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895A -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895A
KR20100082895A KR1020090002170A KR20090002170A KR20100082895A KR 20100082895 A KR20100082895 A KR 20100082895A KR 1020090002170 A KR1020090002170 A KR 1020090002170A KR 20090002170 A KR20090002170 A KR 20090002170A KR 20100082895 A KR20100082895 A KR 2010008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key
setting value
menu
item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895A/ko
Priority to US12/655,976 priority patent/US20100180229A1/en
Publication of KR2010008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방법에 있어서, 단축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단축키, 메뉴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Method for menu performance using hot key in po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특정키를 단축키로 지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단축키에 할당되는 설정 값을 단축키 입력에 따라 적용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하여 메뉴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사람들이 서로에게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성을 포함하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렇게 발전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오늘날에 이르러 누구나 생필품으로 인식할 정도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고, 다양한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를 실행한다. 이 때,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메뉴를 검색하고,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되는 메뉴로 진입한다. 그런 다음, 해당되 는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 때, 각 메뉴에는 종속되는 다수개의 하위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선택된 특정 항목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거나 해당 메뉴에서 나와서 확인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을 복잡하게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항목 중 다른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수행 중이던 특정 항목의 메뉴로 돌아가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특정키를 단축키로 지정하고, 해당 단축키에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을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설정 값을 적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단축키 반복 입력을 통해 단축키에 할당된 설정 값을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방법에 있어서, 단축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장치에 있어서, 단축키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단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단축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단축키에 할당된 설정 값을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키를 단축키로 지정하고, 사용자 의도에 따라 단축키의 특정 메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메뉴'는 단축키에 설정될 수 있는 메뉴를 의미한다. 즉, 메뉴에는 테마, 언어, 글꼴, 글자 색, 텍스트 위치, 글자 크기, 알람 등의 다양한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메뉴에는 각각 다양한 하위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하위 항목들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단축키에 설정 값으로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설정 값'은 휴대단말기의 특정 메뉴에 포함되는 하위 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단축키에 할당되는 항목을 의미한다. 이 때, 설정 값은 다수 개가 단축키에 할당될 수 있으며, 단축키의 입력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단축키'는 특정 메뉴의 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키가 길게 입력될 경우 이를 단축키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축키는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에 포함되는 특정 번호 키나 다양한 종류의 키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축키는 키패드 상의 하나의 특정키를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단축키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단축키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수개의 특정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다수개의 단축키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단축키에는 각각 다른 메뉴의 설정 값이 할당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입력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 패드(Touch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110)는 표시부(120)와 함께 하나의 터치 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10)는 단축키를 포함한다. 이 때, 단축키는 단축키 지정 모드에서 키패드의 특정 키와 매핑 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단축키 설정 모드에서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하고, 상기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되는 항목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단축키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표시부(120)는 휴대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휴대단말기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단축키 지정 모드와 단축키 설정 모드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단축키 설정 모드가 실행되면, 표시부(120)는 기 설정된 단축키의 특정 메뉴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조합 모드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특정 메뉴와 조합 가능한 메뉴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단축키 신호가 전달되면, 단축키에 할당된 설정 값이 적용되는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변경되는 설정 값에 대한 메시지를 팝업 창 형태로 화면에 표시한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단말기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단축키 지정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키를 단축키로 매핑 하는 프로그램, 단축키 설정 모드에서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들 중에 선택되는 항목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하는 프로그램 및 단축키 입력에 따라 설정 값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의 단축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단축키에 할당되는 설정 값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에는 조합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메뉴의 항목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조합 모드에서 조합 가능한 메뉴들의 항목을 조합하여 <표 1>, <표 2> 및 <표 3>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굴림체 바탕체 고딕체 궁서체
