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291A -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291A
KR20100082291A KR1020090041083A KR20090041083A KR20100082291A KR 20100082291 A KR20100082291 A KR 20100082291A KR 1020090041083 A KR1020090041083 A KR 1020090041083A KR 20090041083 A KR20090041083 A KR 20090041083A KR 20100082291 A KR20100082291 A KR 20100082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uplink
downlink
data
mbsf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775B1 (ko
Inventor
서한별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154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JP5385407B2/ja
Priority to EP10729293.0A priority patent/EP2361459B1/en
Priority to ES10729293T priority patent/ES2784028T3/es
Priority to US13/143,644 priority patent/US9344186B2/en
Priority to CN201080004230.5A priority patent/CN102273095B/zh
Priority to PCT/KR2010/000068 priority patent/WO2010079951A2/en
Publication of KR2010008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775B1/ko
Priority to US15/137,910 priority patent/US964861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8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향링크 ACK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METHOD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DD}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송방식의 측면에서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일한 시간영역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방식이고, T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시간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TDD 방식은 가용 주파수 대역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상향링크 전송시간과 하향링크 전송시간이 서로 분리되므로 기지국(Base Station, BS)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단말(Mobile Station, MS)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subframe)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 다.
최근에 중계국(Relay Station, RS)을 포함한 무선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중계국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장치인데, 무선통신 시스템의 셀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고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렵다. 또한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중계국이 전송하는 전송신호가 중계국이 수신하는 수신신호에 비해 전력이 훨씬 크기 때문에 중계국의 전송신호가 수신신호에 간섭으로 작용하여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자기 간섭(self interference)이라고 한다. 중계국이 자기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간섭 제거 과정 및 송수신 신호 처리부의 공간적인 분리가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중계국이 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구현하더라도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중계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은 어렵다고 가정한다.
상술한 가정 하에,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과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또는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전송과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지 못하므로 TDD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향링크 ACK 충돌(collision)의 문제가 있다. 어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동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단말이 중계국으로 ACK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중계국은 이러한 ACK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를 상향링크 ACK 충돌이라고 한다. 상향링크 ACK 충돌이 발생하면 중계국은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이전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이미 전송한 데이터를 단말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알 수 없으므로 기 전송한 데이터를 불필요하게 재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은 예컨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고려하고 있는 MBSFN (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기반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MBSFN 서브프레임 기반 방식이란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중계국은 해당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configure)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한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중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향링크 ACK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WCDMA(Wideband CDMA)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화 기구에 의한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CDMA200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반한 무선 기술이다.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표준화 기구에 의한 HRPD(High Rate Packet Data)는 CDMA2000 기반 시스템에서 높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eHRPD(Evolved HRPD)는 HRPD의 진화이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N(Evolved-UTRAN)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N를 사용하는 E-UMTS(Evolved-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LTE의 진화이다. 이하에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전송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전송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2는 중계국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source station)은 단말이고, 목적국(destination station)은 기지국일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은 기지국이고, 목적국은 단말일 수 있다. 중계국(relay station)은 단말일 수도 있고, 별도의 중계기가 배치될 수 있다. 기지국은 중계국과 단말 간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리(management), 제어 및 자원 할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목적국(20)은 중계국(25)을 통해 소스국(30)과 통신한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30)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목적국(20)과 중계국(25)으로 보내고, 중계국(20)은 수신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목적국(20)은 또한 중계국(26, 27)을 통해 소스국(31)과 통신한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31)은 상향링크 데 이터를 목적국(20)과 중계국(26, 27)으로 보내고, 중계국(26, 27)은 수신한 데이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재전송한다.
도 2에서 하나의 목적국(20), 3개의 중계국(25, 26, 27) 및 2개의 소스국(30, 31)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제한이 아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목적국, 중계국 및 소스국의 수는 제한이 없다.
중계국에서 사용하는 중계 방식으로 AF(amplify and forward) 및 DF(decode and forward) 등 어떠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3GPP LTE 시스템에서 TDD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3GPP TS 36.211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4.2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ms의 길이를 가지며 5 ms의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반 프레임(half-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반 프레임은 1 ms의 길이를 가지는 5개의 서브프레임 (subframe)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 subframe),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 subframe),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된다. 하나의 TDD 무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 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symbol)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SC-FDMA 심벌 또는 심벌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RB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OFDM 심볼과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분리시키는 특정 주기(period)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며, 특수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보호 구간),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이다.
