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923B1 -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923B1
KR102027923B1 KR1020130093644A KR20130093644A KR102027923B1 KR 102027923 B1 KR102027923 B1 KR 102027923B1 KR 1020130093644 A KR1020130093644 A KR 1020130093644A KR 20130093644 A KR20130093644 A KR 20130093644A KR 102027923 B1 KR102027923 B1 KR 102027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te
avn system
vehicle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562A (ko
Inventor
황재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는차량이 Lock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터치 패널을 입력수단으로 이용하여 AVN 시스템을 Power On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Lock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대화면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오디오 전원을 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Power On/Off Apparatus of AV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입력에 따라 AVN 시스템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기와 같은 상태에서 Audio를 Turn ON 시킬 수 있었다.
예컨대, 차량 상태가 Lock이 아니거나, 예컨대 키(Key)가 Lock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 즉 키가 ACC, On 및 Start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태이거나, 또는 키가 Lock에 위치한 상태이더라도 차량의 직전 상태가 Run(Engine 시동)상태였고, Lock 상태로 전환 된지 기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이면, Audio를 Turn ON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차량 상태가 Lock인 경우에는 Audio 자체는 동작하지 않으며, 즉 Audio는 대기 상태이고 최소 전력만 사용하며, Power 버튼 또는 Eject 버튼 등의 정해진 버튼 입력으로 Audio의 전원이 컨트롤 될 수 있게 하였다. 즉, 설정된 시간 동안만 Audio 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기본적으로 차량 상태가 Lock 상태로 전환하면, Audio를 오프시키도록 하여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였다.
이처럼 차량 상태가 Lock인 상태에서 오디오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대기상태일 경우), 터치 패널 자체가 많은 전류를 소모하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밖에 없다. 즉, 오디오 전원이 꺼진 Lock 상태에서는 터치 입력행위로 차량 오디오를 켤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최근에는 차량 오디오 비디오 및 Navigation의 화면이 대형화되는 추세이고, 대형화된 화면에 장착된 터치 패널을 조작하는 것으로 오디오 전원을 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터치 패널의 전력 소모량이 크기 때문에 터치 입력을 항상 가능하도록 터치 패널을 구동시키는 것은 차량 배터리 소모를 증대시켜 방전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이 Lock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터치 패널을 입력수단으로 이용하여 AVN 시스템을 Power On할 수 있도록 하는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포함한 전면패널부에서 터치 입력 모드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차량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고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오디오의 전원을 켜고 끄는 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는 운전석 전면에 위치된 전면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패널은 터치 패널의 게인을 기설정된 게인 보다 작게 조정하거나 Sensing하는 샘플링 주기를 기설정된 샘플링 주기 보다 길게 조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이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게인과 Sensitivity 간의 기설정된 관계를 토대로 상기 터치 패널의 게인을 기설정된 게인 보다 작게 조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이 조정된 게인으로 동작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보다 길게 감지되는 경우에만 유효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차량 정보를 토대로 차량 Door의 상태 변화 및 차량 전원 상태(시동 Key State)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차량 Door가 개방되고, 상기 차량 전원 상태가 Lock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AVN 시스템이 Power ON될 수 있도록 Timer를 설정하며, 터치 패널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입력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AVN 시스템을 켜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AVN 시스템을 Power 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Lock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대화면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오디오 전원을 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차량의 전원 상태에 따른 AVN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터치패널의 전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터치 패널을 이용해서 전원을 켜고 끄는 동작은 일반적인 운행중에는 구현 가능하나, ACC ON 상태 또는 LOCK 상태에서는 오디오가 전원소모를 최소화하는 상태로 진입하여 오디오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오디오 시스템에 장착된 터치 패널 또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터치 입력을 받기가 어렵다.
다만, 터치 패널이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 상태에서도 입력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발명이 있을 수도 있겠으나, 이는 별도의 인터럽트 회로를 추가하는 방법을 필요로 하므로,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제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차량의 전원 상태에 따른 AVN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의 전원 상태는 Lock / ACC / ON / Start(Crank 또는 시동)로 구분된다.
차량 AVN 시스템은 차량이 ACC ON 상태일 경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AVN 시스템 또는 ICS(Integrated Center Stack, 통합형 스위치 모듈)의 전원 버튼이 조작되면 이에 따라 Turn On될 수 있다.
AVN 시스템의 CPU는 저전력 상태(Standby State)일 경우 대기 상태에 있다가 전원 버튼의 조작에 따라 Interrupt가 전달되면 동작상태로 전환하여 AVN 시스템을 Turn ON 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는 전면부 패널(100), AVN Head Unit(200), BCM(300) 및 ECM(400)을 포함한다.