한국어 한국어 +굴림체 한국어+바탕체 한국어+고딕체 한국어+궁서체
영어 영어+굴림체 영어+바탕체 영어+고딕체 영어+궁서체
일본어 일본어+굴림체 일본어+바탕체 일본어+고딕체 일본어+궁서체
중국어 중국어+굴림체 중국어+바탕체 중국어+고딕체 중국어+궁서체
상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 모드에서 언어와 글꼴의 조합을 통해 생성 가능한 항목들을 저장한 표이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언어가 선택되고 나서 입력되는 조합 모드 실행 신호에 따라 언어와 조합 가능한 메뉴 목록을 제시하고, 그 중에 선택되는 글꼴과 조합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언어의 하위 항목인'한국어','영어','일본어'및'중국어'와 글꼴의 하위 항목인'굴림체','바탕체','고딕체'및'궁서체'의 항목을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9pt 10pt 11pt 12pt
한국어 한국어+9pt 한국어+10pt 한국어+11pt 한국어+12pt
영어 영어+9pt 영어+10pt 영어+11pt 영어+12pt
일본어 일본어+9pt 일본어+10pt 일본어+11pt 일본어+12pt
중국어 중국어+9pt 중국어+10pt 중국어+11pt 중국어+12pt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 모드에서 언어와 글자 크기의 조합을 통해 생성 가능한 항목들을 저장한 표이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언어가 선택되고 나서 입력되는 조합 모드 실행 신호에 따라 언어와 조합 가능한 메뉴 목록을 제시하고, 그 중에 선택되는 글자 크기와 조합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언어의 하위 항목인'한국어','영어','일본어'및'중국어'와 글꼴의 하위 항목인'9pt','10pt','11pt'및'12pt'의 항목을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검정색 파랑색 빨강색
한국어 한국어+검정색 한국어+파랑색 한국어+빨강색
영어 영어+검정색 영어+파랑색 영어+빨강색
일본어 일본어+검정색 일본어+파랑색 일본어+빨강색
중국어 중국어+검정색 중국어+파랑색 중국어+빨강색
상기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 모드에서 언어와 글자색의 조합을 통해 생성 가능한 항목들을 저장한 표이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언어가 선택되고 나서 입력되는 조합 모드 실행 신호에 따라 언어와 조합 가능한 메뉴 목록을 제시하고, 그 중에 선택되는 글자 색과 조합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언어의 하위 항목인'한국어','영어','일본어'및'중국어'와 글꼴의 하위 항목인'검정색','파란색'및'빨강색'의 항목을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는 휴대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하여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휴대단말기 내의 각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 모드가 실행되면, 단축키 지정모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단축키 지정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키를 단축키로 매핑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단축키에 매핑 되는 특정키가 번호 키인 경우, 상기 번호 키에 단축번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단축번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단축번호 기능을 해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 메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단축키로 기 설정된 메뉴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특정 메뉴에 대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위 항목들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하위 항목들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하위 항목들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단축키의 설정 값 적용 순서를 사용자의 변경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단축키 입력에 따른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다수개의 메뉴 각각의 항목을 조합하여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하는 조합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조합 모드가 실행되면,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을 저장하고, 상기 특정 메뉴와 조합 가능한 메뉴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기 저장된 하위 항목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의 하위 항목을 조합한 항목들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조합한 항목들 중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길게 입력되는 단축키 신호가 감지되면, 단축키에 할당된 설정 값을 적용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 값을 적용하거나 현재 특정 메뉴에 적용된 설정 값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설정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설정 값 변경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 창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재입력되는 단축키 신호에 따라 현재 적용된 설정 값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설정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201단계에서 단축키 설정 모드를 실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단축키 지정 모드 화면을 표시하고, 단축키 지정 모드에서 선택되는 키패드의 특정키를 단축키로 매핑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축키에는 특정 메뉴의 항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설정 값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단축키는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에 포함되는 특정 번호 키나 다양한 종류의 키가 될 수 있다.
단축키가 지정되면,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 메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메뉴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에 해당되는 하위 항목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203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하위 항목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조합 모드에서 다수개의 메뉴들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조합하여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조합 모드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을 저장하고, 상기 특정 메뉴와 조합 가능한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조합하여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단축키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S205단계에서 단축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단축키로 지정된 특정키가 길게 입력될 경우 이를 단축키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단축키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207단계에서 단축키에 할당된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재입력되는 단축키 신호에 따라 설정 값을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단축키 입력에 따른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단축키의 설정 값 변경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 창 형태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3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301단계에서 단축키 설정 모드 선택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환경 설정이 실행되면, 화면에 환경 설정 모드에 대한 목록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때, 단축키 설정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303단계에서 단축키 지정 모드를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키를 단축키로 매핑 할 수 있다.