도 4는 하나의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 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예를 들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 OFDMA 심벌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은 12×7개의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제어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될 수 있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 다.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임의의 UE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파워 제어 명령 등을 가리킨다. PHICH는 상향링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이제 하향링크 물리채널인 PDCCH에 대해 기술한다.
PD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UE 그룹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다음 표 1은 DCI 포맷에 따른 DCI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1
DCI 포맷 0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가리키고, DCI 포맷 1~2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가리키고, DCI 포맷 3, 3A는 임의의 UE 그룹들에 대한 상향링크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을 가리킨다.
다음 표 2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또는 상향링크 그랜트)인 DCI 포맷 0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는 3GPP TS 36.212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8)"의 5.3.3.1절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2
표 3은 3GPP LTE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에 따른 설정 가능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표 3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3
중계국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경우,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을 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중계국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중계국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다(이러한 제한을 이하에서 제한 1이라 칭한다). 따라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 다음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중계국은 표 3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S)으로 표시된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은 2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용도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를 위한 것이다. MBMS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여러 셀에서 동시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인데, MBMS를 위한 신호는 여러 셀에서 동시에 송신되기 때문에 셀 마다 서로 다른 데이터가 송신되는 유니캐스트(unicast)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의 삽입 방식이 달라야 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MBMS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단말에게 알리고 해당 서브프레임에서는 유니캐스트와 다른 기준 신호 삽입 방식이 사용된다.
두 번째 용도는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을 단말에게 알리기 위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한 1에 의해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그런데, 단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으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신호 수신 동작을 취하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은 두 번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BSFN 서브프레임(400)은 제어신호영역(control region; 410), 보호구간 1(420), 보호구간 2(430), 데이터 영역(data region;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영역(410)은 제어신호 예컨대, 제어채널들은 PCFICH, PDCCH, PHICH 신호 등이 포함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어신호들은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것임을 알려 단말들이 불필요한 데이터 수신 동작을 취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제어신호영역(410)의 제어신호를 단말에게 전송한 후, 보호구간 1(420) 이후의 데이터 수신 영역(44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보호구간 1(420) 및 보호구간 2(430)은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수신 간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시간이다.
그런데, 중계국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특수 서브프레임, 이하 같다)을 상술한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한이 있다. 그것은 동기화 신호(예컨대,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같은 주요 제어신호를 단말에게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없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표 3의 무선 프레임의 모든 구성에서 서브프레임 0, 1, 5, 6이다. 다시 말해 표 3에 표시된 무선 프레임의 모든 구성에서 중계국은 서브프레임 0, 1, 5, 6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없다(이러한 제한을 이하에서 제한 2라 칭한다).
중계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중계국이 표 3의 모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는 없는데(이러한 제한을 이하에서 제한 3이라 칭한다), 그 이유는 상향링크 ACK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향링크 ACK 충돌이란 기지국 혹은 중계기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단말이 전송하는 ACK/N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향링크 ACK 충돌이 발생하면, 기지국 또는 중계국은 단말의 성공적인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불필요한 재전송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는 무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면, 단말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3GPP LTE TDD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규정하고 있다.
표 4는 상기 표 3의 각 구성에 대해서, 단말이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3GPP TS 36.213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8)"의 10.2절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4
표 4에서 '-'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며, 숫자는 해당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낸다. 여기서,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란 어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해당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성 0(UL-DL configuration 0)에서 서브프레임 0에서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ACK/NACK 신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4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6에서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 전송된다. 또한, 구성 1(UL-DL configuration 1)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과 1에서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7에서 전송된다.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표 4에서 구성 1의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8에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4이다. 즉,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브프레임 8에서 단말이 ACK/NACK 신호를 전송한다.
도 7은 상기 표 4의 구성 0에서 상향링크 ACK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0에서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표 4의 구성 0에 의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0에서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서브프레임 4에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이 서브프레임 4에서 ACK/NACK 신호를 중계국에 전송하면, 중계국은 ACK/NACK 신호를 수신할 수 없어 상향링크 ACK 충돌이 발생한다.
상술한 제한 1, 2 및 3을 고려하여 표 3의 무선 프레임 구성 중에서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표 5과 같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5
즉, 중계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컨대, 표 3의 구성 1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과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표 3의 구성 1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9)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표 3의 구성 1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 5에 표시된 구성에 의하면 상향링크 ACK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중계국은 기지국과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여, 상향링크 자원 할당인 DCI format 0 (601)를 PDCCH 상으로 수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는 PUSCH 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602)를 전송한다. 즉, 단말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상향링크 자원 할당에 관한 정보, 예컨대, DCI format 정보 등)를 수신한 후 이러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에 따라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한다.