전면부 패널(100)은 디스플레이부(110)와 키보드 모듈(120)을 포함한 ICS(Integrated Center Stack, 통합형 스위치 모듈, 130)를 포함하고, AVN Head Unit(200)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전면부 패널(100)은 AVN Head Unit(20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기본적인 통신 기능과 전원관리를 위해서 최소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기능은 전면부 패널(100)이 차량의 여러 통신시스템에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전면부 패널(100)은 통신기능을 통해 연결된 AVN Head Unit(200)을 Wake Up시킬 수 있으며, 또한 BCM(300), ECM(400)으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키보드 모듈(12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 모듈(120)이 별도로 AVN Head Unit(200)을 포함한 AVN 시스템의 다른 구성 모듈들과 직접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고, 이렇게 구성될 경우에는 키보드 모듈(120)의 전원 차단 기능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110)가 전원 관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VN 시스템의 전원 버튼(Power Button, 121)은 키보드 모듈(120)에 위치하고, 전원 버튼(121)이 조작될 경우, 전면부 패널(100)이 대기상태에서 Wake UP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 AVN 시스템을 Power ON할 수 있도록 한다.
ECM(400)은 차량의 Engine 상태를 관리하는 Engine 컨트롤 모듈이다.
전면부 패널(100)은 BCM(300) 또는 ECM(400)과의 직접 통신을 통해 Power On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만 Power On될 수 있으며, AVN Head Unit(200)을 포함한 다른 AVN 시스템의 구성 모듈들은 Power On되지 않도록 하여 AVN 시스템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터치패널(111)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만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원 상태가 LOCK 상태이고, AVN 시스템 및 ICS(130)의 전원 입력이 유지되어 AVN 시스템의 Power On이 가능한 경우, ICS(130)는 차량의 전원 상태가 ACC ON상태가 아닌 다른 전원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터치 입력 대기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ICS(130)는 차량 도어 잠금 상태, Key 꽂힘, 스마트키의 차량 내부 진입 여부, 또는 운전석 운전자의 착석 여부 등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터치 입력 대기 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CS(130)는 판단결과 터치 입력 대기 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한 경우, 터치패널(111)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터치패널(111)이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도록 한다.
전면부 패널(100)은 터치패널(111)이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도록 하기 위해 터치패널(111)의 게인을 기설정된 게인 보다 줄이거나 Sensing하는 샘플링 주기를 기설정된 샘플링 주기 보다 길게 조정하여 터치패널(111)이 Lower Power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Gain과 Sensitivity의 관계를 토대로 Gain을 기설정된 게인 보다 작게 조정하여 터치패널(111)이 조정된 Gain으로 동작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보다 길게 감지되는 경우에만 유효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터치패널(111)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Gain Sensitivity
High High sensitivity
Middle Middle sensitivity
LO LO sensitivity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를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터치패널의 전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CM(300)은 Door의 열림 상태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토대로 차량 Door의 개방 여부를 판단한다(S100). 여기서 차량Door는 차량 실내를 개방하여 AVN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Door를 모두 포함한다.
차량 Door가 개방인 것으로 판단하면, BCM(300)은 판단결과를 AVN Headunit(200)과 전면부 패널(100), 즉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한다.
ECM(400)은 차량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여 AVN Headunit(200)과 전면부 패널(100), 즉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한다.
BCM(300)으로부터 결과정보와 ECM(400)으로부터 차량의 전원 상태를 수신한 AVN Headunit(200)과 디스플레이부(110),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 Door의 상태 변화 및 차량의 전원 상태(시동 Key State)를 판단한다(S301).
판단결과, 차량 Door가 개방되고, 차량의 전원상태가 ACC On 상태가 아닌 경우, 즉 차량의 전원 상태가 Lock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경우, Timer를 설정하며, 디스플레이부(110)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 AVN 시스템을 Power ON할 수 있도록 한다(S302).
timer시간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저장하며 변경될 수 있다. 이 Timer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부(110)는 일정시간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입력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이 대기 모드 동안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인지하기 위해 터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별도의 조명을 깜빡이는 행위를 통해 터치 대기 입력상태라는 것을 알린다.
물론,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목적으로 이를 삭제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행위의 목적은 터치 입력 대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데 있다.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으면(S303),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AVN 시스템을 켜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AVN Head Unit(200)에 Power ON 명령을 전달하여 AVN Head Unit(200)을 Wake UP시킨다(S304).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자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이 Power ON을 하려는 행위인지를 구분하는 동작 또는 판단 기준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일반적인 터치 입력 동작과 달리, 모션 제스쳐, 또는 길게 누름 등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행위를 AVN 시스템의 Power를 Trigger할 수 있는 판단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S301) 판단결과, Door가 개방되고, 현재 차량의 전원상태가 ACC On상태이면, AVN 시스템의 Last 전원 Mode가 Power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
판단결과, AVN 시스템의 Last 전원 Mode가 Power ON 상태이면, AVN 시스템을 켠 상태로 유지하되, Engine상태가 Run상태가 아니면(S306), 차량 배터리 보호를 위해 Acc Audio ON timer 를 설정하고(S307), 예를 들면 30분 또는 1시간의 AVN 시스템 ON 시간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 AVN 시스템이 Off가 되도록 한다.
단계(S305) 판단결과, Last 전원 Mode가 Power ON 상태가 아니고, 즉 Last 전원 Mode가 Power Off 상태이며, Engine상태가 Run상태이면(S308), AVN 시스템을 Off상태로 유지하되, 디스플레이부(110)만 일정 시간 timer 설정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으로 AVN 시스템을 Power On하도록 한다(S309).