단축키 지정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305단계에서 단축키가 지정되었는지 판단한다. 이 때, 단축키가 지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00)는 S307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 메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현재 단축키에 기 설정되어 있는 메뉴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 메뉴 중에서 현재 단축키에 설정되어 있는 메뉴인'4. 글꼴'(401)을 하이라이트 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현재 단축키로 기 설정되어 있는 특정 메뉴를 단축키 설정 메뉴 목록의 최상위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축키가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단축키 지정 모드를 계속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S309단계에서 단축키 설정 메뉴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메뉴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2.언어'(403)의 선택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선택되는'2.언어'(403)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311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00)는 S313단계에서 조합 모드 실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조합 모드는 다수의 메뉴에 해당하는 각각의 항목을 조합하여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조합 모드 적용'과'조합 모드 미적용'하위 항목들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할 수 있다.
조합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315단계에서 조합 모드에 따른 단축키 설정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합 모드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조합 모드가 실행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S317단계에서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특정 메뉴인 언어에 포함되는'1.한국어','2.영어','3.일본어'및'4.중국어'등의 하위 항목들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하위 항목 중에서 선택되는 항목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1.한국어'(405)와'2.영어'(407) 항목을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선택되는 하위 항목들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S319).
제어부(100)는 S32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항목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단축키에 기 설정되어 있는 특정 메뉴의 설정 값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을 표시하면, 설정 값으로 할당되어 있는 하위 항목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설정 값으로 할당되어 있는 항목 중에서 삭제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항목을 설정 값에서 제외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323단계에서 단축키의 설정 값 할당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이 완료되면, 단축키 설정 모드에 대한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이 완료되지 않으면,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항목을 단축키의 설정 값을 할당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단축키에 할당되는 설정 값의 적용을 위한 우선순위를 사용자의 변경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조합 모드를 이용한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조합 모드를 이용한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501단계에서 조합 모드 실행신호에 따라 조합 모드의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조합 모드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다른 메뉴의 하위 항목 중 조합 가능한 항목들의 목록 중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조합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5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505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항목 선택을 위한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S507단계에서 조합 가능한 메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상기 <표 1>, <표 2> 및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을 통해 생성 가능한 항목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메뉴 목록이 표시되면, 제어부(100)는 S509단계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언어와 조합 가능한 메뉴로서 글꼴(601), 글자 크기 및 글자 색 등의 메뉴를 제시할 수 있고, 이 중에 선택되는 글꼴(601)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S511단계에서 선택되는 특정 메뉴와 조합 가능한 항목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조합 가능한 항목의 목록이 화면에 표시되면, 제어부(100)는 S513단계에서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515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영어와 글꼴을 이용하여 조합 가능한 항목인'1.영어+굴림체','2.영어+바탕체'(603),'3.영어+고딕체','4.영어+궁서체'(605)등의 항목들이 제시된 화면에서 선택되는'2.영어+바탕체'(603)와'4.영어+궁서체'(605)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특정 항목의 선택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조합 가능한 항목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S517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단축키 설정되면, 제어부(100)는 S519단계에서 단축키 설정 완료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단축키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단축키 설정에 대한 수행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단축키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00)는 또 다른 조합 모드에 대한 항목을 단축키에 할당하기 위해 특정 메뉴의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7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7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단축키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단축키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키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길게 입력되는 특정키의 입력 신호를 단축키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단축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S703단계에서 현재 단축키의 설정 값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으로 적용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 때,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으로 적용된 경우, 제어부(100)는 S705단계에서 단축키에 설정된 최우선 순위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키에는 언어 중 한국어와 영어가 설정 값으로 할당되어 있다. 