도 9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단말은 PDCCH(651)에 의해 지시되는 PDSCH(652) 상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651)를 모니터링하여,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PDCCH(651) 상으로 수신한다.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가리키는 PDSCH(652)상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표 6은 각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scheduling message)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index)(즉, 서브프레임 넘버)를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6
표 6의 구성 1의 경우 서브프레임 3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은 (이전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9에서의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표 3 및 표 4와 비교하면 빈(empty) PDCCH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은 표 6의 구성 1에서 빈 PDCCH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계국(RS)은 무선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400)를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여 기지국(BS)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3(500)에서 기지국(BS)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데, 표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MS)이 무선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3에서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가 서브프레임 9(400)의 제어신호영역(예컨대, PDCCH ;410)에서 중계국(RS)에서 단말(MS)로 전송된다. 무선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3(300)에서 중계국(RS)은 단말(MS)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제한 1), 중계국(RS)은 무선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400)에서 제어신호영역(410)에 아무런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게 되고 무선 자원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방법은 MBSFN 서브프레임에서 MBSFN 서브프레임과 연동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다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상향링크 스케쥴링 타이밍을 조절한다.
도 11은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연동되지 않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는 무선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400)의 PDCCH영역(410)에서 무선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3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무선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7(600)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향링크 스케쥴링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법은 MBSFN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하거나 상위 계층 신호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의 PDCCH에 포함되는 정보 필드는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인덱스(UL subframe index),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오프셋(UL subframe offset)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위치 지시자(UL subframe position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MBSFN 서브프레임과 연동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다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직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6의 구성 1에서 서브프레임 9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경우, 서브프레임 9의 PDCCH에 포함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서브프레임 3이 아니라 서브프레임 7을 지시할 수 있다(서브프레임 넘버를 직접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오프셋은 표 6에서 규정된 값에 더해져서 MBSFN 서브프레임과 연동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다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6의 구성 1에서 서브프레임 9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경우, 서브프레임 9의 PDCCH에 포함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이 4로 주어질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9에 포함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가 서브프레임 7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위치 지시자는 표 6에서 규정한 서브프레임 이후 소정의 순서에 위치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 임을 알려주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6의 구성 1에서 서브프레임 9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경우, 서브프레임 9의 PDCCH에 포함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위치지시자의 값이 1로 주어질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MBSFN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9)에 포함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가 표 6 구성 1에서 규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3 이후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7에 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BSFN 서브프레임의 PDCCH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스케쥴링 타이밍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상위 계층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중계국이 MBSFN 서브프레임의 PDCCH에서 전달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인덱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오프셋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위치 지시자 각각에 대응하는 상위 계층 신호를 별도로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방법은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non-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하향링크 스케쥴링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3의 PDCCH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8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8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면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3의 PDCCH에는 아무런 하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결국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3의 PDCCH 영역이 낭비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3의 PDCCH에서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지 않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향링크 스케쥴링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술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전송하거나, 오프셋 값을 전송하는 방법 또는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이후 소정 순서에 위치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 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데이터 중계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특수 서브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수 서브프레임의 GP(guard period, 보호 기간) 동안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왜냐하면, 중계국에 연결된 단말은 그 기간 동안에는 중계국으로부터 기준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도 12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데이터 중계방법을 나타낸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중계국이 특수 서브프레임(121)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22)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특수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관계이다. 여기서 특수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연동되었다는 의미는 만약 중계국이 특수 서브프레임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였다면(123), 그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이 전송(124)하도록 규정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중계국은 특수 서브프레임(121)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특수 서브프레임(121)에서 PDSCH가 보내졌다면 단말이 중계국으로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22)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은 상향링크 ACK/NACK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표 7은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수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특수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가능한 쌍(pair)을 표시하고 있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7
표 7에 의하면 예컨대, 구성 2(즉, UL-DL configuration 2)에서 기지국이 특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1에서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중계국은 서브프레임 7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데, 구성 2에서 서브프레임 7은 특수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1외에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0, 3, 9에도 연동되어 있다(상술한 표 4 참조). 이러한 경우, 서브프레임 1외에 서브프레임 3,9도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특수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도 연동되어 있는 경우, 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 서브프레임 0, 5는 상술한 제한 1, 2 때문에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즉,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없다.
