A KR101009641B1 (ko) 2009-01-12 2009-01-1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588A1 (en) * 2018-04-04 2019-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riving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0794982A (zh) * 2018-08-01 2020-02-14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用于其的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063B1 (ko) 1997-06-28 2000-09-15 김영환 영상프레임재배치방법
KR100437338B1 (ko) * 2002-08-27 2004-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20070082639A (ko) *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분할 색상 표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94060A (ko) * 2006-03-16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588A1 (en) * 2018-04-04 2019-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riving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867547B2 (en) 2018-04-04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riving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0794982A (zh) * 2018-08-01 2020-02-14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用于其的控制器
CN110794982B (zh) * 2018-08-01 2023-12-05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用于其的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641B1 (ko)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0922B (zh) 显示驱动电路、方法、以及显示设备
US20210366363A1 (en) Pixel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KR102559087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US1008365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497855B2 (en) Scan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US20200043420A1 (en) Data driver circuit,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30123218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표시장치, 이의 구동회로 및 방법
KR20210073188A (ko) 화소 구동 회로를 포함한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660305B1 (ko) 표시 장치
KR20160030597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220068537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849782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15448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2824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20120050252A1 (en) Display device
US20120146990A1 (en) Pixel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9258301A (ja) 表示装置
KR10195874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009641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093298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00156966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23099294A (ja)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16264058A (zh) 电致发光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20230091554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장치
KR2019000766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센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