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591A -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591A
KR20100082591A KR1020090001962A KR20090001962A KR20100082591A KR 20100082591 A KR20100082591 A KR 20100082591A KR 1020090001962 A KR1020090001962 A KR 1020090001962A KR 20090001962 A KR20090001962 A KR 20090001962A KR 20100082591 A KR20100082591 A KR 2010008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memory module
power key
standby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591A/ko
Priority to PCT/KR2009/002035 priority patent/WO2010079866A2/en
Priority to US13/143,787 priority patent/US8751834B2/en
Publication of KR2010008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라인 추가없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 키 오프되고, 다시 파워 키 온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이 온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파워키 온/오프, DC 전원키, 래스트 메모리 기능. 방송 수신기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OPERATING METHOD OF BROADCASTING RECEIVER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라인 추가 없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 키 오프되고, 다시 파워 키 온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이 온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영상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한 방송 수신기의 여러 기능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여러 기능 중 래스트 메모리 기능이 있는데, 래스트 메모리 기능은 키 오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의 최종 상태를 메모리에 기록하였다가, 다시 키온되면 최종 상태로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키는 기능이다.
즉,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래스트 메모리 기능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키를 오프하고, 다시 파워키을 온하면 스탠바이 상 태를 유지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 래스트 메모리 기능을 구현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101)에서 사용자가 파워 키 오프를 입력할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은 오프 모드(102)로 되고, 다시 사용자가 파워 키 온을 입력할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은 다시 스탠바이 상태(103)이 되었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 인 것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파워 키 온을 입력할 경우, 저장된 상태를 리드하여 리드된 상태로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래스트 메모리 기능은 순간적으로 정전이 되어 방송 수신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다가, 다시 전원이 공급되게 되면, 디스플레이 수단이 켜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파워키를 온 할 경우, 보통은 방송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켜지기를 원하는데,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래스트 메모리 기능 때문에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되지 못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의 신호 라인 또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파워키 온 시 방송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 시키면서, 순간 정전일 경우를 대비하여 AC 전원키 또는 리모컨 전원키의 온/오프 시에는 래스트 메모리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파워키 온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키 온 입력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 유닛의 마이컴으로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이 상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파워키 온 입력에 따라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으로 스탠바이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AC 디텍트 신호를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은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파워키 온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파워키 온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이 상태 변경되는 경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으로 스탠바이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AC 디텍트 신호를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 및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는 래스트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워키 온 시 방송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 시키면서, 순간 정전일 경우를 대비하여 AC 전원키 또는 리모컨의 전원키 온/오프 시에는 래스트 메모리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키 오프된 후, 사용자가 파워키를 온하는 경우, 별도의 라인 추가 없이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과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 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수다늘 온시킴으로서, 사용자가 파워키를 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켜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 래스트 메모리 기능 때문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Power Supply Unit, 291), 래스트 메모리 모듈(Last Memory Module, 202), IR 보드((Infrared Board, 20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되지 않음)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키 오프 입력을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인 신호, 스탠바이 온 시그널, 스탠바이 구동 전압. AC 디텍트 신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파워키 오프 입력이 수신되면, 파워 서플라이 유닛(201)의 마이컴(205)으로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은 도면부호(301)과 같이 로우에서 하이 상태로 상태 변경되고, 스탠바이 온 시그널은 도면부호(302)와 같이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상태 변경되고,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로 공급되는 스탠바이 구동 전압(STBY 5V) 또한 도면부호(303)과 같이 로우 상태로 상태 변경된다.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은 스탠바이 상태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은 오프 모드로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파워키를 온 시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되지 않음)는 파워키 온 입력을 수신하고, 파워 서플라이 유닛(201)의 마이컴(205)으로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의 상태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키-인 시그널은 도 3의 도면 부호(301)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 이 스탠바이 상태일 때 로우 상태이다가 파워키 오프 입력을 수신하면 하이 상태가 되고, 다시 사용자가 파워키를 온시키면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상태 변경된다.
이 때, 마이컴(205)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 온 시그널 또한 도면부호(302)와 같이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변경되고,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의 마이컴(207)로 출력되는 스탠바이 구동 전압 또한 도면부호(303)과 같이 로우 상태에서 하이상태로 상태 변경된다.
파워키 온 입력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 유닛(201)의 마이컴(205)으로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이 상태 변경되는 경우, 마이컴(205)은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AC(Alternating Current) 디텍트 신호를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의 마이컴(207)으로 출력한다.
즉, 마이컴(205)은 스탠바이 구동 전압(302)이 하이 상태로 출력된 후, 소정 시간(T1)이 지나면, AC 디텍트 시그널을 도면부호(304)와 같이 하이 상태로 출력한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소정 시간은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 후, 800msec이상 지나면 AC 디텍트 시그널이 하이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의 마이컴(207)은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킨다.
예를 들어,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의 마이컴(207)은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 후, 800msec이상 지나 AC 디텍트 시그널이 하이 상태로 출력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킬 수 있다.