표 8은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연동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특수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가능한 쌍을 표시하고 있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8
표 8에서 예컨대, 구성 2(UL-DL configuration 2)에서 만약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9, 1,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중계국은 서브프레임 7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3은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연동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과 중계국의 데이터 중계방법을 나타낸 일 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만약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1(131), 3(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중계국은 서브프레임 7(133)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9(134)에서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중계국은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7(135)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표 8의 구성 2 참조).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중계국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3GPP LTE 시스템에서 TDD 무선 프레임(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하나의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표 4의 구성 0에서 상향링크 ACK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표 6의 구성 1에서 빈 PDCCH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연동되지 않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데이터 중계방법을 나타낸 예이다.
도 13은 구성 2에서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연동되어 있는 경우 기지국과 중계국의 데이터 중계방법을 나타낸 일 예이다.

Claims (14)

  1.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한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다음 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여기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28261710-PAT00009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의 구성,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은 다음 표와 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Figure 112009028261710-PAT000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아닌 다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 터 중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는 상위계층신호 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는
    상기 다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는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오프셋(offset)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는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이후 소정의 순서에 위치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대응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연동 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향링크 스케쥴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11.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한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중계 방법에 있어서,
    특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단말이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수신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도록 규정된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및 상기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다음 표와 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Figure 112009028261710-PAT00011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과 연동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도 연동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서브프레임 및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기 상향링크 서브크레임은 다음 표와 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방법.
    Figure 112009028261710-PAT00012
KR1020090041083A 2009-01-08 2009-05-12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KR10153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545291A JP5385407B2 (ja) 2009-01-08 2010-01-06 時分割二重通信に基づく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中継方法
EP10729293.0A EP2361459B1 (en) 2009-01-08 2010-01-06 Method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ES10729293T ES2784028T3 (es) 2009-01-08 2010-01-06 Método para la retransmisión de da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basado en división de tiempo dúplex
US13/143,644 US9344186B2 (en) 2009-01-08 2010-01-06 Method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CN201080004230.5A CN102273095B (zh) 2009-01-08 2010-01-06 在基于时分双工的无线通信系统中中继数据的方法
PCT/KR2010/000068 WO2010079951A2 (en) 2009-01-08 2010-01-06 Method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US15/137,910 US9648619B2 (en) 2009-01-08 2016-04-25 Method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ime division duple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8709P 2009-01-08 2009-01-08
US61/143,387 2009-01-08
US15589209P 2009-02-26 2009-02-26
US61/155,892 200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291A true KR20100082291A (ko) 2010-07-16
KR101539775B1 KR101539775B1 (ko) 2015-07-30

Family

ID=4264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083A KR101539775B1 (ko) 2009-01-08 2009-05-12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344186B2 (ko)
EP (1) EP2361459B1 (ko)
JP (1) JP5385407B2 (ko)
KR (1) KR101539775B1 (ko)
CN (1) CN102273095B (ko)
ES (1) ES2784028T3 (ko)
WO (1) WO2010079951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1443A2 (ko) * 2010-12-28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2099369A2 (ko) * 2011-01-17 2012-07-2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2128599A3 (ko) * 2011-03-24 201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05978B1 (ko) * 2011-07-01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측정 방법 및 단말
KR101530808B1 (ko) * 2011-08-12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9281912B2 (en) 2011-05-31 2016-03-08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Ind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occupancy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775B1 (ko) * 2009-01-08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JP5632371B2 (ja) * 2009-06-10 2014-11-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925110B (zh) * 2009-06-16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链路上行反馈信息的传输方法、中继站及基站
US9014079B2 (en) * 2009-10-29 2015-04-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ra-subframe time multiplexing
US20130294282A1 (en) * 2011-01-23 2013-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by a relay in a wireless communcation system
WO2012134115A2 (ko) * 2011-03-25 201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EP3079273B1 (en) 2011-05-03 2019-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receiving mbms service processing semi-permanent scheduling from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09417B2 (en) * 2011-10-13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in which a terminal transceives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WO2013100475A1 (ko) * 2011-12-27 2013-07-04 주식회사 팬택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pusch/phich 스케쥴링 타이밍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6152165B2 (ja) 2012-03-29 2017-06-21 スキピオ テクノロジーズ エス.アイ リミテッド 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伝送方式
US9680628B2 (en) 2012-07-25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intra-cell carrier aggregation system
KR102094287B1 (ko) * 2012-07-25 2020-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셀 내의 주파수 집적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4022949A1 (en) * 2012-08-09 2014-02-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new special sub-frame in legac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3905997A (zh) * 2012-12-26 2014-07-02 夏普株式会社 发送上行调度信息的方法和基站
MX361283B (es) 2013-02-22 2018-12-03 Huawei Tech Co Ltd Método, dispositivo y sistema de comunicación.