이 때,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은 한국어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한국어로 표시되는 대기 화면에서 발생하는 단축키 신호를 감지하고, 단축키 신호에 따라 언어를 영어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대기 화면상의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S707단계에서 설정 값 적용에 따른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단축키 입력에 의해 설정 값이 변경되면, 팝업 창 형태로'The language was changed in English'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으로 적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S709단계에서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적용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단축키에 할당되는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기 저장하고, 다른 설정 값의 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S711단계에서 설정 값 적용에 따른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단축키 입력에 의해 설정 값이 변경되고 나서, 제어부(100)는 S713단계에서 단축키의 재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단축키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715단계에서 단축키에 할당된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후,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면, 제어부(100)는 S717단계에서 현재 설정 값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을 적용한다. 한편, 단축키의 재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을 종료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언어에 해당하는 최우선 순위인 한국어, 두 번째 순위인 영어 및 세 번째 순위인 일본어의 설정 값 중 현재의 설정 값으로 영어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 단축키 입력에 따라 다음 순서인 일본어로 설정 값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S719단계에서 설정 값 적용에 따른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언어에 해당하는 최우선 순위인 한국어, 두 번째 순위인 영어 및 세 번째 순위인 일본어의 설정 값 중 현재의 설정 값으로 일본어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 단축키 입력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한국어로 설정 값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기능 실행 중에 입력되는 단축키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일정 관리 모드를 실행 중에 입력되는 길게 입력되는 단축키 입력 신호에 따라 일정 관리 모드의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일정 관리 모드의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축키에 할당되어 있는 설정 값을 언어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키에 할당될 수 있는 설정 값은 언어에 해당하는 항목뿐만 아니라 테마, 글꼴, 글자 크기, 글자 색, 텍스트 위치 및 알람 등에 포함되는 항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메뉴가 글꼴인 경우, 글꼴에 해당하는 굴림체, 바탕체, 궁서체 및 고딕체 등의 하위 항목들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뉴가 글자 크기인 경우, 글자 크기에 해당하는 9pt, 10pt, 11pt 및 12pt 등의 하위 항목들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뉴가 글자색인 경우, 글자 색에 해당하는 검정색, 빨강색, 노란색 및 파란색 등의 하위 항목들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뉴가 텍스트 위치인 경우, 텍스트 위치에 해당하는 상위, 중간 및 하위 등의 하위 항목들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뉴가 알람인 경우, 알람에 해당하는 30분 후, 1시간 후, 오전 6시 및 오후 9시 등의 하위 항목들을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조합 모드를 이용한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조합 모드를 이용한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Claims (24)

  1.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방법에 있어서,
    단축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선택되는 항목이 설정 값으로 설정되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 선택되는 항목으로서, 상기 단축키의 입력에 따라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에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들 중 선택되는 항목을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다수개의 메뉴에 각각 포함되는 하위 항목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과정은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항목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메뉴와 조합 가능한 메뉴 목록을 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목록 중에서 선택되는 메뉴의 하위 항목과 상기 저장된 특정 항목을 조합하는 과정과,
    상기 조합된 항목 중 선택되는 항목을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단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설정 값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설정 값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이면, 상기 최우선 순위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설정 값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이 아니면, 상기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이 적용되고 나서, 상기 단축키의 재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현재 설정 값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면, 상기 현재 설정 값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과정은
    상기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과정 후
    상기 설정 값의 변경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 창 형태로 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13. 휴대단말기의 메뉴 실행 장치에 있어서,
    단축키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단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선택되는 항목이 설정 값으로 설정되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 선택되는 항목으로서, 상기 단축키의 입력에 따라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에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들 중 선택되는 항목을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개의 메뉴에 각각 포함되는 하위 항목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조합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항목을 저장하고, 상기 특정 메뉴와 조합 가능한 메뉴 목록 중에서 선택되는 메뉴의 하위 항목과 상기 저장된 특정 항목을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항목 중 선택되는 항목을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설정 값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인지 확인하고, 상기 현재 설정 값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이면 상기 최우선 순위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현재 설정 값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이 아니면, 상기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키의 설정 값이 적용되고 나서, 상기 단축키의 재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현재 설정 값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면 상기 현재 설정 값의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음 순서의 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최우선 순위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값의 변경에 따른 메시지를 팝업 창 형태로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90002170A 2009-01-12 2009-01-12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00082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70A KR20100082895A (ko) 2009-01-12 2009-01-12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US12/655,976 US20100180229A1 (en) 2009-01-12 2010-01-11 Method for menu performance using shortcut key in po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70A KR20100082895A (ko) 2009-01-12 2009-01-12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895A true KR20100082895A (ko) 2010-07-21