이 때,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의 마이컴은 메모리 내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온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 시킬 수도 있고, IR 보드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방송 수신기는 리모컨의 전원키 온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 내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판단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킨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AC 전원키 온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래스트 메모리 모듈(202) 내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판단 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AC 전원키 또는 리모컨의 전원키는 파워키와 구분되어, 래스트 메모리 기능이 적용되는 키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키 오프된 후, 사용자가 파워키를 온하는 경우, 래스트 메모리 모듈로 출력되는 스탠바이 구동 전압과 AC 디텍트 시그널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온시킴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라인없이 사용자가 파워키를 온하는 경우 래스트 메모리 기능과 별도로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켜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 래스트 메모리 기능 때문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되지 못하여 발생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키 온 시 방송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 시키면서, 순간 정전일 경우를 대비하여 AC 전원키 또는 리모컨의 전원키 온/오프 시에는 래스트 메모리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01)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키 오프 입력을 수신한다.
파워키 오프 입력을 수신한 방송 수신기는 단계(S402)에서 래스트 메모리 모듈 내 메모리에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S403)에서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로부터 파워키 온 입력을 수신하는지 판단한다.
단계(S403)의 판단 결과, 파워키 온 입력이 수신되어 파워 서플라이 유닛의 마이컴으로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이 상태 변경되는 경우, 단계(S404)에서 방송 수신기의 파워 서플라이 유닛은 래스트 메모리 모듈로 스탠바이 구동 전압을 출력한다.
스탠바이 구동 전압을 출력한지 소정 시간이 지나면, 단계(S405)에서 파워 서플라이 유닛은 래스트 메모리 모듈로 AC 디텍트 신호를 하이 상태로 출력한다.
단계(S406)에서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은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킨 다.
이 때,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은 메모리 내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온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 시킬 수도 있고, IR 보드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킬 수도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파워키가 온되지 않고, 단계(S407)의 판단 결과, AC 전원키나 리모컨의 전원키가 온된 경우, 단계(S408)에서 방송 수신기는 래스트 메모리 모듈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단계(S409)에서 판단된 상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키 동작 특성과 AC 전원키 동작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이 디스플레이 온된 상태(501)에서, AC 전원키나 파워키가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되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래스트 메모리 기능에 의해 다시 디스플레이 온 상태(502)가 된다.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503)에서 AC 전원키가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수단은 래스트 메모리 기능에 의해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504).
그러나,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에서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탠바이 상태(503)에서 파워키가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은 스탠바이 구동 전압과 AC 디텍트 신호의 출력 시간 차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온 상태(505)로 동작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 래스트 메모리 기능을 구현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인 신호, 스탠바이 온 시그널, 스탠바이 구동 전압, AC 디텍트 신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키 동작 특성과 AC 전원키 동작 특성을 비교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파워 서플라이 유닛
202: 래스트 메모리 모듈
203: IR 보드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파워키 온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키 온 입력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 유닛의 마이컴으로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이 상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파워키 온 입력에 따라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으로 스탠바이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AC 디텍트 신호를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은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키 오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리모컨 전원키 온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AC 전원키 온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최종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은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는 단계는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은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온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거 나, IR 보드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6. 사용자로부터 파워키 온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파워키 온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키-인 시그널이 상태 변경되는 경우, 래스트 메모리 모듈(Chassis)의 마이컴으로 스탠바이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출력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AC 디텍트 신호를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 및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는 래스트 메모리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스탠바이 상태에서 파워키 오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은 리모컨 전원키 온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은 AC 전원키 온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트 메모리 모듈의 마이컴은 상기 스탠바이 구동 전압 및 상기 AC 디텍트 신호의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온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거나, IR 보드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90001962A 2009-01-09 2009-01-09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100082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62A KR20100082591A (ko) 2009-01-09 2009-01-09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PCT/KR2009/002035 WO2010079866A2 (en) 2009-01-09 2009-04-20 Method of broadcasting receiver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the method
US13/143,787 US8751834B2 (en) 2009-01-09 2009-04-20 Method of controlling a broadcasting receiver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62A KR20100082591A (ko) 2009-01-09 2009-01-09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591A true KR20100082591A (ko) 2010-07-19

Family

ID=4264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962A KR20100082591A (ko) 2009-01-09 2009-01-09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5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59A2 (ko) * 2011-04-19 2012-10-26 유한회사 셋토퍼 Tv용 셋톱박스 전원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59A2 (ko) * 2011-04-19 2012-10-26 유한회사 셋토퍼 Tv용 셋톱박스 전원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2144759A3 (ko) * 2011-04-19 2012-12-20 유한회사 셋토퍼 Tv용 셋톱박스 전원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4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power
EP40758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71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splay device
US861278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19353B2 (ja) 表示装置
KR20130099055A (ko) 다수의 대기 모드를 구비하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JP4163732B2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01953B1 (ko)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 기능 제어장치와 방법
US20060274179A1 (en) Imaging device
KR20100082591A (ko)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101673586B1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31577A (ko) Usb 장치,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098120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59783B1 (ko)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US875183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broadcasting receiver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the method
JP3837080B2 (ja) 燃焼制御装置
JP603523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20009295A (ko) 영상 표시 기기에서 부 마이컴을 이용한 스탠바이시 전원제어 장치
KR100732165B1 (ko)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70058200A (ko) 스탠바이 전력 저감을 위한 텔레비전 시스템
KR20000021584A (ko) 텔레비젼에서의 라스트 메모리 제어 방법
KR102027923B1 (ko)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90109666A (ko) 텔레비전의 전원 제어 방법
KR20110019795A (ko) 절전모드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40597A (ko) 듀얼 모니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