CN104039017A (zh) * 2013-03-06 2014-09-10 夏普株式会社 发送调度信息的方法和基站
WO2015037881A1 (ko) 2013-09-10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4519580B (zh) * 2013-09-26 2019-04-26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决定tdd ul-dl配置的ul harq时序的方法及装置
JP5851482B2 (ja) * 2013-12-20 2016-02-03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端末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US9877323B1 (en) * 2014-10-28 2018-01-23 Newracom, Inc. OFDMA mapping for clients with various bandwidths
US9936469B2 (en) 2014-11-03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centric medium access control layer-based signaling between a base station and UE
US10342012B2 (en) 2015-03-15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75970B2 (en)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CN106304352B (zh) 2015-05-29 2019-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无线链路共享资源的配置方法、信号传输方法及节点
JP2018520591A (ja) 2015-06-23 2018-07-2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送信方法及び装置
US10965588B2 (en) * 2015-07-31 2021-03-30 Convida Wireless, Llc MTC service selection in the (S)Gi-LAN
KR20170018517A (ko) *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케이티 스케쥴링 장치 및 이에 의한 자원 할당 방법
US20180331816A1 (en) * 2015-09-01 2018-11-15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6484323B2 (ja) * 2017-12-11 2019-03-13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通信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1819900A (zh) * 2018-01-12 2020-10-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时分双工通信中的所配置的授权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6013A1 (en) * 2003-01-22 2004-07-2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ime division duplex relay system with high speed automatic up-link and down-link detection
CN100589633C (zh) 2006-07-10 2010-02-1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宽带无线接入的中继转发方法
US7796639B2 (en) 2007-03-21 2010-09-14 Motorola Mobilit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antenna channel quality data acquisition in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network
KR20080092222A (ko) * 2007-04-11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80112144A (ko) 2007-06-20 2008-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방송 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전송/수신방법 및 그 장치
US9001791B2 (en) * 2008-01-31 2015-04-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tection of time division duplex downlink/uplink configuration
US20090279458A1 (en) * 2008-03-24 2009-11-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plink and Down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Time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s
US8301956B2 (en) * 2008-04-07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communication in a relay channel
WO2010061053A1 (en) * 2008-11-25 2010-06-03 Nokia Corporation Relay node backhauling
KR101539775B1 (ko) * 2009-01-08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7541B2 (en) 2010-12-28 2016-03-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TD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91443A3 (ko) * 2010-12-28 201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2091443A2 (ko) * 2010-12-28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2099369A2 (ko) * 2011-01-17 2012-07-2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2099369A3 (ko) * 2011-01-17 2012-12-0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2128599A3 (ko) * 2011-03-24 201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014065B2 (en) 2011-03-24 2015-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US9167583B2 (en) 2011-03-24 2015-10-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US9185703B2 (en) 2011-03-24 2015-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US9538532B2 (en) 2011-03-24 2017-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US9807744B2 (en) 2011-03-24 2017-10-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US9867170B2 (en) 2011-03-24 2018-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US9281912B2 (en) 2011-05-31 2016-03-08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Ind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occupancy mode
US9226185B2 (en) 2011-07-01 2015-12-29 Lg Electronics Inc. Cell measurement method and terminal
KR101405978B1 (ko) * 2011-07-01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측정 방법 및 단말
KR101530808B1 (ko) * 2011-08-12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9265069B2 (en) 2011-08-12 2016-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a random access process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73095A (zh) 2011-12-07
WO2010079951A3 (en) 2010-09-16
EP2361459A2 (en) 2011-08-31
US20160242179A1 (en) 2016-08-18
US20110267993A1 (en) 2011-11-03
CN102273095B (zh) 2014-11-05
US9648619B2 (en) 2017-05-09
JP5385407B2 (ja) 2014-01-08
ES2784028T3 (es) 2020-09-21
EP2361459B1 (en) 2020-03-18
KR101539775B1 (ko) 2015-07-30
US9344186B2 (en) 2016-05-17
WO2010079951A2 (en) 2010-07-15
EP2361459A4 (en) 2017-07-19
JP2012514930A (ja)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775B1 (ko)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US9621314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MBSFN subfram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52797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US9100149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backhaul link and access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US88426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subframe resource allocation
US8989079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backhau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70654B1 (ko)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KR2010009965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장치
KR2010008031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400758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버퍼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12593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0007397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전송방법 및 장치
KR20150040149A (ko)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113814A (zh) 无线通信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KR2016004656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WO201517092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