한편, Timer 설정시, 디스플레이부(110)의 Sensitivity 및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구동 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1)의 구동 속도를 Slow Mode로 전환하게 하거나, Sensitivity를 낮춰 동작시킴으로써, 터치패널(111)의 Power 소모를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Lock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대화면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오디오 전원을 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면부 패널 200 : AVN Head Unit
300 : BCM 400 : ECM

Claims (7)

  1.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에 있어서,
    운전석 전면에 위치된 전면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패널은 터치 패널의 게인을 기설정된 게인 보다 작게 조정하거나 Sensing하는 샘플링 주기를 기설정된 샘플링 주기 보다 길게 조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이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게인과 Sensitivity 간의 기설정된 관계를 토대로 상기 터치 패널의 게인을 기설정된 게인 보다 작게 조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이 조정된 게인으로 동작하게 하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보다 길게 감지되는 경우에만 유효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
    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패널은 ICS(Integrated Center Stack)를 포함하고,
    상기 ICS는 차량의 전원 상태가 LOCK 상태이고, 상기 AVN 시스템 및 자신에게 전원 입력이 유지되어 상기 AVN 시스템의 Power On이 가능한 경우, 차량 도어 잠금 상태, Key 꽂힘, 스마트키의 차량 내부 진입 여부, 및 운전자의 착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터치 입력 대기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터치 입력 대기 모드로 진입할 것을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터치패널이 저전력 모드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
    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3.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차량 정보를 토대로 차량 Door의 상태 변화 및 차량 전원 상태(시동 Key State)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차량 Door가 개방되고, 상기 차량 전원 상태가 Lock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AVN 시스템이 Power ON될 수 있도록 Timer를 설정하며, 터치 패널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입력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으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AVN 시스템을 켜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AVN 시스템을 Power ON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는,
    설정된 상기 Timer의 시간 동안 상기 터치 입력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 대기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인지하기 위해 터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터치 입력 대기 모드 상태를 알리기 위해 별도의 조명을 깜빡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차량 Door가 개방되고, 상기 차량 전원 상태가 ACC On상태이면, 상기 AVN 시스템의 Last 전원 Mode가 Power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상기 AVN 시스템의 Last 전원 Mode가 Power ON 상태이면, 상기 AVN 시스템을 Power On 상태로 유지하되, 차량의 Engine상태가 Run상태가 아닐 경우, 차량 배터리 보호를 위해 ACC ON timer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ACC ON timer가 타임 아웃 되면, 상기 AVN 시스템이 Off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ast 전원 Mode가 Power Off 상태이며, 상기 차량의 Engine상태가 Run상태이면, 상기 AVN 시스템을 Off상태로 유지하되,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timer를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AVN 시스템이 Power On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Timer 설정시, 상기 터치 패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터치 패널의 구동 속도를 Slow Mode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의 Sensitivity를 기설정 값보다 낮춰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093644A 2013-08-07 2013-08-07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44A KR102027923B1 (ko) 2013-08-07 2013-08-07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44A KR102027923B1 (ko) 2013-08-07 2013-08-07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62A KR20150017562A (ko) 2015-02-17
KR102027923B1 true KR102027923B1 (ko) 2019-10-02

Family

ID=5304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644A KR102027923B1 (ko) 2013-08-07 2013-08-07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7194A (ja) 2004-10-06 2006-04-20 Olympus Imaging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67B1 (ko) * 2002-01-0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터치 패널의 인식오류 최소화 방법
KR101242620B1 (ko) * 2011-01-18 2013-03-19 주식회사 애트랩 터치 센서 제어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7194A (ja) 2004-10-06 2006-04-20 Olympus Imaging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62A (ko)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splay device
US10234928B2 (en) Display device,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 operating states of a computer system
US20050231870A1 (en)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aving electronic device
CN101539796A (zh) 显示器自动启闭方法及可自动启闭的显示器
CN112092726B (zh) 环境氛围灯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9952646B2 (en) Power-saving mode for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N106933362B (zh) 一种鼠标的控制方法、鼠标控制器和电子设备
JP2008179212A (ja) 状態制御装置、状態制御方法、案内制御装置および案内制御方法
KR101029941B1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KR102027923B1 (ko) Avn 시스템의 전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79927B1 (ko) 배터리 절전 시스템 및 방법
US8154651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022250A (zh) 一种基于双触摸ic的车辆空调控制系统及方法
US7719528B2 (en)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438094B (zh) 一种车载hud开关机的控制方法及系统
JP2001125556A (ja) 電子機器
CN115092071A (zh) 一种功能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721795A (zh) 触摸屏控制装置、触摸屏控制方法及显示装置
KR101929217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CN215526418U (zh) 电子机器的控制装置
JP3837080B2 (ja) 燃焼制御装置
KR100493466B1 (ko) 차량의 전원 제어장치
KR101826184B1 (ko) 대기전력 절감기능을 갖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CN113778264A (zh) 触摸屏控制装置及触摸屏控制方法
KR101723194B1 (ko) 모니터의 전원 관리기능을 내장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