Family

ID=4231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170A KR20100082895A (ko) 2009-01-12 2009-01-12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80229A1 (ko)
KR (1) KR201000828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3795B (zh) * 2009-09-10 2014-03-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功能快捷操作方法
CN102929379A (zh) * 2012-08-20 2013-02-13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移动设备的设置管理方法、装置及移动设备
KR20140042467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축버튼을 이용한 기능 수행시 옵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KR20150085251A (ko) * 2014-01-15 2015-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58753A (ja) * 2014-02-21 2015-09-03 ソニー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および制御装置
KR102225945B1 (ko) * 2014-07-16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GB201416410D0 (en) * 2014-09-17 2014-10-29 Bond Adam Navigation system for a menu-driven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0267A (ja) * 1995-08-23 1997-07-22 Toshiba Corp 外部イベントに基づきキーボード割当を動的に構成し直す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114978A (en) * 1998-01-14 2000-09-0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ment of shortcut key combinations in a computer software application
US7614008B2 (en) *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US6567627B2 (en) * 2000-07-31 2003-05-20 Kyocera Mita Corporation Operating device having a shortcut key for setting functions
JP3938307B2 (ja) * 2001-12-27 2007-06-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6854090B2 (en) * 2002-03-21 2005-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tivation of a system feature by using a programmable reactivation button
US7827508B2 (en) * 2002-09-13 2010-11-02 Eastman Kodak Company Hotkey function in digital camera user interface
WO2004066600A1 (en) * 2003-01-22 2004-08-05 Min-Kyum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JP3980598B2 (ja) * 2003-02-06 2007-09-2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設定サーバ、設定プログラム
US7359905B2 (en) * 2003-06-24 2008-04-15 Microsoft Corporation Resource classification and prioritization system
US20050085217A1 (en) * 2003-10-21 2005-04-21 Chae-Yi Lim Method for setting shortcut key and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reof
US20060048078A1 (en) * 2004-08-31 2006-03-02 Scott Sherryl L L Handhel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input routine, and associated method
US7134094B2 (en) * 2005-01-14 2006-11-07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assigning of shortcut keys
US7757185B2 (en) * 2006-01-06 2010-07-13 Apple Inc. Enabling and disabling hotkeys
KR100776992B1 (ko) * 2006-05-16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할당형 다-버튼 사이드 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기능 수행 방법
KR20080029410A (ko) * 2006-09-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KR100804791B1 (ko) * 2006-10-13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및 촬영모드 제어방법
JP4137157B2 (ja) * 2006-12-07 2008-08-20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CN101661367A (zh) * 2008-08-25 2010-03-03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菜单快捷方式的生成方法及使用者接口装置
US20100115159A1 (en) * 2008-11-05 2010-05-06 Bella Corporation Keyboard shortcut software utility
US20100122213A1 (en) * 2008-11-07 2010-05-13 Jen-Te Chen Method for assignment of shortcut key combinations utilizing numerical-shape associ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0229A1 (en)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01733B (zh) 用于处理装置之间的输入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20100082895A (ko) 휴대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실행 방법 및 장치
EP2854013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3793176A (zh) 一种应用程序间快速切换的方法及装置
KR20010054519A (ko)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KR20100124440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802249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e-handed operations of mobile terminal
EP3012719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tective cover in electronic device
CN104461726A (zh) 操作系统的显示方法、操作系统的显示装置和终端
KR2012000920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50033175A1 (en) Portable device
US20230224399A1 (en) Communication System Selection
US113922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facilitating use of functions in a locked state
US201302979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onic device setting thereof
US106667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telephone numbers in a portable terminal
US20080064388A1 (en) Softkey access to network connections
US20120319958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key arrangement alteration method therefor
WO2010024416A1 (ja) 表示機器およびその表示方法
CN105302857B (zh) 一种提供联系人信息的方法与设备
JP5647393B2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方法
CN104714739A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834514B (zh) 快捷方式更新方法及装置
KR20160070515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89825B1 (ko) 소프트 핫키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키를 가지는 정보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88732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